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8985B1 - 산사태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산사태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985B1
KR101598985B1 KR1020140082533A KR20140082533A KR101598985B1 KR 101598985 B1 KR101598985 B1 KR 101598985B1 KR 1020140082533 A KR1020140082533 A KR 1020140082533A KR 20140082533 A KR20140082533 A KR 20140082533A KR 101598985 B1 KR101598985 B1 KR 10159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lide
wire
detection sensor
turned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100A (ko
Inventor
백인경
Original Assignee
백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경 filed Critical 백인경
Priority to KR102014008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9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9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 경보 장치는 일단부가 고정되어 산사태 감시구역을 가로질려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상기 산사태 감시 구역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를 지표면에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구 상기 산사태 감기구역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장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온(on)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산사태의 발생 사실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산사태의 발생 사실을 외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사태 경보 장치{LAND SLIDE ALA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산사태를 경보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태 발생 구역에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절연체를 통해 연결된 접점 센서를 통해 토석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토석류의 발생시 해당 구역을 재해 통제센터에 알리거나 경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산사태를 감시할 수 있는 산사태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지진이나 태풍, 호우, 폭설과 우박, 낙뢰와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로 매년 평균 2조원에 가까운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으며 대부분의 피해는 6~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전체 피해의 75% 이상이 호우와 태풍에 의해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유형도 인명피해는 물론이고 대형구조물의 전도나 범람, 중대형 사면붕괴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태풍의 거동은 봄과 겨울철에는 일본 이남의 태평양에서 모두 동측으로 선회하는 진로를 보이고 있으나 여름철에 다가오면서 북상하며 7월과 8월에 이르면 한반도를 관통하고 지나가는 숫자가 많아지며 가을로 접어들며 다시 남측으로 선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매년 강화되고 있는 설계기준으로 인하여 구조적ㅇ공학적인 문제점은 감소하고 있으나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자연재해의 피해규모와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므로 과거의 기상 통계치를 중심으로 한 재해의 특성이나 방재계획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매년 발생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대규모 재해에 대한 분석과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사태란 다량의 암석, 쇄설 물질, 토사 등이 급격하게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암석의 구조와 구성물질의 응집력, 비탈면의 구배, 함수량, 상대적인 이동률, 구성물질의 차 등 많은 변수에 의해 낙석과 전도 및 활동과 퍼짐 그리고 흐름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토와 암석이 중력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을 중력사면이동이라 하며 미끄럼사태와 슬러리류, 입상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퇴적물이물과 혼합하여 혼합물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슬러리류라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흙과 암편들이 물과 혼합되어 비탈면과 계곡을 따라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표토층(풍화토층)이 강우로 포화되어 빠른 속도로 중력방향으로 낙하ㅇ이동하는 산사태를 토석류라 정의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집중적인 호우나 태풍으로 인한 다양한 재해유형 중 산악지형을 중심으로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집중 강우와 집수지형적 원인에 의해 빨라진 유속으로 세립분 유실이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밀도류흐름의 증가에 의한 세굴 등으로 유출량이 증가하여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정확한 메카니즘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토석류는 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특징으로 모래보다 큰 입자를 크게 포함하고 있어 미고결층(표층)을 파괴하는 경향이 있으며 평지로 나오면 정지하여 혀 모양의 퇴적물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산지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예방보다는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산사태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사전에 산사태 예상 지역 및 위험 지역을 미리 예측하고, 관측함으로써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세운다면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산사태 발생 징후의 파악을 위해 산 경사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지 경사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산사태를 정확하게 측정, 예측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토석류 산사태의 경우, 산사태의 정확한 발생 위치와, 속도를 아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토석류 발생이나 선로 붕괴 등의 붕락 사고 발생을 초기에 감지하여 그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산사태 경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산사태를 감지하고 예보하는 장치의 경우 경사면 표면의 토사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는 기본적 사상을 하고 있는데, 산에서 야생 동물의 움직임이 산사태로 오인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토석류 발생 구역에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절연체를 통해 연결된 접점 센서를 통해 토석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토석류의 발생시 해당 구역의 정보를 재해통제센터로 송신하거나 경고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토석류 발생을 감시하여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산사태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로 산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산사태를 경고할 수 있도록 하고, 산사태가 아닌 야생동물 등의 움직임이 산사태로 오인되지 않도록 경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산사태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사태 경보 장치는 일단부가 고정되어 산사태 감시구역을 가로질려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상기 산사태 감시 구역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를 지표면에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구 상기 산사태 감기구역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장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온(on)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산사태의 발생 사실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산사태의 발생 사실을 외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산사태 경보 장치는, 두개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에 연결된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들 모두가 온으로 될 때에만 산사태 발생 사실의 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상기 파워 서플라이, 상기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는 직렬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감지 센서는 중간에 소정 간격의 관통홈이 형성된 비도전성 고정펙 상기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관통홈에 설치되어 이격된 한 쌍의 전기통전부 상기 한 쌍의 전기통전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도전체 및 상기 와이어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는 상기 도전체에 연결되되 타측 단부는 고정점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도전성 고정펙은 상기 전기통전부 하측에 상기 비도전성 고정펙을 지면에 고정할 때 지면에 삽입되는 지면 삽입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관통홈은 상기 도전체가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는 것을 허여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에 따라면, 토석류 발생 예상 지역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토석류 발생시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절연체를 포함하는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보다 간단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토석류 발생을 초기에 감시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에 따르면, 평상시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로 차단되어 상기 산사태 경보 장치는 파워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산사태 발생시 상기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로 차단되어 있던 도전체 간에 연결 도전체가 위치하여 상기 접점 센서가 접점 온되어 상기 산사태 경보 장치가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에너지 자원 소비만으로도 붕락사고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실제 산사태가 발생하지는 않고 야생동물의 움직임이 산사태로 오인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산사태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에 따르면, 토석류 및 선로 붕괴 등의 붕락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상기 경보 신호만으로도 상기 산사태가 발생한 구역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에 따르면, 토석류 발생 등의 산사태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구역을 재해관리센터의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신소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사실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사태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감지 센서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산사태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사태 경보 장치는 산사태 발생 여부를 감시해야 하는 산사태 감시구역(10)에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설치부(150)와 상기 와이어 설치부(150)의 와이어의 인장력에 의해 산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스위치 박스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치 박스부(110)는 상기 와이어 설치부(150)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w1 내지 wn)에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s1 내지 sn) 및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박스부(110)는 경고신호 발생부(114) 및 통신부(116)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고신호 발생부(114)와 상기 통신부(116)는 다수의 상기 스위치 박스부들에 대하여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w1 내지 wn), 즉 제 1 와이어(w1), 제 2 와이어(w2), 제 3 와이어(w3) 내지 제 n 와이어(wn)는 산사태 감시 구역(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산사태 감시 구역(10)은 토석류 발생 구역이나 선로 구역 등 붕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산사태 감시 구역(10)이 주로 토석류 발생 구역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w1, w2, w3, …, wn)들은 경사진 상기 산사태 감시 구역(10)에서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되, 각각의 와이어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산의 아래 방향으로 산의 윗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w1, w2, w3, …, wn)들은 산사태 감시 구역(10)의 경사진 표토 상에 배치되는 것 보다는 표토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기 와이어들을 들어올려 지지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구(152)에 의해 지지되어 연장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구(152)의 하단부는 표토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구(152)의 상단부에는 상기 와이어들이 관통하여 통과할 있는 고리부가 형성된다.
제 1 와이어(w1) 내지 제 n 와이어(wn)는 각각 제1 측단이 선정된(predetermined) 고정지점(f1, f2, f3, …, fn)에 고정되고 제2 측단이 감지 센서(s1, s2, s3, …, sn)에 각각 연결되도록 산사태 감시 구역(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의 제1 측단이 고정되는 상기 고정지점(f1, f2, f3, …, fn)은 와이어가 산사태 감시 구역을 충분히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와이어(w1)의 제1-1 측단(도면상에 우측 측단)은 제 1 와이어(w1)가 산사태 감시 구역(10)의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와이어(w2)의 제2-1 측단(도면상에 우측 측단)은 제 2 와이어(w2)가 산사태 감시 구역(10)의 중앙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n 와이어(wn)의 제n-1 측단(131)은 제 n 와이어(wn)가 산사태 감시 구역(10)의 하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설치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의 판단에 따라 와이어가 산사태 발생의 영향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등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제2 측단(도면상 좌측 측단)은 감지 센서(s1, s2, s3, …, sn)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와이어(w1)의 제1-2 측단은 제1 감지 센서(S1)의 제1 도전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와이어(w2)의 제2-2 측단은 제2 감지 센서(S2)의 도전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n 와이어(wn)의 제n-2 측단은 제n 감지 센서(sn)의 제n 절연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산사태 감시 구역(10)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와이어(w1 내지 wn)는 상기 산사태의 영향으로 인해 각각의 와이어의 제2 측단(즉, 좌측 측단)에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인장력으로 인해 제2 측단에 각각 연결된 도전체(s1_126)가 각 감지 센서(s1)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게 된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s1, s2, s3, …, sn)는 도전체(220)를 통해 와이어(w1, w2, w3, …, wn)와 연결된다. 와이어(w1, w2, w3, …, wn)는 제2 측단이 도전체(s1_126)와 연결되고 제1 측단은 산사태 감시 구역(50)을 기준으로 감지센서의 위치로부터 산사태 감시 구역(10)의 건너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와이어(w1, w2, w3, …, wn)가 산사태 감시 구역(10)을 가로질러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는 예시적으로 제 1 감지 센서(s1)이 도시되는데, 나머지 감지 센서들도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 1 감지 센서(s1)는 중앙에 소정의 폭(d1)을 가진 홈을 구비한 고정펙(s1_120)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펙(s1_120)은 헤더부(S1_122) 및 상기 헤더부의 하측에서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부(S1_124)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레그부(S1_124)에는 각각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통전부는 각각 소정의 높이(d3)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전기 통전부에 감겨지는 코일은 촘촘하게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그부(s1_124)의 하측에는 소정의 높이(d2)로 된 표토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표토 삽입부는 표토에 쉽게 박혀지도록 그 하측으로 갈수록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펙(s1_120)은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전체(s1_126)는 상기 상기 고정펙(s1_120)의 한 쌍의 레그부(s1_124) 사이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그 일측 단부에 와이어(w1)에 연결된다. 상기 도전체의 타측에는 고정점(s1_128)에 연결된 탄성 부재(s1_127), 예를 들어 용수철 스프링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체(s1_126)는 상기 와이어(wn)에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고정펙(s1_120)의 한 쌍의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를 향해 이동하게 되어 결국 전기통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데, 즉 온(on) 상태가 된다.
상기 와이어의 인장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s1_12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전체(s1_12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도전체(s1_126)은 와이어(wn)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도면상에서 오른쪽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더라도 상기 고정펙(s1_120)의 홈의 소정 간격(d1)보다 큰 직경(d4)를 가지거나 선택적으로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전체(s1_126)가 상기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에 접촉한 이후에는 홈을 통과하지 않고 걸리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s1)에서 탄성부재(s1_127)의 수축력이 와이어(wn)의 인장력보다 더 크다면, 상기 도전체(s1_126)는 고정펙(s1_120)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는 서로 단선된 상태로 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산사태 감시 구역(10)에서 토석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토석류로 인하여 와이어(w1, w2, w3, …, wn)에 힘이 가해지면서 와이어(230)는 도전체(s1_126)를 와이어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와이어(wn)의 상기 인력으로 인해 도전체(s1_126)는 도 2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감지 센서(s1)의 고정펙(s1_120)의 한 쌍의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전체(s1_126)가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 감지 센서(s1)는 접점 온 상태가 된다.
하나의 감지 센서(s1)만 구비된다면, 상기 감지 센서가 접점 온 상태가 되면서 산사태 경보 장치 또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산사태 경보 장치는 평상시 파워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산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감지 센서(s1)의 고정펙(s1_120)의 한 쌍의 전기통전부(s1_125a, s1_125b)에 도전체(s1_126)가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전기통전부들이 서로 통전되면 감지 센서(s1)가 접점 온 상태가 되면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 복수개의 감지 센서가 구비될 경우, 실제 산사태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동물이 걸려서 와이어가 당겨지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는 이러한 경우 산사태가 발생한 것과 구별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산사태 경보 장치는 두개 이상의 와이어(w1, w2)를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에 연결된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s1, s2)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들 모두가 온으로 될 경우에만 산사태 발생 사실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만일 도 3과 같이 제 1 감지 센서(s1)에서 도전체(s1_126)가 제 1 와이어(w1)의 인장력에 의해 탄성부재의 수축력을 이기고 고정펙(s1_120)의 한 쌍의 전기통전부에 접촉하게 되어 전기통전부간에 통전이 되어 온 상태로 되었지만, 제 2 센서부(s2)에서는 제 2 와이어(w2)가 당겨지지 않게 제 2 센서부는 오프 상태로 된 경우, 이는 산사태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가 모두 당겨지는 상태가 아니므로 산사태로 판단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워 서플라이(113), 상기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s1, s2)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감지 센서의 그룹을 감지 그룹이라고 할 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감기 그룹들은 와이어가 당겨진 감기 그룹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감지 센서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모든 감지 센서가 접점 온 된 경우, 감기 센서들에 연결된 제어부(112)는 산사태 발생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경고신호 발생부(114)는 상기 제어부의 산사태 발생 정보에 따라 사이렌과 같은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2)의 산사태 발생 정보는 상기 제어부(112)에 연결된 통신부(116)를 통하여 유무선의 방식으로 재해통제센터 등에 통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2)는 산사태 발생 정보를 통신부(116)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 서버는 산사태 경보 장치(100)나 산사태 감시 구역(10)과는 원거리에 위치한 운영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6)는 상기 외부 서버와 이동통신망, PSTN 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통신 인프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널리 구축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 자원만으로도 산사태 발생을 감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별도의 촬영부가 구비되어, 제어부(112)가 산사태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구역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산사태 감시 구역
w1, w2, w3, …, wn : 와이어
150: 와이어 설치부
152: 와이어 고정구
110: 산사태 감시부
112: 제어부
114: 경고신호 발생부
116: 통신부
s1, s2, s3, …, sn: 감지 센서

Claims (7)

  1. 일단부가 고정되어 산사태 감시구역을 가로질려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상기 산사태 감시 구역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를 지표면에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구,
    상기 산사태 감시구역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장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온(on)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및
    상기 감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on)되면 산사태의 발생 사실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센서는 중간에 소정 간격의 관통홈이 형성된 비도전성 고정펙,
    상기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관통홈에 설치되어 이격된 한 쌍의 전기통전부,
    상기 한 쌍의 전기통전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도전체, 및
    상기 와이어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는 상기 도전체에 연결되되 타측 단부는 고정점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산사태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에 연결된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들 모두가 온으로 될 경우에만 산사태 발생 사실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경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 상기 두개 이상의 감지 센서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경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고정펙은 상기 전기통전부 하측에 상기 비도전성 고정펙을 지면에 고정할 때 지면에 삽입되는 지면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경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도전체가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는 것을 허여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경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온되면 산사태의 발생 사실을 외부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경보 장치.
KR1020140082533A 2014-07-02 2014-07-02 산사태 경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9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33A KR101598985B1 (ko) 2014-07-02 2014-07-02 산사태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33A KR101598985B1 (ko) 2014-07-02 2014-07-02 산사태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00A KR20160004100A (ko) 2016-01-12
KR101598985B1 true KR101598985B1 (ko) 2016-03-14

Family

ID=5517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5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8985B1 (ko) 2014-07-02 2014-07-02 산사태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490A (zh) * 2019-05-28 2019-09-10 成都理工大学 一种基于预警等级判断岩质斜坡稳定性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4203A (zh) * 2016-10-04 2018-04-10 刘威孝 一种山体形变感应单元、感应网及报警系统
KR102372959B1 (ko) * 2020-09-04 2022-03-11 롯데건설 주식회사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비탈면 모니터링 방법
CN118629158A (zh) * 2024-05-17 2024-09-1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山体滑坡警报装置及其工作方法
CN119984135B (zh) * 2025-04-14 2025-06-27 四川川核地质工程有限公司 滑坡伸缩仪、地灾监测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15Y1 (ko) * 1998-03-20 2001-02-01 윤선업 경사면 붕괴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490A (zh) * 2019-05-28 2019-09-10 成都理工大学 一种基于预警等级判断岩质斜坡稳定性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00A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985B1 (ko) 산사태 경보 장치
JP7593923B2 (ja) 水文地質学的リスク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40807B1 (ko) 스마트 사면붕괴 경보장치
CN203838856U (zh) 一种铁路路基设备监控预警系统
CN102227118A (zh) 输电杆塔的防护方法和系统
CN101826247A (zh) 泥石流监测预报预警系统
CN209000186U (zh) 一种露天煤矿边坡滑坡防护报警装置
KR102155529B1 (ko) 터널 선행침하 경보장치
CN105185012A (zh) 一种电网地下管线设施安全预警系统
KR101071067B1 (ko) 진동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지 시스템
TWI416438B (zh) 用於感測泥石流的擺動型設備及其感測泥石流的方法
CN106887117A (zh) 一种泥石流监测预警系统
CN103267977A (zh) 地下工程围岩灾害全时段间隔激发极化监测方法
KR20160038596A (ko) 도로상 또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비하는 방법
JP2009265030A (ja) 自然災害発生検知システム
CN101858987A (zh) 基于全方位倾斜传感器的塌方监测装置
CN103112479A (zh) 面向铁路防灾的并行异物侵限监测系统
CN106875623A (zh) 国土资源监控方法
CN206833670U (zh) 山洪断线报警监测装置
KR101657214B1 (ko) 뇌운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이 구비된 교량
JP3095629B2 (ja) 地すべり検知装置
KR100975074B1 (ko) 붕락발생 감시장치
JPS6160208B2 (ko)
CN205140140U (zh) 一种城市公共井盖智能监控系统
van der Aa et al. Automatic moisture content measuring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time domain reflectometry used in road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