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322B1 -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322B1
KR101601322B1 KR1020100116470A KR20100116470A KR101601322B1 KR 101601322 B1 KR101601322 B1 KR 101601322B1 KR 1020100116470 A KR1020100116470 A KR 1020100116470A KR 20100116470 A KR20100116470 A KR 20100116470A KR 101601322 B1 KR101601322 B1 KR 10160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door inner
damper
mounting flange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014A (ko
Inventor
백순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3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3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인너 판넬과; 진동부를 지지하며, 마운팅 플랜지를 가지는 프로텍터와; 상기 도어 인너 판넬과 상기 마운팅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부에서 전달된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패드와;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에 삽입되어 진동부에서 전달된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댐퍼와; 상기 댐퍼를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을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고무 재질의 패드와 댐퍼에 의해 진동부에서 발생된 진동이 이중으로 흡수되므로 진동이 체결 부재를 통해 도어 인너 판넬로 전달되는 일이 최소화되므로 래틀 노이즈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STRUCTURE FOR ABSORBING VIBRATION OF SPEAK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래틀 노이즈를 최대한 저감할 수 있는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스피커는 진동부의 전후 진동을 통해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음파를 전달하는 전기 및 기계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스피커(120)는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121)와, 진동부(121)를 고정하여 도어 인너 판넬(110)에 장착하기 위한 프로텍터(122)로 구성된다.
프로텍터(122)에는 스피커(120)를 도어 인너 판넬(110)에 마운팅하기 위한 마운팅 플랜지(1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마운팅 플랜지(125)와 도어 인너 판넬(110)을 체결 부재(160)로 체결함으로써 스피커(120)가 도어 인너 판넬(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마운팅 플랜지(125)와 도어 인너 판넬(110) 사이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패드(130)가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텍터(122)는 진동을 위한 지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음의 누설 방지를 위해 도어 인너 판넬(110)과 밀착되게 장착되므로 패드(130)가 압착되어 진동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스피커(120)의 진동이 리지드(rigid)한 체결 부재(160)를 통해 도어 인너 판넬(110)로 전달되어 래틀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의 진동이 도어 인너 판넬로 전달되는 일이 최소화되어 래틀 노이즈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는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에 따라, 도어 인너 판넬과; 진동부를 지지하며, 마운팅 플랜지를 가지는 프로텍터와; 상기 도어 인너 판넬과 상기 마운팅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부에서 전달된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패드와;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에 삽입되어 진동부에서 전달된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댐퍼와; 상기 댐퍼를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을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는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의 각 관통공에 삽입되는 댐퍼 몸체와; 상기 댐퍼 몸체의 각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마운팅 플랜지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각각 밀착되는 댐퍼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댐퍼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댐퍼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는 와셔가 삽입된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체결 부재는 리벳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재질의 패드와 댐퍼에 의해 진동부에서 발생된 진동이 이중으로 흡수되므로 진동이 체결 부재를 통해 도어 인너 판넬로 전달되는 일이 최소화되므로 래틀 노이즈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는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은 차량의 스피커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차량의 스피커가 도어 인너 판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에서 스피커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에서 스피커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인너 판넬(10)과, 프로텍터(22)와, 패드(30), 댐퍼(40), 체결 부재(60)로 구성된다.
프로텍터(22)는 진동부(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둘레에는 도어 인너 판넬(10)에 체결 부재(60)로 장착되기 위한 마운팅 플랜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마운팅 플랜지(25)의 판면에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패드(30)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도어 인너 판넬(10)과 마운팅 플랜지(25)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부(21)에서 전달된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판면에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댐퍼(40)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며, 마운팅 플랜지(25), 패드(30) 및 도어 인너 판넬(10)에 삽입되어 진동부(21)에서 전달된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댐퍼(40)는 마운팅 플랜지(25), 패드(30) 및 도어 인너 판넬(10)의 각 관통공(25a, 30a, 10a)에 삽입되는 댐퍼 몸체(41)와, 댐퍼 몸체(41)의 각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마운팅 플랜지(25) 및 도어 인너 판넬(10)의 외표면에 각각 밀착되는 댐퍼 플랜지(42, 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댐퍼 플랜지(42, 43)는 댐퍼 몸체(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리벳인 체결 부재(60)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진동부(21)의 진동이 체결 부재(60)로 전달될 때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댐퍼 몸체(41)의 내측면에는 체결 부재(60)가 삽입될 때 체결 부재(60)가 댐퍼 몸체(41)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는 스틸 재질의 와셔(50)가 삽입된 것이 좋다. 즉, 와셔(50)는 댐퍼 몸체(41)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여, 체결 부재(60)가 댐퍼 몸체(41)의 내부를 관통하더라도 댐퍼 몸체(41)가 눌리지 않아 진동이 제대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체결 부재(60)는 리벳으로 이루어지며, 댐퍼(40)를 관통하여 마운팅 플랜지(25), 패드(30) 및 도어 인너 판넬(10)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재질의 패드(30)와 댐퍼(40)에 의해 진동부(21)에서 발생된 진동이 이중으로 흡수되므로 진동이 체결 부재(60)를 통해 도어 인너 판넬(10)로 전달되는 일이 최소화되므로 래틀 노이즈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다.
10 : 도어 인너 판넬 20 : 스피커
21 : 진동부 22 : 프로텍터
25 : 마운팅 플랜지 30 : 패드
40 : 댐퍼 41 : 댐퍼 몸체
42 : 댐퍼 플랜지 50 : 와셔
60 : 체결 부재

Claims (4)

  1. 도어 인너 판넬;
    진동부를 지지하며, 마운팅 플랜지를 가지는 프로텍터;
    상기 도어 인너 판넬과 상기 마운팅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부에서 전달된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패드;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에 삽입되어 진동부에서 전달된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댐퍼; 및
    상기 댐퍼를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을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마운팅 플랜지, 상기 패드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의 각 관통공에 삽입되는 댐퍼 몸체와;
    상기 댐퍼 몸체의 각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마운팅 플랜지 및 상기 도어 인너 판넬의 외표면에 각각 밀착되는 댐퍼 플랜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댐퍼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는 와셔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KR1020100116470A 2010-11-22 2010-11-22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470A KR101601322B1 (ko) 2010-11-22 2010-11-22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470A KR101601322B1 (ko) 2010-11-22 2010-11-22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014A KR20120055014A (ko) 2012-05-31
KR101601322B1 true KR101601322B1 (ko) 2016-03-08

Family

ID=4627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1322B1 (ko) 2010-11-22 2010-11-22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6224A1 (en) * 2019-12-19 2021-06-2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s for loudspeaker enclosure integ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831A (ja) * 2004-01-13 2005-07-28 Toyota Boshoku Corp スピーカーの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541B1 (ko) * 1995-11-21 1999-03-20 김광호 모니터의 스피커 진동소음 방지 장치
KR100241448B1 (ko) * 1997-08-14 2000-03-02 구자홍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831A (ja) * 2004-01-13 2005-07-28 Toyota Boshoku Corp スピーカーの取り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014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95312A (ja) 車載音響装置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2013228225A5 (ko)
KR101601322B1 (ko)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JP2010090995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CN210970535U (zh) 轮辋结构、车轮及车辆
WO2019180807A1 (ja) 弱音装置、弱音方法および振動検出装置
JP5256081B2 (ja) スピーカの取付構造
WO2007146726A3 (en) Cavity filler insert
KR20120136947A (ko) 돌기가 형성된 러버행거
WO2006044943A3 (en) Spare tire mass damper
KR20140082210A (ko) 자동차용 배기시스템의 진동 흡수 및 위치 제어를 위한 행거
CN201687919U (zh) 皮带轮和发动机组件
KR101551960B1 (ko) 진동 저감을 위한 튜브류 및 파이프류 고정장치
KR20130140472A (ko) 엔진마운팅 브래킷의 댐퍼 구조
KR100873246B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용 다이나믹 댐퍼장치
KR101438547B1 (ko) 차량용 도어의 공기터널 구조
KR100666296B1 (ko) 배기계용 다이내믹 댐퍼 고정장치
JP6189665B2 (ja) 防振装置
KR101406403B1 (ko)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진동 방지 장치
JP6011312B2 (ja) 車載吸気系部品であるレゾネータ
JP2001173544A (ja) エンジンのスタータ取付構造
JP5861877B2 (ja) 防振装置
KR101306298B1 (ko) 노이즈 확산 억제를 위한 마운팅 구조물
CN111312202B (zh) 一种消声设备
KR20090120714A (ko) 러버 마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