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867B1 -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867B1
KR101601867B1 KR1020150095498A KR20150095498A KR101601867B1 KR 101601867 B1 KR101601867 B1 KR 101601867B1 KR 1020150095498 A KR1020150095498 A KR 1020150095498A KR 20150095498 A KR20150095498 A KR 20150095498A KR 101601867 B1 KR101601867 B1 KR 10160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weight
eraser
parts
plastic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박혜명
Original Assignee
박현
박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 박혜명 filed Critical 박현
Priority to KR102015009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867B1/ko
Priority to PCT/KR2016/004027 priority patent/WO2017007116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25Eraser or rubber material, e.g. comprising har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1 내지 30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연마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과 상기 지우개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우개는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폴리염화비닐)와 프탈레이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동시에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Eraser without plasticizer using natural starch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1 내지 30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연마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과 상기 지우개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석유계 수지를 사용한 시트는 건축물의 내장재와 창호재 등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PVC를 이용한 필름과 시트는 바닥재, 벽지, 데코시트, 각종 인테리어 시트 등의 소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PVC와 같은 상용 수지들은 석유에서 원료를 추출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석유 자원 한정에 의한 생산량 감소 및 폐기시 생분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또한 최근 높아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에 의하여 PVC 기반의 제품은 사용 시 프탈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인 DOP(Dioctyl Phthalate)와 각종 첨가제들에 의한 사용상의 안전문제, 환경문제, 폐기 시에 발생하는 환경호르몬 물질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우개는 PVC라는 폴리염화비닐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환경유해물질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생활에서 접하는 거의 모든 플라스틱 제품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극히 미미한 정도의 환경유해물질과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므로 건강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이다.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및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혼성 중합체로서, 현탁중합과 유화중합으로 제조되는 5대 범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는 컴파운드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링, 졸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가공법에 의해 성형되어 파이프, 건축용 내·외장재, 전선, 전기기계 제품, 장난감, 필름, 시트, 인조가죽, 테이프, 식품 포장재, 의료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의 소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PVC 수지는 내수성, 내약품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지가 불완전 연소를 하게되면 공해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사용을 규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에는 가소제, 2차 가소제, 안정제, 안료, 충전제, 발포제, 활제, 점도조절제 등 여러 가지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 다양한 가공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가소제는 고분자 수지간의 마찰계수를 줄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로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소제의 유형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용도도 각각 다르다. 염화비닐계 수지에 사용되는 가소제로는 주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특히 DEHP(Di-2-EthylHexyl Phthalate), DBP(Di-Butyl Phthalate), DIDP(Di-IsoDecylPhthalate), BBP(Butyl Benz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NOP(Di-n-Octyl Phthalate) 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가소화 효율, 내한성 등의 제물성의 밸런스가 좋아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들은 동물이나 사람의 몸속에 들어가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er), 즉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고 있으며, 이 중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및 디부틸프탈레이트(DBP)는 특히 위험물질로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어 대체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DEHP는 분자량이 작고 내열성이 약해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점도 대체물질의 요구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지우개로는 염화비닐계 지우개(한국 등록특허 제10-0812512호), 엘라스토머계 지우개(한국 공개특허 제2008-0070547호) 및 천연고무계 지우개가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천연고무계 지우개는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엘라스토머계 지우개도 지우는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염화비닐계 지우개는 글자를 지우는 능력의 특성 면에 있어서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되는 프탈산계 가소제, 특히 DEHP와 DBP에 의한 환경적 악영향과 가소제 이행성의 문제로 인하여 대체 지우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무독성 지우개에 대한 연구는 크게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연구와 합성고분자를 이용한 연구로 대별할 수 있고, 대표적인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지우개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48297호에 생분해성의 미생물로부터 생산되는 폴리(3-히드록시부틸레이트-코-3-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중에 가교된 천연고무 입자가 아일랜드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지우개에 대한 정도만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천연고분자 중에서도 특히 전분은 저렴한 가격, 풍부한 생산량, 뛰어난 생분해성 등의 장점 때문에 오랫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소재로의 응용에 대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는 고온, 고압 조건하에서의 압출 쿠킹 기술에 의한 전분의 호화 현상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보관안정성이 부족하여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식물자원에서 추출한 전분을 중합하여 제조되는 열가소성 전분 수지와 같은 생분해성 전분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생분해성 전분은 글루코스(포도당)로부터 구성되는 다당류로 식물체에 의하여 합성되고 세포 중에 전분입자로서 존재하고 있다. 전분입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ㆍ모양을 하고 있다. 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원료식물체를 분쇄하여 냉수에 담그면, 전분입자는 아래로 침전하게 된다. 건조 전분입자는 흡습성이 높고, 풍건물(風乾物)에서는 2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한다. 찬물에는 녹지 않으나, 더운물에는 부풀어 호화(糊化)한다. 전분입자를 구성하는 다당은 2종으로 대별되는데 알맹이의 골격을 이루며 70~80%를 점하는 아밀로펙틴과 안으로 싸여있는 아밀로스이다. 아밀로스는 글루코스의 α-1, 4-결합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밀로텍틴은 α-1, 6-결합으로 지분(枝分)에서 생긴 형태를 하고 있다. 전분입자에 물을 가하여 가열하면, 다당구조가 길게 뻗은 쇄상(鎖狀)으로 되고, 이것을 α-전분이라고 한다. 생(生)전분상태의 다당은 글루코스 6개로 1회전 하는 나선구조를 취하고 있고 β-전분이라고 칭한다.
또한, 몇 가지 단백질이 혼합되어 존재하며, 이 밖에 당과 지질도 함유하고 있다. 밀가루에 소량의 물을 가해 반죽하여 덩어리를 만든 후, 이것을 다량의 물 속에서 주무르면 전분이 물속에 현탁(懸濁)·제거되고, 점착성이 있는 덩어리로 남은 것이 글루텐이다. 보리, 밀 등의 곡류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로 몇 가지 단백질이 혼합되어 존재하며, 이를 글루텐이라고 부른다. 글루텐을 50∼70%의 에틸알코올과 섞으면 녹는 성분과 녹지 않는 성분이 있는데, 전자를 글리아딘, 후자를 글루테닌이라고 한다. 밀가루의 종류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의 양에 따라 나뉘는데, 이 단백질의 대부분을 글루텐이 차지한다. 주로 빵 제조에 쓰이는 강력분은 단백질이 13% 이상이고, 다목적으로 쓰이는 중력분은 10-13%, 과자 제조에 쓰이는 박력분은 10% 이하가 포함되어 있다. 글루텐의 끈기는 가스를 보유하는 힘이 있으며, 빵이 부푸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밀가루가 다른 곡분에 비해 물을 균등하게 흡수하고 면이 잘 늘어나는 것은 글루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글루텐은 밀가루를 가공 및 조리하는 데 기본이 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천연전분 조성물의 주성분인 전분은 물을 붓고 가열하기 시작하여 60∼80℃ 정도가 되면 전분의 입자가 파괴되어 부드럽고 끈적끈적한 상태로 변하는데, 이를 전분의 호화라고 한다. 호화된 전분은 맛과 질감이 좋고 소화도 잘 된다. 밥, 죽, 떡 등이 전분의 호화를 이용한 음식의 예이다. 전분 입자는 분자 상호 간의 강한 결합에 의해 규칙적인 미셀(micell)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생전분(β-전분)이라고 하며, 미셀 구조가 흐트러진 상태를 호화(α-전분)라 한다.
전분을 물에 담그면 미셀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아밀로오스나 아밀로펙틴 분자 사이로 물 분자가 스며들어 조직이 헐거워진다. 이때 열을 가하면 전분 조직 사이의 간격이 점차 멀어져 부피가 증가하며, 점성이 생기게 된다. 전분의 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전분의 종류와 수분 함량, pH, 온도 등이 있다. 전분 입자가 작고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클수록 호화 온도가 높아지므로, 쌀이나 수수 등 곡류 전분은 감자 나 고구마와 같은 서류에 비해 호화가 느리게 진행된다. 또한, 호화는 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잘 일어나며, 알칼리에 의해 촉진된다. 호화가 시작되는 최저 온도는 전분의 종류나 수분의 양에 따라 다르나 약 60℃ 전후에서 시작되며, 온도가 높으면 호화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나 호화된 전분이 식으면 다시 생전분과 비슷한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러한 현상을 노화라고 하며, 밥이나 떡이 식으면 굳어지는 것이 그 예이다. 이는 전분입자를 구성하고 있는 아밀로펙틴이나 아밀로스분자가 수분입자를 포집하여 호화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잃게 되면 점차 주변 공간으로 수분입자가 일탈하는 현상을 나타냄으로써 자기들끼리 엉겨 붙어서 굳어지는 변화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분의 노화현상을 베타(β)화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호화된 전분을 방치해 두면 어떤 지지체(支持體)에 붙잡혀 있지 않으면 안정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는 아밀로스가 식으면서 내부에너지를 잃게 되고, 다시 아밀로스끼리 서로 모여 엉겨 붙어서 재배열하여 어떤 결정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 필요 없게 된 물은 엉겨 붙은 아밀로스 밖으로 빠져나가 떠 있는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호화전분의 노화특성은 아밀로그래프에서 호화 젤을 냉각시켰을 때 점도가 상대적으로 올라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응징(consistency)점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쌀이 대개 호화냉각시킨 젤이 빨리 굳어서 잘 흘러가지 못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노화에 의한 재배열하여 굳어진 전분은 생전분(β-전분)과 같이 X선 회절에 의해 미결정이 존재하는 회절도형을 나타내지만, 생전분과 같은 굴곡이 강한 도형이 아니고 구조적으로 생전분과 같은 모양으로 되돌아 간 상태가 아니므로 β′-전분으로 변화되었다고 한다.
떡이나 밥, 빵 등을 저온에 장시간 방치해 두면 전분의 노화에 의해 굳어져서 식미가 떨어지고 소화성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품종이나 조리 가공된 식품형태 또는 보관조건에 따라 노화되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노화정도는 텍스쳐(texture)분석기에 의한 경도(硬度)변화나 베타-아밀라제-플루라나제(β-amylase-pulluanase; BAP)법 또는 알파-아밀라제-아이오다인(α-amylase- iodine)법에 의한 호화도로써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분의 노화는 수분 30~60%, 온도 0℃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며 전기보온밥솥(70℃)에서도 느리기는 하지만 역시 노화가 진행된다. 전분식품을 장시간 보관할 경우 가능한 한 노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려면 냉동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될 수 있는 데로 급속하게 냉동시키고 급속하게 해동시키는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노화된 떡이나 밥을 다시 찌거나 전자레인지로 덥히게 되면 다시 β′-전분이 주변 틈새로 갇혀 있는 여기(勵起)된 물 분자의 영향을 받아 수분을 포집하면서 호화 팽창되어 본래의 탄력감과 찰기를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12512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8-0070547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48297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폴리염화비닐)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탈레이트 등의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소제가 없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독성이며,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천연전분을 이용한 지우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소제가 없는 지우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마제 10~40중량부, 물, 열안정제, 광안정제, 내후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블로킹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 1~10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40~70℃로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0~160℃에서 스크류의 회전수가 15~400rpm로 압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한 천연전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는 생분해성이 우수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다. 상기 지우개 조성물은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가공성 및 혼합성이 양호하여 압출,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과의 혼합성이 뛰어나 개질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여 목적하는 제품군에 응용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우개는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폴리염화비닐)와 프탈레이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동시에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우개 조성물은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포름알데하이드, 납 등의 인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무독성으로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특징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천연전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소제가 없는 지우개 제품은 기존 PVC 지우개와 비교하여도 글자소거 성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우개의 제조방법은 타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과의 혼합성이 뛰어나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 안정성이 우수하며, 생분해성 특징을 나타내어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에 환경 보호 제품으로서 생분해성 제품에 있어 그 적용범위가 광범위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가소제 용출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등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중량부, 글루텐 3중량부, 식용젤라틴(콜라겐) 5중량부, 한천 5중량부, 연마제 30중량부, 물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루텐 3중량부, 식용젤라틴(콜라겐) 5중량부, 한천 5중량부, 연마제 30중량부, 물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중량부, 식용젤라틴(콜라겐) 5중량부, 한천 5중량부, 연마제 30중량부, 물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중량부, 글루텐 3중량부, 한천 5중량부, 연마제 30중량부, 물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중량부, 글루텐 3중량부, 식용젤라틴(콜라겐) 5중량부, 연마제 30중량부, 물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중량부, 글루텐 3중량부, 식용젤라틴(콜라겐) 5중량부, 한천 5중량부, 물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생분해성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중량부, 글루텐 3중량부, 식용젤라틴(콜라겐) 5중량부, 한천 5중량부의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5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염화비닐(PVC)수지 30중량부와 가소제(DHEP) 30중량부, 탄산칼슘(CaCO3) 40중량부를 혼련시킨 후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8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PVC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염화비닐(PVC)수지 30중량부와 가소제(DHEP) 30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40중량부를 혼련시킨 후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8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PVC지우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염화비닐(PVC)수지 30중량부와 가소제(DHEP) 30중량부, 이산화티탄(TiO2) 40중량부를 혼련시킨 후 혼합물을 400rpm 이상의 고속 교반기에서 배출 온도 50℃로 10분간 혼합한 후, 동방향 회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80℃에서 스크류의 분당회전수(rpm)는 feeder 50rpm, main motor 250rpm로 압출성형하여 PVC지우개를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조성물 함량(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생분해성 전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식품용 글리세린(Glycerol) 20 0 20 20 20 20 20
글루텐 3 3 0 3 3 3 3
식용젤라틴(콜라겐) 5 5 5 0 5 5 5
한천 5 5 5 5 0 5 5
연마제(TiO2) 30 30 30 30 30 0 30
5 5 5 5 5 5 0
구성성분 조성물 함량(중량부)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폴리염화비닐(PVC)수지 30 30 30
가소제(DHEP) 30 30 30
연마제 탄산칼슘(CaCO3) 40 0 0
산화마그네슘(MgO) 0 40 0
이산화티탄(TiO2) 0 0 40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지우개를 이용하여 외관상태, 색상, 지워짐율, 종이 구겨짐, 경도, 이행성, 등 성능을 측정하고, 사용감, 부스러기 뭉침성은 표 3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기준 사용감 평가기준
부스러기 뭉침성 평가기준
가벼운 터치로 극히 부드럽게 지울 수 있다 지운 부스러기가 종이에 부착되지 않고 종이 위에 잘 뭉쳐 있으며,지우개표면은 백색이다
가벼운 터치로 부드럽게 지울 수 있다. 지운 부스러기가 지우개 위에 조금 뭉쳐 있으며, 지우개 표면은 회색이다
× 강한 힘이 아니면 지울 수 없다 지운 부스러기가 뭉치지도 않았으며, 지우개 표면에 검은색 카본이 다량 묻어 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외관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색상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지워짐율 90 90 85 85 75 60 90 90 90 90
종이 구겨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경도 70 65 70 70 75 50 72 75 75 75
이행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사용감
부스러기 뭉침성 ×
성형성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표면경도변화 양호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가소제용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지워짐율: KS G 2627시험법 80이상, 경도: KS G 2627시험법 50이상, 이행성: KS G 2627시험법, 가소제용출: 지우개표면에 볼펜으로 표기 후 시간변화에 따라 글자가 흐려지는 정도를 의미함
본 발명의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과 종래의 지우개인 가소제를 함유하는 PVC 수지 지우개인 비교예1 내지 비교예 3을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의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는 일부 경도의 측면에서는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외관상태, 색상, 지워짐율, 종이 구겨짐, 이행성, 사용감, 부스러기 뭉침성 등 전반적인 성능에서 종래의 지우개인 가소제를 함유하는 PVC 수지 지우개를 상위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가소제 용출성의 측정항목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우개표면에 볼펜으로 표기 후 시간변화에 따라 글자가 흐려지는 정도에 있어서 종래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PVC 수지 지우개는 글자가 흐려짐이 관찰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에 있어서는 이러한 글자 흐려짐이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우개 조성물은 기존 지우개에 사용되던 PVC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포름알데하이드, 납 등의 인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무독성으로 어린이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특징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천연전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소제가 없는 지우개 제품은 기존 PVC 지우개와 비교하여도 글자소거 능이 우수하여 지우개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1 내지 30 중량부;
    글루텐, 젤라틴, 콜라겐 및 한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도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연마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쌀전분, 밀전분, 또는 이들의 변성 전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판 트리올 또는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 탈크, 보크사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용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지우개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7.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1 내지 30 중량부, 글루텐, 젤라틴, 콜라겐 및 한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도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연마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조성물 제조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쌀전분, 밀전분, 또는 이들의 변성 전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판 트리올 또는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탄산칼슘(CaCO3), 산화마그네슘(MgO) 및 이산화티탄(TiO2), 탈크, 보크사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의 제조방법.
KR1020150095498A 2015-07-03 2015-07-03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98A KR101601867B1 (ko) 2015-07-03 2015-07-03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6/004027 WO2017007116A1 (ko) 2015-07-03 2016-04-18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98A KR101601867B1 (ko) 2015-07-03 2015-07-03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867B1 true KR101601867B1 (ko) 2016-03-14

Family

ID=5554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4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867B1 (ko) 2015-07-03 2015-07-03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1867B1 (ko)
WO (1) WO2017007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8303A (zh) * 2017-11-21 2018-04-03 安徽北马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胶原蛋白‑橡胶复合材料的制备方法
WO2023089518A1 (pt) * 2021-11-19 2023-05-25 Bioworld - Social Impact, Lda Material polimerico biodegradavel transparente e flexivel, metodo de produqao e seus usos
EP4183826A1 (en) * 2021-11-19 2023-05-24 Bioworld - Social Impact, Lda Transparent and flexible biodegradable polymeric material, production method and its uses
EP4212351A1 (en) * 2022-01-18 2023-07-19 Société BIC Eraser coated with polysacchari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692A (ja) * 1998-04-06 1999-10-26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消しゴム
KR100812512B1 (ko) 2007-06-25 2008-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우개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080070547A (ko) 2007-01-26 2008-07-30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엘라스토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한지우개
KR20090048297A (ko) 2007-11-08 2009-05-13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엘라스토머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지우개
JP2011212978A (ja) * 2010-03-31 2011-10-27 Monami Co Ltd non−PVC消しゴム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707A (ko) * 1995-09-25 1997-04-28 김상원 볼펜잉크 지우개의 제조방법
JP4570174B2 (ja) * 2008-02-19 2010-10-2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692A (ja) * 1998-04-06 1999-10-26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消しゴム
KR20080070547A (ko) 2007-01-26 2008-07-30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엘라스토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한지우개
KR100812512B1 (ko) 2007-06-25 2008-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우개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090048297A (ko) 2007-11-08 2009-05-13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엘라스토머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지우개
JP2011212978A (ja) * 2010-03-31 2011-10-27 Monami Co Ltd non−PVC消しゴ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16A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6885B1 (en) Mouldable biodegradable polymer
KR101601867B1 (ko) 천연전분 조성물을 이용한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우개 및 이의 제조방법
US5288318A (en) Cellulose acetate and starch based biodegradable injection molded plastic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813470B2 (ja) 未変性の澱粉様多糖類を基剤とする生分解性の多成分高分子材料
CN1113078C (zh) 生物降解发泡塑料材料及其制法
EP1799762B1 (en) Mouldable biodegradable polymer
CN101397375B (zh) 一种pvc低发泡木塑装饰材料及其制造方法
DE69926917T2 (de) Biologisch abbaubares polymer
EP1942140B1 (en) Method for preparing a hydrophobic biodegradable material
PL184475B1 (pl) Kompozycja termoplastyczna ulegająca biodegradacji
EP1939248A1 (en) Water soluble biodegradable material
Pushpadass et al. Extrusion of starch‐based loose‐fill packaging foams: effects of temperature, moisture and talc on physical properties
CN115678302A (zh) 印模膏
CN105694201A (zh) 生物降解型复合材料
Arfat Plasticizers for biopolymer films
EP0704495A2 (en) Biodegradable compositions
CN113150395B (zh) 一种超高淀粉含量的热塑性淀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240775B1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4663559B2 (ja) 澱粉せんべい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30576A1 (en) Foamable resin composition and foamed body
JP4358947B2 (ja) 澱粉系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EP2380915B1 (de) Wasserformbeständiges, thermoplastisches Stärke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978081B2 (ja) 生分解性組成物
WO2024102010A1 (en) Biodegradable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s for its manufacture
WO2009103856A2 (en) Impact resistant biodegra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