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1305B1 -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 Google Patents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305B1
KR101601305B1 KR1020100091989A KR20100091989A KR101601305B1 KR 101601305 B1 KR101601305 B1 KR 101601305B1 KR 1020100091989 A KR1020100091989 A KR 1020100091989A KR 20100091989 A KR20100091989 A KR 20100091989A KR 101601305 B1 KR101601305 B1 KR 10160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ross member
frame
rear floor
fu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9881A (en
Inventor
문승호
최재영
이기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305B1/en
Publication of KR2012002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3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후방 하단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10)와, 상기 리어플로어(10)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크로스멤버(20)와, 측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크로스멤버(20)와 체결되는 사이드 스트럭쳐(30)와,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익스텐션 프레임(40)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이 상호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스트럭쳐(30)가 상호 용접되어, 일체화된 바디에 추가 부품을 용접을 통해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풀모노코크 구조적용으로 인해 프레임의 중량 및 원가를 개선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structure provided with a rear floor (10)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a bus, a cross member (20)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A side structure 30 whose one side is fastened to the cross member 20 and an extension frame 40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floor 10 and the extension frame 40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20 and the side structure 30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additional parts can be mounted on the integrated body through welding so tha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weight and cost of the frame can be reduced by applying the full monocoque structure And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Description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A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 RTI ID = 0.0 >

본 발명은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차체 프레임 구조에서 일체화된 바디에 추가 부품을 용접을 통해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for enabling additional parts to be mounted on a body integrated in a bus body frame structure by welding.

일반적으로 버스의 프레임은 데킹방식, 세미모노코크방식 및 차체일체화방식 등에 의해 제작된다. 이들 방식 중, 차체일체화방식은 어퍼바디와 언더바디의 구분이 없는 일체화된 바디에 새시 단품을 서브하는 방식으로 유럽에서 널리 사용된다.Generally, a frame of a bus is manufactured by a decking method, a semi-monocoque method, a body integration method, or the like. Among these methods, the body integration method is widely used in Europe in such a manner that a single body is served as an integral bod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underbody.

데킹방식은 어퍼바디와 언더바디를 별도로 구성하여 새시프레임을 서브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측면 아우터리거와 어퍼바디 로워필라를 볼트로 체결하는 것이지만, 긴 차량 길이에 의한 단품 불량 및 조립산포에 의한 조립정도 불량의 문제점과, 도장 후 용접이 이루어져 용접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하중연속성 불량에 의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및,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 등을 갖는 것이었다.In the decking method, the upper side body and the under side body are separately formed to serve as a chassis frame, and the frame side outer leger and the upper body lower pillars are bolted to each other. However, And welding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welding after painting. Further, the rigidity is lowered due to poor continuity of load, and the weight is increased.

또한, 세미모노코크방식은 거의 일체화된 바디에 새시모듈을 서브하는 방식으로 리어모듈 전방부 마운트부가 보이지 않아 작업성이 불리한 문제점과, 리어모듈 중앙부 마운트부가 왼쪽은 엔진 상단, 오른쪽은 프레임 측면에 있어 툴링공간이 부족하여 작업성이 불리한 문제점과, 리어모듈 후방부 마운트가 없어 강성 및 강도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 및 리어모듈 마운트 부위가 프레임 폭 부위에 있어 강성 및 강도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 등을 갖는 것이었다.
In the semi-monocoque system, the chassis module is serviced in a substantially integrated body, so that the rear module front mount portion is not visible. Thus, the workability is disadvantageously deteriorated. In addition, in the middle module mount portion of the rear modu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workability due to a lack of space, disadvantages in terms of stiffness and strength because there is no rear module mount, and disadvantages in terms of stiffness and strength in the frame width region.

도 1은 종래의 버스용 세미모노코크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종래의 버스용 세미모노코크 방식은 리어프레임(1)의 전방부 좌, 우측과, 중앙부 상단의 좌측 및 후방부 우측이 각각 차체(2)에 결합된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emi monocoque system for a bus. In the conventional semi monocock system for buses,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rame 1 and the left and rear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or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2 ).

이때, 리어프레임(1)이 볼트 체결을 통해 차체(2)와 결합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X부분이며, 체결 후에는 상기 리어프레임(1)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차체(2)와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1, the rear frame 1 is moved upward so that the rear frame 1 is engaged with the vehicle body 2 after the rear frame 1 is fastened. .

한편, 리어프레임(1)과 차체(2)가 결합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3은 리어프레임(1)과 차체(2)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에서 A를 확대한 도면이기도 하다. 이때 리어프레임(1)과 차체(2)의 연결이 볼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엔진이나 변속기를 장착한 다음에는 가이드핀(P)을 이용하여 위치를 규제하고 볼트 작업을 해야만 했다.2 after the rear frame 1 and the vehicle body 2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3 shows that the rear frame 1 and the vehicle body 2 are fastened by bolts It is also an enlarged drawing of A in 2.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ar frame 1 and the vehicle body 2 is a bolt, after the engine or the transmission is mounted, the position has to be regulated by means of the guide pin P and the bolt must be operated.

또한, 도 4는 크로스멤버(3)와 사이드 스트럭쳐(4)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의 B를 확대한 도면이기도 하다. 이때 크로스멤버(3)와 사이드 스트럭쳐(4)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멤버(3)와 사이드 스트럭쳐(4)의 결합부에 가세트(G)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데 이로 인해 중량 및 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4 also shows that the cross member 3 and the side structure 4 are fastened by a bolt and is an enlarged view of FIG. 2B. 4 (b), in order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cross member 3 and the side structure 4, the cross member 3 and the side structure 4 are joined to each other 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cross member 3 and the side structure 4, So that the weight and the cost are increased.

도 5는 익스텐션 프레임(5)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의 C를 확대한 도면이기도 하다. 이때 상기 익스텐션 프레임(5)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ㄷ'자 형상의 채널로 폐단면을 구성한 프레임이기 때문에 중량 및 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tension frame 5 of Fig. At this time, since the extension frame 5 is a frame constituting a closed end face by a 'C' shaped channel as shown in FIG. 5 (b), the weight and cost are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차체 프레임 구조에서 일체화된 바디에 추가 부품을 용접을 통해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n additional part to be mounted on a body integrated by welding in a body frame structure of a bus.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의 후방 하단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와, 상기 리어플로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크로스멤버와, 측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크로스멤버와 체결되는 사이드 스트럭쳐와,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익스텐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플로어와 익스텐션 프레임이 상호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사이드 스트럭쳐가 상호 용접됨으로써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structure comprising a rear floor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a bus, a cross member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a side structu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ne side of which is fastened to the cross member, And the rear floor and the extension frame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cross member and the side structure are welded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체화된 바디에 추가 부품을 용접을 통해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풀모노코크 구조적용으로 인해 프레임의 중량 및 원가를 개선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orkability by allowing the additional body to be attached to the integrated body through welding,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weight and cost of the fram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full monocoque structure, .

도 1은 종래의 버스용 세미모노코크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버스용 세미모노코크 방식에서 차체와 리어플로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4의 (a)는 도 2의 B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는 도 2의 C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서 익스텐션 프레임에 형성된 사각튜브를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emi-monocook system for buses,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body and a rear floor are combined in a conventional semi-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2,
4 (a)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in Fig. 2,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a)
5 (a) is a view showing part C of Fig. 2,
Fig. 5 (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5 (a)
6 is a diagram showing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6,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B in Fig. 6,
9 is a view showing a square tube formed in an extension frame in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서 익스텐션 프레임에 형성된 사각튜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s. 6 to 9 relate to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a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full monocoque structure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6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part B of Fig. 6,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quare tube formed in an extension frame in the full monocoque structure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이 상호 용접되며,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스트럭쳐(30)를 용접시켜 버스의 차체 조립 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의 중량 및 원가를 줄이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6 to 9, the rear floor 10 provided on the bus and the extension frame 40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cross monk structure of the cross member 20 and the side structure 30 ) Is weld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in assembling the body of the bus, and the weight and cost of the frame ar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element of the full monocoque structure of the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10)와,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스트럭쳐(30)와, 익스텐션 프레임(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6,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a rear floor 10 provided on a bus, a cross member 20, a side structure 30, and an extension frame 40.

이때, 리어플로어(10)는 버스의 후방 하단에 구비되며, 크로스멤버(20)는 상기 리어플로어(10)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사이드 스트럭쳐(30)는 버스의 측면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크로스멤버(20)와 체결되고, 익스텐션 프레임(40)은 버스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rear floor 10 is provid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bus, and the cross member 20 is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10. The side structure 3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s, one side of which is fastened to the cross member 20, and the extension frame 4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hind the bus.

여기서, 상기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이 상호 용접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스트럭쳐(30)도 용접을 통해 상호 체결된다.Here, the rear floor 10 and the extension frame 40 are welded together, and the cross member 20 and the side structure 30 are also welded together.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 프레임(40)의 측면은 사각 튜브(41)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여러 개의 직선부재들을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삼각형 형태로 배열하여 각 부재를 연결한 형상인 트러스(truss) 구조화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frame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41, so that a plurality of linear members are arranged in one or more triangular shapes, It is preferable that truss structure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이 상호 용접되되, 상기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 사이에는 가세트(G)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을 연결시키도록 한다.7, the rear floor 10 and the extension frame 40 provided on the bus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a gap G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floor 10 and the extension frame 40 So that the rear floor 10 and the extension frame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리어플로어(10)와 익스텐션 프레임(40) 사이에 가세트(G)를 일측에만 구비되도록 하여도 용접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며, 도 8에 도시된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스트럭쳐(30) 사이에는 가세트(G)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접을 통한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종래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멤버(3)와 사이드 스트럭쳐(4)의 결합부에 가세트(G)가 각각 구비되는 것에 비해 상기 가세트(G)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중량 및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even if the gusset G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between the rear floor 10 and the extension frame 40, it is possible to connect by welding, and the cross member 20 and the cross member 20 shown in FIG. 4 (b), the cross member 3 and the side structure 4 (see FIG. 4 (b))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using the gusset G between the side structures 30, The use of the gusset G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션 프레임(40)의 측면은 사각 튜브(41)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엔진 및 변속기와 같은 중량물의 볼트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As shown in FIG. 9,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frame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41, thereby facilitating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of heavy materials such a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풀모노코크 구조를 적용하여 버스 프레임 구조의 중량과 원가를 줄이는 동시에 용접을 통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eight and cost of the bus frame structure by applying a full monocoque structure, and improve work convenience through wel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는 버스의 후방 하단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와, 상기 리어플로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크로스멤버와, 측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크로스멤버와 체결되는 사이드 스트럭쳐와,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익스텐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플로어와 익스텐션 프레임이 상호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사이드 스트럭쳐가 상호 용접되어, 일체화된 바디에 추가 부품을 용접을 통해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풀모노코크 구조적용으로 인해 프레임의 중량 및 원가를 개선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The full monocoque structure of the b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rear floor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a bus, a cross member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a side member provided at a side surface, The rear floor and the extension frame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and the side structure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dditional body can be mounted to the integrated body through welding.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improving the weight and cost of the fram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full monocoque structure to increase the merchant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리어플로어 20 : 크로스멤버
30 : 사이드 스트럭쳐 40 : 익스텐션 프레임
41 : 사각 튜브
10: Rear Floor 20: Crossmember
30: Side structure 40: Extension frame
41: square tube

Claims (2)

버스의 후방 하단에 구비되는 리어플로어와, 상기 리어플로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크로스멤버와, 측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크로스멤버와 체결되는 사이드 스트럭쳐와,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익스텐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플로어와 익스텐션 프레임이 상호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사이드 스트럭쳐가 상호 용접되고,
상기 익스텐션 프레임 측면은 사각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트러스 구조화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
A rear floor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us; a cross member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a side structu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and one side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cross member; Consistently,
The rear floor and the extension frame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cross member and the side structure are weld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ide of the extension frame is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so as to form a truss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100091989A 2010-09-17 2010-09-17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Active KR101601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89A KR101601305B1 (en) 2010-09-17 2010-09-17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89A KR101601305B1 (en) 2010-09-17 2010-09-17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81A KR20120029881A (en) 2012-03-27
KR101601305B1 true KR101601305B1 (en) 2016-03-10

Family

ID=4613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89A Active KR101601305B1 (en) 2010-09-17 2010-09-17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3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2313A (en) * 2017-07-21 2017-12-26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ll-loading coach aluminium alloy chassi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84U (en) * 1993-10-15 1995-05-09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Frame for bus
KR100345001B1 (en) * 1998-08-27 200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Illuminating and optical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welding state of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81A (en)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130B2 (en) Vehicle body lateral structure
US7883113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101108451B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5891827B2 (en) Lower body structure of the car body
US8814248B2 (en) Motor vehicle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US9266568B2 (en) Vehicle body lower section structure
JP5316566B2 (en) Vehicle superstructure
US20150145284A1 (en) Vehicle body lower section structure
US8894130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JP5097744B2 (en) Car body rear structure
US8869929B2 (en) Vehicle body frame of utility vehicle
KR20090009245A (en) Connection between roof cross member of car and upper central column stiffener
CN102756756A (en) Diagonal reinforcement for a motor vehicle floor structure
JP2004142584A (en) Car body rear structure
JP6008769B2 (en) Rough terrain vehicle
US12187342B2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KR20190085271A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110233965A1 (en) Structure that includes bolt fastening portion having higher resistance against external force
CN202279156U (en) Car body structure of low-entry and full-loading type bus
KR101601305B1 (en) Full-monocoque structure of bus
JP2003104237A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JP4147792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CN102267489B (en) Front carriage for vehicle
KR20160070206A (en) Connecting structure of roof-side-rail and front-roof-rail
WO2014007005A1 (en) Automobile cabin formed from fr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