[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978B1 -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 Google Patents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978B1
KR101601978B1 KR1020090118835A KR20090118835A KR101601978B1 KR 101601978 B1 KR101601978 B1 KR 101601978B1 KR 1020090118835 A KR1020090118835 A KR 1020090118835A KR 20090118835 A KR20090118835 A KR 20090118835A KR 101601978 B1 KR101601978 B1 KR 10160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rowd
full
detent
toler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193A (ko
Inventor
최기홍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978B1/ko
Priority to US13/513,366 priority patent/US8744696B2/en
Priority to PCT/KR2010/008611 priority patent/WO2011068377A2/ko
Priority to CN201080054448.1A priority patent/CN102639790B/zh
Priority to EP10834792.3A priority patent/EP2508681B1/en
Publication of KR2011006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9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E02F3/84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hydraulic dri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1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 E02F3/434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providing automatic sequences of movements, e.g. automatic dumping or loading, automatic return-to-di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켓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식 각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버켓의 각도 센서값을 미리 설정된 버켓 위치(예를 들면, 풀-크라우드 및 리턴 투 디그)의 각도값과 비교하여 전자석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버켓의 최대 덤프 위치부터 최대 풀-크라우드 동작의 완료 시점까지 사용자가 버켓의 작동 조이스틱 레버를 잡고 있지 않아도 버켓을 풀-크라우드시키는 풀-크라우드 디텐트 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조이스틱 작동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휠로더 버켓, 풀-크라우드 디텐트, 회전식 각도 센서, 풀-덤프, 풀-크라우드, 리턴 투 디그, 전자석, 조이스틱

Description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FULL CROWD DETENT APPARATUS OF WHEELOADER BUCKET}
본 발명은 휠로더 버켓의 풀-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식 각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버켓의 각도 센서값을 미리 설정된 버켓 위치(예를 들면, 풀-크라우드 및 리턴 투 디그)의 각도값과 비교하여 전자석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버켓의 최대 덤프 위치부터 최대 풀-크라우드 동작의 완료 시점까지 사용자가 버켓의 작동 조이스틱 레버를 잡고 있지 않아도 버켓을 풀-크라우드시키는 풀-크라우드 디텐트 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조이스틱 작동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휠로더 버켓의 풀-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로더(Wheel Loader)와 같은 건설기계는 토사를 운반하거나 상차하는 작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휠로더는 토사를 트럭과 같은 운반수단에 근접한 위치까지 운반한 후, 붐을 상승시킨 후 버켓을 풀 덤프하여 운반수단에 토사를 낙하시킨다. 그리고 휠로더는 다시 버켓을 리턴 투 디그 위치로 하고 붐을 하강시킨 후, 토사가 쌓인 장소로 이동하여 토사를 버켓에 적재하고 버켓을 풀-크라우드 위치로 조정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토사가 운반수단에 채워질 때까지 다수 회 반복된다. 따라서, 휠로더 운전자는 버켓을 운반수단에 상승 및 하강시키는 조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휠로더 및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휠로더는 버켓(111), 상기 버켓(111)을 덤프(dump)시키거나 크라우드(crowd)시키기 위한 버켓 실린더(112) 및 상기 버켓(111)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붐(113)을 포함한다.
이러한 휠로더가 운반수단에 상승 및 하강시키는 버켓(11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Wheel Loader Detent) 장치는, 버켓(111)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기구부(114), 전자석(123), 전자석(123)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121), 전자석(123)을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124) 및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를 포함한다.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기구부(114)가 근접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원(121)과 전자석(123)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즉, 기구부(114)가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에 근접하지 않으면,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전원(122)을 전자석(123)에 연결시킨다. 반면, 기구부(114)가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에 근접하면,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전원(122)을 전자석(123)에 연결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기구부(114)의 근접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금속 감지 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가 온(ON)되어 전원(121)이 전자석(123)에 공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이스틱 레버(131)를 크라우드 방향의 전자석(123)에 근접시키면, 전자석(123)은 전원(121)의 전류에 의한 자기력으로 조이스틱 레버(131)를 고정시킨다.
이후, 조이스틱 레버(131)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구부(114)의 이동에 따라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가 오프(OFF)되면, 전자석(123)은 전원(121)이 공급되지 않아 조이스틱 레버(131)를 고정시키지 못하고 중립 위치로 돌려보낸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는 휠로더 조이스틱 레버(Joystick Lever)(131) 위치가 상한 또는 하한 위치에 놓인 경우에 조이스틱 레버(131)를 전자석(123)에 의해 래치시킨다. 종래의 휠로더의 디텐트 장치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기구부(114)가 도달한 경우에 전자석(123)의 전원(121)을 해제하여 조이스틱 레버(131)가 중립으로 복귀하게 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적재물을 싣기 위한 위치(101)이다. 휠로더의 디텐트 장치는 운전자가 조이스틱 레버(131)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유지하지 않아도 디텐트(Detent) 구간 외에서는 조이스틱 레버(131)의 제어에 따라 작업기(예를 들면, 버켓 실린더, 붐 실린더 등)가 스스로 구동되도록 한다.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의 디텐트 위치는 1개소로서, 적재물을 싣기 위한 위치(Return to Dig)(이하, '적재 위치'라 함)(101)로 설정되어 있다. 즉, 휠로더 디텐트 장치는 덤프 또는 크라우드 동작 중에서 버켓(111)을 적재 위치(101)로 디 텐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는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에 의한 풀 덤프 위치부터 풀 크라우드 위치까지의 전자석 온/오프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휠로더의 버켓(111)을 운반수단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조작을 분류하면, 전자석(123)이 온(ON)되는 구간(210)과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구간(220)으로 분류된다. 전자석(123)이 온(ON)되는 구간(210)은 버켓(111)의 풀 덤프(Full Dump) 위치(201)부터 적재 위치(202)까지이다. 반대로,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구간(220)은 적재 위치(202)부터 풀 크라우드(Full Crowd) 위치(203)까지이다.
전자석(123)이 온(ON)되는 구간(210)에서,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전자석(123)에 전원(121)을 공급시킨다. 그러면, 전자석(123)은 조이스틱 레버(131)가 근접하면 전자석(123)의 자기력으로 조이스틱 레버(131)를 고정시킨다. 즉, 조이스틱 레버(131)는 전자석(123)에 의해 크라우드(Crowd) 방향으로 래치된다.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구간(220)으로 진입하면,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전자석(123)에 전원(121) 공급을 차단한다. 그러면, 전자석(123)은 "210" 구간 동안 고정되어 있는 조이스틱 레버(131)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조이스틱 레버(131)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면, "210" 구간에서 조이스틱 레버(131)의 래치에 의해 구동되던 버켓(111)은 적재 위치(202)에 정지한다.
여기서, 버켓(111)의 적재 위치(202)부터 풀 크라우드(Full Crowd) 위치(203)까지 비접촉 근접 스위치(122)는 전자석(123)에 전원(121) 공급을 차단할 수밖에 없다. 즉,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는 디텐트 위치를 하나의 위치(적재 위치(202))로만 설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는 풀 크라우드 위치(203)에서는 디텐트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휠로더의 주행과 버켓(111)의 덤프 및 크라우드 작업을 동시에 진행한다. 풀 크라우드 위치(203)의 디텐트 기능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휠로더의 핸들 및 조이스틱 레버(131)를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용이하게 작업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버켓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식 각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버켓의 각도 센서값을 미리 설정된 버켓 위치(예를 들면, 풀-크라우드 및 리턴 투 디그)의 각도값과 비교하여 전자석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버켓의 최대 덤프 위치부터 최대 풀-크라우드 동작의 완료 시점까지 사용자가 버켓의 작동 조이스틱 레버를 잡지 않아도 버켓을 풀-크라우드시키는 풀-크라우드 디텐트 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조이스틱 작동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휠로더 버켓의 풀-크라우드 디텐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는,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에 있어서, 버켓을 동작시키는 조이스틱 레버를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 래치시키기 위한 버켓 위치 유지 수단; 상기 버켓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로부터 버켓 각도값을 획득하여 상기 버켓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버켓 위치 검출 수단; 상기 검출된 버켓의 위치가 적재 위치 또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버켓 위치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된 버켓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버켓의 디텐트를 제어하기 위한 버켓 디텐트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버켓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식 각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버켓의 각도 센서값을 미리 설정된 버켓 위치(예를 들면, 풀-크라우드 및 리턴 투 디그)의 각도값과 비교하여 전자석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버켓의 최대 덤프 위치부터 최대 풀-크라우드 동작의 완료 시점까지 사용자가 버켓의 작동 조이스틱 레버를 잡고 있지 않아도 버켓을 풀-크라우드시키는 풀-크라 우드 디텐트 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조이스틱 작동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을 통한 풀-크라우드 디텐트 기능으로서, 휠로더 운전자가 버캣의 적재위치에서, 적재물 싣기를 완료한 후에 적재물을 뜨기위한 풀-크라우드 동작의 완료 시점까지 조이스틱의 레버를 잡고 있지 않아도 되게 되어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30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 버켓 위치 검출부(320), 버켓 위치 판단부(330) 및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이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30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버켓 위치 유지부(310)는 전원(121)의 전류에 의한 자기력으로 조이스틱 레버(131)를 고정시켜, 전원(121)이 공급되는 동안에 조이스틱 레버(131)를 한쪽 방향으로 래치시킨다. 일례로, 버켓 위치 유지부(310)는 전자석을 구비하여 전원(121) 공급에 따라 전자석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켜 조이스틱 레버(131)를 래치시키거나 중립으로 되돌린다.
버켓 위치 검출부(320)는 버켓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축(115)의 회전식 각도 센서(321)에서 센싱된 버켓 각도값을 획득하여 버켓(111)의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회전식 각도 센서(321)는 버켓(111)이 회전하는 각도를 센싱할 수 있는 회전축(115)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115)은 휠로더의 버켓(111)을 동작시키는 링크 구조에 따라 다수의 지점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15)은 상단 링크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회전식 각도 센서(132)는 버켓(111)의 회전과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축(115)에 설치된다.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버켓 위치 검출부(320)에서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최대 덤프 위치부터 크라우드 방향으로 디텐트되는 적재 위치(301) 또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인지를 판단한다.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미리 분류된 디텐트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온 및 오프 동작 구간에 해당하는 버켓(111)의 위치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분류된 디텐트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온 및 오프 동작 구간은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적재 위치(301) 또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휠로더를 동작시키는 사 용자의 요구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버켓(111)의 디텐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변경된 버켓(111)의 분류 위치에 따라 버켓(11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판단부(330)에서 판단된 버켓(111)의 위치에 따라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버켓(111)의 위치가 적재 위치(301)를 기준으로 최대 덤프 위치 또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 사이의 구간과 각 구간의 공차 사이인지 여부에 따라,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여기서, 공차는, 버켓(111)이 이동하는 도중에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에 의해 디텐트되도록 제어될 때, 디텐트 시점부터 적재 위치(301), 풀 덤프 위치(201) 및 풀 크라우드 위치(203)까지 버켓(111)이 정지할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일례로,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해당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버켓 위치 검출부(320)는 버켓(11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식 각도 센서(321)에서 센싱된 버켓 각도값을 획득하여 버켓(111)의 위치를 검출한다(402).
그리고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버켓 위치 검출부(320)에서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미리 분류된 적재 위치(301)에서 공차를 뺀 위치(이하, '제1 공차 위치'라 함)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404).
상기 확인 결과(404),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제1 공차 위치 미만이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을 공급한다(406).
반면, 상기 확인 결과(404),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미리 분류된 제1 공차 위치 이상이면,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버켓 위치 검출부(320)에서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미리 분류된 적재 위치(301)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408).
상기 확인 결과(408),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미리 분류된 적재 위치(301) 미만이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 공급을 차단한다(410).
반면, 상기 확인 결과(408),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미리 분류된 적재 위치(301) 이상이면,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버켓 위치 검출부(320)에서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최대 크라우드 위치에서 공차만큼 적은 위치(이하, '제2 공차 위치'라 함)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410).
상기 확인 결과(412),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제2 공차 위치를 초과하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 공급을 차단하는 "410"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412), 검출된 버켓(111)의 위치가 제2 공차 위치 이하이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을 공급하는 "406" 과정을 수행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디텐트 버켓 위치 유지부의 온 및 오프 동작 구간의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휠로더의 버켓(111)을 운반수단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조작을 분류하면, 전자석(123)이 온(ON)되는 제1 및 제2 온 구간(501 및 503)과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제1 및 제2 오프 구간(502 및 504)으로 분류된다.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제1 및 제2 오프 구간(502 및 504)은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석(123)이 온(ON)되는 제1 구간(501)은 버켓(111)의 최대 덤프(Max Dump) 위치(511)부터 제1 공차 위치(512)까지이다.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제1 구간(502)은 제1 공차 위치(512)부터 적재 위치(513)까지이다.
전자석(123)이 온(ON)되는 제2 구간(503)은 적재 위치(513)부터 제2 공차 위치(514)까지이다.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제2 구간(504)은 제2 공차 위치(514)부터 최대 크라우드 위치(515)까지이다.
버켓 위치 판단부(330)는 버켓(111)의 위치가 도 5에 도시된 전자석(123)이 온(ON)되는 제1 및 제2 온 구간(501 및 503)과, 전자석(123)이 오프(OFF)되는 제1 및 제2 오프 구간(502 및 504)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러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버켓 위치 판단부(330)에서 판단된 구간에 따라 버켓 위치 유지부(310)의 전원(341)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판단 결과, 버켓(111)의 위치가 제1 및 제2 온 구간(501 및 503)이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전자석(123)에 전원(121)을 공급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버켓(111)의 위치 가 제1 및 제2 오프 구간(502 및 504)이면, 버켓 디텐트 제어부(340)는 전자석(123)에 전원(121)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기능은 풀 크라우드 조작에서는 디텐트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휠로더의 핸들 및 조이스틱 레버를 동시에 움직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버켓의 최대 덤프 위치부터 최대 풀-크라우드 동작의 완료 시점까지 사용자가 버켓의 작동 조이스틱 레버를 잡지 않아도 버켓을 풀-크라우드시키는 풀-크라우드 디텐트 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조이스틱 작동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휠로더 및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휠로더 디텐트 장치에 의한 풀 덤프 위치부터 풀 크라우드 위치까지의 전자석 온/오프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디텐트 버켓 위치 유지부의 온 및 오프 동작 구간의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310: 버켓 위치 유지부
320: 버켓 위치 검출부                        330: 버켓 위치 판단부
340: 버켓 디텐트 제어부                      321: 회전식 각도 센서
111: 버켓                                    115: 회전축
131: 조이스틱 레버                           121: 전원
124: 접지

Claims (5)

  1.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에 있어서,
    버켓을 동작시키는 조이스틱 레버를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 래치시키기 위한 버켓 위치 유지 수단;
    상기 버켓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로부터 버켓 각도값을 획득하여 상기 버켓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버켓 위치 검출 수단;
    상기 검출된 버켓의 위치가 적재 위치 또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버켓 위치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된 버켓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버켓 디텐트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켓 위치 판단 수단은, 상기 버켓의 위치가 제1 공차 위치부터 적재 위치이거나 제2 공차 위치부터 최대 크라우드 위치까지이면 상기 전원의 오프 구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켓의 위치가 최대 덤프 위치부터 상기 제1 공차 위치이거나 적재 위치부터 상기 제2 공차 위치까지이면 상기 전원의 온 구간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공차 위치는, 적재 위치에서 공차를 뺀 위치이고,
    상기 제2 공차 위치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에서 공차를 뺀 위치인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 위치 판단 수단은,
    상기 버켓의 위치가 최대 덤프 위치부터 크라우드 방향으로 디텐트되는 적재 위치 또는 최대 크라우드 위치인지에 따라 상기 전원의 온 구간 및 오프 구간을 판단하는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버켓을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된 각도 센서로부터 버켓 각도값을 획득하여 상기 버켓의 위치를 검출하는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KR1020090118835A 2009-12-03 2009-12-03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835A KR101601978B1 (ko) 2009-12-03 2009-12-03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US13/513,366 US8744696B2 (en) 2009-12-03 2010-12-03 Full crowd detent apparatus of wheel loader bucket
PCT/KR2010/008611 WO2011068377A2 (ko) 2009-12-03 2010-12-03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CN201080054448.1A CN102639790B (zh) 2009-12-03 2010-12-03 轮式装载机铲斗的完全收回锁定装置
EP10834792.3A EP2508681B1 (en) 2009-12-03 2010-12-03 Full crowd detent device for a wheel loader bu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835A KR101601978B1 (ko) 2009-12-03 2009-12-03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193A KR20110062193A (ko) 2011-06-10
KR101601978B1 true KR101601978B1 (ko) 2016-03-09

Family

ID=4411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8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978B1 (ko) 2009-12-03 2009-12-03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4696B2 (ko)
EP (1) EP2508681B1 (ko)
KR (1) KR101601978B1 (ko)
CN (1) CN102639790B (ko)
WO (1) WO201106837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45A (ko) * 2016-12-29 2018-07-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작업기 자동 제어 장치 및 건설 기계의 작업기 자동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6207A8 (pt) * 2012-01-02 2017-07-04 Volvo Constr Equip Ab método para controlar a movimentação de entulho para uma máquina de construção incluindo uma estrutura de movimentação inferior, uma estrutura de oscilação superior montada na estrutura de movimentação inferior para oscilar de acordo com uma operação de um joystick de oscilação, uma cabine montada na estrutura de oscilação superior, e uma fixação incluindo uma barreira fixada em uma extremidade frontal da estrutura de oscilação superior a ser acionada de acordo com uma operação de um joystick de fixação
CN102828539B (zh) * 2012-08-16 2016-02-10 三一重机有限公司 主泵变功率调节系统及方法
CN103485384B (zh) * 2013-09-25 2015-09-16 于进策 挖掘机单手柄控制方法和系统
JP6309817B2 (ja) * 2014-05-14 2018-04-11 株式会社Kcm 作業車両
US9529347B2 (en) 2014-08-28 2016-12-27 Caterpillar Inc. Operator assistance system for machine
US9562341B2 (en) 2015-04-24 2017-02-07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Dipper drop detection and mitigation in an industrial machine
US9777461B2 (en) 2015-10-22 2017-10-03 Deere & Company Distributed operator control for work vehicles
US9777460B2 (en) 2015-10-22 2017-10-03 Deere & Company Operator control for work vehicles
US9797114B2 (en) 2015-10-22 2017-10-24 Deere & Company Work vehicle operator control with increment adjust
US9771705B2 (en) 2015-10-22 2017-09-26 Deere & Company Work vehicle operator control
CN112012257A (zh) * 2019-05-31 2020-12-01 贵州詹阳动力重工有限公司 一种折叠式作业装置自动控制方法
AU2019205002A1 (en) 2019-07-11 2021-01-28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underground machines
CN111411654A (zh) * 2020-03-09 2020-07-14 安徽金安矿业有限公司 一种用于井下铲运机自动装载的方法
GB2630045B (en) * 2023-05-15 2025-07-16 Caterpillar Inc Method for monitoring an operation of a work machine a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697A (en) 1972-08-24 1975-01-28 Caterpillar Tractor Co Front loading hydraulic excavator
US20020082842A1 (en) 2000-12-21 2002-06-27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Voice-controlled tractor-mounted loader
WO2008153532A1 (en) * 2007-06-15 2008-12-18 Deere & Company Electronic parallel lift and return to carry or float on a backhoe load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2248A (en) * 1972-09-11 1974-01-01 Caterpillar Tractor Co Electronic component positioner for loader vehicles and the like
JPS5736701Y2 (ko) * 1975-12-04 1982-08-13
JPH0791842B2 (ja) * 1988-01-18 1995-10-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バケットレベラ装置
US5000650A (en) * 1989-05-12 1991-03-19 J.I. Case Company Automatic return to travel
CN2069846U (zh) * 1990-06-22 1991-01-23 青州起重机厂 刚性导杆封闭式液压抓斗
JPH0685449U (ja) * 1993-05-24 1994-12-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土板制御装置
US6064933A (en) * 1997-05-16 2000-05-16 Caterpillar Inc. Automatic bucket loading using teaching and playback modes triggered by pile contact
KR100211449B1 (ko) * 1997-07-28 1999-08-02 추호석 로더용 페달록킹장치
CN1977226A (zh) * 2004-03-12 2007-06-06 沙厄-丹福丝股份有限公司 带有电动闭锁制动器的操纵杆装置
US7356397B2 (en) * 2004-06-15 2008-04-08 Deere & Company Crowd control system for a loader
CN2737837Y (zh) * 2004-09-20 2005-11-02 周洪斌 多功能抓掘装置
KR20080050011A (ko) * 2006-12-01 2008-06-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로더의 붐 상승각 제한장치
US8500387B2 (en) * 2007-06-15 2013-08-06 Deere & Company Electronic parallel lift and return to carry or float on a backhoe loader
KR100960322B1 (ko) 2008-07-16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 장치용 침지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697A (en) 1972-08-24 1975-01-28 Caterpillar Tractor Co Front loading hydraulic excavator
US20020082842A1 (en) 2000-12-21 2002-06-27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Voice-controlled tractor-mounted loader
WO2008153532A1 (en) * 2007-06-15 2008-12-18 Deere & Company Electronic parallel lift and return to carry or float on a backhoe loa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45A (ko) * 2016-12-29 2018-07-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작업기 자동 제어 장치 및 건설 기계의 작업기 자동 제어 방법
KR102561005B1 (ko) 2016-12-29 2023-07-31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작업기 자동 제어 장치 및 건설 기계의 작업기 자동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8681A4 (en) 2017-02-15
EP2508681A2 (en) 2012-10-10
CN102639790B (zh) 2015-03-25
WO2011068377A3 (ko) 2011-11-17
US20120239263A1 (en) 2012-09-20
WO2011068377A2 (ko) 2011-06-09
US8744696B2 (en) 2014-06-03
CN102639790A (zh) 2012-08-15
KR20110062193A (ko) 2011-06-10
EP2508681B1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978B1 (ko)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EP2514879B1 (en) Posi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working tool of a construction machine
US20150002303A1 (en) System to display remaining payload weight for a truck
JP4993805B2 (ja) トルクの離散値に基づいて土工機械の作業器具を自動制御するシステムと方法。
EP0604402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ttitude of bucket carried by loading/unloading vehicle
AU2012216446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 movement of a dipper
US10358795B2 (en) Working machine
CN102482866B (zh) 轮式装载机作业机械的自动运转控制装置及方法
US20100312437A1 (en) Construction machine
AU20212736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payload of an industrial machine
US109824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mi-autonomous control of an industrial machine
KR102031376B1 (ko) 작업용 차량의 작업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A2181834C (en) Method of controlling bucket angle of hydraulic shovel
GB2370265A (en) Return to dig system
AU20212353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vehicle
EP338545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construction machin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601980B1 (ko) 전자식 능동 디텐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8090B1 (ko) 건설기계의 디텐트 기능 자동 튜닝 시스템
EP4239131A1 (en) Control system for loading equipment, method, and loading equipment
CN110418865B (zh) 作业车辆以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WO2021085167A1 (ja) 作業機械
CN119998519A (zh) 作业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