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8852B1 -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852B1
KR101598852B1 KR1020150021812A KR20150021812A KR101598852B1 KR 101598852 B1 KR101598852 B1 KR 101598852B1 KR 1020150021812 A KR1020150021812 A KR 1020150021812A KR 20150021812 A KR20150021812 A KR 20150021812A KR 101598852 B1 KR101598852 B1 KR 10159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ethernet
input
address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이경오
이상훈
강지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2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8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는, 입력되는 프로토콜에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프로토콜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를 변환시키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INTEGRATION GATEWAY FOR WARSHIP NETWORK}
본 발명은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프로토콜 통합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함정 네트워크는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에서 IEC61162를 함정의 표준 프로토콜로 제시하고 있다. 전투함정에는 이러한 IEC61162 프로토콜을 사용한 여러 표준이 혼용되어 있는데, 시리얼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IEC61162-1를 시작으로 전송 속도를 4,800bps로 지원하는 IEC61162-2, CAN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IEC61162-3, 이더넷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IEC61162-4, IEC61162-450 등이 사용되고 있다.
다시 분류를 하면, IEC61162 표준에서는 시리얼, CAN, 이더넷의 세 가지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여러 가지의 프로토콜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프로토콜과 다른 메시지를 이용한 복잡한 통신 방식은 네트워크 기기 간 호환성을 저해하고 실시간 정보교환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함정에서는 시리얼, CAN, 이더넷의 세 가지 방식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혼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센서, 레이더 등과 같이 함정에 있는 대부분의 무기체계나 장비들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시리얼의 경우 보통 1:1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통합되지 못하고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체 네트워크 구조가 복잡해지고 네트워크 트래픽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어려우며, 네트워크 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변환시킴에 따라, 함정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는, 입력되는 프로토콜에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프로토콜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를 변환시키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 생성부는, 입력되는 시리얼 프로토콜의 포트 넘버에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시리얼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하고, 상기 가상 IP 주소와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기 설정된 헤더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시리얼 프로토콜의 포트 번호가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시리얼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 생성부는, 입력되는 CAN 프로토콜의 CAN ID에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CAN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가상 IP 주소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기 설정된 헤더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CAN 프로토콜의 CAN ID가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CAN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에서의 통합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게이트웨이에 의하면, 가상 IP 주소를 통하여 IP 주소 기반인 이더넷 프레임으로 모든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IP 주소를 활용하는 이더넷 이외의 시리얼, CAN 프로토콜은 룩업 테이블을 정의해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다른 게이트웨이와 함께 룩업 테이블을 공유하기 때문에, 기존 장비들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프로토콜을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를 설계하였을 때, 네트워크의 대부분을 유지하면서 통합하여야 할 위치에 해당 장비만을 교체하여 전체 네트워크를 쉽게 통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합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하나의 백본 네트워크 망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고, 전체 네트워크 관리 측면에서도 보다 유리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더넷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이더넷 기반으로 변환될 CAN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이더넷 기반으로 변환될 시리얼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변환된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다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설명한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변환된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다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CAN 프로토콜과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 변환을 수행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시리얼 프로토콜과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 변환을 수행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네트워크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함정에서는 시리얼, CAN, 이더넷의 세 가지 방식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혼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는 이와 같이 혼재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진 장비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전체 네트워크 구조가 복잡해지고 네트워크 트래픽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어려우며, 네트워크 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는 이더넷 기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통합 게이트웨이에 의하면, 다양하고 복잡한 전투함정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하나의 이더넷 기반 프로토콜로 통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토콜 상호 간을 연결해주는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2종 이상의 네트워크가 하나의 망으로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는 IP 주소를 통해, CAN 기반의 네트워크에서는 CAN ID를 통해 기기를 식별하여 통신 가능하다. 한편, 시리얼 통신의 경우에는 1:1 또는 1:N의 단방향 통신으로 직접 케이블이 연결된 고유 대상에게 전송되어, 기기 간 식별자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이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마다 기기의 식별방법과 전송하는 프레임의 형식 차이를 서로 호환시킬 수 있다.
이더넷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있는 장비가 시리얼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있는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고 있는 장비와 시리얼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고 있는 장비를 가리킬 수 있는 공통된 형식의 식별자가 필요하다. 이더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는 이미 IP 주소라는 식별자를 가지므로, 시리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에 같은 형식의 식별자를 할당해준다.
이를 위해, 통합 게이트웨이의 각 시리얼 포트 당 서로 겹치지 않는 가상 IP 주소를 할당해주고, 포트-가상 IP 주소 쌍을 룩업 테이블로 관리한다. 이더넷과 연결된 장비에서는 특정 시리얼 장비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이 가상의 IP 주소로 보내게 되며, 통합 게이트웨이에 도착한 메시지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포트에 있는 장비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장비가 통합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었을 때 다른 통합 게이트웨이의 룩업 테이블에 있는 가상 IP 주소와 겹치지 않도록, 각 포트에 가상 IP 주소를 할당해 통합 게이트웨이에 보내주어, 해당 게이트웨이의 가상 IP 주소와 시리얼의 식별자인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룩업 테이블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CAN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는 장비 또한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는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호환될 수 있는 공통적인 식별자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리얼-이더넷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더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는 IP 주소를 식별자로 그대로 사용하고, CAN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에만 새로운 가상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CAN 네트워크는 주소 버스(Bus)형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지니며, 각 기기는 CAN ID가 할당되어 있어 CAN 네트워크에서는 CAN ID가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의 룩업 테이블은 CAN ID-가상 IP 주소 쌍으로 관리함으로써, 두 프로토콜 간 식별자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이때, 가상 IP 주소를 할당하는 작업 역시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통해 다른 CAN 기반 장비의 가상 IP 주소나 이미 시리얼 게이트웨이의 룩업 테이블에 등록된 가상 IP 주소와는 겹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CAN 식별자인 CAN ID와 가상 IP 주소를 하나로 묶어 이를 기반으로 룩업 테이블을 완성하며 관리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이더넷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더넷 프로토콜의 식별자로 프레임의 IP 주소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이더넷 기반으로 변환될 CAN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AN 프로토콜 프레임(300)의 식별자로 CAN ID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이더넷 기반으로 변환될 시리얼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리얼 프로토콜 프레임(400)의 구조는 1:1 통신방식이나, 프레임(400)의 시작을 알리는 구조 안에 포트 번호라는 장비 식별자가 존재하므로, 별도의 식별자가 따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시리얼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는 NMEA-0183 표준에서는 선박 내 메시지 표준을 정의하고 있으며, 시리얼 장비는 이 표준에서 제시된 메시지를 ASCII-CODE로 전송하여 통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게이트웨이는 가상 IP 주소를 기반으로 시리얼-이더넷 상호 프레임 간 변환을 위한 룩업 테이블(110)을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시리얼 프레임(400)의 실질적인 메시지 내용이 담긴 데이터 필드(410)의 내용을 이더넷 프레임(500)의 Payload 필드(510)로 받아오고, 해당 포트 번호에 맞춘 가상 IP 주소를 생성하여, 통합 게이트웨이의 룩업 테이블(110)에 이를 등록한다.
그 후, 장비의 Quality of Service(QoS) 보장을 위하여, 가상 IP 주소와 우선 순위를 반영한 정보를 802.1Q 헤더 필드(520)에 넣어, 이더넷 프레임(500)을 완성하게 된다.
도 6은 도 5에서 변환된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다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더넷 패킷(500)이 통합 게이트웨이에 도착하면, 게이트웨이는 룩업 테이블(110)을 참조하여, 해당 가상 IP 주소가 시리얼의 식별자인 포트 번호와 일치되는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해당 가상 IP 주소가 시리얼의 식별자인 포트 번호와 일치되는 패킷인 경우, 전송받은 이더넷 프레임(500) 중 실질적인 메시지가 담긴 데이터 필드(Payload-Data Field, 510)를 NMEA-0183 메시지 표준의 데이터 필드에 담고, 체크섬(Check Sum) 등을 계산해 프레임의 나머지를 채워준다.
이렇게 만들어진 NMEA-0183 표준 기반의 시리얼 프레임은, 룩업 테이블(110)에서 이더넷 패킷(500) 헤더의 목적 IP 주소(Payload-Dest. IP Address)와 대응되는 포트의 장비에게 전송한다.
이때, 이더넷 프레임(500)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필드의 크기인 최대 1440byte가 NMEA-0183 메시지 표준의 데이터 필드의 크기보다 크므로, 데이터 필드가 너무 클 경우, 시리얼 프레임의 나머지 헤더는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이후, 분할된 데이터를 데이터 프레임에 담아 연속적으로 보낼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 설명한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AN 프로토콜의 장비로부터 CAN의 프레임 구조(300)로 되어있는 NMEA-2000 메시지 표준 패킷(720)이 통합 게이트웨이로 전송된다. 이때, 게이트웨이는 CAN 프레임의 식별자인 CAN ID를 가상 IP 주소에 대응해 룩업 테이블(120)로 등록을 한다. 그리고, 데이터 필드(310)의 데이터는 따로 떼어내어 가상 IP 주소와 함께 이더넷 프레임(700)의 Payload 필드(710)에 삽입한다.
도 8은 도 7에서 변환된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가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다시 변환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게이트웨이에 이더넷 패킷(700)이 도착하면 게이트웨이는 이더넷의 데이터 필드(Payload-Data, 710)에 있는 값을 CAN 프레임(300)의 데이터 필드에 담는다.
앞서 설명한, 이더넷-시리얼 프레임 변환과 유사한 방식으로, 룩업 테이블(120)에서 수신자 주소 필드(Payload-Destination IP Address)와 대응되는 행을 찾아, 대응되는 CAN ID를 CAN 프레임(300)의 수신 CAN ID 필드에 담아 전송한다.
이때, 이더넷 프레임(700)의 최대 데이터 필드 크기 1440byte가 CAN 프레임(300) 데이터 필드의 최대 크기 4byte보다 크므로 나머지 CAN 프레임(300)의 필드는 변경하지 않고, 데이터를 4byte 단위로 분할하여 CAN 프레임(300)의 데이터 필드에 차례로 넣어 연속적으로 보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의하면, 룩업 테이블의 가상 IP 주소를 기반으로 세 개의 CAN, 시리얼, 이더넷 프로토콜 사이의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CAN 프로토콜과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 변환을 수행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로 CAN 프레임이 들어오면 식별자인 CAN ID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가상 IP 주소를 생성한다. 이어서, CAN ID와 가상 IP 주소 쌍을 룩업 테이블(910, 920)에 저장한 후, CAN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내보내게 된다.
반대로,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로 이더넷 프레임이 들어오게 되면, 룩업 테이블(910, 920)을 확인해 대응되는 CAN ID의 CAN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해당 장비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10은 시리얼 프로토콜과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 변환을 수행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로 시리얼 프레임이 들어오면 식별자인 포트 번호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가상 IP 주소를 생성한다. 이어서, 포트 번호와 가상 IP 주소 쌍을 룩업 테이블(1010, 1020)에 저장한 후, 시리얼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내보내게 된다.
반대로,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로 이더넷 프레임이 들어오게 되면, 룩업 테이블(1010, 1020)을 확인해 대응되는 포트 번호의 시리얼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해당 장비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네트워크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의해, 기존의 개별 네트워크 체계(1110)가 통합적 네트워크 체계(1120)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개별 네트워크 체계(1110)에 따르면, 함정 시스템 간의 통합 및 연동이 어렵고 부분적, 단편적으로 함정이 관리되어 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에 의해 구현된 통합적 네트워크 체계(1120)에 따르면, 함정 시스템 간의 통합 및 연동이 가능해져 통합적으로 함정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함정 내 시스템을 연결하는 선내 백본 네트워크 망을 보다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체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함정 네트워크에서의 통합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게이트웨이에 의하면, 가상 IP 주소를 통하여 IP 주소 기반인 이더넷 프레임으로 모든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IP 주소를 활용하는 이더넷 이외의 시리얼, CAN 프로토콜은 룩업 테이블을 정의해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다른 게이트웨이와 함께 룩업 테이블을 공유하기 때문에, 기존 장비들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프로토콜을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를 설계하였을 때, 네트워크의 대부분을 유지하면서 통합하여야 할 위치에 해당 장비만을 교체하여 전체 네트워크를 쉽게 통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합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하나의 백본 네트워크 망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고, 전체 네트워크 관리 측면에서도 보다 유리해진다.
상기와 같이 통합 네트워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입력되는 프로토콜에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룩업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프로토콜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 간의 프레임 구조를 변환시키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크기가 상기 입력되는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크기보다 큰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정보를 입력되는 각각의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을 상기 입력되는 프로토콜의 구조를 갖는 복수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 생성부는,
    입력되는 시리얼 프로토콜의 포트 넘버에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시리얼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하고, 상기 가상 IP 주소와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기 설정된 헤더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시리얼 프로토콜의 포트 번호가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시리얼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시리얼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 생성부는,
    입력되는 CAN 프로토콜의 CAN ID에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를 대응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CAN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가상 IP 주소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기 설정된 헤더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가상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CAN 프로토콜의 CAN ID가 상기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CAN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여, 상기 입력되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상기 CAN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KR1020150021812A 2015-02-12 2015-02-12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Expired - Fee Related KR101598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12A KR101598852B1 (ko) 2015-02-12 2015-02-12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12A KR101598852B1 (ko) 2015-02-12 2015-02-12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852B1 true KR101598852B1 (ko) 2016-03-02

Family

ID=5558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8852B1 (ko) 2015-02-12 2015-02-12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121B1 (ko) * 2016-07-27 2018-07-10 임선자 선박 통신 장비간의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선박 통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5806B1 (ko) * 2019-01-16 2020-04-01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와 외부장착물간 메시지 연동변환기 및 변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741A (ko) * 2001-06-18 2004-02-19 스위스콤 모빌 아게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ip 노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2304A (ko) * 2004-12-03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기식 디지털 계층 망과 이더넷간의 프레임 전달 방법 및장치
KR20070082299A (ko) * 2006-02-16 2007-08-21 주식회사 오토전자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KR20110046073A (ko) * 2009-10-28 2011-05-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내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741A (ko) * 2001-06-18 2004-02-19 스위스콤 모빌 아게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ip 노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2304A (ko) * 2004-12-03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기식 디지털 계층 망과 이더넷간의 프레임 전달 방법 및장치
KR20070082299A (ko) * 2006-02-16 2007-08-21 주식회사 오토전자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KR20110046073A (ko) * 2009-10-28 2011-05-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내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121B1 (ko) * 2016-07-27 2018-07-10 임선자 선박 통신 장비간의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선박 통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5806B1 (ko) * 2019-01-16 2020-04-01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와 외부장착물간 메시지 연동변환기 및 변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997B2 (en) In-vehicle gateway device
US10412008B2 (en) Packet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3764594B1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90049037A (ko) 데이터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CN105791214B (zh) 一种RapidIO报文和以太网报文之间的转换方法和设备
EP2099180A1 (en)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Layer-2 forwarding of OAM frames with multicast Layer-3 addresses
CN105812259A (zh) 一种报文转发方法和设备
JP6121548B2 (ja) パケット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ルーティング・ブリッジ、およびシステム
KR20230101903A (ko) Bier 패킷 포워딩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2008147882A5 (ko)
CN108259466B (zh) DDoS流量回注方法、SDN控制器及网络系统
CN113711544A (zh) 用于在自动化网络中对电报进行路由的方法、数据结构、自动化网络和网络分配器
JP5413654B2 (ja) 回線エ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JP2023527932A (ja) Bierマルチキャストトラフィック統計の収集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598852B1 (ko)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CN10271051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EP25661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remote ip address
JP201119318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エッジノード及び中継ノード
JP2019096924A (ja) 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CN102868642A (zh) 在asic中实现nvgre报文转发的方法和装置
JP2004525585A (ja) データストリームフィル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CN104052671B (zh) Trill网络中的组播转发表项的处理方法及路由桥
US20120179741A1 (en) method of running a substation of a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CN102238084A (zh) 一种跨域报文的转发方法、装置、路由设备和客户端
CN102611614A (zh) 通信设备、通信系统和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