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0011B1 -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 Google Patents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011B1
KR101600011B1 KR1020140153629A KR20140153629A KR101600011B1 KR 101600011 B1 KR101600011 B1 KR 101600011B1 KR 1020140153629 A KR1020140153629 A KR 1020140153629A KR 20140153629 A KR20140153629 A KR 20140153629A KR 101600011 B1 KR101600011 B1 KR 10160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aft
torque
generator
ro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에코에어텍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에어텍, 최원석 filed Critical (주)에코에어텍
Priority to KR102014015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0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01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08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08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 B60K6/10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by means of a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 e.g. fly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08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 B60K6/10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by means of a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 e.g. flywheel
    • B60K6/105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by means of a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 e.g. flywheel the accumulator being a fly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엔진과 같은 회전력 발생 장치나 기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축이 있을 때 이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받아들이는 회전 입력축, 회전 입력축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입력측 변속기, 변속기에 의해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휘일, 플라이휘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수를 바꾸는 출력측 변속기, 출력측 변속기에서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발전기와 같은 수요측에 전달하는 회전 출력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토크 안정화 장치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력 공급 장치에서 회전력 사용처로 회전력을 전달할 때 토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회전의 불안정으로 인한 진동, 소음 및 이로 인한 회전력의 전달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빠르게 변화하는 회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서 엔진 발전기에서 엔진의 운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순간적인 과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운영 효율과 연비 및 엔진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 input side transmission capable of chang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input shaft, a rotation which is changed by the transmission, a rotation input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haft when there is a power shaft transmitting the rotation force from the outside, An output side transmission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lywheel and changes the number of revolutions; a torque that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output shaft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having a changed rotational speed in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and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emand side such as the generator A stabilizing device and an engine generator having the device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que can be stably maintained when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rotational force supplying device to the rotational force applying place, thereby preventing vibration, noise and transmission loss of the rotational force due to unstable rota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ngine can be stabilized in the engine generator and the momentary overload can be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ngine, the fuel efficiency and the engine life.

Description

토크 안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 torque stabilizer,

본 발명은 토크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동력을 얻는 토크 발생장치에 부가하여 토크 발생장치가 직접 회전력을 전달하는 경우보다 고른 회전상태로 회전 동력을 필요한 개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토크 안정화 장치와 이런 토크 안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que stab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rque stabilizer capable of transmitting a rotational power to a required position in a uniform rotational state, in addition to a torque generating device that obtains rotational power, And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such a torque stabilization device.

엔진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정화 장치로 차량 내연기관에 설치되는 플라이휘일이 있다. 통상 엔진 전체의 관성 질량 가운데 플라이휘일은 약 절반을 담당하고 있다. 공회전할 때의 안정이나 저회전할 때의 회전의 안정성 혹은 변화의 완만함을 고려하면 플라이휘일의 관성 질량은 큰 편이 좋지만 통상적으로 엔진의 응답성이나 연비 등을 생각하면 작은 편이 좋다.There is a flywheel installed in a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stabilizing device used to stably maintain the rotation of the engine. Usually, the flywheel is about half of the inertia mass of the entire engine. The inertia mass of the flywheel is preferably large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at idling, stability of rotation at the time of low rotation, or gradual change, but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consider the responsiveness of the engine and the fuel consumption.

정상상태에서 토크가 같더라도 관성 질량이 작으면, 엔진 자신의 회전수 상승에 사용되는 토크는 그에 비례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실제로 차를 가속하는데 사용되는 토크는 커지게 된다. 가령, 실제로 도로에서 차량 가속 시에는 발생하는 토크의 30% 정도는 엔진의 회전수 상승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이런 토크는 차량 가속에는 아무 기여가 없는 것이다.If the inertial mass is small even though the torque is the same in the steady state, the torque used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itself decreases in proportion thereto, so that the torque used to actually accelerate the vehicle becomes large. This torque, for example, does not contribute to vehicle acceleration, since about 30% of the torque that occurs during vehicle acceleration on the road is used to increase engine speed.

따라서, 플라이휘일의 관성 질량이 작으면 그 만큼 엔진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쓸데없는 토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속시의 연비가 좋아진다. 그러나, 차량에 있어서도 실제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관성 질량과 연비관계만을 고려하여 플라이휘일을 설계할 수는 없다. Therefore, if the inertia mass of the flywheel is small, the useless torque for raising the engine speed is not used, and therefore the fuel consumption at the time of acceleration is improved.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vehicle, the flywheel can not be designed considering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ertial mass and the fuel economy due to various reasons.

한편, 외부 전력선을 통한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사용처에서는 내연기관 엔진을 설치하고 이 엔진을 가동하여 발전기를 운용하고, 이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경우가 있다. 도1은 이러한 엔진 발전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설명도이다. 엔진(10)의 동력축(11) 단부에는 플랜지(12)가 설치되고, 여기에는 발전기(20)의 회전축(21) 혹은 전기자축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22)가 나사 결합 등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installed in an area where electricity supply through an external power line is not smooth, and the engine is operated to operate a generator, thereby producing electricity. 1 is a conceptual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such an engine generator. A flange 12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ower shaft 11 of the engine 10 and a rotating shaft 21 of the generator 20 or a flange 22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motor shaft is rotated together have.

엔진(10)의 종류와 설치 형태, 출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형 발전소와 변전소 및 기타 전기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비해 이런 소형 발전을 통해 얻는 전기는 엔진의 회전의 맥동성 등으로 안정성이 떨어져 전기의 주파수와 전압 등의 질이 떨어지기 쉽다. 이런 경우, 전기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발전기(20)를 회전시키는 엔진 회전의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엔진 발전기를 위해 플라이휘일(미도시)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The electric power obtained through such small power generation is less stable due to the rotation of the engine, etc., compared to electricity supplied through a large power plant, a substation and other electric networks,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installation type and output of the engine The quality of electric frequency and voltage is liable to be lower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engine rotation in which the generator 20 is rotated in order to maintain the electric quality. Therefore, a flywheel (not shown) is typically used for the engine generator.

플라이휘일과 같은 토크 안정화장치는 재생에너지 발전, 가령, 파력 발전이나 소규모 풍력 발전과 같은 맥동성이 강하거나, 안정성이 약한 발전수단에서도 많이 필요하게 된다.Torque stabilization devices, such as flywheel, are also needed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or example, power generation devices such as wave power generation and small wind power generation, which have strong pulsating power and weak stability.

그런데, 엔진 발전기의 경우, 플라이휘일은 엔진(10)의 동력축(11)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엔진 회전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며, 특히 엔진(10)의 저속 회전시에는 플라이휘일로 토크의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회전의 안정성이 낮은 경우, 회전에 따라 기계적 진동과 소음이 증가하고, 이런 현상들은 결국 기계적 에너지의 열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져와 기계 요소요소의 온도를 높이고,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ngine generator, the flywheel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ower shaft 11 of the engine 10 and rotates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as the engine speed. In particular, when the engine 10 rotates at low speed, It i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stability of the torque. If the stability of rotation is low, the mechanical vibration and noise increase with rotation, and these phenomena eventually lead to the conversion of mechanical energy to thermal energy, which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mechanical element element and leads to deterioration.

또한, 전기 수요가 변화할 때에는 시스템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발전기 회전수 등의 체크 포인트를 확인하고 발전기와 연결된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출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엔진 발전 시스템의 규모가 작고 발전 수요의 변화 혹은 전기 수요의 변화가 심한 경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급히 증가시키고 엔진을 급가속하여 수요 변화에 대응하게 되는 일이 많고, 이런 엔진의 상태의 급변은 엔진의 빠른 열화를 가져와 기계적 수명을 줄이고, 고장 발생 및 엔진의 예상하지 못한 가동중단의 위험을 높이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 및 연소 효율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electricity demand changes, the output is controlled by checking the check points of the generator rotation speed and the like through a sensor attached to the system and controlling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connected to the generator. When the size of the engine is small and changes in electricity demand or electricity demand are severe,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engine is rapidly accelerated to cope with the change in dem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deterioration is caused to reduce the mechanical life, increase the risk of occurrence of failure and unexpected downtime of the engine, incomplete combustion of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and decrease combustion efficiency.

따라서, 이런 수요에 잘 대처하고 엔진 계통에 순간적으로 무리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줄이는 한편, 장단기적 관점에서 엔진에 사용되는 연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엔진에 설치되는 플라이휘일과 별도의 토크 안정화 장치가 요청된다.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demand and reduce the momentary load imposed on the engine system, a torque stabilization device separate from the flywheel installed in the engine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fuel efficiency used in the engine from the short and long term viewpoint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10951: 회전체 및 이를 이용한 기계Korean Patent No. 10-0310951: Rotating body and machine using same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21965 : 자동차용 발전기 회전수 가변구조Korean Patent No. 10-0221965: Variable Structure of Rotational Speed of Generat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종래의 엔진 발전기와 같이 회전 토크의 안정화가 요청되는 회전력 공급 장치에서 회전 토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안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rque stabilizing apparatus and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torque stabilizing apparatus which can stably maintain a rotational torque in a torque supplying apparatus, such as a conventional engine generator,

본 발명은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회전력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토크 안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rque stabilization device capable of stably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demand and efficiently coping with torque demand, and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엔진과 같은 회전력 발생 장치나 기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축이 있을 때 이 동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받아들이는 회전 입력축, 회전 입력축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입력측 변속기, 변속기에 의해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휘일, 플라이휘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수를 바꾸는 출력측 변속기, 출력측 변속기에서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발전기와 같은 수요측에 전달하는 회전 출력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n input side transmission capable of chang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input shaft, a rotation which is changed by the transmission, a rotation input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haft when there is a power shaft transmitting the rotation force from the outside, An output side transmission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lywheel and changes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a rotation output shaft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having a changed number of revolutions in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demand side such as the generator.

본 발명에서 입력측 변속기와 출력측 변속기는 회전비가 역수 관계를 가져서 회전 입력축과 회전 출력축의 회전수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tio of the input side transmission and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has a reciprocal relationship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input shaft and the rotation output shaft can be the same.

본 발명에서 입력축 변속기는 플라이휘일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설계되어 회전 입력축의 회전수보다 플라이휘일의 회전수가 더 높도록 가령 2배 높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haft transmission may be designed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lywheel so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lywheel is twice higher tha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on input shaf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gine generator system including a torque stabilizer,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전을 실시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1.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n engine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uel,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rotating a generator shaft us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안정화시키는 토크 안정화 장치가 상기 엔진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토크 안정화 장치는 엔진의 동력축과 연결되는 회전 입력축, 회전 입력축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입력측 변속기, 변속기에 의해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휘일, 플라이휘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수를 바꾸는 출력측 변속기, 출력측 변속기에서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발전기에 전달하는 회전 출력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orque stabilization device for stabilizing the torque of the engine is provid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and the torque stabilization device includes a rotation input shaft connected to the power shaft of the engine, an input side transmission capable of chang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input shaft, An output side transmission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lywheel, and a rotation output shaft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having a changed rotational speed from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generator. .

본 발명에서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는 토크 안정화 장치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orque stabilize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본 발명에서 토크 안정화 장치의 출력은 연결회전축을 통해 복수의 발전기 축으로 전달될 수 있고, 연결회전축과 각 발전기의 회전자축은 수직으로 결합되며, 동력전달에 베벨기어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torque stabilizer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enerator shafts via the connection rotary shaft, the rotary shaft of the generator and the rotary shaft of each generator may be vertically coupled, and a bevel gear may be used for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를 이용하면 회전력 공급 장치에서 회전력 사용처로 회전력을 전달할 때 토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회전의 불안정으로 인한 진동, 소음 및 이로 인한 회전력의 전달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torque stabili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torque can be stably maintained when the torque is transmitted from the torque supplying device to the torque applying place, thereby preventing vibration, noise and transmission loss of the torque due to unstable torque.

본 발명은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회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회전력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운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순간적인 과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운영 효율과 연비 및 엔진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pable of stably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torque demand and efficiently coping with the demand for torqu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ngine can be stabilized and the momentary overload can be suppressed, The engine lif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안정화 측면에서 특히 엔진의 실린더 수가 2개 이하로 작고, 따라서, 엔진 내의 폭발과 폭발 사이의 시간이 긴 엔진을 가지고, 발전기에 결합되는 부하가 큰 폭으로 빈번하게 바뀌는 엔진 발전 시스템에서 특히 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in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in which the number of cylinders of the engine is as small as two or less in the stabilization aspect and therefore the engine has a long engine between the explosion and the explosion in the engine, It can have a great effect.

도1은 종래의 엔진 발전기를 나타내는 개념적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의 엔진 발전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적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엔진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부 사시도, 내부 평면도 및 핵심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의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showing a conventional engine generator,
Figure 2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n engine gener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 internal plan view and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orque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embodiment of the torque stabil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엔진 발전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설명도이며, 2 is a conceptual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engine gener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 투시적 평면도 및 핵심부 사시도이다.Figs. 3 to 5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portion of the torque stabil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토크 안정화 장치(30)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시스템은 엔진(10)과 토크 안정화 장치(30), 발전기(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Fig. 2 discloses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torque stabilization device 30. Fig. The system comprises an engine (10), a torque stabilizer (30), and a generator (20).

엔진(10)은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2개 이하의 실리더를 가진 내연기관 특히 1 실린더 디젤엔진을 사용한다. 디젤엔진은 하나의 주기에 실린더 내를 피스톤이 두 번 왕복하는 4행정 기관으로 한다. 통상의 4행정 내연기관과 같이 여기서도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면 피스톤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의 다른 한 쪽은 크랭크축의 크랭크핀에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동력축(11)을 회전시킨다. 이 동력축(11)은 토크 안정화 장치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지만 크랭크축의 동력축(11)과 토크 안정화 장치(30) 사이에는 회전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나 변속기어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The engine 10 may be of various types, b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wo or fewer cylinders is used here, particularly a one-cylinder diesel engine. A diesel engine is a four-stroke engine with two reciprocating pistons in one cycle. When the piston reciprocates also like a normal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piston is connected to the crank pin of the crankshaft to rotate the power shaft 11 of the crankshaft. The power shaft 11 is configured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torque stabilizer. Although not shown, a clutch or a transmission gear box capable of interrupting transmission of rotational for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wer shaft 11 of the crankshaft and the torque stabilizer 30. [

토크 안정화 장치(30)는 엔진(10)과 발전기(30) 사이에 구비되어 엔진(10)의 회전력을 발전기(20)의 회전축(2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토크 안정화 장치(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의 동력축(11)과 연결되는 회전 입력축(31a), 회전 입력축(31a)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입력측 변속기(35a), 입력측 변속기에 의해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휘일(36), 플라이휘일(36)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수를 바꾸는 출력측 변속기(35b), 출력측 변속기(35b)에서 바뀐 회전수를 가진 회전력을 받아 발전기 회전축(21)에 전달하는 회전 출력축(31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축과 축 사이는 플랜지(12, 22, 32a, 32b)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The torque stabilizer 30 is provided between the engine 10 and the generator 30 and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10 to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generator 20. 4, the torque stabilizer 30 includes a rotation input shaft 31a connected to the power shaft 11 of the engine 10, an input side transmission 35a capable of chang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input shaft 31a An output side transmission 35b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lywheel 36 to change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an output side transmission 35b that is rotated by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35b, And a rotation output shaft 31b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force to the generator rotation shaft 21. Here, the respective axes and the axes are connected by using the flanges 12, 22, 32a, and 32b.

플라이휘일 축(34)이나 회전 입력축(31a), 회전 출력축(31b)은 케이스(33) 벽체에 베어링(B)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flywheel shaft 34, the rotary input shaft 31a and the rotary output shaft 31b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wall of the case 33 through a bearing B. [

입력측 변속기(35a)는 회전 입력축(31a)과 플라이휘일 축(34) 각각에 톱니수 비율 혹은 기어비가 2 : 1로 단순히 맞물리는 평기어쌍(351, 353)을 사용한다. 따라서, 회전 입력축(31a)이 1 회전할 때 플라이휘일(36) 및 그 축(34)은 2 회전을 하게 된다. 출력측 변속기(35b)도 회전 출력축(31b)과 플라이휘일 축(34) 각각에 톱니수 비율 혹은 기어비가 2 : 1로 단순히 맞물리는 평기어쌍을 사용한다. 따라서, 플라이휘일(36) 및 그 축(34)이 2 회전을 할 때 회전 출력축(31b)이 1 회전하게 되며, 회전 입력축(31a)과 회전 출력축(31b)의 회전수는 동일하게 된다. The input side transmission 35a uses a pair of spur gears 351 and 353 which are simply meshed with each other on the rotary input shaft 31a and the flywheel shaft 34 with a tooth number ratio or a gear ratio of 2: Therefore, when the rotation input shaft 31a makes one rotation, the flywheel 36 and the shaft 34 make two rotations.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35b also uses a pair of spur gears, each of which has a tooth ratio or a gear ratio of 2: 1 simply engaged with the rotary output shaft 31b and the flywheel shaft 34,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flywheel 36 and the shaft 34 make two rotations, the rotation output shaft 31b makes one rotation, and the rotation numbers of the rotation input shaft 31a and the rotation output shaft 31b are the same.

발전기 회전축(21)은 회전 출력축(31b)과 플랜지들(22, 32b)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generator rotary shaft 21 can be connected by the coupling of the rotary output shaft 31b and the flanges 22, 32b.

발전기는 통상 전기자가 되는 회전자의 축이 회전축(21) 혹은 발전기축이 되어 회전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며, 통상의 발전기 구조 및 원리는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내용은 기술을 생략한다.Generally, a shaft of a rotor, which is an armature, rotates as a rotary shaft 21 or a generator shaft, and generates electricity. Generally,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a generator are well known.

이러한 엔진 발전기에서의 토크 안정화 장치(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엔진(10)은 4개의 행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행정에서 모든 행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즉, 하나의 행정(폭발 행정)에서만 직접 폭발에 의한 힘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각 행정에 해당하는 기간들에서 크랭크축의 회전력도 차이가 있고, 토크 안정화 장치(30)에 전달되는 회전력 혹은 토크도 차이가 있다. 폭발 행정에서는 커넥팅로드, 크랭크축, 회전 입력축을 통해 플라이휘일(36)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플라이휘일(36)의 관성 질량에 반비례하는 회전속도 증가를 이룰 수 있다.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torque stabilizer 30 in the engine generator, first, the engine 10 is made up of four strokes, and not all the strokes are made equal in these strokes. That is, since the force due to direct explosion can be obtained only in one stroke (explosion strok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rankshaft during the period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rokes, and a difference in torque or torque transmitted to the torque stabilizer 30 have. In the explosion stroke, a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lywheel 36 via the connecting rod, the crankshaft, and the rotational input shaft, and the rotational speed in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ertia mass of the flywheel 36 can be achieved.

일단 폭발 행정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은 플라이휘일(36)은 회전되면서 회전운동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일정한 운전 속도에 이르기까지 엔진 사이클을 계속 진행하면서 회전 속도는 증가하고, 이 과정에서 플라이휘일(36)에는 운동에너지가 계속 축적된다. The flywheel 36, which once received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explosion stroke, has rotational kinetic energy while being rotated. The rotational speed is increased while the engine cycle continues to reach a constant running speed. In this process, the flywheel 36 Kinetic energy continues to accumulate.

전달받은 상당량의 운동에너지는 발전기로 전달되어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폭발 행정 외에는 관성에 따라 회전속도를 유지하려 하고, 엔진(10)에서도 크랭크축의 균형추에 저장된 회전운동에너지와 함께 동력전달 계통을 통해 입력된 엔진 발전 시스템의 모든 부분, 동력축(11), 회전 입력축(31a), 회전 출력축(31b), 발전기 회전축(21), 발전기의 회전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 이런 과정에서 폭발 행정 중에 플라이휘일(36)이나 크랭크축에 저장된 운동에너지가 사용된다.A significant amount of kinetic energy transferred to the generator is converted to electrical energy. In addition to the explosion strok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10 i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inertia. In addition to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counterbalance of the crankshaft, all parts of the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input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 rotation output shaft 31a, the rotation output shaft 31b, the generator rotation shaft 21, and the generator. In this process, the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flywheel 36 or the crankshaft is used during the explosion stroke.

엔진(10)을 처음 동작시키는 단계에서 시작하여 엔진 운전의 안정화 단계에 이르면, 결국, 엔진의 출력과 발전기측의 외부로 송출하는 전기출력, 중간에 소모되는 기계적 마찰 등에 의한 에너지가 균형을 이루어 평균적인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안정상태가 이루어진다.When starting the engine 10 for the first time and reaching the stabilization stage of the engine operation, the energy due to the output of the engine, the electric power to be sent out to the outside of the generator, and the mechanical friction consumed in the middle are balanced, A stable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is maintained is achieved.

플라이휘일(36)의 관성질량을 크게 하면 엔진의 폭발력에서 얻은 회전에너지를 저장하여 나머지 행정에서 회전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안정적인 회전상태를 이루기에 더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관성질량을 크게 하기 위해 플라이휘일 크기를 늘리면 설치공간과 비용이 늘어나고, 발전기 출력에 비해 너무 큰 것을 사용하면 엔진 효율 혹은 연비가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이런 사항들은 기존의 엔진에 부속되는 플라이휘일과 같은 토크 안정화 수단에 대한 설명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When the inertia mass of the flywheel 36 is increased, the rotational energy obtained from the explosive force of the engine is stored and the rotational state is maintained in the remaining stroke,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achieving a stable rotation state. However, increasing the size of the flywheel to increase the mass of inertia increases installation space and cost, and using too large a generator output may reduce engine efficiency or fuel economy. These ma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torque stabilizing means such as the flywheel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engin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이휘일(36)을 엔진과 별도 토크 안정화 장치(30)에 설치하고, 그 속에서 변속기를 통해 플라이휘일(36)의 회전수는 엔진(10)에서 발전기(20)로 전달되는 회전수에 비해 더 많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실시예에서는 플라이휘일(36)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같은 관성 질량을 가진 플라이휘일(36)에 저장되는 운동에너지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flywheel 36 is provided in the torque stabilizer 30 separate from the engine,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lywheel 36 through the transmission is transmitted from the engine 10 to the generator 20 Which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otations transmitt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lywheel 36 increases, and the amount of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flywheel 36 having the same inertial mass is increased.

특히, 두 개의 기어비가 같은 변속기를 서로 역으로 설치하여 회전 입력축(31a)과 회전 출력축(31b)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엔진(10)과 발전기(20)를 직결하는 구성의 엔진 발전기에도 토크 안정화 장치(30)를 이들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쉽게 엔진의 회전수 및 발전기의 회전수를 같게 유지하면서도 플라이휘일에 저장되는 운동에너지를 높일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transmissions having the same two gear ratios are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sam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ry input shaft 31a and the rotary output shaft 31b,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engine 10 and the generator 20 are directly connected The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flywheel can be increased while keep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enerator at the same level by simply interposing the torque stabilizer 30 between them.

플라이휘일(36)에 저장되는 운동에너지가 커지면, 전기 부하가 갑자기 늘어나는 경우에도, 그에 맞추어 엔진의 출력을 충분히 늘리기 전의 과도기에 그 부하를 감당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의 상당부분을 이 운동에너지가 담당할 수 있으므로 엔진 출력을 갑자기 높여야 하는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즉, 종래 발전기에 걸리는 전기 부하가 갑자기 커지는 경우, 전체적인 회전수가 급격히 낮아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갑자기 증가시켜 엔진의 운영의 불안정이 초래되고, 연소 상태가 악화되며, 기계적 부하의 급증으로 고장이 쉽게 초래되던 문제점을 모두 줄일 수 있게 된다. When the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flywheel 36 increases, even if the electric load suddenly increase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electric energy for covering the load to the transient before the output of the engine is sufficiently increased The burden of suddenly increasing the engine output can be alleviated. That is, when the electric load applied to the conventional generator suddenly increases, the overall rotation speed is rapidly lowered. To prevent this,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suddenly increases to cause unstable operation of the engine, deteriorate the combustion state, It is possible to reduce all of the problems that are easily caused by the surge of the failure.

역으로, 부하가 갑자기 줄어드는 경우에도 발전기 회전축(21)의 회전수가 늘어나는 경향을 가지지만 회전수가 늘어나면 그에 따라 플라이휘일(36)에 저장되는 에너지가 늘어나므로 엔진(10)에서 생산한 여분의 에너지 상당 부분은 플라이휘일(36)에 저장되고 회전수의 급격한 변화는 방지되며, 센서(미도시)의 역할로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줄어들어 엔진의 출력은 부하의 감소와 균형을 맞추게 된다.Conversely, even when the load suddenly decreas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generator rotation shaft 21 tends to increase. However, as the number of revolutions increases, the energy stored in the flywheel 36 increases. Therefore, A large part of the fuel is stored in the flywheel 36 and abrupt change of the rotational speed is prevented, and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is reduced by the role of the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output of the engine is balanced with the reduction of the load.

이런 과정에서 엔진 발전 시스템에는 발전기나 발전기 연결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센서의 신호를 받는 콘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이 콘트롤러의 지시신호에 따라 연료에 투입하는 연료의 양, 엔진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 엔진과 토크 안정화 장치 사이의 변속을 제어하는 변속기(미도시)를 조작하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엔진 발전 시스템은 기존의 엔진 발전 시스템의 요소들 및 그 작용을 기본적으로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들 요소나 작용은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process, the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sen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generator or generator connection shaft,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the fuel,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engine (per unit time), and the shift between the engine and the torque stabilization device. Of course, the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may have the elements of the existing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basically, and these elements and actions are already well known, so a separ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엔진 발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토크 안정화 장치(30)가 3개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엔진 동력축이 제1 토크 안정화 장치의 회전 입력축에, 제1 토크 안정화 장치의 회전 출력축이 제2 토크 안정화 장치의 회전 입력축에, 제2 토크 안정화 장치의 회전 출력축이 발전기 회전축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6 shows an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ree torque stabilizing devices 30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so that the engine power shaft is connected to the rotary input shaft of the first torque stabilizing device, the rotary output shaft of the first torque stabiliz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torque stabilizing device The rotary output shaft of the second torque stabilizer is connected to the rotary input shaft of the apparatus, and the rotary output shaft of the second torque stabilizer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rotary shaft.

이런 경우,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속도 혹은 회전수가 같아도 토크 안정화 장치가 2개이므로 플라이휘일에 저장되는 운동에너지도 개략 2배로 증가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토크 안정화 장치에서 플라이휘일의 관성 질량을 늘리는 것이 크기 증가와 설치장소 제한 등으로 어려울 때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를 규격화한 기성품으로 제작하여 쉽게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flywheel can be doubled, since the number of torque stabilizers is two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or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crankshaft is the same.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inertia mass of the flywheel is increased in one torque stabilizer,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size of the flywheel due to the increase of the size and the installation place, etc., the torque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s a standardized product and can be easily connected and used.

한편, 본 발명의 토크 안정화 장치(30)에서 플라이휘일 축(34), 회전 입력축(31a), 회전 출력축(31b)을 케이스(33) 벽체나 중간 벽체(33a, 33b)에 고정하는 경우, 이 고정부에서 축의 회전에 대한 저항이나 진동이 늘어나면 토크 안정화 장치를 통하면서 발생하는 기계적 손실을 늘일 수 있으므로 이들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B) 등의 회전 지지장치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ywheel shaft 34, the rotary input shaft 31a, and the rotary output shaft 31b are fixed to the case 33 and the intermediate walls 33a and 33b in the torque stabiliz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rotating support devices such as bearings (B) that support these shafts, since the resistance and vibration of the shafts in the fixed portion increase the mechanical loss caused by the torque stabilizer.

도7은 본 발명 시스템에서 하나의 토크 안정화 장치(30)에 복수 개의 발전기(20)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토크 안정화 장치(30)의 출력은 연결회전축(41)을 통해 복수의 발전기 회전축(21)으로 전달된다. 연결회전축(41)과 각 발전기의 회전축(21)은 수직으로 설치되며, 동력전달박스(43)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도시된다. 동력전달박스 내부에는 수직축의 동력전달에 사용되는 베벨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회전축(41)의 정해진 개소에는 베벨기어쌍의 일측 기어가 설치되고 연결회전축과 수직하게 베벨기어쌍의 다른 일측을 가진 발전기 회전축이 설치되어 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FIG. 7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generators 20 are connected to one torque stabilizer 30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ceive rotational force.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torque stabilizer 30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enerator rotary shafts 21 via the connection rotary shaft 41. The connection rotary shaft 41 and the rotary shaft 21 of each of the generators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receiv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box 43. Inside the power transmission box, a bevel gear used for power transmission on the vertical axis may be installed. That is, a gear of a pair of bevel gears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nection rotary shaft 41, and a generator rotation shaft having another side of the pair of bevel gears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connection rotation axis.

이런 여러 가지 발전기는 각각의 주파수나 전기 성질을 달리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작은 출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동일한 종류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일 수도 있다. 동력전달박스는 동력전달축과 개개의 발전기의 전기자축을 접속시키거나 탈착시키도록 조절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These various generators may be intended to produce power at different frequencies or electrical properties, or may be generators that produce multiple identical types of electricity with small outputs. The power transmission box may be adjustable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power transmission axis and the electrical axis of the individual generator.

이런 발전기 각각에 걸리는 부하는 결국 토크 안정화 장치를 통해 엔진에 연결되는 것이며, 이런 발전기의 착탈, 부하 변화가 토크 안정화 장치를 통해 완화되어 엔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부하의 심한 변화가 있어도 토크 안정화 장치에 저장된 기계적 운동에너지가 일차로 사용되면서 엔진의 부담을 낮추고 회전수가 떨어지는 추이에 따라 엔진에는 연료공급등이 조절되어 출력을 높이고, 점진적으로 부하에 대응하게 된다. The load on each of these generators is ultimately connected to the engine through a torque stabilizer. The detachment and load change of the generator is mitigated through the torque stabilizer to affect the engine. That is, even if there is a severe change in the load, the mechanical kinetic energy stored in the torque stabilizer is used first, thereby lowering the burden on the engine and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engine by controlling the fuel supply etc. do.

차량용 4기통 소형 디젤엔진과 10kw 발전기 12개를 연결한 실험에서 본 발명의 토크 균일화 장치가 없이 엔진과 발전기 연결축을 직접 연결하고 엔진 가동 후 발전기에 평균 70% 부하를 연결한 경우, 엔진 소음과 과열이 발생하고, 엔진의 운전 상태가 고르지 못함으로 인하여 연료 소모가 많아짐에 비해, 본 발명의 토크 균일화 장치를 엔진과 발전기 연결축 사이에 연결한 경우에는 부하 수시 변동에 일부 차이는 있지만 토크 균일화 장치가 없는 경우에 비해 20~30% 정도의 연료 효율 증가가 이루어지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In an experiment in which a 4-cylinder small-sized diesel engine and 12 10-kW generator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an engine and a generator connection shaft we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the torque equali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verage load of 70% was connected to the generator after the engine was started, When the torque equali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connecting shaf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fluctuation in load time, but the torque equalizing device The fue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bout 20 ~ 30%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the fuel efficiency.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엔진 11: 동력축
20: 발전기 21: 회전축 (발전기 회전축)
30: 토크 안정화 장치 31a: 회전 입력축
31b: 회전 출력축 33: 케이스
34: 플라이휘일 축 35a: 입력측 변속기
35b: 출력측 변속기 36: 플라이휘일
41: 연결회전축 43: 동력전달박스
10; Engine 11: Power shaft
20: generator 21: rotating shaft (generator rotating shaft)
30: torque stabilizer 31a: rotary input shaft
31b: rotation output shaft 33: case
34: flywheel shaft 35a: input side transmission
35b: output side transmission 36: flywheel
41: connecting rotation shaft 43: power transmission box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전을 실시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 토크 안정화 장치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토크 안정화 장치 각각은, 제1 외부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받아들이는 회전 입력축, 상기 회전 입력축의 회전수를 증가 변화시켜 플라이휘일 축에 전달하는 입력측 변속기, 상기 플라이휘일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플라이휘일, 상기 플라이휘일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수를 감소 변화시키는 출력측 변속기, 상기 출력측 변속기에서 회전력을 받아 제2 외부 회전축에 전달하는 회전 출력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
An engine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uel,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rotating the generator shaft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A plurality of torque stabilization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Each of the torque stabilization devices includes a rotation input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rotation shaft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an input side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input shaft to the flywheel shaft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on input shaft, An output side transmission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lywheel shaft and reduces the number of rotations; and a rotation output shaft tha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output side transmission and transfers the rotational speed to a second external rotational shaf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2개 이하의 실린더를 가진 내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ngine i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two or less cylinders.
KR1020140153629A 2014-11-06 2014-11-06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6000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29A KR101600011B1 (en) 2014-11-06 2014-11-06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29A KR101600011B1 (en) 2014-11-06 2014-11-06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011B1 true KR101600011B1 (en) 2016-03-08

Family

ID=5553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6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0011B1 (en) 2014-11-06 2014-11-06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0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528A (en) * 1992-10-13 1995-08-15 Bdm Internatl Inc Drive mechanism using flywheel
KR100221965B1 (en) 1995-12-31 1999-09-15 정몽규 Apparatus for changing speed in generator of automobile
US6024667A (en) * 1997-07-14 2000-02-15 Aft Atlas Fahrzeugtechnik Gmbh Power train with auxiliary aggregates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2001352606A (en) * 2000-06-09 2001-12-21 Takayuki Miyao Flywheel, battery, and energy storage driving method
KR100310951B1 (en) 1993-07-14 2001-12-28 스가누마노리유끼 Rotating body and machine using same
US20020167234A1 (en) * 2001-04-18 2002-11-14 Otto Farkas Standby power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528A (en) * 1992-10-13 1995-08-15 Bdm Internatl Inc Drive mechanism using flywheel
KR100310951B1 (en) 1993-07-14 2001-12-28 스가누마노리유끼 Rotating body and machine using same
KR100221965B1 (en) 1995-12-31 1999-09-15 정몽규 Apparatus for changing speed in generator of automobile
US6024667A (en) * 1997-07-14 2000-02-15 Aft Atlas Fahrzeugtechnik Gmbh Power train with auxiliary aggregates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2001352606A (en) * 2000-06-09 2001-12-21 Takayuki Miyao Flywheel, battery, and energy storage driving method
US20020167234A1 (en) * 2001-04-18 2002-11-14 Otto Farkas Standby pow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6896B2 (en) Genset control system implementing engine synchronization
CN101298247B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rotational posi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30233268A1 (en) Engine starting apparatus
CN106542072A (en) A kind of boat diesel engine thrust power module
CN104153817B (en) coaxial crankless engine
US20130328323A1 (en) Method and mechanism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70355258A1 (en) Hybrid Power System
KR20140110772A (en) Electromechanical damper
KR20100135653A (en) Nested Torsional Damper for Electric Machines
CN112639266A (en) Device for changing compression ratio,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working device
KR101600011B1 (en) engine generator system having apparatus for torque stabilization
JP2022505734A (en) Hybrid synchronous capacitor and power generator
EP3327310A1 (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sembly with engine balancing shafts using electric motors
CN221688466U (en) Electrical machine with axially displaceable rotor
EP2529969B1 (en) Motor generator
EP2250719B1 (en) Vibration dampening arrangement
US9140182B2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control system
WO2013013018A1 (en) Electro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GB2483866A (en) Electric generator apparatus for a fluid turbine arrangement
US10100900B2 (en) Engine balance assembly using electric motors
WO2010037663A3 (en) Hybrid drive system
WO2008063612A3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multiple generators and/or inverters
CN110870179B (en) Vehicle propulsion system
KR101619707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HEV
RU208716U1 (en) Asynchronous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