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779B1 -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779B1
KR101601779B1 KR1020140083558A KR20140083558A KR101601779B1 KR 101601779 B1 KR101601779 B1 KR 101601779B1 KR 1020140083558 A KR1020140083558 A KR 1020140083558A KR 20140083558 A KR20140083558 A KR 20140083558A KR 101601779 B1 KR101601779 B1 KR 10160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ludge
composition
clay
kaol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224A (ko
Inventor
오태환
이지연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7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7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및 석회석을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폐기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함으로써 건축자재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크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와 달리 친환경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의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자재 즉, 타일 등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성도 높을 뿐만 아니라 강도,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WATERWORKS SLUDGE}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및 석회석을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 자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건축자재는 시멘트, 모래, 자갈의 혼합물을 고압으로 성형하여 건조 제작되며, 이들은 획일적인 시멘트의 원색과 형상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보편적인 기술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으로 자연 친화적인 제품이 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고 건축 재료용 점토벽돌과 블록은 자연을 훼손하며 점토를 채취하여 단순히 성형기로 제작, 로(爐)에 투입하여 소성시켜 제작하므로 원재료 구입에 대한 부담이 가중될 뿐 아니라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처리비용을 주고 버리는 정수슬러지를 재활용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인체에 유해한 기존의 건축자재와 달이 친환경적이며, 상수도 공급을 위한 정수장 시설을 운영하는 한 정수슬러지는 계속 발생하므로 원재료의 수급에 큰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저렴하므로 건축자재도 저렴한 단가로 공급하여 건축비용을 낮출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버려지는 슬러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서울시 산학연 이전기술 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하여 기술개발 및 특허를 출원하게 되었음)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슬러지를 이용한 선행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490731호(폐자재 슬러지를 로타리 킬른에서 건조 또는 소성하여 토목,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정수 슬러지를 활용하고 장석광물, 점토광물, 석회석, 팽창퍼라이트, 팽창질석 등을 포함하여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만들어진 건축자재 즉, 타일 등이 친환경적이고 경제성도 높을 뿐만 아니라 강도,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및 석회석을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조성물은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 정수 슬러지(sludge) 30 내지 45중량%, 장석광물 20 내지 25중량%, 고령토(kaolin) 20 내지 25중량%, 와목점토 9 내지 10중량% 및 석회석 4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에 의한 성형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1)단계에서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 및 교반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및 석회석을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은 정수 슬러지(sludge) 30 내지 45중량%, 장석광물 20 내지 25중량%, 고령토(kaolin) 20 내지 25중량%, 와목점토 9 내지 10중량% 및 석회석 4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은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을 포함할 수 있고,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를 포함하는 경우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정수 슬러지(sludge) 30 내지 45중량%, 장석광물 20 내지 25중량%, 고령토(kaolin) 20 내지 25중량%, 와목점토 9 내지 10중량% 및 석회석 4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에 의한 성형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팽창 라이트 및 팽창질석을 더 포함하여 혼합물을 교반할 수 있고, 팽창 라이트 및 팽창질석은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함으로써 건축자재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크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와 달리 친환경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의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축자재 즉, 타일 등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성도 높을 뿐만 아니라 강도,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정수 슬러지(sludge) 성분분석 결과.
도 2 는 건축 자재용 조성물의 혼합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1차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림.
도 3 는 건축 자재용 조성물의 혼합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2차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림.
도 4 내지 6 은 본원발명의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타일.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및 석회석을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은 정수 슬러지(sludge) 30 내지 45중량%, 장석광물 20 내지 25중량%, 고령토(kaolin) 20 내지 25중량%, 와목점토 9 내지 10중량% 및 석회석 4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수 슬러지(sludge) 40중량%, 장석광물 20중량%, 고령토(kaolin) 23중량%, 와목점토 10중량% 및 석회석 7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은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을 포함할 수 있고,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를 포함하는 경우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팽창 퍼라이트 6중량부 및 팽창질석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정수 슬러지(sludge)의 성분 및 건축자재(타일)의 조성 등
정수 슬러지 내 성분분석(XRF, XRF-1800, SHimadzu, JAPAN)을 한 결과 정수 슬러지에 포함된 성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결론적으로 주성분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14063141015-pat00001
한편 실제 제작되고 있는 건축자재(타일)의 원료조성과 소성온도는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4063141015-pat00002
실시예 2.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혼합비
(1) 상기 실시예 1.의 정수 슬러지 성분 및 실제 제작되고 있는 건축자재(타일)의 원료조성과 소성온도를 고려하여 원료구성은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 와목점토로 선택하였으며, 매용제인 석회석을 첨가하였다.
(2) 한편, 각 성분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구체적인 실험과정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ⅰ) 기본실험은 정수 슬러지,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최고온도 1250℃에서 소성하였다. 이때 매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회석을 첨가하였다.
ⅱ) 1차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흡수율 및 강도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난 8번 및 9번 시료를 중심으로 조성물의 범위를 세분화하여 2차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세분화된 조성물의 조성기준은 각각의 원료가 20 내지 60중량% 범위로 한정하였다.
ⅲ) 2차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 3.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세분화된 조성으로 소성한 결과 가장 강도가 우수하고 흡수율이 낮은 조성은 새로운 조성 3번, 5번, 6번 및 9번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새로운 3번, 5번, 6번 및 9번의 조성을 기준으로 소결상태를 높여보기 위해 석회석의 양을 2 내지 15중량%로 변화하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최적의 석회석 비율은 4 내지 10중량%로 나타났다.
또한, 선정된 조성의 수축율을 낮추고 하중 연화강도를 높이기 위해 시판되어 있는 샤모트를 일정범위에서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3) 상기 실험결과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선택한 조성물의 혼합비는 아패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Figure 112014063141015-pat00003
한편, 상기 건축자재용 조성물에는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은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팽창 퍼라이트 6중량부 및 팽창질석 9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불어, 건축 자재용 조성물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표 4.와 다.
[표 4]
Figure 112014063141015-pat00004
상기 사용원료 중 chamotte(40% minimum alumina, 30% minimum silica, 4% maximum Iron(III) oxide, 2% maximum of calcium oxide and magnesium oxide combined)는 본원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자재(타일)를 제조하는 과정 중 소성공정에서 수축 등의 물리적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딸 본원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 즉,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 까지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원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자재(타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정수 슬러지를 활용한 건축 자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용타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상용타일은 도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소성된 소지 내 Mullite는 소지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다. 본 발명소지는 소지 내 Mullite생성 물질을 충분히 함유한 조성으로 상용타일의 소성온도 보다 높은 1250℃에서 소성하므로 Mullite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고, 소지 내 유리질 결정이 고온형인 Cristobalite 양이 많아지며 자화가 일어나므로 소지의 소성강도가 커지는 효과를 높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정수 슬러지(sludge, 소성가공을 거친 것은 제외한다),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및 매용제로서 석회석을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팽창 퍼라이트 및 팽창질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정수 슬러지(sludge) 30 내지 45중량%, 장석광물 20 내지 25중량%, 고령토(kaolin) 20 내지 25중량%, 와목점토 9 내지 10중량% 및 석회석 4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5. (1) 정수 슬러지(sludge, 소성가공을 거친 것은 제외한다) 30 내지 45중량%, 장석광물 20 내지 25중량%, 고령토(kaolin) 20 내지 25중량%, 와목점토 9 내지 10중량% 및 매용제로서 석회석 4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에 의한 성형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정수 슬러지(sludge), 장석광물, 고령토(kaolin), 와목점토, 석회석을 혼합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팽창 퍼라이트 5 내지 8중량부 및 팽창질석 5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20140083558A 2014-07-04 2014-07-04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58A KR101601779B1 (ko) 2014-07-04 2014-07-04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58A KR101601779B1 (ko) 2014-07-04 2014-07-04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24A KR20160005224A (ko) 2016-01-14
KR101601779B1 true KR101601779B1 (ko) 2016-03-11

Family

ID=5517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5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779B1 (ko) 2014-07-04 2014-07-04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06B1 (ko) * 2017-11-03 2018-07-30 김진성 석재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2236858B1 (ko) * 2019-04-30 2021-04-06 장동혁 석산 슬러지에서 광물을 선별하고 장석과 석회석을 혼합한 바이오시멘트 제조방법
KR102380992B1 (ko) * 2021-08-19 2022-04-01 변현란 정수 슬러지를 활용한 꺾임강도가 높은 흑색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0991B1 (ko) * 2021-08-19 2022-04-01 변현란 페라이트 슬러지와 정수 슬러지를 활용한 어두운 색상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9566B1 (ko) * 2023-11-20 2024-03-20 이수산업(주) 폐점토 및/또는 도석을 포함하는 시멘트 치환재,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69B1 (ko) * 2007-04-26 2008-07-01 장미희 건축자재용 혼합골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7B1 (ko) * 2005-08-09 2007-02-27 김동수 하수 슬러지의 고화 처리방법
KR101171787B1 (ko) * 2010-03-25 2012-08-13 조대연 정수슬러지 몰탈 및 그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69B1 (ko) * 2007-04-26 2008-07-01 장미희 건축자재용 혼합골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24A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486B2 (en) Composition for building material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601779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Patil et al. Metakaolin-Pozzolanic material for cement in high strength concrete
KR101269120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무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Yeşilay et al. Usage of marble wastes in traditional artistic stoneware clay body
KR101321977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흙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82148A (zh) 用于以贝利特-钙-硫铝酸盐-铁酸盐熟料为基础的水硬粘合剂的添加剂
KR101659257B1 (ko) 폐알루미늄 분진과 유동층상 보일러의 비산재를 이용한 아우인계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3269B1 (ko) 일라이트를 이용한 보차도용 블록
CN104177009A (zh) 一种仿古砖及其生产方法
JP6600140B2 (ja) セメント混和材の製造方法及びセメント組成物の製造方法
Garg et al. Environment hazard mitigation of waste gypsum and chalk: Use in construction materials
Khan et al. Conversion of waste marble powder into a binding material
CN106116472A (zh) 一种釉面砖废渣循环利用的方法
WO2009146470A1 (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building brick
KR101354249B1 (ko) 유동층상 보일러의 비산재를 이용한 아우인계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601141A (zh) 一种油井水泥用膨胀剂及其制备方法
KR20160129251A (ko) 폐알루미늄 분진을 이용한 칼슘알루미네이트가 함유된 복합 아우인계 조강성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7594A1 (ja) ポルトランドセメントクリンカーの製造方法
KR101188283B1 (ko) 정수 슬러지, 납석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건축 내장재의 제조장치
KR20210000835A (ko) 시멘트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101645501B1 (ko) 비소성결합재 폐기물을 재활용한 인조대리석용 모르타르 결합재 조성물
CN104892010A (zh) 一种从粉煤灰中提取硅、铝复合耐火材料的方法
CN108863115A (zh) 一种水泥及其制备方法
KR101802244B1 (ko) Tdfa를 함유한 시멘트 조성용 무기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