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168B1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1168B1 KR101601168B1 KR1020150031752A KR20150031752A KR101601168B1 KR 101601168 B1 KR101601168 B1 KR 101601168B1 KR 1020150031752 A KR1020150031752 A KR 1020150031752A KR 20150031752 A KR20150031752 A KR 20150031752A KR 101601168 B1 KR101601168 B1 KR 101601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ous
- web layer
- polymer web
- polymer
- poros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 H01M2/168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01M2/16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4—Tensile streng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의 공극률(기공도)을 이에 적층되는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공극률(기공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이온이동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공성 기재에 의해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제1융점 및 제1기공도를 갖는 다공성 기재;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대향하는 전극과 밀착될 때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타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의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각각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porosity (porosity) of the porous substrate used as a support to be equal to or similar to the porosity (porosity) of the porous polymer web layer stacked thereon, the ion mo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porous separation membrane can be improved A composite porous membrane having a shutdown function by a porous substrate,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The composite porous separatio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ous substrate which serves as a support and has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A first porous polymeric web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and serving as an adhesive layer when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pposing electrodes; And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and made of heat-resistant polymer nanofibers, wherein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each have a first melting point And has the same or similar porosity as the first po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의 공극률(기공도)을 이에 적층되는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공극률(기공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이온이동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공성 기재에 의해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porous separa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porous separator. In particular, the porosity (porosity) To a composite porous membrane capable of improving ion mobility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porous membrane and having a shutdown function by a porous substrate,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리튬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음극(anode)과 양극(cathode),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separator)을 개재시켜 조립하는데, 이때 전지의 양(兩)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하여 내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자재로서, 전지 내 이온 통로일 뿐만 아니라 전지의 안전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generally assembled through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parator locat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of the battery is 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It is an auxiliary material for preventing short-circuiting inside the battery. It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ion passage in the battery, but also in improv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종래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는 양(兩)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이탈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분리막의 기공부를 통한 리튬 이온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전지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Conventionally, in the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polyolefin-based separator, the phenomenon that the both electrodes and the separa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requently occurs, so that the lithium ion transmission through the separator is not effectively performed, Resulting in performance degradation.
또한, 종래 분리막은 전지 내부의 산화 및 환원 분위기에 노출시 분해 및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재료, 예를 들면, 불소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기재들의 기계적 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전지 조립 공정 중 분리막의 벗겨짐, 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전지의 내부 단락 등의 안전성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추가적으로, 내열성 또는 고유전율을 도모하고자 분리막에 무기물 입자를 코팅하여 제조하는데, 이때 분리막과 무기물 입자의 낮은 바인딩 능력으로 인해 무기물 입자가 탈리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효과를 구현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eparator uses a chemically stable material such as a fluorine-based polymer that does not cause decomposition and reaction upon exposure to an oxidizing and reducing atmosphere inside the battery. However,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se materials is unsatisfactory, Problems such as peeling and breakage of the separator occur, resulting in a decrease in safety such as an internal short-circuit of the battery. In addition, inorganic particles are coated on the separation membrane in order to achieve heat resistance or high-dielectric constant. At this time, due to the low binding 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inorganic particles, the inorganic particles are desorbed,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특허 제2006-63751호에는 분리막 표면 및/또는 분리막 내 기공부 일부를 우수한 접착력 및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는 스티렌-부타디엔(SBR) 계열 고무로 오버코팅(overcoating)시킴으로써, 분리막과 다른 기재, 바람직하게는 전극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분리막의 벗겨짐 또는 파단 등을 방지하여 전기 화학소자의 안전성 향상 및 성능 저하 방지를 도모한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63751 discloses a method of overcoating a separator surface and / or a porosity of a separator by overcoating a styrene-butadiene (SBR) Discloses a separator which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separator and another substrate, preferably the electrode, and prevents peeling or breakage of the separator which occurs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preventing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the electrochemical device.
한편, 고에너지 밀도 및 대용량의 이차전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작동온도범위를 지녀야 하며, 지속적으로 고율 충방전 상태로 사용될 때 온도가 상승되므로, 이들 전지에 사용되는 분리막은 보통의 분리막에서 요구되는 것보다도 높은 내열성과 열 안정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급속 충방전 및 저온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은 이온전도도 등 우수한 전지특성을 지녀야 한다.On the other hand,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and a large capacity must have a relatively high operating temperature range, and the temperature is raised when the battery is continuously used in a high rate charge / discharge state. Therefore, High heat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are required. In addition, it should have excellent cell characteristics such as rapid charge / discharge and high ion conductivity capable of coping with low temperature.
분리막은 전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을 시키며, 전해액을 유지시켜 이온전도의 통로를 제공하며, 전지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분리막의 일부가 용융되어 기공을 막는 폐쇄(SHUTDOWN)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The separator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battery to provide insulation, maintains the electrolyte to provide a path for ion conduction,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becomes excessively high, a part of the separator melts to block the current, SHUTDOWN) function.
온도가 더 올라가 분리막이 용융되면 큰 홀이 생겨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단락이 발생된다. 이 온도를 단락온도(SHORT CIRCUIT TEMPERATURE)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분리막은 낮은 폐쇄(SHUTDOWN) 온도와 보다 높은 단락온도를 가져야 한다. 폴리에틸렌(PE) 분리막의 경우 전지의 이상 발열시 150℃ 이상에서 수축하여 전극 부위가 드러나게 되어 단락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temperature rises further and the separator melts, a large hole is formed and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is temperature is called SHORT CIRCUIT TEMPERATURE. In general, the separator should have a lower SHUTDOWN temperature and a higher short-circuit temperature. In the case of a polyethylene (PE) separator, when the battery is abnormally heated, it shrinks at 150 ° C or higher and the electrode portion is exposed, which may cause a short circuit.
그러므로, 고에너지 밀도화, 대형화 이차전지를 위하여 폐쇄기능과 내열성을 모두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내열성이 우수하여 열 수축이 작고, 높은 이온전도도에 따른 우수한 싸이클 성능을 갖는 분리막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both a closing function and a heat resistance for a high energy density, large-sized secondary battery.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small heat shrinkage, and excellent cycle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high ion conductivity.
기존의 폴리올레핀 분리막과 액체전해액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나 겔 고분자전해질막이나 폴리올레핀 분리막에 겔 코팅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기존의 리튬이온 고분자전지는 내열성 측면에서 고에너지 밀도 및 고용량 전지에 이용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자동차용과 같은 고용량, 대면적 전지에서 요구되는 내열성은 안전성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Conventional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using a conventional polyolefin separator and a liquid electrolyte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a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r a polymer electrolyte gel coated on a polyolefin separator have a high energy density and a very high Lack. Therefore, the heat resistance required in a high-capacity, large-area battery such as an automobile does not satisfy the safety requireme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 2005-209570에서는 고에너지 밀도화 및 대형화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 이상의 용융점을 지닌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내열성 수지 용액을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양면에 도포하고 이를 응고액에 침지, 수세, 건조하여 내열성 수지가 접착된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제시하였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이온전도도의 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다공성 부여를 위한 상분리제가 내열성 수지 용액에 함유되고 내열성 수지층도 0.5-6.0g/㎡로 제한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09570 discloses an aromatic polyamide having a melting point of 200 占 폚 or higher, polyimide, polyether sulfone, polyether ketone, poly A polyolefin separator having a heat resistant resin adhered by applying a heat resistant resin solution such as an ether imide on both surfaces of a polyolefin separator, immersing it in a coagulating solution,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it.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the phase-separating agent for imparting porosity is contained in the heat-resistant resin solution and the heat-resistant resin layer is limited to 0.5-6.0 g / m 2 in order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the ionic conductivity.
그러나, 내열성 수지에 침지하는 것은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기공을 막아 리튬이온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충방전 특성의 저하가 일어나게 되어 내열성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자동차용과 같은 대용량 전지의 요구에는 많이 못 미치고 있다. 또한, 내열성 수지의 침지로 인해 폴리올레핀 다공막의 기공구조가 막히지 않는다 하더라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분리막, 특히 PE 다공성 멤브레인의 기공도는 40% 정도이고 기공크기 또한 수십 nm 크기이므로 대용량 전지를 위한 이온전도도에 한계가 있다.However, dipping in the heat-resistant resin limits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by blocking pores in the polyolefin separating film, so that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are lowered, and even if the heat resistance is ensured, the demand for large capacity batteries such as automobiles is insufficient. Even if the pore structure of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is not clogged due to the immersion of the heat resistant resin, the porosity of the polyolefin separator, especially the PE porous membrane, which is commonly used is about 40% and the pore size is also several tens nm. There is a limit to conductivity.
일본 공개특허 2001-222988 및 2006-59717에서는 융점이 150℃ 이상인 폴리아라미드, 폴리이미드의 직포, 부직포, 천, 다공성 필름을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에테르, 폴리비닐리덴 같은 고분자의 겔 전해질에 함침하거나 도포하여 내열성 전해질막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요구되는 내열성은 만족할지 모르지만, 이온전도 측면에서는 지지체나 내열성 방향족 고분자 층에서의 이온이동은 기존의 리튬이온 전지의 분리막이나 겔 전해질의 경우와 비슷하게 여전히 제한을 받고 있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1-222988 and 2006-59717 disclos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olefin, a polyamide,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 cloth, and a porous film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 ° C or higher in a gel electrolyte of a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ether, or polyvinylidene Impregnated or coated to produce a heat-resistant electrolyte membran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required heat resistance may be satisfied, but the ion transport in the support or the heat-resistant aromatic polymer layer is still limited in terms of ion conduction, similar to that of a separator or a gel electrolyte of a conventional lithium ion battery.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2006-60188호에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다층형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리튬 고분자 전지로서, 다층형 고분자막이 전기방사에 의해 고강도/고융점 고분자로 이루어진 심층과, 심층의 양측면에 각각 전해액과 친화성이 높고 저융점 고분자로 이루어진 외층으로 구성된 3층 구조의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60188 discloses a lithium polymer battery including a multilayer polymer membrane between a cathode and an anode. The multilaye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formed by electrospinning to form a deep layer made of high strength / high melting point polymer, Layer structure composed of an outer layer made of a low-melting-point polymer having a high affinity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2006-60188호는 심층으로 고융점 고분자만을 사용하여 전기방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융점 고분자만으로 방사용액을 준비하여 전기방사하는 경우 용매의 휘발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수의 방사노즐을 사용하는 방사장비에서는 용매가 지나치게 빨리 휘발하는 것이 섬유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10개 이상의 다수의 방사노즐을 사용하는 소위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을 사용하는 양산설비에 있어서는 고융점 고분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방사 니들이 다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사되는 섬유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면서 방사 트러블이 발생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06-60188 discloses electrospinning using only a high-melting-point polymer in a deep layer. In general, when the spinning solution is prepared with only the high melting point polymer and electrospun, the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takes place very quickly. Thus, in a spinning apparatus using a small number of spinning nozzles, too rapid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fiber formation, but a so-called multi-hole spinning pack using more than ten spinning nozzles In the mass production facility to be used, if only the high-melting-point polymer is used alone, since a plurality of spinning needles are arranged, mutual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spinning fibers, and radiation trouble is generated.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2006-60188호는 3층 구조의 막을 제조한 후, 라미네이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열풍 건조만 하여 다층형 고분자막을 준비하는 경우, 벌키(bulky)한 상태인 다층형 고분자막은 와인더를 이용한 고분자막의 권선이 불가능하여 양산공정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기술이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06-60188 discloses a multilayered polymer membrane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and then preparing a multi-layered polymer membrane by only hot-air drying without a lamination process. In the case of a bulky multi- Which can not be applied to the mass production process.
더욱이, 고융점 고분자는 연화점(softening temperature)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심층의 외부에 저융점 고분자로 이루어진 외층이 적층된 3층 구조의 다층막을 캘린더링 하는 경우, 가압력이 심층으로까지 전달되기 어려워 멤브레인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즉, 외층을 이루는 저융점 고분자에 적합한 캘린더링 온도에서 캘린더링을 할 경우 심층은 멤브레인화가 낮게 되어 벌키(bulky)한 상태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심층의 멤브레인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캘린더링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 공정 수행 중에 저융점 고분자의 외층이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기공이 막힐 염려가 있다.Furthermore, since the high-melting-point polymer has a relatively high softening temperature, when calendering a three-layered multilayer film having outer layers of low-melting-point polymers laminated on the outside of the core layer, the pressing force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to the deep layer. It can not be achieved uniformly. That is, when calendering is carried out at a calendering temperature suitable for a low-melting-point polymer forming the outer layer,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solve the bulky state of the deep layer due to low membrane formation, and in some cases, If the calendering temperature is raised, the outer layer of the low-melting-point polymer may be partially melted during the process, and the pores may be clogged.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8-13209호에는 다공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섬유층이 코팅된 분리막으로서, 상기 섬유층은, 융점이 180℃ 이상이거나 융점이 없는 내열성 고분자 물질의 전기방사(electrospinning)에 의한 섬유상과, 전해액에 팽윤이 일어나는 팽윤성 고분자 물질의 전기방사에 의한 섬유상을 포함하는 내열성 초극세 섬유층을 지닌 분리막이 제안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13209 discloses a separator having a fiber layer co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rous membrane. The fiber layer is a fibrous layer formed by electrospinning of a heat-resistant polymer material having a melting point of 180 ° C or higher, And a heat-resistant microfine fiber layer containing a fibrous phase by electrospinning of a swelling polymer material swelling in an electrolytic solution.
여기서, 상기 다공막은 폴리올레핀계 다공막(융점 100~180℃)으로 셧다운(shutdown)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다공막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다공막의 셧다운을 발현하는 시험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수축률만을 측정하여 셧다운 기능을 판단하고 있다.Here, the porous membrane is used for the purpose of exhibiting a shutdown function with a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melting point: 100 to 180 ° C), but a test for heating the porous membrane to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rous membrane to thereby exhibit shut- And the shutdown function is judged by measuring only the shrinkage ratio.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8-13209호는 중심부의 기재가 기존에 분리막으로 사용하던 폴리올레핀계 다공막을 사용한 것이므로, 기공도가 낮은 폴리올레핀계 다공막에 적층되는 섬유층은 전기방사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다공성 웹의 우수한 물성, 특히 높은 기공도에 따른 이온전도도를 다층 구조의 모든 층이 가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13209 discloses that a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used as a separator in the center portion of a base material is used. Therefore, a fibrous layer laminated on a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having a low porosity can be obtained by using a porous web There is a limitation that all layers of a multi-layer structure can not have ion conductivity according to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especially high porosity.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4-108525호에는 전해액을 균일하게 흡수하여 전기화학소자에 사용시 전지의 성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전극과의 결착력이 양호하여 전지 제조의 공정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복합막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108525 discloses that when the electrolyte is uniformly absorbed and used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greatly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s excellent and the adhesion with the electrode is good, A composite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is disclosed.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2004-108525호의 복합막은 강도지지체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미세 다공성막의 일면 및/또는 양면에 고분자 웹상의 다공성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폴리올레핀계 미세 다공성막은 평균기공크기가 0.005 ~ 3㎛이고, 공극률이 30 ~ 80%이며, 기계적 방향의 인장강도가 700kg/㎠ 이상이고,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150kg/㎠ 이상이며 두께가 5 ~ 50㎛이다.The composite membrane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4-108525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ous membrane on a polymer web is laminated on one side and / or both sides of a polyolefin-based microporous membrane used as a strength support, and the polyolefin- based microporous membrane has an average pore size of 0.005 to 3 탆, a porosity of 30 to 80%, a tensile strength in a mechanical direction of 700 kg / cm 2 or more, a tensile strength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150 kg / cm 2 or more, and a thickness of 5 to 50 탆.
특히, 한국 공개특허 제2004-108525호에서는 폴리올레핀계 미세 다공성 PP(폴리프로필렌)막의 공극률(기공도)이 55%인 것과 기공도 80%인 웹상의 다공성막을 적층하여 3층 구조물을 라미네이팅할 때 전체 공극률 58%인 복합막이 얻어지고, 공극률 43%인 폴리올레핀계 미세 다공성 PE막에 전기방사방법으로 웹상의 다공성막을 형성하여 3층 구조물을 라미네이팅할 때 전체 공극률 45%인 복합막이 얻어지는 것을 실시예에 기술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4-108525, when a porous film of a web having a porosity (porosity) of 55% of a polyolefin-based microporous PP (polypropylene) membrane and a porosity of 80% is laminated to laminate a three- A composite membrane having a porosity of 58% is obtained, and a porous membrane on the web is formed by electrospinning on a polyolefin-based microporous PE membrane having a porosity of 43%, whereby a composite membrane having a total porosity of 45% is obtained when the three-layer structure is laminated .
따라서, 한국 공개특허 제2004-108525호의 복합막은 폴리올레핀계 다공성막의 공극률(기공도)이 웹상의 다공성막의 공극률(기공도)보다 크게 낮기 때문에 복합막의 공극률이 폴리올레핀계 다공성막에 종속되며, 그 결과 이온이동도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복합막은 높은 공극률(기공도)을 갖는 웹상 다공성막의 특성을 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composite membran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108525, since the porosity (porosity) of the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orosity (porosity) of the porous membrane on the web, the porosity of the composite membrane is dependent on the polyolef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ity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That is, the composite membrane fails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ous film on the web having a high porosity (porosity).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8-13208호에는 내열성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가 개시되어 있으며, 내열성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은 전기방사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융점이 180℃ 이상이거나 융점이 없는 내열성 고분자 수지의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내열성 고분자 수지의 초극세 섬유와 함께 전해액에 팽윤이 가능한 고분자 수지의 초극세 섬유상으로 이루어져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08-13208 discloses a heat-resisting ultrafine fibrous separator,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The heat-resisting ultrafine fibrous separator is manufactured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Or a microfine fiber of a polymer resin capable of swelling in an electrolytic solution together with a microfine fiber of a heat-resistant polymer resin.
또한, 상기 공개특허 제2008-13208호에는 내열성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에 셧다운 기능 부여를 위하여 융점이 100-180℃, 크기 0.05-5㎛인 폴리에틸렌(PE), 폴레프로필렌(PP)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미세입자를 분리막에 대해 1-50g/㎡ 범위로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3208 discloses a heat-resistant ultrafine fibrous separator in which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having a melting point of 100-180 DEG C and a size of 0.05-5 mu m, In the range of 1-50 g / m < 2 >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2008-13208호에서는 폴레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미세입자를 내열성 고분자 물질과 팽윤성 고분자 물질을 혼합한 용액에 첨가하여 전기 방사할 때 용매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방사 트러블(trouble)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폴리올레핀계 미세입자는 섬유상 분리막의 섬유 내부에 입자상으로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할 때 녹지 못하여 셧다운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polyolefin-based fine particles such as polypropylene (PP) are added to a solution obtained by mixing a heat-resistant polymer material and a swellable polymer substance and are not dissolved in a solvent when they are electrospun, the radiation trouble and the polyolefin-based fine particles are mixed into the fibers of the fibrous separator. Therefore, the polyolefin-based fine particles are not dissolv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shutdown does not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의 공극률(기공도)을 이에 적층되는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공극률(기공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공극률이 다공성 기재에 종속되는 것을 막고 높은 공극률(기공도)을 갖는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특성을 최대로 이용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이온이동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ous polymer membrane, which has porosity (porosity) of a porous substrate used as a support, The porosity of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is prevented from being dependent on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ous polymer web layer having a high porosity (porosity) are maximized to improve the ion mo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도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의 양 측면 또는 일측면에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내열성 고분자와 무기물 입자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각각 구비하거나 적층 형성함에 의해 제1 및 제2 다공성 고분자 웹 층보다 융점이 낮은 다공성 기재에 의해 셧다운(shutdown)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resistant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comprising a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serving as an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a porous substrate used as a strength support and a heat-resistant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composed of a mixture of he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capable of realizing a shutdown function by a porous substrate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s by forming or laminating the porous porous separator.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제1융점 및 제1기공도를 갖는 다공성 기재;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대향하는 전극과 밀착될 때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타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의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각각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composite porous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ous substrate serving as a support and having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A first porous polymeric web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and serving as an adhesive layer when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pposing electrodes; And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and made of heat-resistant polymer nanofibers, wherein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each have a first melting point And has the same or similar porosity as the first pore.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제1융점 및 제1기공도를 갖는 다공성 기재;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의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며, 대향하는 전극과 밀착될 때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각각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mposite porous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ous substrate serving as a support and having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being made of heat resistant polymer nanofibers; And a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serving as an adhesive layer when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ng electrode, Are each characterized by having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of the porous substrate and a porosity equal to or similar to the first porosity.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제1융점 및 제1기공도를 갖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의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ous substrate, which serves as a support and has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And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being made of heat resistant polymer nanofibers, wherein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has a melting point higher than a first melting point of the porous sub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which has the same or similar porosity.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 및 전해액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제1융점 및 제1기공도를 갖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의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가지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음극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thode, a cathode,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lyte, wherein the separator serves as a support and has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And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being made of heat resistant polymer nanofibers, wherein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has a melting point higher than a first melting point of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의 공극률(기공도)을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공극률(기공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공극률이 다공성 기재에 종속되는 것을 막고 높은 공극률(기공도)을 갖는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특성을 최대로 이용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이온이동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osity (porosity) of the porous substrate used as a support is set to be equal to or similar to the porosity (porosity) of the porous polymer web layer, so that the porosity of the porous composite membran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on mo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porous membrane by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ous polymer web layer that is not dependent on the porous substrate and has a high porosity (porosity).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의 양 측면에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각각 구비하거나, 다공성 기재의 일 측면에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적층 형성함에 의해 전극과의 밀착성을 강화하여 조립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분리막의 이탈 또는 벗겨짐 등을 방지하고, 내열성을 강화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 향상 및 성능 저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The composite 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a heat-resistant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serving as an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the porous substrate used as a support, The porous polymeric web layer and the heat-resistant second porous polymeric web layer are laminated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electrode,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or peeling off of the separation membran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enhancing the heat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 다공성 기재를 구비함에 의해 셧다운(shutdown)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composite 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us substrate having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as compared with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the heat-resistant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a shutdown function can be realized, Safety can be ensured.
본 발명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강도 지지체로 사용 가능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입수 가능한 다공성 기재를 이용하여 인장강도가 양호하며 셧다운 기능을 갖는 다층 구조의 분리막을 구현한다.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trength support, and a multi-layered separator having a good tensile strength and a shutdown function is realized by using a porous substrate available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하향식 방법으로 제조하는 제조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상향식과 하향식의 조합된 방법으로 제조하는 제조공정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top-down method,
FIG. 6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mbination of a bottom-up type and a bottom-up typ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내열성 및 고강도 초극세 섬유상 다공성 분리막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eat-resistant and high-strength ultrafine fibrous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orous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orous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분리막 구조)(Separator structur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10)은 셧다운 기능을 가지며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11)의 양 측면에 각각 접착층으로 사용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과 내열성 지지체로서 전해액을 함침하고 있는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composite
상기 다공성 기재(11)는 양 측면에 적층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도록 설정함에 의해 온도 상승이 이루어질 때 분리막이 셧다운 기능을 갖게 된다.The
이를 위해 상기 다공성 기재(11)는 150℃에서 전해액의 보일링이 발생하는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융점이 120℃인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PP/PE나 PET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우선, 상기 다공성 기재(11)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다공성 멤브레인은 건식으로 제조된 것으로 기공도가 60-80%로 높은 것을 사용하며, 분리막으로 상용화된 일반적인 2층 또는 3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다공성막(멤브레인)보다 기공도가 높게 설정된 것이다. 상기 PE 다공성 멤브레인은 높은 기공도를 가짐에 따라 단일 막으로는 분리막으로 사용될 수 없는 높은 기공도를 가지며, 강도 또한 낮아지게 된다. First, a porous polyethylene (PE) porous membrane used as the
또한, 상기 PE 다공성 멤브레인은 상용화된 2층 또는 3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멤브레인, 예를 들어, PP/PE나 PP/PE/PP 멤브레인 또는 단층 구조의 PE 멤브레인 보다 높은 기공도를 갖도록 설정됨에 따라 기계적 인장강도와 횡방향 인장강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다공성 기재(11)로 사용되는 PE 다공성 멤브레인은 예를 들어, 기계적 인장강도가 700kg/㎠ 이하이고, 횡방향 인장강도가 150kg/㎠ 이하로 얻어진다. Also, the PE porous membrane is set to have a porosity higher than that of a commercialized two- or three-layered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for example, a PP / PE or PP / PE / PP membrane or a monolayer PE membrane The mechanical tensile strength and the transverse tensile strength are lowered. As a result, the PE porous membrane used as th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PE 다공성 멤브레인은 최소한의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요구되며, 두께가 5 ~ 9㎛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공기투과성이 낮아지게 되고, 9㎛를 초과하는 경우 분리막 전체의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상태에서 폴리에틸렌(PE) 다공성 멤브레인이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그의 외측에 형성되는 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분리막 전체의 수축 발생을 잡아주지 못하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E porous membrane is required to be set to a minimum thicknes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5 to 9 占 퐉. As the ratio of the thickness occupied by the polyethylene (PE) porous membrane increases in a state wher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eparator membrane is limited when the thickness exceeds 9 탆, the porosity The thickness of the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11)로 사용 가능한 부직포는 코어로서 PP 섬유의 외주에 PE가 코팅된 이중 구조의 PP/PE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섬유로 이루어진 PET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nonwoven fabric usable as the
상기 다공성 기재(11)가 상기 PE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공성 기재(11)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은 도 1과 같이 음극과 양극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질 때 음극과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접착층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은 음극 활물질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고분자, 예를 들어 PVDF(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다공성 고분자 웹을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11)가 PP/PE나 PET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직포는 기공이 너무 크기 때문에 다공성 기재(11)의 일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분리막(10a)과 같이, 기공도를 낮추도록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대신에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을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으로 변환하여 박막의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과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은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며 전해질 이온의 전도가 가능한 고분자, 예를 들어, PVDF(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EO(Poly-Ethylen Oxide),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PVDF는 전해액에 대한 팽윤성을 가지면서 전해질 이온의 전도가 가능하고 음극 활물질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고분자로서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porous
또한,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은 예를 들어,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며 전해질 이온의 전도가 가능한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1방사용액을 형성한 후, 도 5와 같이, 제1멀티-홀 노즐팩(21)을 사용하여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방법으로 방사용액을 상기 다공성 기재(11)의 일측면에 전기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고분자 웹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porous
상기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의 형성은 먼저 다공성 기재(11)의 일측면에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을 형성한 후, 후속공정에서 상기 고분자(예를 들어, PVDF)의 융점 보다 낮은 온도에서 히터(25)를 이용한 표면을 열처리함에 의해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을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으로 변환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웹을 구성하는 섬유 직경은 0.3-1.5um범위이다.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의 두께는 2~3㎛ 범위로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organic hollow
상기 열처리 공정에서 열처리 온도가 고분자의 융점 보다 다소 낮은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고분자 웹에 용매가 잔존하고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slightly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in the heat treatment step is that the solvent remains in the polymer web.
상기 제2실시예에 적용된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은 전해액에 함침될 때 전해액에 의해 팽윤이 이루어지면서 리튬 이온의 전도가 가능하고 초박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리튬 이온의 이동도는 증가하게 된다.The inorganic filler
추후 전극 조립시에 상기와 같이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이 음극 활물질층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압착시키면, 전해액에 의해 팽윤이 이루어지면서 리튬 이온의 전도는 이루어지나, 음극과 분리막 사이의 공간 형성을 차단하여 리튬 이온이 쌓여서 리튬 금속으로 석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음극의 표면에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inorganic
상기 다공성 기재(11)의 타측면에 적층되는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질 때 바람직하게는 양극과 대향하여 접촉되며, 전해액을 함침하면서 분리막의 주된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은 3차원 기공구조를 갖는 다공성 웹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해액의 흡수속도가 매우 높으며, 기공도는 50-8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공도가 50% 미만인 경우 이온이동도 특성이 나빠지게 되며, 기공도가 80%를 초과하는 경우 마이크로 단락(short-circuit)이 발생할 수 있다.The heat-resistant second porous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직경은 기공도 및 기공크기 분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섬유 직경이 작을수록 기공 크기가 작아지며, 기공 크기 분포도 작아진다. 또한, 섬유의 직경이 작을수록 섬유의 비표면적이 증대되므로 전해액 보액 능력이 커지게 되므로 전해액 누액의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을 구성하는 섬유 직경은 0.3-1.5um 범위이고,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의 두께는 4~14㎛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porous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은 내열성 고분자 또는 내열성 고분자와 팽윤성 고분자, 및 무기물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제2방사용액을 준비한 후, 도 5와 같이, 제2멀티-홀 노즐팩(22)을 사용하여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방법으로 다공성 기재(11)의 타측면에 전기방사를 진행하면 초극세 섬유의 방사가 이루어지며, 섬유의 생성과 동시에 3차원의 네트워크 구조로 융착되어 적층된 형태의 다공성 웹이 형성된다.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웹은 초박막, 초경량으로서, 부피 대비 표면적 비가 높고, 높은 기공도를 가진다.The second porous
상기 제2방사용액으로 초극세 섬유상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고분자 웹을 형성하고, 얻어진 다공성 고분자 웹을 캘린더 장치(26)에서 고분자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캘린더링하여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이 형성된다.The porous polymer web thus obtained is calendered at a temperature no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in the
상기 제2방사용액에 포함되는 무기물 입자는 Al2O3,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iO2, SiO, SnO, SnO2, PbO2, ZnO, P2O5, CuO, MoO, V2O5, B2O3, Si3N4, CeO2, Mn3O4, Sn2P2O7, Sn2B2O5, Sn2BPO6 및 이들의 각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contained in the second spinning solu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 2 O 3 , TiO 2 , BaTiO 3 , Li 2 O, LiF, LiOH, Li 3 N, BaO, Na 2 O, Li 2 CO 3 , CaCO 3 , LiAlO 2 , SiO 2 , SiO, SnO, SnO 2 , PbO 2 , ZnO, P 2 O 5 , CuO, MoO, V 2 O 5 , B 2 O 3 , Si 3 N 4 , CeO 2 , Mn 3 O 4 , Sn 2 P 2 O 7 , Sn 2 B 2 O 5 , Sn 2 BPO 6,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제2방사용액이 내열성 고분자 또는 내열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와 무기물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인 경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은 무기물 입자의 크기가 10 내지 100nm 사이일 때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입자를 10 내지 20 중량% 범위로 함유하며 크기가 15 내지 25nm 범위인 것이 좋다.When the second spinning solution is a mixture of a heat-resistant polymer or a heat-resistant polymer and a swelling polymer and inorganic particles,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10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entire mixture when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between 10 and 100 nm . More preferably, the inorganic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range of 10 to 20 wt%, and the size is in the range of 15 to 25 nm.
무기물 입자의 함량이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인 경우 필름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축이 발생하고 원하는 내열 특성이 얻어지지 못하며,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2멀티-홀 노즐팩(22)에 구비된 방사노즐 팁(tip)이 오염되는 방사 트러블 현상이 발생하며 용매 휘발이 빨라서 필름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ixture, the film form can not be maintained and shrinkage occurs and the desired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 can not be obtained. If it exceeds 25% by weight, The radial trouble phenomenon in which the tip of the spinneret nozzle is fouled occurs and the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is accelerated and the film strength is lowered.
또한, 무기물 입자의 크기가 10nm 미만이면 부피가 너무 커져 다루기 어렵고, 100nm를 초과하는 경우 무기물 입자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섬유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 많이 생겨 섬유의 강도가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무기물 입자는 나노섬유 내부에 포함되도록 섬유 직경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 직경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무기물 입자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섬유의 강도 및 방사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0 nm, the volume becomes too large to handle. When the inorganic particle size is more than 100 nm, the inorganic particles are aggrega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ber.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mixed with a small amount of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fiber diameter and used, the 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nanofibers in the range of not interfering with the strength and radioactivity of the fibers. The con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혼합물이 내열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와 무기물 입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열성 고분자와 팽윤성 고분자는 5:5 내지 7:3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4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팽윤성 고분자는 섬유간의 결합을 도와주는 바인더 역할로 첨가된다.When the mixture is composed of a heat-resistant polymer, a swellable polymer and an inorganic particle, the heat-resistant polymer and the swellable polymer are preferably mixed in a weight ratio ranging from 5: 5 to 7: 3, more preferably 6: 4. In this case, the swelling polymer is added as a binder to facilitate bonding between the fibers.
내열성 고분자와 팽윤성 고분자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5:5보다 작은 경우 내열성이 떨어져서 요구되는 고온 특성을 갖지 못하며, 혼합비가 중량비로 7:3보다 큰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방사 트러블이 발생하게 된다.If the mixing ratio of the heat-resistant polymer and the swelling polymer is less than 5: 5 by weight, the heat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high temperature property is not obtained. If the mixing ratio is more than 7: 3 by weight, the strength is lowered and radiation trouble occurs.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내열성 고분자 수지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융점이 180℃ 이상인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heat-resistant polymer resin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in which can b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for electrospinning and has a melting point of 180 ° C or higher, for example, polyacrylonitrile (PAN), polyamide, polyimide, polyamideimide, Aromatic polyesters such as poly (meta-phenylene isophthalamide), polysulfone, polyether keto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tetrafluoroethylene, , Polyphosphazenes such as poly {bis [2- (2-methoxyethoxy) phosphazene], polyurethane copolymers including polyurethane and polyether urethan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 Phonate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팽윤성 고분자 수지는 전해액에 팽윤이 일어나는 수지로서 전기 방사법에 의하여 초극세 섬유로 형성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The swellable polymer resin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in which swells in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can be formed by ultrafine fibers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Examples of the swellable polymer resin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co- Polypropylene), perfluoropolymers, polyvinyl chloride or polyvinylidene chloride, and copolymers thereof, and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including polyethylene glycol dialkyl ethers and polyethylene glycol dialkyl esters, poly (oxymethylene-oligo- Polyvinyl acetate, poly (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polystyrene and poly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s, polyacrylonitrile 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 polyacrylonitrile 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 ≪ / RTI > Casting reel can be given to the copolymer,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은 무기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 내열성 고분자와 팽윤성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기물을 함유하는 경우 내열성 고분자, 팽윤성 고분자 또는 혼합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porou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과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이 다공성 기재(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orous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10b)은 상기 다공성 기재(11)가 PE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공성 기재(11)의 어느 한쪽에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과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을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in the composite
상기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과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의 적층 구조는 다수의 제1방사노즐과 다수의 제2방사노즐이 콜렉터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멀티-홀 노즐팩을 이용하여, 상기 다공성 기재(11)의 상부면에 다수의 제2방사노즐로부터 제2방사용액을 먼저 방사하여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을 형성하고, 이어서 다수의 제1방사노즐로부터 제1방사용액을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의 상부에 방사하여 다공성 고분자 웹으로 이루어진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얻어진 2층 구조의 다공성 고분자 웹을 고분자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캘린더링하여 소망하는 두께의 적층 구조를 얻을 수 있다.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inorganic porous second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10c)이 도시되어 있다.FIG. 4 shows a composite
도 4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10c)은 내열성을 보강한 실시예로서, PP/PE나 PET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다공성 기재(11)로 사용하며 다공성 기재(11)의 양 측면에 각각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15)을 적층 형성한 것이다.The composite
제4실시예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공성 기재(11)를 사용하는 경우, 기공이 너무 크기 때문에 다공성 기재(11)의 양 측면에 기공도를 낮추도록 후막의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15)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10-10c)에서 무기물 함유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의 두께는 4 내지 14um 범위로 설정되고,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의 두께는 2 내지 3um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inorganic porous second
종래의 필름 형식의 PE 세퍼레이터가 고온에서 수축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에 무기물이 함유되어 있어 500℃에서 열처리시에도 수축하거나 용융(melting)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한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PE type separator shrinks at a high temperature. However, since the second porous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막은 리튬이온이 핀홀을 통해서 급속도로 이동하면서 순간 온도가 400~500℃로 상승할지라도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웹이기 때문에 열 확산 현상을 억제하며, 내열성 고분자 및 나노섬유 내의 무기물 함유에 의해서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갖는다.Accordingly,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heat diffusion phenomenon because the web is made of nanofibers, even though the lithium ion is rapidly moved through the pinhole and the instantaneous temperature rises to 400 to 500 DEG C, and the in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heat resistant polymer and the nanofiber And h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분리막을 삽입하여 조립한 전극 조립체에 전해액을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solution in an electrode assembly assembled by inserting a separation membrane between a cathode and an anode.
상기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로는 부티로락톤(BL),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테르로는 디부틸 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케톤이 있으나, 본 발명은 비수성 유기용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s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and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 carbonate, an ester, an ether, or a ketone. Examples of the carbonate includ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DPC), methyl propyl carbonate (MPC), ethyl propyl carbonate (EPC), methyl ethyl carbonate (MEC) Propylene carbonate (PC), butylene carbonate (BC)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ester. Examples of the ester include butyrolactone (BL), decanolide, valerolactone, mevalonolactone Caprolactone, n-methyl acetate, n-ethyl acetate, n-propyl acet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ether, dibutyl eth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ketone, polymethyl vinyl ket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kind of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은 리튬염을 포함하며, 상기 리튬염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N(CF3SO2)2, LiN(C2F5SO2)2,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x+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및 LiSO3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thium salt, and the lithium salt acts as a source of lithium ions in the battery to enable operation of a basic lithium battery. Examples thereof include LiPF 6 , LiBF 4 , LiSbF 6 , LiAsF 6, LiClO 4, LiCF 3 SO 3, LiN (CF 3 SO 2) 2, LiN (C 2 F 5 SO 2) 2, LiAlO 4, LiAlCl 4, LiN (C x F 2x + 1 SO 2) (C y F 2x + 1 SO 2 ) (where x and y are natural numbers), and LiSO 3 CF 3 .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를 조립한 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캔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에 넣은 후, 캡조립체로 개구부를 마감한 뒤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After assembling the electrode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an aluminum or aluminum alloy can or similar container, the opening is closed with the cap assembly, and an electrolyte is injected to manufactur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10-10c)은 다공성 기재(11)가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다.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10-10c having the shutdow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compared to the first porous
3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분리막(10-10c)은 2차 전지를 구성하여 사용할 때 외부 단락이 발생하면 전지 내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열이 발생된다. When the porous separator 10-10c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s used as a secondary battery, when an external short circuit occurs, an excessive current flows in the cell, thereby generating heat.
이 경우, 분리막에서는 국부적으로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급격한 이온 운동이 발생하는 기공이 발생하고, 따라서 이 기공 부분에 국부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국부적인 발열로 인하여 해당 부분의 온도가 100~120℃ 범위로 상승하면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120℃ 융점을 갖는 다공성 기재(11)가 용융되어 해당 기공을 셧다운(shutdown)시키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separation membrane, pores which generate relatively abrupt ion motion are generated in comparison with other parts locally, and therefore local heat is generated in the pore por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levant part rises to 100 to 120 ° C due to the localized heat, the first porous
또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분리막을 포함한 2차 전지 전체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예를 들어, PVDF의 융점: 170-185℃)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예를 들어, PAN의 융점: 22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 다공성 기재(11)가 용융되어 셧다운(shutdown)이 이루어진다.Further, even when the entir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paration membran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13 (for example, the melting point of PVDF: 170-185 ° C) and the second porous heat- The
또한, 온도가 상승하여 다공성 기재(11)가 수축될지라도 타측의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막(10-10c)의 형상을 유지함에 의해 분리막을 포함하는 2차 전지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Further, even if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더욱이, 상기 다공성 기재(11)가 다공성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PVDF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으로 이루어진 경우, 밀착성이 우수한 상기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은 음극의 표면에 밀착되어 조립되므로,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Further, when the
(분리막 제조)(Preparation of membrane)
이하에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FI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10)은 하향식 분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며 전해질 이온의 전도가 가능한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1방사용액을 준비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downflow type injection is performed, the complex
그 후, 제1멀티-홀 노즐팩(21)을 사용하여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방법으로 제1방사용액을 하측의 제1콜렉터(23)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다공성 기재(11)가 건식으로 제조된 PE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공성 기재(11)의 일측면에 전기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으로 이루어진 제1다공성 고분자 웹(13)을 형성한다.Thereafter, the first spinning solution is transported along the
본 발명의 에어 전기방사(AES) 방법은 고분자 용액이 방사되는 제1멀티-홀 노즐팩(21)의 방사노즐과 콜렉터(23) 사이에 90~120Kv의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콜렉터(23)에 초극세 섬유가 방사되어 제1다공성 고분자 웹(13)을 형성하며, 이 경우 각 방사노즐마다 에어를 분사함에 의해 방사된 섬유가 콜렉터(23)에 포집되지 못하고 날리는 것을 잡아주는 방사방법이다. The air electrospinning (AE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voltage electrostatic force of 90 to 120 Kv is applied between the spinning nozzle of the first
이어서, 내열성 고분자 또는 내열성 고분자와 팽윤성 고분자, 및 무기물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제2방사용액을 준비한 후, 제2멀티-홀 노즐팩(22)을 사용하여 제2콜렉터(24)를 따라 이송되는 다공성 기재(11)의 타측면에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방법으로 제2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면 초극세 섬유의 방사가 이루어지며, 섬유의 생성과 동시에 3차원의 네트워크 구조로 융착되어 적층된 형태의 제2다공성 고분자 웹(15)이 형성된다.Then, a second spinning solu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a mixture of the heat-resistant polymer or the heat-resistant polymer and the swelling polym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in a solvent to prepare a second spinning solution. Then, the
한편, 상기 다공성 기재(11)로서 PP/PE나 PET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2실시예에 따라 복합 다공성 분리막(10a)을 제조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다공성 기재(11)의 일측면에 제1다공성 고분자 웹(13)을, 다공성 기재(11)의 타측면에 제2다공성 고분자 웹(15)을 각각 적층하고, 제1다공성 고분자 웹(13)을 히터(25)에 노출된 상태로 이송시키면, 제1다공성 고분자 웹(13)은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으로 변환된다.5, when a porous nonwoven fabric made of PP / PE or PET fiber is used as the
이어서, 상기 3층 구조의 적층체는 캘린더 장치(26)에서 캘린더링이 이루어져서 적층체의 두께 조절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laminate of the three-layer structure is subjected to calendering in the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공정은 제1멀티-홀 노즐팩(21)과 제2멀티-홀 노즐팩(22)으로부터 각각 하향식으로 제1 및 제2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다공성 기재(11)의 양측면에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층(15)을 형성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and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공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홀 노즐팩(21a)으로부터 제1 및 제2 콜렉터(23,24)에 상향식 및 하향식으로 제1 및 제2 방사용액을 각각 전기방사하여 제1 및 제2 다공성 고분자 웹층(13,15)을 각각 형성하고, 용매가 잔류상태에서 얻어진 제1 및 제2 다공성 고분자 웹층(13,15)을 다공성 기재(11)의 양측면에 합지하여, 캘린더 장치(26)에서 캘린더링함에 의해 제1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복합 다공성 분리막(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first and
또한, 제2실시예에 따라 다공성 기재(11)로서 PP/PE나 PET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층(13)은 다공성 기재(11)와 합지가 이루어지기 전에 히터(25) 열처리에 의해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13a)으로 변환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sing a porous nonwoven fabric made of PP / PE or PET fiber as the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방사방법으로는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이외에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ir-electrospinning (AES), the spinning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l electrospinning, electrospray, electrobrown spinning, centrifugal electrospinning, flash-electrospinning,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멀티-홀 방사팩 노즐은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를 이용할 때 에어 분사의 에어압이 0.1~0.6MPa 범위로 설정된다. 이 경우 에어압이 0.1MPa 미만인 경우 포집/집적에 기여를 하지 못하며, 0.6MPa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노즐의 콘을 굳게 하여 니들을 막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사 트러블이 발생한다. The multi-hole spinning pack nozz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have an air pressure of 0.1 to 0.6 MPa when air-electrospinning (AES) is used. In this case, when the air pressure is less than 0.1 MPa, it can not contribute to the collection / accumulation. When the air pressure exceeds 0.6 MPa, the cone of the spinning nozzle is hardened, and the needle is closed to cause radiation trouble.
본 발명에서는 방사용액을 준비할 때 내열성 고분자 물질과 팽윤성 고분자 물질의 혼합 고분자인 경우, 단일 용매 또는 고비등점 용매와 저비등점 용매를 혼합한 2성분계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2성분계 혼합용매와 전체 고분자 물질 사이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약 8: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ing a spinning solution, a mixed solvent of a heat-resistant polymer material and a swellable polymer substance may be a single solvent or a two-component mixed solvent obtained by mixing a high boiling point solvent and a low boiling point solvent. In this case,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two-component mixed solvent and the entire polymer material is preferably set to about 8: 2 by weight.
본 발명에서는 단일 용매를 사용할 때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용매의 휘발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방사공정 이후에 프리히터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을 통과하면서 다공성 웹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ngle solvent is u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olvent may not be volatilized well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lymer, it is preferable that after passing through the pre-air dry zone by the preheater after the spinning process, The amount of the solvent and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can be controlled.
프리히터에 의한 선 건조구간은 20~40℃의 에어를 팬(fan)을 이용하여 웹에 인가하여 다공성 웹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함에 의해 다공성 웹이 벌키(bulky)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막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과 동시에 다공성(Porosity)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preheater is used to preheat the air by applying air of 20 to 40 ° C to the web using a fan to regulate the amount of solvent and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web,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parator and controlling the porosity of the separator.
이 경우, 용매의 휘발이 지나치게 많이 된 상태에서 캘린더링이 이루어지면 다공성은 증가하나 웹의 강도가 약해지고, 반대로 용매의 휘발이 적게 되면 웹이 녹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calendering is performed while the solvent is excessively volatile, the porosity is increased but the strength of the web is weakened. On the contrary, when the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is low, the web is mel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복합 다공성 분리막(10)은 다공성 기재(11)가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과 함께 다층 구조로 캘린더링됨에 따라 국부적인 급격한 이온 운동으로 발열이 이루어지거나 분리막 전체적으로 셧다운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 다공성 기재(11)의 해당 부분 또는 전체가 용융되어 셧다운(shutdown)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resistant composite
한편, 다공성 고분자 웹으로 이루어진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분리막은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높은 PE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기재를 지지체로서 사용하면 분리막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ngle or multi-layered separator made of a porous polymer web has low tensile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eparator can be increased by using a porous substrate made of a PE porous membrane or a nonwoven fabric having relatively high tensile strength as a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다공성 분리막(10)은 지지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11)를, 예를 들어, 건식으로 제조된 PE 다공성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다공성 기재(11)의 기공도를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의 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10)의 기공도가 다공성 기재(11)에 종속되는 것을 막고 높은 기공도를 갖는 웹상 다공성막의 특성을 최대로 이용함에 의해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이온이동도 및 C-rate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mposite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10-10c)이 다공성 기재(11)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 및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이 적층된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13)을 생략하고, 다공성 기재(11)와 내열성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15)이 적층된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10-10c comprises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 first porou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 자동차 및 연료전지 자동차 등과 같이 높은 내열성과 열 안정성이 요구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 슈퍼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서 다공성 막을 다층 구조로 형성함에 의해 셧다운 기능을 구비하는 내열성 및 고강도 복합 분리막 및 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nd a supercapacitor, which are required to have high heat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such as hybrid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s and fuel cell vehicles, Heat-resistant and high-strength composite separator having the above-mentioned function and the production thereof.
10-10c: 복합 다공성 분리막 11: 다공성 기재
13: 다공성 고분자 웹 층 13a: 무기공 고분자 필름층
15: 다공성 고분자 웹 층
21,21a,22: 멀티-홀 노즐팩 23,24: 콜렉터
25: 히터 26: 캘린더 장치10-10c: composite porous membrane 11: porous substrate
13: porous
15: Porous polymer web layer
21, 21a, 22:
25: heater 26: calender device
Claims (10)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며 전해질 이온의 전도가 가능한 고분자를 전기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지고, 대향하는 전극과 밀착될 때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타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물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각각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가지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음극에 밀착되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다공성 기재 및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A porous substrate which serves as a support and has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of 60 to 80%;
A first porous polymer web which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rous base material and is made of nanofibers obtained by electrospinning a polymer capable of conducting electrolytic solution by swelling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capable of conducting electrolytic ions, layer; And
And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and composed of a nanofiber obtained by electrospinning a mixture of a heat-resistant polymer and a swelling polymer,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each have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of the porous substrate and a porosity equal to or similar to the first porosity,
Wherein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is thinner than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물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 및
상기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며,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며 전해질 이온의 전도가 가능한 고분자를 전기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지고, 대향하는 전극과 밀착될 때 접착층 역할을 하는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각각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가지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음극에 밀착되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다공성 기재 및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A porous substrate which serves as a support and has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of 60 to 80%;
A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and made of a nanofiber obtained by electrospinning a mixture of a heat-resistant polymer and a swelling polymer; And
A nanofibe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swollen in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being obtained by electrospinning a polymer capable of conducting electrolytic ions, 1 < / RTI > porous polymeric web layer,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each have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of the porous substrate and a porosity equal to or similar to the first porosity,
Wherein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is thinner than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은 상기 나노섬유 전체에 대해 10 내지 25 중량% 범위로 함유하며, 상기 무기물 입자의 크기는 10 내지 100nm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The nano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anofiber of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further comprises inorganic particles,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10 to 25%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nanofibers, and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set in the range of 10 to 100 nm.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측면에 적층되며, 내열성 고분자 및 팽윤성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물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다공성 고분자 웹 층과 제2다공성 고분자 웹 층은 각각 다공성 기재의 제1융점보다 더 높은 융점과 제1기공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공도를 가지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5 내지 9 um 범위로 설정되고, 제1 및 제2 다공성 고분자 웹 층의 두께는 4 내지 14 um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A porous substrate which serves as a support and has a first melting point and a first porosity of 60 to 80%; And
And first and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s made of nanofibers, which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orous substrate and obtained by electrospinning a mixture of a heat-resistant polymer and a swelling polymer,
The first porous polymer web layer and the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 each have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first melting point of the porous substrate and a porosity equal to or similar to the first porosity,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rous substrate is set in the range of 5 to 9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porous polymer web layers is set in the range of 4 to 14 μm.
상기 분리막은 제1항, 제2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 anode, a cathode,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lyte,
Wherein the separator comprises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1752A KR101601168B1 (en) | 2015-03-06 | 2015-03-06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1752A KR101601168B1 (en) | 2015-03-06 | 2015-03-06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1332A Division KR101551359B1 (en) | 2012-08-21 | 2012-08-21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280A KR20150032280A (en) | 2015-03-25 |
KR101601168B1 true KR101601168B1 (en) | 2016-03-09 |
Family
ID=5302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1752A Active KR101601168B1 (en) | 2015-03-06 | 2015-03-06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116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5834A1 (en) * | 2017-02-22 | 2018-08-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Electrode assembl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KR102136707B1 (en) | 2020-02-28 | 2020-07-22 | 박영서 | Secondary battery film production roller and roller manufacturing method |
US11380900B2 (en) | 2016-10-12 | 2022-07-05 | Samsung Sdi Co., Ltd. |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6411B1 (en) * | 2015-09-02 | 2020-04-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Separator Unit Comprising Adhesion Layer Which is Prepared by Different Method for Preparing Insulat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241242B1 (en) * | 2018-01-22 | 2021-04-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Negative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
KR20230167781A (en) * | 2022-06-02 | 2023-12-12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High flux nanofilt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6734A (en) * | 2001-01-16 | 2002-08-02 | Asahi Kasei Corp | Lithium battery separator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2988A (en) | 2000-02-08 | 2001-08-17 | Teijin Ltd | Polymer membrane carrying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therewith |
KR100470314B1 (en) | 2003-06-17 | 2005-02-07 | (주)삼신크리에이션 | A complex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
JP2005209570A (en) | 2004-01-26 | 2005-08-04 | Teijin Ltd |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
JP5329018B2 (en) | 2004-08-20 | 2013-10-30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Battery separator |
KR101093590B1 (en) | 2004-11-30 | 2011-12-1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Multi-layered Polymer Membra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0758482B1 (en) | 2004-12-07 | 2007-09-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urface-treated microporous membrane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
KR100845239B1 (en) | 2006-08-07 | 2008-07-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eparator with heat-resistant ultra-fine fiber layer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
KR100820162B1 (en) | 2006-08-07 | 2008-04-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Heat-resistant ultra-fine fibrous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
KR101640777B1 (en) * | 2008-11-17 | 2016-07-19 | 도레이 배터리 세퍼레이터 필름 주식회사 | Microporous membrane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such membranes |
JP5195499B2 (en) * | 2009-02-17 | 2013-05-08 | ソニー株式会社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KR101407770B1 (en) * | 2010-06-21 | 2014-07-0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Porous Nanowe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5
- 2015-03-06 KR KR1020150031752A patent/KR1016011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6734A (en) * | 2001-01-16 | 2002-08-02 | Asahi Kasei Corp | Lithium battery separato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80900B2 (en) | 2016-10-12 | 2022-07-05 | Samsung Sdi Co., Ltd. |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WO2018155834A1 (en) * | 2017-02-22 | 2018-08-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Electrode assembl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KR20180097036A (en) * | 2017-02-22 | 2018-08-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same |
KR102296814B1 (en) * | 2017-02-22 | 2021-08-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same |
KR102136707B1 (en) | 2020-02-28 | 2020-07-22 | 박영서 | Secondary battery film production roller and roller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280A (en) | 2015-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1359B1 (en)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246825B1 (en) | Separator with heat resistance,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208698B1 (en) | Ultrafine fibrous separator with heatresistance and high strength,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
US10135092B2 (en) | Polymer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1283487B1 (en) | A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 |
US9647255B2 (en) | Porous separation membran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condary battery | |
KR101601168B1 (en)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JP5031835B2 (en) | Heat-resistant ultrafine fiber separation membran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265735B1 (en) | Ultrafine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013785B1 (en) | Electrode-Separator Membrane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217721B1 (en) | Complex fibrous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JP2013510389A5 (en) | ||
KR101976586B1 (en) | Complex fibrous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20120070976A (en) | A separator with developed safet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 |
KR101366022B1 (en) | Electrode assembly | |
KR101551358B1 (en) | Complex fibrous separator having shutdown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20140060799A (en) |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KR20120026296A (en) | A separator with developed safet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 |
KR101796283B1 (en) | Composite separator based non-woven fabric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138608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10119917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08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09133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