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0339B1 - Video laryngoscope - Google Patents

Video laryngo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339B1
KR101600339B1 KR1020150124794A KR20150124794A KR101600339B1 KR 101600339 B1 KR101600339 B1 KR 101600339B1 KR 1020150124794 A KR1020150124794 A KR 1020150124794A KR 20150124794 A KR20150124794 A KR 20150124794A KR 101600339 B1 KR101600339 B1 KR 10160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maging
unit
tube
airw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문태
Original Assignee
박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태 filed Critical 박문태
Priority to KR102015012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3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3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자가 환자의 뒤 또는 앞에서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튜브의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몸통부와 표시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표시장치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llowing a practitioner to conveniently observe the insertion path of a tube when a tube is inserted into a patient's airway using a video laryngoscope at the back or front of the patie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ncludes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body and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is rotatable at least 180 degrees.

Description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 Video laryngoscope {VIDEO LARYNGOSCOPE}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에 공기나 마취제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를 삽관하는데 사용되는 후두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술자가 환자의 뒤 또는 앞에서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표시장치를 통해 튜브의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후두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yngoscope used for intubating a tube for supplying air or anesthetic agent to a patient's air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laryngoscope capable of conveniently observing the insertion path of a tube through a display device when a tube is inserted into a patient's airway using a video laryngeal at the back or front of the patient.

일반적으로, 후두경은 사고를 당한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호흡을 실시하거나,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을 실시할 때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된 삽관 튜브의 선단부를 환자의 기관에 삽입하기 위한 보조기구로 사용된다. In general, the laryngeal muscles are used to perform artificial respiration in patients who have had an accident, or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when performing surgery on a patient suffering from a disease, so that the tip of the intubation tube connected to the ventilator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후두경은 크게 맥킨토시형 후두경과 블레이드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개선된 시야를 제공하는 비디오 후두경으로 분류된다. These laryngeal lobes are largely classified as macular type laryngoscopes and video laryngoscopes with cameras attached to the blades to provide improved vision.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곡선형의 선단부를 구비한 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의식을 잃은 환자의 구강을 통해 삽입되어 선단부 측면의 적절한 부분으로 혀의 뿌리부분을 들어올려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도에 삽관 튜브를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마취제를 주입한다.The Macintosh type larynx consists of a long member with a curved tip and inserted through the oral cavity of the unconscious patient to lift the root of the tongue to the appropriate part of the tip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In this state, the intubation tube is inserted into the airway and air or anesthetic is injected.

그런데, 이와 같은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시술자나 처치자(이하,'시술자'라 칭함)의 눈에 의존하여 기도 구조물을 확인하기 때문에, 시야의 제한이 있고 종종 해부학적 지표를 확인하지 못하여 삽관이 지연되거나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Macintosh type laryngeal muscles depend on the eyes of the practitioner or the treating pers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actitioner") to confirm the airway structu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visual field and the anatomical index is often not confirm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fails.

비디오 후두경은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블레이드의 선단부에 구비된 CCD( Charge Cupled Device)와 렌즈를 구비하는 촬상부 및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The video laryngoscope include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blade for securing the airwa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unit and a lens.

이러한 비디오 후두경은 시술자가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좀 더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므로,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 튜브를 삽입하는 삽관 시술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비디오 후두경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This video laryngoscope allows the surgeon to more easily observe the patient's pharynx or larynx, thus facilitating the intubation procedure in which the operator secures the patient's airway and inserts the intubation tube. Because of these advantages, the use of video laryngoscopes is increasing recently.

종래 기술에 의한 비디오 후두경은 표시장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약간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황에서 시술자가 환자의 뒤쪽에서 시술하는 경우 표시장치를 통해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관찰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The video laryngosco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fixed or slightly rotatable. Therefore, when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in the back of the patient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re is no difficulty in observing the patient's pharynx or larynx through the display device.

하지만, 교통사고를 당한 환자 또는 사고 건물에 있는 환자와 같이 환자의 뒤쪽에 장애물이 있어 환자의 뒤에서 시술할 수 없고, 부득이 환자의 앞에서 시술해야 하는 경우 표시장치가 원하는 만큼 회전되지 않아 표시장치를 통해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back of the patient, such as a patient in a traffic accident or a building in an accident, the patient can not perform the procedure behind the patient. If the patient must perform the procedure in front of the patient, the display device is not rotated as des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ient's pharynx or larynx can not be observ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술자가 환자의 뒤 또는 앞에서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튜브의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구조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practitioner has a display device that is rotated so as to conveniently observe the insertion path of a tube when a tube is inserted into a patient's airway using a video laryngoscope at the back or front of the patient .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후두경은, 영상처리부 및 전원부가 구비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촬상채널; 상기 촬상채널의 일측 종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부위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채널의 외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와 결합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몸통부와 상기 표시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표시장치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laryngoscop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mage processor and a power source; An imaging chan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 imaging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maging channel for imaging a larynx, pharynx, and organ of a patien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A blade inser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aging channel and inserted into the organ through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body;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body and the display unit, the coupling unit coupling the display unit to be rotatable by at least 180 degrees.

본 발명은 비디오 후두경의 표시장치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가 환자의 뒤 또는 앞에서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튜브의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isplay device of the video laryngeal shaft to be rotated at least 180 degrees so that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observe the insertion path of the tube when the user intro- duces the tube into the patient's airway using the video laryngoscope at the back or front of the patient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후두경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후두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회전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뒤 쪽에서 시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앞 쪽에서 시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의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deo larynge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deo larynge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the rotating part i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ack lobe of a patient using a video larynge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performed on the front side of a patient using a video larynge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 of an external display dev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후두경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후두경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deo larynge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deo larynge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후두경(100)은 시술자가 환자의 뒤 또는 앞에서 환자의 기도를 확보한 후 기도를 통해 공기나 마취제를 공급하기 위해 튜브를 삽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몸통부(110), 촬상채널(120), 촬상부(130), 블레이드(140), 표시장치(150) 및 결합부(160)를 포함한다.The video laryngoscop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tubating the tube to supply air or anesthetic agent through the airway after securing the patient's airway behind or in front of the patient. An imaging unit 120, an imaging unit 130, a blade 140, a display device 150, and a coupling unit 160, as shown in FIG.

몸통부(110)는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에 튜브(200)를 삽관하기 위한 시술을 할 때 한 손(예: 왼손)으로 잡게 되는 부분으로서 촬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도면에 미도시)와, 상기 영상처리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The body 110 includes a video processor (not shown) for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as a part held by one hand (e.g., a left hand)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for intubating a tube 200 in a patient's airway, And a battery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촬상채널(120)은 상기 몸통부(110)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것으로, 이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The imaging channel 1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The shape of the imaging channel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imaging channel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tube in the present embodiment.

촬상부(130)는 상기 촬상채널의 일측 종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등을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몸통부(110)의 영상처리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촬상부(130)는 후술 할 블레이드(140)의 돌출부(141)에 의해 환자의 후두개가 들려진 경우에는 후두개 또는 그 주변을 촬영하고, 블레이드(140)에 의해 기도가 확보된 후에는 환자의 기도 또는 그 주변을 촬영한다. 상기 촬상부(130)는 방수 구조를 갖으며, 상기 영상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촬상 카메라를 구비한다. 상기 촬상 카메라는 촬상소자(예: CCD ), 광원 및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ing unit 13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maging channel to take a picture of the patient's larynx, pharynx, organs,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of the body 110. The imaging unit 130 photographs the epiglottis or the periphery thereof when the patient's epiglottis is heard by the protruding portion 141 of the blade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after the airway is secured by the blade 140, Or the surrounding area. The imaging unit 130 has a waterproof structure and includes an imaging camer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imaging camera may include an imaging device (e.g., a CCD), a light source, and a lens.

블레이드(140)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인두나 후두에 삽입되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촬상채널(120)의 외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11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블레이드(140)가 상기 몸통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40)의 일측 종단부에 형성된 체결고리(141)와 몸통부(110)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체결돌기(111)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블레이드(140)는 상기와 같이 몸통부(110)와 체결되어 기도 삽관기 역할을 하는 비디오 후두경(100)은 "L"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몸통부(110)는 "L"자 중에서 수직방향의 획을 이루고, 블레이드(140)는 "L"자 중에서 수평방향의 획을 이룬다.The blade 140 is inserted into the pharynx or larynx through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secure the airway of the patient and is inser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aging channel 120 to be coupled with the body 110 . When the blade 14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formed at one end of the blade 14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1 formed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body 110 are fastened together So that the combined state can be maintained. The blade 140 has a structure of an L-shaped laryngeal muscle 100, which is fastened to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and serves as a tracheal intubation device. That is, the body 110 forms a stroke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L' characters, and the blade 140 forms a stro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mong the 'L' characters.

상기 블레이드(140)는 상기 촬상채널(120)의 상부면 및 그 상부면과 인접된 측면이 상기 촬상채널(120)의 타측 종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40)의 일측 종단부에 돌출부(142)가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140)의 연장된 면과 인접된 면에 의해 긴 홈 형상의 안내부(143)가 마련된다. 상기 블레이드(140)는 돌출부(142)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142)는 상기 안내부(143)의 끝단에 연장 형성된다.The blade 140 has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top surface of the imaging channel 120 extending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aging channel 120. A protrusion 14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lade 140 and a guide portion 143 having a long groove shape is provided by a surface adjacent to the extended surface of the blade 140. The blade 14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42 and the protrusion 142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143.

상기 돌출부(142)는 블레이드(140)가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도 쪽으로 삽입될 때 환자의 후두개를 들어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protrusion 142 serves to lift the patient's epiglottis and secure the airway when the blade 140 is inserted into the airway through the patient's mouth.

상기 안내부(143)는 비디오 후두경(100)에 의해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200)를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부(143)의 폭은 상기 튜브(20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143)에 의해서 생긴 삽관용 공간(144)을 통해서 상기 튜브(200)의 삽관이 이루어져서, 상기 튜브(200)의 삽관시술시 상기 튜브(200)가 삽관 장애 없이 원할하게 기도 안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촬상부(130)의 측면에는 환자의 기도 내부 촬영을 가이드하기 위한 촬상 가이드 격벽(145)이 형성되며, 상기 촬상 가이드 격벽에는 삽관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곡면(146)이 형성된다.
The guide unit 143 serves to guide the tube 200 to the patient's airway after the airway of the patient is secured by the video laryngoscope 100.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143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tube 200 and the tube 200 is intubated through the space 144 for the intubation generated by the guide portion 143, The tube 200 is guided into the airway without intubation trouble when the intubation of the tube 200 is performed.
An imaging guide partition wall 145 for guiding the photographing of the inside of the airway of the patien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maging unit 130. A curved surface 146 for preventing intubation trouble is formed on the imaging guide partition wall.

상기와 같은 구조의 블레이드(140)는 성인용과 소아용 등으로 사이즈가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술자는 여러 사이즈의 블레이드(140) 중에서 환자에 적합한 사이즈의 블레이드(140)를 선택하여 상기와 같이 몸통부(11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blades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in different sizes for adults, childre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practitioner can select the blade 140 of a size suitable for the patient from among the blades 140 having various sizes, and use the blade 140 coupled to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표시장치(150)는 상기 촬상부(130)에서 촬영된 후 상기 촬상채널(120) 및 상기 몸통부(110)의 영상처리부를 통해 공급되는 환자의 후두개 및 기도 주변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장치(15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표시장치(예: LCD)로 구현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The display device 150 displays video signals of the epiglottis and the airway around the patient to be suppli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of the imaging channel 120 and the body 110 after being photographed by the imaging unit 130 do. The display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50 is implement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e.g., an LCD).

결합부(160)는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표시장치(150)를 결합하되, 상기 표시장치(150)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몸통부(110)의 영상처리부와 상기 표시장치(150) 간의 영상신호선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The coupling unit 160 is coupled to the body 110 and the display unit 150 so that the display unit 150 can rotate at least 180 degrees.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video signal lines between the display devices 150.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160)는 수 커넥터(161), 암 커넥터(162), 슬리브(163) 및 회전부(164)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coupling portion 160 includes a male connector 161, a female connector 162, a sleeve 163, and a rotation portion 164.

수 커넥터(161)는 상기 영상신호선의 개수와 전원선에 상응되는 개수의 핀을 구비하여 이들의 일측이 상기 몸통부(1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male connector 161 has a number of pi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video signal lines and the power line, and one of the pins is fixed to the body 110.

암 커넥터(162)는 상기 수 커넥터(161)의 핀들에 대향되는 개수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수커넥터(161)의 핀들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female connector 162 has a number of holes opposed to the pins of the male connector 161 so that the pins of the male connector 161 are inserted.

슬리브(163)는 상기 수 커넥터(161)과 암 커넥터(162)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leeve 163 serves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by screwing in a state where the male connector 161 and the female connector 162 are engaged.

도 3은 상기 회전부의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64A)과 탄성부재(164B)를 포함한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rotating part, which includes a rotating shaft 164A and an elastic member 164B.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64A)의 일측은 상기 표시장치(15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암 커넥터(162)와 결합되되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3,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164A is fixedly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15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with the female connector 162 so as to be rotatable at least 180 degrees.

상기 회전축(164A)의 주변에 탄성부재(예: 용수철)(164B)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164)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164A)을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n elastic member 164B is provid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64A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shaft 164A when the rotation unit 164 is rotated.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164A)의 회전 경로상에 적어도 두 개의 걸림턱이 형상되어 표시장치(150)가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예: 180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t least two engagement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rotation path of the rotation shaft 164A to restrict the rotation so that the display device 150 can rotate within a preset rotation angle (e.g., 180 degrees) It plays a ro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후두경(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뒤 쪽에서 시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procedure per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patient using the video larynge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시술자가 환자의 뒤쪽에서 비디오 후두경(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200)를 삽관하는 시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procedure of intubating the tube 200 in the patient's airway using the video laryngoscope 100 at the back of the patient will be described.

시술자는 환자의 뒤쪽에 위치하여 비디오 후두경(100)의 몸통부(110)를 한 손(예: 왼손)으로 잡고 표시장치(150)를 0도 내지 45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블레이드(140)를 환자의 구강에 집어넣는다. 이때, 구강 내부가 촬상부(130)에 의해 촬영되어 표시장치(150)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시술자는 표시장치(150)를 통해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는 블레이드(140)의 돌출부(142)로 환자의 혀 뿌리 부분을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표시장치(150)를 통해 환자의 기도 부분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표시장치(150)의 화면을 보면서 블레이드(140)의 안내부(143)를 따라 튜브(200)를 환자의 기도에 삽관할 수 있게 된다. The practitioner holds the body 110 of the video laryngeal 100 with one hand (e.g., the left hand) and rotates the display device 150 at a desired angle within a range of 0 to 45 degrees, (140)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t this time, since the inside of the mouth is photographed by the imaging unit 13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In this state, the operator lifts the tongue root portion of the patient with the protrusion 142 of the blade 140. Thus, the practitioner can see the patient's airway por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150. Therefore, the practitioner can intubate the tube 200 along the guide portion 143 of the blade 140 into the patient's airway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50.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시술자가 환자의 앞쪽에서 비디오 후두경(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200)를 삽관하는 삽관 시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and 5, a procedure of the intubation procedure in which the practitioner intubates the tube 200 in the patient's airway using the video laryngeal 100 in front of the patient will be described.

시술자는 환자의 앞쪽에 위치하여 비디오 후두경(100)의 몸통부(110)를 한 손으로 잡고 표시장치(150)를 135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블레이드(140)를 환자의 구강에 집어넣는다. 이후, 비디오 후두경(100)을 이용하여 튜브(200)를 환자의 기도에 삽관하는 삽관 시술과정은 상기 환자의 뒤쪽에서의 삽관 시술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The operator places the body 110 of the video laryngoscope 100 with one hand and rotates the display device 150 at a desired angle within a range of 135 to 180 degrees, Into the oral cavity. Thereafter, the intubation procedure for intubating the tube 200 in the patient's airway using the video laryngoscope 100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ubation procedure in the back of the patient.

결국, 비디오 후두경(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200)를 삽관하는 시술과정을 수행할 때,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표시장치(150)의 시청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환자의 뒤쪽이나 앞쪽에 관계없이 보다 편리하게 표시장치(150)의 화면을 보면서 삽관 시술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when performing the procedure of intubating the tube 200 in the patient's airway using the video laryngoscope 100,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50 can be freely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intub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50 more conveniently regardless of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장치(150)의 일측에 마련된 USB 포트(151)에 USB 케이블(170)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을 별도의 모니터(181)에 연결함으로써, 시술자는 상기 표시장치(150)나 모니터(181)를 통해 구강 내부의 기도 부분을 보면서 튜브 삽관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one side of a USB cable 170 is connected to a USB port 15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device 150, By connecting the monitor 181 to the monitor 181,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tube intubation process while viewing the airway portion inside the oral cavity through the display device 150 or the monitor 18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몸통부 111 : 체결돌기
120 : 촬상채널 130 : 촬상부
140 : 블레이드 141 : 체결고리
142 : 돌출부 143 : 안내부
144 : 삽관용 공간 145 : 촬상 가이드 격벽
146 : 곡면 150 : 표시장치
160 : 결합부 161 : 수 커넥터
162 : 암 커넥터 163 : 슬리브
164 : 회전부 164A : 회전축
164B : 탄성부재 200 : 튜브
110: body portion 111: fastening projection
120: imaging channel 130:
140: blade 141: fastening ring
142: protruding portion 143:
144: space for intubation 145: imaging guide partition
146: Curved surface 150: Display device
160: coupling portion 161: male connector
162: female connector 163: sleeve
164: rotation part 164A:
164B: elastic member 200: tube

Claims (10)

영상처리부 및 전원부가 구비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촬상채널;
상기 촬상채널의 일측 종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부위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채널의 외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와 결합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몸통부와 상기 표시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표시장치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측면으로 상기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를 상기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에 의해서 생긴 삽관용 공간을 통해서 상기 튜브의 삽관이 이루어져서, 상기 튜브의 삽관시술시 상기 튜브의 안내가 수행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환자의 후두개를 들어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촬상부의 측면에는 환자의 기도 내부 촬영을 가이드 하기 위한 촬상 가이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촬상 가이드 격벽에는 삽관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곡면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선과 상기 전원부의 전원선에 상응되는 개수의 핀을 구비하는 수 커넥터;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한 암 커넥터;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표시장치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암 커넥터와 결합되되,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An imaging chan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 imaging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maging channel for imaging a larynx, pharynx, and organ of a patien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A blade inser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aging channel and inserted into the organ through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body;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body and the display unit, the coupling unit coupling the display unit to be rotatable by at least 180 degrees,
Wherein the blade ha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tube to the patient's airway after securing the airway of the patient to the side,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tube and the tube is inserted through the space for intubation generated by the guide portion to guide the tube during the intubation of the tube,
Wherein the blade has a protrusion that allows the user to lift the epiglottis of the patient to secure the airway, the protrusion being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An imaging guide partition wall for guiding a patient's internal airway photographing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maging unit, a curved surface for preventing an intubation trouble is formed on the imaging guide partition wall,
The coupling portion
A male connector having a number of pins corresponding to a line of the video signal and a power line of the power source unit;
A female connector having a hole into which said pin is inserted;
A sleeve which is engaged with the male connector wh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engaged;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laryngeal comprises a rotation part having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having a rotation axis coupled to rotate at least 180 degre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USB 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And a USB port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와 상기 표시장치 간의 영상신호선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a video signal line between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두 개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And two locking lugs for limiting a rotation angle of the rotary shaft.
KR1020150124794A 2015-09-03 2015-09-03 Video laryngoscope Active KR101600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94A KR101600339B1 (en) 2015-09-03 2015-09-03 Video laryng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94A KR101600339B1 (en) 2015-09-03 2015-09-03 Video laryngosc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339B1 true KR101600339B1 (en) 2016-03-08

Family

ID=5553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794A Active KR101600339B1 (en) 2015-09-03 2015-09-03 Video laryngosc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339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4115A (en) * 2016-08-31 2016-12-14 河南迈松医用设备制造有限公司 A kind of video laryngoscope
KR20180023226A (en) * 2016-08-25 2018-03-0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pparatus For Assisting Inserting Tube Into Airway Of Small Animals And Method For The Same Using The Apparatus
CN109806483A (en) * 2019-03-12 2019-05-28 北京大学第三医院 An airway surface anesthesia device
KR20190092700A (en) 2018-01-31 2019-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aryngoscope with tension wire
CN110811512A (en) * 2019-11-27 2020-02-21 纳智医疗设备(徐州)有限公司 A combined anti-fog multifunctional laryngoscope
KR20210122432A (en) 2020-04-01 2021-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scope for inserting a supraglottic airway device
CN114159663A (en) * 2021-02-22 2022-03-11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Trachea cannula device
KR20220137295A (en) 2021-04-02 2022-10-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KR20220141518A (en) 2021-04-13 2022-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KR20240001346U (en) 2023-02-02 2024-08-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Upper airway monitoring device for building small animal mod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6645A1 (en) * 2011-11-16 2014-10-02 Aircraft Medical Limited Laryngoscope and laryngoscope bla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6645A1 (en) * 2011-11-16 2014-10-02 Aircraft Medical Limited Laryngoscope and laryngoscope blades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26A (en) * 2016-08-25 2018-03-0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pparatus For Assisting Inserting Tube Into Airway Of Small Animals And Method For The Same Using The Apparatus
KR101884671B1 (en) 2016-08-25 2018-08-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pparatus For Assisting Inserting Tube Into Airway Of Small Animals And Method For The Same Using The Apparatus
CN106214115B (en) * 2016-08-31 2024-02-13 河南迈松医用设备制造有限公司 Video laryngoscope
CN106214115A (en) * 2016-08-31 2016-12-14 河南迈松医用设备制造有限公司 A kind of video laryngoscope
KR20190092700A (en) 2018-01-31 2019-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aryngoscope with tension wire
CN109806483A (en) * 2019-03-12 2019-05-28 北京大学第三医院 An airway surface anesthesia device
CN110811512A (en) * 2019-11-27 2020-02-21 纳智医疗设备(徐州)有限公司 A combined anti-fog multifunctional laryngoscope
KR20210122432A (en) 2020-04-01 2021-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scope for inserting a supraglottic airway device
KR102350153B1 (en) * 2020-04-01 2022-01-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scope for inserting a supraglottic airway device
CN114159663A (en) * 2021-02-22 2022-03-11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Trachea cannula device
KR20220137295A (en) 2021-04-02 2022-10-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KR102492718B1 (en) 2021-04-02 2023-0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KR20220141518A (en) 2021-04-13 2022-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KR102492719B1 (en) 2021-04-13 2023-02-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KR20240001346U (en) 2023-02-02 2024-08-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Upper airway monitoring device for building small animal mod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339B1 (en) Video laryngoscope
EP1738789B1 (en) Endotracheal video device
Berkow et al. The technology of video laryngoscopy
US9949629B2 (en) Endotracheal tube insertion device
US6929600B2 (en) Apparatus for intubation
US5363838A (en) Fiberoptic intubating scope with camera and lightweight portable screen and method of using same
US8479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fficult airways
US20150112146A1 (en) Video Laryngoscope with Adjustable Handle Mounted Monitor
US20060020171A1 (en) Intubation and imaging device and system
US20070197873A1 (en) Wireless optical endoscopic device
JP2009524482A (en) Device for introducing an airway tube into a trachea having visualization abilit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765302B2 (en) Converter device for laryngoscopy
US20160250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mera intubation
Yanagisawa et al. Videolaryngoscopy: a comparison of fiberscopic and telescopic documentation
US20180147381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AU2013239345A1 (en)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CN102068230A (en) Visual laryngoscope
KR100894709B1 (en) Video airway intubator
TWM610821U (en) Multi-view image laryngoscope and tongue depressor blade equipped with multiple image capturing devices
JP2021122721A (en) Intubation device
Berci et al. Optical stylet: an aid to intubation and teaching
CN214906644U (en) Multi-view video laryngoscope and tongue depressor blade with multiple image capture devices
CN112704467A (en) Multi-view image laryngoscope and tongue depressor blade provided with multiple image capture devices
CN211357232U (en) Visual laryngeal mask with display
CN218247459U (en) Visual trachea cannula auxiliary device of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