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695B1 -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695B1
KR101601695B1 KR1020140122318A KR20140122318A KR101601695B1 KR 101601695 B1 KR101601695 B1 KR 101601695B1 KR 1020140122318 A KR1020140122318 A KR 1020140122318A KR 20140122318 A KR20140122318 A KR 20140122318A KR 101601695 B1 KR101601695 B1 KR 10160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ontainer
perforated
injection
perfo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839A (ko
Inventor
신중화
Original Assignee
신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화 filed Critical 신중화
Priority to KR102014012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6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6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캡핑 및 천공수단이 포함된 연결모듈의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와 천공바늘가이드부(32)를 회전시켜, 천공바늘고정부재(31) 심부에 양구형 천공바늘(31c)이 식재 돌출된 양편으로 천공바늘가이드부(32)측의 주사액용기(10)와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측의 약제용기(20)의 연결모듈(30)을 회전시켜 상호 회전시킴으로써 양구형천공바늘(31c) 일단은 약제용기(20)의 고무플러그(21)를 타단은 주사액용기(10)의 주사액밀봉플러그(12)를 상호 파열시키는 수액연결장치로 특히, 주사액용기(10)내의 주사액(1)과 약제용기(20)의 약제(2)가 상호 밀봉상태에서 천공바늘고정부재(31) 심부에 양구형 천공바늘(31c)이 식재 돌출된 양편으로 천공바늘가이드부(32)측의 주사액용기(10)와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측의 약제용기(20)의 연결모듈(30)을 회전시켜 상호 회전시킴으로써 양구형천공바늘(31c) 일단은 약제용기(20)의 고무플러그(21)를 타단은 주사액용기(10)의 주사액밀봉플러그(12)를 상호 파열시키는 수액연결장치로 특히, 주사액용기(10)내의 주사액(1)과 약제용기(20)의 약제(2)가 상호 밀봉상태에서 각기 조립되어 사용시 힘들이지 않고 주사용수와 주사약제를 혼합해 주사액과 주사약제를 혼합해 수액세트로 점적 주사에 이용하도록 하는데 더욱 편리하고 주사용수의 밀봉성이 향상된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an ringer's solution link system for two-way needle}
본 발명은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바이알(vial)이나 백(bag) 형태의 각종 주사액에 분말 동결 건조된 각종 약액을 간편히 희석해 점적주사를 하기 위한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에서는 병이나 백(bag)에 든 생리식염이나 포도당과 같은 각종 주사액에 분말 동결 건조된 약액을 주입 혼합시켜 점적주사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점적주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제공된 일반 수액장치로는 주사용수에 생리식염이나 포도당이 희석된 주사액이 담겨 밀봉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다층필름플라스틱 백의 일측 배출구에는 고무마개가 캡핑되어 있으며, 이측에는 백내부에 형성된 연통부와 백 외부로는 고무마개로 캡핑된 분말동결건조 약제 용기가 내장된 플러그가 일체로 형성되고, 백 내부의 연통부에는 천공바늘유니트가 마련된 다양한 모델의 수액장치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위해 국내등록특허 공고번호 96-005814호에 기재된 수액장치는 주사액이 담긴 백 내부와 약제가 담긴 약제용기 사이의 연통부에 외부에에 마련된 플러그에는 고무마개로 캡핑된 약제용기의 병구를 내설하고, 주사액이 담긴 백 내부에는 연통부내부에 마련된 천공바늘유니트에 밀어올림식이나, 주사액이 담긴 팩외부에서 천공바늘유니트를 눌러서 천공바늘을 활주시켜 약제용기의 병구사이에 마련된 디스크와 고무마개를 파열시키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역시 무리한 힘이 요구되는 방식임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국내 등록특허 공고번호 95-0012185호에 기재된 수액장치는 약제 용기와 주사액이 담긴 가요성 용기는 특정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가요성 용기와 약제 용기를 회전시키면, 축방향 하부로 캡이 활주 된 다음 플러그 부재가 유리되어 구멍을 뚫기 위한 천공침에 의해 막이 뚫려 약제 용기의 내부 및 가요성 용기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밀어올리는 방식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다.
그러나 상기 수액장치의 가요성용기는 종방향홈이 구비된 제1연결통로와 바이알의 연결부와 결합을 위해 확관부내에 링패킹과 연결부과 같은 복잡한 형상이 구비된 특정품에 한정되며, 또한 약제용기 역시 병목부에 나삿니와 연결부 성형에 따른 제조단가상승; 약제용기의 밀폐수단인 고무플러그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나삿니를 동시 성형하는데 따른 복잡한 금형형상에 따른 제조단가상승과; 상기 약제용기의 병구 외연의 나삿니에 조립되는 캡내주연의 나삿니성형 및 캡외주연에 성형하는 종방향가이드 및 캡 내부중심에 반시계방향으로 나삿니가 형성된 돌기물, 상기 돌기물과 일체로 슬릿이 형성된 천공침이 구비된 캡이 구비되는 천공수단과 같은 수액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성형의 제작비용으로 인한 제조단가가 상승되며, 주사액이 담기는 수단은 가요성용기에 한정되는 점과 약제용기 역시 일반 바이알 형태는 사용할 수 없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 국내 특허공보 공고번호 1994-0007438호에 기재된 유체용기는 통상의 가요성 백과; 약품용기를 연통 내재하는 캡슐이 가요성과 기밀조립된 것으로, 유체용기는 내측에 다수의 제1가이드수단과 단턱 밀폐수단을 구비한 복잡한 형상의 캡슐 및 가압부분과 상기 제1가이드와의 결합돌기 및 니들이 일체 형성된 조절장치와; 캡슐내에 플러그로 밀페된 병목부가 하방향으로 내재된 캡슐 개구부에 내재된 약품용기를 가압시키는 가압부재와 접동되는 캠이 마련된 캡을 회전시키거나, 눌러 내리는 수단 역시 가압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용이하지 않고 복잡한 형상의 캡슐과 캡,가압부재와 조절장치와 같은 구성수단의 금형성형 제작비용으로 인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어려움이 수반된다.
다음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569223호에 기재된 일체형 수액용기는 주사액이 담긴 백과 주사약제가 담긴 약제용기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제공되다가, 사용시에는 주사액이 담긴 가소성용기에 내부 연통설치된 천공바늘 유니트의 플랜지를 엄지와 중지로 잡고 엄지로 밀대를 외부에서 밀어올려 가소성용기와 연통된 연결부재에 일체 형성된 고무마개로 캡핑된 약제 용기 내부로 천공바늘을 찔러 주사액을 약제용기에 주입해 희석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주사액이 담긴 팩 외부에서 천공바늘 밀대를 밀어올려 고무마개로 캡핑된 약제 용기 내부로 천공바늘을 찔러 넣는 것이 수월치 않는 실정이며, 또한 주사약제 희석제가 아미노산 제제가 담긴 바이알 형태의 병에 수용된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10-2014-0024027호에 제시된 수액연결장치에서는 플라스틱제 바이알(vial)이나 백(bag) 형태에 담긴 각종 주사액용기가 캡핑 및 천공수단이 포함된 주사액모듈인 약제용기내에 분말 동결 건조되거나 또는 수용성 약제가 봉입된 양구형 바이알에 수용시켜, 약제용기를 회전시켜 내장된 천공바늘이 축방향으로 출몰되어 바이알의 고무플러그를 파열시키는 카트리지가 일체인 수액장치로 사용시 힘들이지 않고 주사용수와 주사약제를 혼합해 점적주사에 사용되도록 하는 수액연결장치를 제공한바 있다.
[문헌 1] KR 1996-0005814 (B1) 1996.05.01 [문헌 2] KR 1995-0012185 (B1) 1995.10.14 [문헌 3] KR 1994-0007438 (B1) 1994.08.18 [문헌 4] KR 10-0569223 (B1) 2006.04.03 [문헌 5] KR 10-2014-0024027 (A) 2014.02.27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선행기술에서 해결하고자 했던 핵심기술과제로 캡핑 및 천공수단이 포함된 연결모듈인 천공바늘이송연통부내에 분말 동결 건조되거나 또는 수용성 약제가 봉입된 양구형 약제용기에 수납시켜, 연결모듈의 천공바늘이송연통부를 회전시켜, 연결모듈의 천공바늘가이부내에 내장된 천공바늘이 축방향으로 출몰되어 사용시 힘들이지 않고 약제용기의 고무플러그와 주사액용기의 주사액밀봉플러그를 파열시키는 카트리지가 일체로 구비되어 주사액과 주사약제를 혼합해 수액세트로 점적 주사에 이용하도록 하는 수액연결장치의 개량발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전 출원인의 선행기술에 있어서, 주사액용기와 유체개폐캡이 기밀조립되는 수단으로 일단 개구부 내측테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중간에는 전후로 평탄한 분리벽과 일체로 조립되는 주사액용기의 대향편으로 심부가 돔형인 돌기가 일체인 유체개폐캡의 돌기와 정합되는 천공바늘가압부재의 유공마구리와 기밀수단은 천공바늘가이드부와 천공바늘이송연통부에 동시에 나사조립된 천공바늘가압부재가 최초 사용시 밀착된 상태로 출고되지만 유통과정에서 유체개폐캡의 돌기와 천공바늘가압부재의 유공마구리와의 정합상태가 나삿니 가압방식으로 주사액용기내의 주사액의 밀봉조건에 부합되는 경향을 일소시키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전 선행기술에 비해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각 수단과 조립구조로 인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금형성형 제작비용으로 제공되게 하며, 주사용수를 캡핑시키는 과정도 멸균상태로 자동화가 가능한 봉입구조로 위생적이며 생산성이 향상되게 하여 저렴한 제조원가로 제공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사액밀봉플러그(12)가 플라스틱제 병구속에 밀봉수지캡(11)으로 캡핑되고 병구외주연에 주사액용기결합나사(13)가 형성된 주사액용기(10)와;
유리 또는 플라스틱제로 내부에 분말 동결 건조되거나 또는 수용성 약제가 수납되어 고무플러그(21)가 캡핑되고 알루미늄링(22)으로 기밀처리된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를 연결하는 수액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용기(10)의 병구외주연에 형성된 주사액용기결합나사(13)가 형성된 수지밀봉캡(11)이 조립 천공되는 내주연에 주사액용기결합너트(32f)가 형성된 주사액용기수납홀(32e)과 주사액용기수납홀(32e)의 길이방향 대향편 내측에 이송레일(32c)이 형성된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이 일체로 형성되며,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일부를 포함한 주사액용기수납홀(32e) 외주연에는 천공바늘가이드부너링(32a)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레일(32c)이 형성된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외주연으로는 테이퍼요부(32b)가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부(32)와;
상기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내부 양측의 이송레일(32c)에 각각 조립되는 이송레일홈(31b')이 형성된 천공바늘슬라이더(31b)와 일체로 나사돌부(31a)가 외연부에 형성된 길이방향 심부에 양구형 천공바늘(31c)이 식재 돌출된 천공바늘고정부재(31)와;
상기 천공바늘가이드부(32)의 테이퍼요부(32b)와 압입 회전결합되는 수단으로 내주연에 멈춤돌기(33c')가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이 형성되며,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심부에는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와 조립내재되는 나삿니(33d)가 형성되며, 나삿니(33d)의 단부에는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대향편으로 약제용기수납홀(33b)이 일체 형성되며, 나삿니(33d)와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외주연으로는 천공바늘이송연통부너링(33a)이 형성된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를 포함하는 연결모듈(30)로 구성되는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는 천공바늘고정부재(31)심부에 양구형 천공바늘(31c)이 식재 돌출된 양편으로 천공바늘가이드부(32)측의 주사액용기(10)와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측의 약제용기(20)의 연결모듈(30)을 회전시켜 상호 회전시킴으로써 양구형천공바늘(31c) 일단은 약제용기(20)의 고무플러그(21)를 타단은 주사액용기(10)의 주사액밀봉플러그(12)를 상호 파열시키는 수액연결장치로 특히, 주사액용기(10)내의 주사액(1)과 약제용기(20)의 약제(2)가 상호 밀봉상태에서 각기 조립되어 사용시 힘들이지 않고 주사용수와 주사약제를 혼합하는데 유용하게 적용함으로써, 주사바늘에 찔리는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연결장치의 연결모듈은 본 발명의 기초발명에 비해 구성수단이 간략화되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제공되게 하며,위생적이며 생산성이 향상되어 저렴한 제조원가로 제공되게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수액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분리사시도 및 부분발췌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수액연결장치에 약제용기가 압입수납되는 참고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과 주사약제를 혼합하기 위한 예시도로 천공바늘에 의해 주사액용기의 밀봉플러그가 파열되기 전단계의 참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바늘이 주사액용기의 밀봉플러그로 진입되어 주사액을 주사약제통내로 펌핑 용융시켜 주사액용기내로 다시 흡입함을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실시예로 주사약제가 혼입 용융된 주사액을 양구형 약제용기의 고무플러그에 수액세트를 설치 사용함을 나타낸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수액연결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수액연결장치의 사시도인 도 1과,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분리사시도 및 부분발췌확대 사시도인 도 2,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조립상태 단면도인 도 3,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용기가 채택된 수액연결장치에 약제용기가 압입수납되는 참고사시도인 도 4,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과 주사약제를 혼합하기 위한 예시도로 천공바늘에 의해 주사액용기의 밀봉플러그가 파열되기 전단계의 참고단면도인 도 5, 본 발명에 따른 천공바늘이 주사액용기의 밀봉플러그로 진입되어 주사액을 주사약제통내로 펌핑 용융시켜 주사액용기내로 다시 흡입함을 도시한 참고단면도인 도 6의 기재와 같이,
주사액밀봉플러그(12)가 플라스틱제 병구속에 밀봉수지캡(11)으로 캡핑되고 병구외주연에 주사액용기결합나사(13)가 형성된 주사액용기(10)와;
유리 또는 플라스틱제로 내부에 분말 동결 건조되거나 또는 수용성 약제가 수납되어 고무플러그(21)가 캡핑되고 알루미늄링(22)으로 기밀처리된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를 연결하는 수액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용기(10)의 병구외주연에 형성된 주사액용기결합나사(13)가 형성된 수지밀봉캡(11)이 조립 천공되는 내주연에 주사액용기결합너트(32f)가 형성된 주사액용기수납홀(32e)과 주사액용기수납홀(32e)의 길이방향 대향편 내측에 이송레일(32c)이 형성된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이 일체로 형성되며,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일부를 포함한 주사액용기수납홀(32e) 외주연에는 천공바늘가이드부너링(32a)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레일(32c)이 형성된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외주연으로는 테이퍼요부(32b)가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부(32)와;
상기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내부 양측의 이송레일(32c)에 각각 조립되는 이송레일홈(31b')이 형성된 천공바늘슬라이더(31b)와 일체로 나사돌부(31a)가 외연부에 형성된 길이방향 심부에 양구형 천공바늘(31c)이 식재 돌출된 천공바늘고정부재(31)와;
상기 천공바늘가이드부(32)의 테이퍼요부(32b)와 압입 회전결합되는 수단으로 내주연에 멈춤돌기(33c')가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이 형성되며,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심부에는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와 조립내재되는 나삿니(33d)가 형성되며, 나삿니(33d)의 단부에는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대향편으로 약제용기수납홀(33b)이 일체 형성되며, 나삿니(33d)와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외주연으로는 천공바늘이송연통부너링(33a)이 형성된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를 포함하는 연결모듈(30)로 구성되는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심부에 식재 돌출된 양구형 천공바늘(31c)중 천공바늘슬라이더(31b) 쪽의 돌출길이는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의 나삿니(33d)에 조립된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가 최대깊이로 조립된 상태에서 주사액용기수납홀(32e)에 나사결합되는 주사액용기(10)의 병구쪽 주사액밀봉플러그(12)에 인접된 규격이며, 나사돌부(31a) 심부에 식재 돌출된 양구형 천공바늘(31c)의 돌출길이는 나사돌부(31a)의 나사조립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연결장치(100)는 연결모듈(30) 단위로 도 3과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의 나삿니(33d)에 조립된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가 최대깊이로 조립된 상태에서 멸균상태로 유통포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세한 작용은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과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실시예로 주사약제가 혼입 용융된 주사액을 양구형 약제용기의 고무플러그에 수액세트를 설치 사용함을 나타낸 사용상태 참고단면도인 도 7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연결장치(100)는 주사액용기(10)에 주사액(1)이 봉입된 상태에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제로 내부에 분말 동결 건조되거나 또는 수용성인 약제(2)가 수납되어 고무플러그(21)가 캡핑되고 알루미늄링(22)으로 기밀처리된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와는 상호 격리 제공된 상태이다.
약제용기(20)의 약제를 주사액용기(10)에 봉입된 주사액으로 희석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연결모듈(30)의 포장지를 뜯고 천공바늘가이드부(32)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주사액용기(10) 몸통부를 파지한체 천공바늘가이드부(32)를 회전시켜 밀봉수지캡(11)으로 캡핑된 주사액밀봉플러그(12) 마구리면이 주사액용기수납홀(32e)에 바닥 외연부 최대깊이까지 도달하도록 조립시켜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양구형천공바늘(31c) 단부가 도 1,도 3의 기재와 같이 주사액밀봉플러그(12) 마구리면에 인접시킨다.
다음으로 도 4, 도 5의 도시와 같이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내의 약제용기수납홀(33b) 내에는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를 억지끼움으로 최대깊이로 삽입시켜,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 심부에 돌출 식재된 양구형천공바늘(31c)이 알루미늄링(22)으로 캡핑된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의 고무플러그(21)의 심부를 관통시키도록 한다.
다음 동작으로는 천공바늘가이드부(32)의 외주연에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부너링(32a)을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손으로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의 천공바늘이송연통부너링(33a)을 파지한체 회전시키면 천공바늘고정부재(31)는 천공바늘슬라이더(31b)의 이송레일홈(31b')에 의해 천공바늘가이드부(32)내의 이송레일(32c)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되어, 도6의 도시와 같이 천공바늘슬라이더(31b) 마구리면이 주사액밀봉플러그(12)에 도달된다.
따라서, 주사액용기(10)의 주사액밀봉플러그(12)에 인접된 양구형천공바늘(31c) 끝이 주사액용기(10)내부의 주사액(1)내로 도입되어 주사액(1)이 담긴주사액용기(10)와 약제(2)가 담긴 약제용기(20) 사이는 양구형 천공바늘(31c)로 상호 연통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주사액(1)이 담긴 주사액용기(10)와 약제(2)가 담긴 약제용기(20) 사이는 양구형 천공바늘(31c)로 상호 연통 상태에서 주사액용기(10)를 눌러 주사액(1)이 약제용기(20) 내로 일부 이동 유입시킨 상태로 약제(2)를 혼합 용해 시킨후 다시 주사액용기(10) 내로 흡입 희석시킨후,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 외측에 마련된 고무플러그(21)에 수액세트(200)의 침을 삽입해 점적주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100:수액연결장치 200:수액세트
1:주사액 2:약제
10:주사액용기 11:밀봉수지캡
12:주사액밀봉플러그 13:주사액용기 결합나사
20:약제용기 21:고무플러그
22:알루미늄링
30:연결모듈
31:천공바늘고정부재
31a:나사돌부 31b:천공바늘슬라이더
31b':이송레일홈 31c:양구형 천공바늘
32:천공바늘가이드부
32a:천공바늘가이드부너링 32b:테이퍼요부
32c:이송레일 32d:천공바늘고정부재홀
32e:주사액용기 수납홀 32f:주사액용기결합너트
33:천공바늘이송연통부
33a:천공바늘이송연통부 너링 33b:약제용기수납홀
33c: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 33c':멈춤돌기
33d:나삿니

Claims (2)

  1. 주사액밀봉플러그(12)가 플라스틱제 병구속에 밀봉수지캡(11)으로 캡핑되고 병구외주연에 주사액용기결합나사(13)가 형성된 주사액용기(10)와;
    유리 또는 플라스틱제로 내부에 분말 동결 건조되거나 또는 수용성 약제가 수납되어 고무플러그(21)가 캡핑되고 알루미늄링(22)으로 기밀처리된 양방형 병구 약제용기(20)를 연결하는 수액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용기(10)의 병구외주연에 형성된 주사액용기결합나사(13)가 형성된 수지밀봉캡(11)이 조립 천공되는 내주연에 주사액용기결합너트(32f)가 형성된 주사액용기수납홀(32e)과 주사액용기수납홀(32e)의 길이방향 대향편 내측에 이송레일(32c)이 형성된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이 일체로 형성되며,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일부를 포함한 주사액용기수납홀(32e) 외주연에는 천공바늘가이드부너링(32a)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레일(32c)이 형성된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외주연으로는 테이퍼요부(32b)가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부(32)와;
    상기 천공바늘고정부재홀(32d) 내부 양측의 이송레일(32c)에 각각 조립되는 이송레일홈(31b')이 형성된 천공바늘슬라이더(31b)와 일체로 나사돌부(31a)가 외연부에 형성된 길이방향 심부에 양구형 천공바늘(31c)이 식재 돌출된 천공바늘고정부재(31)와;
    상기 천공바늘가이드부(32)의 테이퍼요부(32b)와 압입 회전결합되는 수단으로 내주연에 멈춤돌기(33c')가 형성된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이 형성되며,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심부에는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와 조립내재되는 나삿니(33d)가 형성되며, 나삿니(33d)의 단부에는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대향편으로 약제용기수납홀(33b)이 일체 형성되며, 나삿니(33d)와 천공바늘가이드수납홀(33c) 외주연으로는 천공바늘이송연통부너링(33a)이 형성된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를 포함하는 연결모듈(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심부에 식재 돌출된 양구형 천공바늘(31c)중 천공바늘슬라이더(31b) 쪽의 돌출길이는 천공바늘이송연통부(33)의 나삿니(33d)에 조립된 천공바늘고정부재(31)의 나사돌부(31a)가 최대깊이로 조립된 상태에서 주사액용기수납홀(32e)에 나사결합되는 주사액용기(10)의 병구쪽 주사액밀봉플러그(12)에 인접된 규격이며, 나사돌부(31a) 심부에 식재 돌출된 양구형 천공바늘(31c)의 돌출길이는 나사돌부(31a)의 나사조립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KR1020140122318A 2014-09-15 2014-09-15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Active KR10160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318A KR101601695B1 (ko) 2014-09-15 2014-09-15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318A KR101601695B1 (ko) 2014-09-15 2014-09-15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839A KR20140116839A (ko) 2014-10-06
KR101601695B1 true KR101601695B1 (ko) 2016-03-09

Family

ID=5199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318A Active KR101601695B1 (ko) 2014-09-15 2014-09-15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6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314A (ja) 2010-04-07 2013-06-17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薬剤送出装置
WO2013134246A1 (en) 2012-03-05 2013-09-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ransfer set with floating needle for drug reconstitu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83B1 (ko) 1993-10-21 1997-04-25 대우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에 의한 전자가변저항기(evr) 제어장치
KR100569223B1 (ko) 2005-06-28 2006-04-10 오기범 일체형 수액용기
KR101441855B1 (ko) 2014-01-28 2014-09-22 신중화 수액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78043Y1 (ko) * 2014-03-13 2015-08-21 신중화 바이알 일체형 수액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314A (ja) 2010-04-07 2013-06-17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薬剤送出装置
WO2013134246A1 (en) 2012-03-05 2013-09-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ransfer set with floating needle for drug reconstit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839A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9036B2 (e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and activation
US8721613B2 (en) Container with hollow needle
JP6325608B2 (ja) 有益剤の送達装置と共に使用するカートリッジ
CN107427644B (zh) 多腔体容器
US2018033333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Chambers in a Multi-Chambered Vessel
CA2952845C (en) Pre-filled injection device
CN104379197A (zh) 口服药物分配系统
KR20100138380A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CN102920599B (zh) 复剂型药剂瓶
CN105748289B (zh) 一种防污染塑料安瓿配药器
EP3473281B1 (en) A filling aid and methods for self-filling a cartridge
KR101601695B1 (ko) 양방향 니들용 수액연결장치
KR101441855B1 (ko) 수액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2705039C (e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and activation
KR200478043Y1 (ko) 바이알 일체형 수액 세트
CN201775777U (zh) 一体式免推注水、粉药物药械组合装置
CN1988928A (zh) 用于药物配送装置的多隔膜药筒
JPH0910281A (ja) 薬剤容器の口部構造
TWI423903B (zh) 複劑型藥劑瓶
KR20150002026A (ko)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HK1122489B (en) Container with a hollow needle
HK1238587B (en) Multi-chambered vessels
HK1238587A1 (en) Multi-chambered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