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9612B1 -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 Google Patents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12B1
KR101599612B1 KR1020140061158A KR20140061158A KR101599612B1 KR 101599612 B1 KR101599612 B1 KR 101599612B1 KR 1020140061158 A KR1020140061158 A KR 1020140061158A KR 20140061158 A KR20140061158 A KR 20140061158A KR 101599612 B1 KR101599612 B1 KR 10159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ap
cylinder
j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160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4006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포이드파이프 상부에 형성되어진 실린더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이 내용물배출버튼에 설치되어 있고, 용기의 제어턱에 대하여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의 레버를 누름버튼으로 눌러 상기 용기의 제어턱을 벗어나게 하면 실린더의 플랜지가 용기의 개구부에 압박되어 가해졌던 압박감이 해소되어지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가 하향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실린더내의 흡입력에 의해 스포이드파이프 내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빨아들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container cap usable quantitative absorbing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을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스포이드파이프의 내부로 빨아들여 정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용기캡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 불량 없이 내용물을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스포이드(spoid)라 함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진공의 힘으로 흡입하였다가 원하는 위치로 다시 토출시켜 내용물을 옮기기 위한 분급(分給)수단의 기구로서, 각종 실험실이나 의료기관 등에서 실험액, 약품 등을 분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되어지는 스포이드는 내용물을 유실을 최소화하면서 정량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금에 이르러서는 에센스 또는 아이크림이나 노화 및 주름살방지제 등과 같은 고기능성 화장품은 대개 내용액이 고가이고, 또 포장 단위가 소량이어서 이를 수용하는 기존의 화장품 용기 또한 콤팩트한 사이즈가 대부분이며, 용기의 구조 또한 단순히 용기와 마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유출공을 통해 내용액을 손에 묻혀 해당 피부에 바르게 되는 것으로 이는 토출량의 조절이 어렵고, 손에 묻어 낭비되는 양만큼 고가의 내용액이 손실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포이드(spuit) 방식으로 내용액을 추출하여 해당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로는 선등록발명 제10-1202092호의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가 있다.
상기 선등록발명은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연결플랜지(11)가 형성된 긴 관형상의 스포이드 파이프(10)와;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돔형상부(21)가 형성되며 중앙 외주면은 접철 가능한 주름(22)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10)의 연결플랜지(11)의 외주면에 하부 개구가 삽입 연결된 자바라(20)와; 하부는 개구면(31)이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자바라(20)의 돔형상부(21)의 상면을 커버하는 볼록한 형상면(32)을 갖는 버튼(30)과; 상기 버튼(30)의 하부 개구면(31)과 하부에서 접촉 및 이격되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면(41)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10)의 연결플랜지(1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된 상하가이드(40)와; 상기 상하가이드(40)의 하부에서 접촉 및 이격되고, 화장품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내캡(50)과; 상기 버튼(30), 상하가이드(40) 및 내캡(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상기 버튼(30)의 볼록한 형상면(31)만 돌출되도록 내측 외주면으로 내측 걸림돌기(61)가 형성되고, 개구된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캡(5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내주 결합돌기(62)가 형성된 외캡(6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드옥발명은 버튼이 눌려짐에 의해 상하이동 하는 상하가이드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간격을 제한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를 통해 화장품액이 정량씩 토출되도록 하여 과도한 사용에 의한 화장품의 낭비를 없애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반면, 자바라(20)에 의해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구조이어서 오랜시간 사용할 경우, 복원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내용물의 정량인출이 불가능해 질 뿐만 아니라, 자바라가 고무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사용지역 열대지방이거나, 보관장소에 따라 내용물의 변질 우려가 내포되어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선등록발명의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의 용기캡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용물의 흡입방식을 피스톤 방식으로 대체함에 따라 내용물의 안정적 정량 사용이 가능해 졌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안정된 반발력으로 내용물배출버튼의 작동 불량 없는 사용이 가능해 졌으며, 내용물이 고무재와 접촉되어지는 것을 해소함에 따라 열대지방과 같이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 변질의 우려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정량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스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캡에 있어서,
스포이드파이프 상부에 형성되어진 실린더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이 내용물배출버튼에 설치되어 있고, 용기의 제어턱에 대하여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갈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의 레버를 누름버튼으로 눌러 상기 용기의 제어턱을 벗어나게 하면 실린더의 플랜지가 용기의 개구부에 압박되어 가해졌던 압박감이 해소되어지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가 하향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실린더내의 흡입력에 의해 스포이드파이프 내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빨아들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캡은 용기의 내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포이드파이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지고, 용기 개구부로 얹혀지는 플랜지를 하부로 구비하며, 상부가 확관되어 스프링의 하단이 지지되어지는 확관턱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와 확관턱 사이에는 내캡의 활동공간에서 활동되어지는 활동플랜지를 구비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위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이 조립봉에 관삽입 조립형성되어 있고, 외측테주리벽 하단에는 내캡의 상부 걸림턱이 걸림되어지는 걸림단턱이 확관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배출버튼과;
상기 내용물배출버튼의 걸림단턱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이 상부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의 개구부 외측면으로 형성된 제어턱에 걸림되어지는 제어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레버를 포함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캡의 레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은, 스포이드파이프(20) 상부에 실린더(110)가 내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고, 이 실린더(110) 내부에 스프링(125)의 반발력을 받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체결되어 연동하도록 된 피스톤(121)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121)은 내캡(130)의 레버(133)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의 제어턱(220)에서 해정되면 용기(200)의 개구부(210)에 압박되어 있는 실린더(110)의 플랜지(111)가 압박감에서 해소되어져 상기 피스톤(121)을 내로로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10)가 스프링(125)의 반발력에 의해 하향 이동을 하면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용기(200)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로 빨려들도록 한 것으로써, 내용물의 흡입방식을 피스톤 방식으로 대체함에 따라 내용물의 안정적 정량 사용이 가능해 졌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안정된 반발력으로 내용물배출버튼의 작동 불량 없는 사용이 가능해 졌으며, 내용물이 고무재와 접촉되어지는 것을 해소함에 따라 열대지방과 같이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 변질의 우려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포이드파이프를 가지는 용기캡.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을 포함하는 용기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의 누름버튼을 누른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실린더가 작동되어어 내용물이 흡입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의 스포이드파이프에 내용물이 흡입된 상태의 용기캡을 분리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의 스포이드파이프로 빨아들인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10)은, 스포이드파이프(230)의 상부로 형성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용기(200)로부터 용기캡(100)을 해정과 잠김 상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캡(130) 및 내캡(130)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는 외캡(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110)는 용기(200)의 내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포이드파이스(23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진다.
상기 용기(200) 개구부(210)로 얹혀지는 플랜지(111)를 하부로 구비하며, 상부가 확관되어 스프링(125)의 하단이 지지되어지는 확관턱(11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11)와 확관턱(112) 사이에는 내캡(130)의 활동공간(131)에서 상하로 활동되어지는 활동플랜지(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실린더(110)에 흡입력을 생산하는 내용물배출버튼(120)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로 위치하여 흡입력을 생산시키는 피스톤(121)이 조립봉(122)에 관삽입 조립형성되어 있고, 외측테주리벽(123) 하단에는 내캡(130)의 상부 걸림턱(132)이 걸림되어지는 걸림단턱(124)이 확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내캡(130)은 내용물배출버튼(120)의 걸림단턱(124)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132)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에는 용기(200)의 개구부(210) 외측면으로 형성된 제어턱(220)에 걸림되어지는 제어걸림턱(134)을 포함하는 레버(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캡(1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실린더(110)의 활동플랜지(113)가 활동되어지는 활동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내캡(130)의 레버(133)는 탄성스냅경첩(135)을 매개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내캡(130)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는 외캡(140)은 레버(133) 상부를 눌러주는 상기 내캡(130)의 레버(133)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누름버튼(14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100)을 이용하여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사용 할 때에는 용기캡(100)이 용기(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캡(140)을 구성하는 누름버튼(141)을 아래쪽을 눌러 내캡(130)의 레버(133) 상부를 눌러준다.
상기와 같이 누름버튼(141)을 눌러 내캡(130)의 레버(133)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의 제어턱(220)으로부터 벗어나면, 용기(200)의 개구부(111)에 압박되어 있던 실린더(110)의 플랜지(111)가 압박감으로부터 해소되어진다.
따라서,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실린더(110)의 확관턱(112)사이로 설치되어진 스프링(125)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110)가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가 하향 이동을 할 때 내용물배출버튼(120)의 조립봉(122)과 연결조립된 피스톤(121)에 의해 실린더(1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용기(2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부로 흡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도 5, 도 6참조)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부로 내용물이 흡입 되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용기캡(100)을 용기(20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해낸 후 스포이트파이프(230)내의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
도7은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상태의 예로써, 내용물배출버튼(120)를 눌러주면, 피스톤(121)이 실린더(110) 내에서 하향 이동하면서 스포이드파이프(230) 내의 내용물을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전술한 과정을 통해 인출 사용을 한 후, 용기캡(100)의 내캡(130)를 구성하는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 개구부(210)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어턱(220)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눌러주면 도3에서와 같이 제어걸림턱(134)이 제어턱(220)을 넘어서 걸림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후 용기(200)에 용기캡(100)을 안전하게 장착 보관하였다가 지속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0 : 용기캡 110 : 실린더
111 : 플랜지 113 : 활동플랜지
120 : 내용물배출버튼 121 : 피스톤 122 : 조립봉 123 : 외측테두리벽 124 : 걸림단턱 125 : 스프링 130 : 내캡 131 : 활동공간
132 : 걸림턱 133 : 레버 134 : 제어걸림턱 135 : 탄성스냅경첩 140 : 외캡 141 : 누름버튼

Claims (2)

  1.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정량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스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캡(100)에 있어서,
    스포이드파이프(230) 상부에 형성되어진 실린더(110)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121)이 내용물배출버튼(120)에 설치되어 있고, 용기(200)의 제어턱(220)에 대하여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130)의 레버(133)를 누름버튼(141)으로 눌러 상기 용기(200)의 제어턱(220)을 벗어나게 하면 실린더(110)의 플랜지(111)가 용기(200)의 개구부(210)에 압박되어 가해졌던 압박감이 해소되어지면, 스프링(125)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110)가 하향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실린더(110) 내의 흡입력에 의해 스포이드파이프(230)내로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빨아들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100)은 용기(200)의 내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포이드파이스(23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지고, 용기(200) 개구부(210)로 얹혀지는 플랜지(111)를 하부로 구비하며, 상부가 확관되어 스프링(125)의 하단이 지지되어지는 확관턱(112)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111)와 확관턱(112) 사이에는 내캡(130)의 활동공간(131)에서 활동되어지는 활동플랜지(113)가 구비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로 위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121)이 조립봉(122)에 관삽입 조립형성되어 있고, 외측테두리벽(123) 하단에는 내캡(130)의 상부 걸림턱(132)이 걸림되어지는 걸림단턱(124)이 확관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상기 내용물배출버튼(120)의 걸림단턱(124)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132)이 상부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200)의 개구부(210) 외측면으로 형성된 제어턱(220)에 걸림되어지는 제어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는 레버(133)를 포함하는 내캡(130)과;
    상기 내캡(130)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캡(130)의 레버(133)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누름버튼(141)을 포함하는 외캡(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KR1020140061158A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Active KR101599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158A KR101599612B1 (ko)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158A KR101599612B1 (ko)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160A KR20150134160A (ko) 2015-12-01
KR101599612B1 true KR101599612B1 (ko) 2016-03-14

Family

ID=5488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158A Active KR101599612B1 (ko)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62B1 (ko) * 2020-02-28 2020-09-07 주식회사대경피앤씨 누액방지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301490B1 (ko) 2020-03-16 2021-09-13 주식회사 탭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1965B2 (ja) * 2019-05-23 2023-05-2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付け替え容器
WO2023169180A1 (zh) * 2022-03-11 2023-09-14 赫蕾雪(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打开的滴管式容器
KR102765704B1 (ko) * 2023-07-10 2025-02-1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자동 충전식 스포이트형 화장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890A (ja) 2004-08-19 2006-03-30 Mitsubishi Pencil Co Ltd 化粧料容器
KR101215420B1 (ko) 2011-06-30 2012-12-26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JP2013544608A (ja) 2010-12-09 2013-12-19 ロレアル 化粧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38Y1 (ko) * 2010-10-21 2012-11-15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890A (ja) 2004-08-19 2006-03-30 Mitsubishi Pencil Co Ltd 化粧料容器
JP2013544608A (ja) 2010-12-09 2013-12-19 ロレアル 化粧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1215420B1 (ko) 2011-06-30 2012-12-26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62B1 (ko) * 2020-02-28 2020-09-07 주식회사대경피앤씨 누액방지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301490B1 (ko) 2020-03-16 2021-09-13 주식회사 탭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160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12B1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US9004317B2 (en) Product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sterile filter bottle which is equipped with a nozzle
US9427064B2 (en) Liquid dropper allowing quantitative withdrawal, and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87644Y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1785716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2013523537A (ja) 2元的に活性化されるアクチュエータキャップ
KR101663927B1 (ko)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US20180141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filling a bottle with liquid
CN101346157A (zh) 带有针头保护帽的具有内、外套管的自动注射装置
CN109070122B (zh) 用于分配流体产品的装置
KR101589677B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KR101387624B1 (ko)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JP2020015557A (ja) 流動性材料を分注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
KR101533716B1 (ko)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US20080302828A1 (en) Product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Sterile Filter Bottle Which is Equipped with a Nozzle
KR100849356B1 (ko) 밀폐형 펌프디스펜서
CN214650358U (zh) 一种盖组件及包括其的滴管组件和容器系统
JP4772419B2 (ja) 液体吐出装置
KR20150134159A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