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199B1 - A Airbag System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Air Bag Deployment - Google Patents
A Airbag System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Air Bag Deploy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8199B1 KR101598199B1 KR1020140142022A KR20140142022A KR101598199B1 KR 101598199 B1 KR101598199 B1 KR 101598199B1 KR 1020140142022 A KR1020140142022 A KR 1020140142022A KR 20140142022 A KR20140142022 A KR 20140142022A KR 101598199 B1 KR101598199 B1 KR 101598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pressure
- chute
- deployment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aring tabs, legs or the like for holding the lid before deploy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1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the lid bein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충돌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모듈; 에어백 모듈 상단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와,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파열되는 절개라인과, 에어백의 전개에 따라 덮개부가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 크래쉬 패드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절개라인에 형성되어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는 압력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래쉬 패드의 절개라인에 돌출부 또는 변형 절개라인의 형태로 구현된 압력분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여 에어백의 돌출방향을 탑승자 쪽으로 유도하고,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irbag deployment A pressure-dispersed airbag system is disclosed. An airbag deployment type pressure-distribution type air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bag module for deploying an airbag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 crash pad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id part and provided with an incision line ruptured by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a turning part provided so as to allow the lid part to pivot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 And pressure distributing means formed in the incision line to distribute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so as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cras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mean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trusions or deformation lines in the incision line of the crash pa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in the event of a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ollis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bag deployment pressure distribution type airba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windshiel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us ass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여 에어백의 돌출방향을 일정하게 유도하고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안전벨트와 더불어 자동차의 충돌시 대표적인 탑승자 보호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자동차의 보급 확대와 안전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의 증대는 에어백에 대한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n airbag device as a means for protecting a driver and an occupant. Such an airbag device functions as a typical occupant protection device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a seatbelt. The increase in the demand of the consumer is promoting various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airbag.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0853호는 에어백 모듈(100)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에어백)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하우징(110)과, 에어백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120)와, 슈트(120)에 일체로 형성되되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 쿠션의 전개에 따라 슈트(12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후 에어백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1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이 가능한 에어백 도어(130)로 이루어져, 쿠션 전개시 힌지부 파손을 방지하고 티어라인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0853 filed previously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 모듈(100)은 쿠션(에어백) 전개시 절단부(138)의 형태에 따라 도어 본체(132)의 가장자리가 불균형을 이루며 슈트(12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쿠션(에어백)의 돌출방향이 틀어지거나 심지어는 외측의 크래쉬 패드가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에 충격을 가하여 윈드글래스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이는 탑승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것으로, 에어백(쿠션)의 전개압력을 분산하면서 도어 본체(132)의 가장자리가 슈트(12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게 하여 쿠션(에어백)의 전개방향을 탑승자 측으로 유도하고, 동시에 크래쉬 패드의 티어라인이 비틀어지지 않고 절개되도록 하는 에어백 시스템의 연구개발이 요망된다.This is because the edge of the door body 132 is simultaneously detached from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여 에어백의 돌출방향을 탑승자 쪽으로 유도하고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deployment pressure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distributing deployment pressure of an airbag when a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ollision occurs to guide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airbag toward a passenger, Type air bag system.
상기 목적은, 차량 충돌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모듈; 에어백 모듈 상단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와,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파열되는 절개라인과, 에어백의 전개에 따라 덮개부가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 크래쉬 패드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절개라인에 형성되어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는 압력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n airbag module for deploying an airbag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 crash pad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id part and provided with an incision line ruptured by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a turning part provided so as to allow the lid part to pivot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 And a pressure distributing means formed in the incision line to distribute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so as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crash pad.
상기 압력분산수단은, 회동부와 먼 쪽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단위 면적당 절개라인의 길이를 연장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sure distributing means may be formed a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otating portion and extending the length of the incision line per unit area.
상기 돌출부는, 좌우 대칭형태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left-right symmetrical shapes.
상기 압력분산수단은,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기 위해 깊이를 달리하여 절개라인을 형성한 변형절개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sure distributing means may be a deformation incision line formed by forming an incision line at a different depth in order to differentially respond to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deployed airbag.
상기 변형절개라인은,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비례하는 깊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dified incision line may be formed by a groove having a depth proportional to a distance from the pressure center of the deployed airbag.
상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이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고, 에어백이 전개되어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 전개공이 일측에 구비된 슈트; 전개공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전개공을 덮는 도어 본체와, 도어 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도어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 측벽과, 도어 본체와 도어 측벽을 상호 연결하고 도어 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도어; 및 도어 본체와 상기 슈트를 상호 연결 고정하되 에어백의 전개에 따른 압력을 분산한 후 파열되는 파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bag module includes: an airbag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the airbag and open the upper surface; A chu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airbag housing and having a deployment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bag so as to be protruded outward; A door sidewal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for guiding the door body so as to relatively linearly move relative to the chute; An airbag door including a hinge portion for connecting the door body and allowing the door body to make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hute; And a rupturing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door body and the chute so as to be ruptured after dispersing the pressure due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상기 파열부는, 보수의 이음부재와 절개공으로 이루어지고, 이음부재는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반비례한 결합강도로 도어 본체와 슈트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The rupture part is composed of a joint part for maintenance and an incision part, and the joint part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chute body at a joint strength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pressure center of the deployed airbag.
상기 이음부재는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 동일한 이격거리에 대칭을 이루며 각각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결합강도로 도어 본체와 슈트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joint member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as the pressure center of the deployed airbag, the door body and the chute can be connected and fixed with the same joint strength.
상기 파열부는, 도어 본체와 슈트 사이에 절개홈으로 이루어지고,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기 위해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비례하는 깊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upture portion may be formed by a groove having a depth proportional to a distance from the pressure center of the deployed airbag in order to differentially respond to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deployed airbag, respectively, between the door body and the chute .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래쉬 패드의 절개라인에 돌출부 또는 변형 절개라인의 형태로 구현된 압력분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등의 상황 발생시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여 에어백의 돌출방향을 탑승자 쪽으로 유도하고,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mean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trusions or deformation lines in the incision line of the crash pa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in the event of a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ollis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bag deployment pressure distribution type airba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windshiel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us ass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분산수단인 돌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절단선 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분산수단인 변형절개라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절단선 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인 절개공 및 이음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인 절개공 및 이음부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인 절개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절단선 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절단선 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bag deployment pressure distribution type air 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jection as a pressure distribu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of FIG. 2A.
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2A.
3A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cutting line as a pressure distribu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 of FIG. 3A.
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3A.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bag deployment pressure distribution type air 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cision hole and a joi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cision hole and the joint member, which are the ruptur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cision groove which is a ruptur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of Fig. 6A.
6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 of FIG. 6A.
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ir bag deployment type pressure-distribution type air 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분산수단인 돌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bag deployment pressure-distribution type air 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a)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trusion as a pressure dispers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절단선 B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분산수단인 변형절개라인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절단선 B에 대한 단면도이다.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 of FIG. 2A, and FIG. 2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 of FIG. 2A. 3A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cutting line as a pressure dispers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line A of FIG. 3A, and FIG. 3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line B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1)은 에어백 모듈(10), 크래쉬 패드(20) 및 압력분산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o 3, an airbag deployment type pressure-distribution
크래쉬 패드(20)는 차량 충돌시 운전자나 차량 탑승자의 피해를 막기 위해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완충기능을 갖는 마감부재로, 에어백 모듈(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차량충돌시 에어백(5)의 전개에 따라 일면이 절개되는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크래쉬 패드(20)는 대략 덮개부(22), 절개라인(24) 및 회동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먼저, 덮개부(22)는 하단부의 에어백 모듈(10)로부터 에어백(5)이 전개되는 경우 크래쉬 패드(20)의 외측으로 에어백(5)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에어백 모듈(10)의 도어 본체(310) 상면에 구비됨으로써, 도어 본체(310)가 에어백(5) 전개에 따라 개방되면, 상부에 위치한 덮개부(22)도 함께 개방되게 된다.The
절개라인(24)은 평상시 에어백(5)이 전개되지 않는 때에는 덮개부(22)를 크래쉬 패드(20)와 동일 평면상에 고정하고, 충돌시 에어백(5)이 전개되는 때에는 에어백(5)의 압력에 의해 파열되는 구성요소로, 덮개부(22)의 가장자리를 따라 scoring line과 같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때, 절개라인(24)은 크래쉬 패드(20)의 정면(탑승자 측과 마주보는 면) 및 크래쉬 패드(20)의 배면(에어백 모듈(10)과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크래쉬 패드(20)의 배면에 절개라인(24)을 형성하는 것이 크래쉬 패드(20)의 미감 상 바람직하며, 절개라인(24)의 용이한 파열을 위해서 배면과 정면에 모두 절개라인(24)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한편, 절개라인(24)은 크래쉬 패드(20)와 덮개부(2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면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크래쉬 패드(20)만을 사출 성형한 후 레이저에 의한 홈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절개라인(24)을 이루는 홈의 깊이 및 폭은 크래쉬 패드(20)와 덮개부(22) 간의 결합강도(전단력)와 관련된 것으로, 홈의 깊이가 깊을수록 결합강도가 약해지며, 홈의 깊이가 얕을수록 결합강도가 강해지므로, 에어백(5)의 용량과 에어백(5)의 전개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회동부(26)는 에어백(5)의 전개에 따라 덮개부(22)가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요소로, 덮개부(22)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부(26)는 에어백(5)의 전개에 따라 절개라인(24)이 파열된 후 덮개부(22)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에어백(5)이 개방된 크래쉬 패드(20)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가요성 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의 확대도에서처럼 하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쉽게 덮개부(22)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회동 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압력분산수단(30)은 크래쉬 패드(20)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해 에어백(5)의 전개압력을 분산하는 구성요소이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부로, 상술한 절개라인(24)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분산수단(30)은 구체적으로 돌출부(32) 및 변형절개라인(34)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sure distributing means 30 can be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수단(30)인 돌출부(32)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면적당 절개라인(24)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회동부(26)와 먼 쪽의 절개라인(24)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The
만일, 절개라인(24)이 덮개부(22)를 따라 일정한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고 돌출부(32)가 없다면, 절개라인(24)은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덮개부(22)의 중앙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인 가로방향의 절개라인(24a) 중앙부터 먼저 찢어진 후 좌우방향으로 파열되다가 세로방향의 절개라인(24b)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찢어지면서 가로방향의 파열부분과 만나게 되고, 최종적으로 절개라인(24)의 좌우 꼭짓점 부근(도 2a참조)이 파열되면서 덮개부(22)가 개방되게 된다.If the
그러나 절개라인(24)의 좌우 꼭짓점 부근에 돌출부(32)가 형성되면, 절개라인(24)의 길이가 확장되어 돌출된 영역의 덮개부(22)와 크래쉬 패드(20) 간의 결합강도(전단력)가 증대된다. 이는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덮개부(22)의 중앙으로부터 사방으로 확대, 증대되는 에어백(5)의 전개압력을 덮개부(22)의 하면 전체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However, if the
이렇게 분산된 에어백(5)의 전개압력은 덮개부(22)가 개방되는 측(탑승자 측)에 축적되다가 돌출부(32)의 절개라인(24)을 찢게 되므로, 에어백(5)의 전개방향은 자연스럽게 덮개부(22)가 개방되는 측(탑승자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이것은, 압력분산수단(30)인 돌출부(32)와 같은 구성이 없는 경우, 에어백(5) 전개압력의 분산 및 축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에어백(5)은 탑승자 쪽이 아닌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의 연직 상방으로 전개되어 덮개부(22)의 과도한 회동을 초래함으로써,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유발하곤 했던 것과 구별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re is no such a constitution as the protruding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돌출부(32)는, 에어백(5) 전개압력의 분산과 축척 및 덮개부(22)가 개방되는 측(탑승자 측)으로의 에어백(5) 전개방향 유도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예일 뿐이므로, 돌출부(32) 형태, 위치 및 개수는 적절한 수준에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The
일례로, 도 2a의 덮개부(22)를 기준으로 가장 먼저 찢어지는 중앙 상단을 보강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돌출부(32)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부(32)의 형태와 관련하여 돌출된 영역의 절개라인(24)의 길이를 보다 확장(덮개부(22)와 크래쉬 패드(20) 간의 결합강도 증대)하기 위해 융털 돌기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projec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분산수단(30)인 변형절개라인(34)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기 위해 홈의 깊이를 달리한 절개라인(24, 변형절개라인(34))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difi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덮개부(22)의 경우,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덮개부(22)의 중앙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34a→34b→34c) 홈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이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덮개부(22)의 중앙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의 변형절개라인(34a)에 가장 큰 전개압력이 미치고, 가장 먼 곳의 변형절개라인(34c)에 가장 낮은 전개압력이 미치며, 중간 거리 정도의 변형절개라인(34b)에는 중간 정도의 전개압력이 미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largest deployment pressure is applied to the
즉, 에어백(5)의 압력 중심과 가까울수록(34c→34b→34a) 변형절개라인(34)의 홈의 깊이를 얕게 형성(변형절개라인(34)에 의한 덮개부(22)와 크래쉬 패드(20) 간의 결합강도(전단력)를 증대됨)함으로써, 변형절개라인(34a,34b,34c)은 각각의 깊이만큼의 결합강도에 상응하는 에어백(5)의 차별화된 전개압력이 가해질 때까지 절개되지 않고,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의 전개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전개압력을 축적하게 된다. 그 후 변형절개라인(34a,34b,34c) 각각은 에어백(5)의 전개압력에 순차적으로 대응하다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거의 동시에 절개될 수 있다.That is, the depth of the grooves of the modified
결국,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대, 증대되는 에어백(5)의 차별화된 전개압력이 덮개부(22)의 하면 전체로 분산됨에 따라 에어백(5)의 전개방향은 분산된 압력이 축적되는 덮개부(22)가 개방되는 측(탑승자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As a result, as the differential developing pressure of the
이것은, 압력분산수단(30)인 변형절개라인(34)과 같은 구성이 없던 종래의 에어백 모듈의 경우, 에어백(5)이 탑승자 쪽이 아닌 압력 중심의 연직 상방으로 전개되어 크래쉬 패드(30)의 과도한 회동을 초래함으로써,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유발하곤 했던 것과 구별된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bag module having no configuration such as the
상술한 변형절개라인(34)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면, 덮개부(22)와 크래쉬 패드(20) 간의 결합강도에 대응하는 변형절개라인(34)의 홈의 깊이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에서 변형절개라인(34)까지의 이격거리와 비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이러한 변형절개라인(34)의 위치에 따른 홈의 깊이는 변형절개라인(34)의 재질, 에어백(5)의 압력의 크기, 덮개부(22)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The depth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dified
이상에서 살펴본 압력분산수단(30)에 의해 에어백(5)의 전개압력이 덮개부(22)의 하면 전체로 분산 및 축적됨에 따라 탑승자 측으로의 에어백(5) 전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래쉬 패드(30)에 의한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인 절개공 및 이음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인 절개공 및 이음부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인 절개홈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절단선 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절단선 B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deployment type pressure-dispersing type air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front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utout hole and a coupling member,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cision hole and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FIG. 6A is a front view showing a cutout groove of a ruptur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line A of FIG. 6A, and FIG. 6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line B of FIG. 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bag deployment type pressure-distribution type air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5)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충돌감지센서와 연결된 인플레이터(가스발생장치, 미도시)에 의해 에어백(5)을 부풀리는 장치로, 대략 에어백 하우징(100), 슈트(200), 에어백 도어(300) 및 파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먼저, 에어백 하우징(100)은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5)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에어백(5)이 전개되는 경우 에어백(5)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그릇 형태를 이루며, 체결브라켓(110), 제1체결고리(120) 및 제2체결고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체결브라켓(110)은 에어백 하우징(100)과 후술할 슈트(20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에어백 하우징(10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슈트(200)의 체결부(210)와 체결된다. The
제1체결고리(120)는 후술할 도어 측벽(320)의 안내공(322)에 삽입 걸림 되어 도어 측벽(320)의 상방 선형운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 한 쌍의 체결브라켓(110)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일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안내공(322)과 안정적인 결착을 위해 제1체결고리(120)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견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내공(322)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
제2체결고리(130)는 후술할 슈트 측벽(220)의 걸림공(222)에 삽입 걸림 되는 구성요소로, 상술한 제1체결고리(1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걸림공(222)과 안정적인 결착을 위해 제1체결고리(120)와 마찬가지로 제2체결고리(130)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공(222)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
한편, 에어백 하우징(100)에는 전개되는 에어백(5)의 돌출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릇형상의 에어백 하우징(100)의 일측면을 나머지 측면과 구별되게 경사면을 형성하여 에어백(5)의 전개를 경사면 측 방향으로 적절히 유도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에어백(5)이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경사면은 보다 적절한 돌출방향의 유도를 위해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목적을 위해 경사면을 곡면처리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se inclined surfaces can be formed more than two to guide a more appropriate projecting direc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uch as curving the inclined surfaces for the same purpose.
슈트(200)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구체적으로 슈트 본체(210), 슈트 측벽(220) 및 체결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슈트 본체(210)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5)이 슈트 본체(21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중앙에 전개공(212)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 전체적으로 판재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그 형태는 원, 타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판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앙에 마련된 전개공(212)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슈트 본체(210)를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 형성하고 전개공(212) 또한 직사각형으로 구현하였다.The
슈트 측벽(220)은 슈트 본체(1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구성요소로, 상술한 에어백 하우징(100)이 슈트 측벽(2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반대로 에어백 하우징(100)의 내측에 슈트 측벽(220)이 삽입되도록 설계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슈트 측벽(220)에 상술한 제2체결고리(130)를 형성하고 에어백 하우징(100)의 대응위치에는 걸림공(2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슈트 측벽(220) 상에는 상술한 제2체결고리(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공(22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체결고리(130)와 걸림공(222)은 슈트(200)와 에어백 하우징(100)을 견고하게 결착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주지 관용의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체결부(230)는 상술한 에어백 하우징(100)의 체결브라켓(110)과 결합고정되는 구성요소로, 이 또한 주지 관용의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한편, 에어백(5)의 전개를 위한 인플레이터의 작동에도 슈트(200)와 에어백 하우징(100)의 결합이 체결부(230)를 통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면, 걸림공(222)과 제2체결고리(130)는 생략될 수 있다.If the coupling between the
에어백 도어(300)는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에 의한 이음부재(410)의 절단을 통해 슈트(200)로부터 분리된 후 슈트(20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에어백 도어(300)는 도어 본체(310)와 힌지부(330)를 포함하는 구성만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도어 측벽(32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개선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lthough the
즉, 도어 측벽(320)을 포함한 구성을 통해 에어백 도어(300)는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에 의해 도어 본체(310)가 슈트(200)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슈트(200)에 대해 소정간격(후술할 안내공(322)의 길이만큼) 상대 선형운동(도면의 상방향)을 한 후 슈트(20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2중 기작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The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어 본체(310)는 전개공(212)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덮개역할을 하는 판재 형상의 구성요소로, 상면에는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가 위치하거나 그 자체로 크래쉬 패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도어 본체(310)는 후술할 이음부재(410)에 의해 슈트(200)와 상호 연결 고정되는 구성요소로, 전개공(212)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에어백(5)의 전개에 따라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슈트(200)로부터 분리된다. 에어백 도어(300) 전체는 슈트(200)로부터 분리가 되면 이하의 도어 측벽(32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도어 측벽(320)은 슈트(200)에 대해 도어 본체(310)가 상대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도어 본체(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상술한 제1체결고리(120)가 위치하는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도어 본체(310)와 함께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을 이룬다.The
이러한 도어 측벽(320)에는 제1체결고리(120)와 대응하는 위치 및 폭으로 안내공(322)이 형성되어 제1체결고리(120)가 삽입 결착된다. 여기서 안내공(322)은 도어 측벽(320)이 소정길이 상방으로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제1체결고리(120)와의 결착위치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에어백 도어(300)는 슈트(20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할 수 있게 안내되며, 제1체결고리(120)에 의해 걸려 안내공(322)의 설정된 상하길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A
안내공(322)의 상하길이 조절을 통해 에어백 도어(300)의 상방 이동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안내공(322)의 상하길이는 에어백 도어(300)에 마련된 힌지부(330)가 슈트(200)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upward movement length of the
힌지부(330)는 도어 본체(310)와 도어 측벽(320)을 상호 연결하고 도어 본체(310)가 슈트(200)에 대해 상대 회전토록 하는 가요성의 구성요소로, 도어 측벽(320)의 상단부로부터 도어 본체(310)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도어 본체(31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The
이러한 힌지부(330)는 가요성의 부재로 이루어져 도어 본체(310)의 회동을 자유롭게 유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만, 전개되는 에어백(5)의 충격으로부터 힌지부(330)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동을 담보하기 위해 힌지부(330)의 측면 형상은 정현파의 형상으로 굴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에어백 도어(300)는 슈트(200)에 대해 도어 본체(310)가 상방으로 상대 선형운동하여 힌지부(330)를 슈트(200) 외측으로 완전히 돌출시키는 제1작동과 이후 가요성의 힌지부(330)의 회동에 의해 도어 본체(310)가 신속하게 회전운동하는 제2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백 도어(300)의 2중 기작을 통해 에어백(5)은 원활하게 목표한 전개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The
파열부(400)는 도어 본체(310)와 슈트(200)를 상호 연결 고정하되, 차량에 충격이 가하여진 경우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분포에 대응하여 전개압력을 분산한 후 파열됨으로써, 도어 본체(310)가 슈트(200)로부터 거의 동시에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부이다. 이러한 파열부(400)를 통해 에어백(5)의 전개압력이 도어 본체(310)의 하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됨에 따라 에어백 도어(300)는 일정한 상대 선형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rupturing
이러한 파열부(400)는 구체적으로 이음부재(410) 및 절개공(412)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절개홈(420)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The rupturing
먼저, 이음부재(410) 및 절개공(412)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음부재(410) 및 절개공(412)은 도어 본체(310)와 슈트(200) 사이에 구비되어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는 복수의 이음부재(410a,410b,410c)와 절개공(412)으로 구현될 수 있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이러한 이음부재(410)는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본체(310)와 슈트(200) 사이의 경계 공간에 구비되어 양측을 연결 고정하고 이외의 이격된 공간은 절개공(412)을 이루게 되는데, 이음부재(410)의 형태는 판재, 원통형, 다각 기둥형 또는 상술한 형상의 테이퍼 가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이음부재(410)는 슈트(200)와 에어백 도어(30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면서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슈트(200)와 에어백 도어(300)를 일체로 제작한 후 레이저에 의한 절단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상술한 형태의 이음부재(4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이음부재(410)의 형성 위치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이 도어 본체(310)의 중앙이라고 할 때, 이를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When the pressure center of the
이는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이 어느 일측으로 쏠려 해당부분이 먼저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deplo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도어 본체(310)의 경우,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도어 본체(310)의 중앙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의 이음부재(410)로 갈수록(410a→410b→410c) 이음부재(41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게 된다. 5A, the door
이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도어 본체(310)의 중앙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의 이음부재(410a)에 가장 큰 전개압력이 미치고, 가장 먼 곳의 이음부재(410c)에 가장 낮은 전개압력이 미치며, 중간 거리 정도의 이음부재(410b)에는 중간 정도의 전개압력이 미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largest deployment pressure is applied to the
즉, 에어백(5)의 압력 중심과 가까울수록(410c→410b→410a) 이음부재(410)를 두껍게 형성(이음부재(410)를 통한 도어 본체(310)와 슈트 본체(210) 간의 결합강도(전단력)를 증대됨)함으로써, 이음부재(410a,410b,410c)들은 각각의 폭 만큼의 결합강도에 상응하는 에어백(5)의 차별화된 전개압력이 가해질 때까지 절단되지 않고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의 전개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전개압력을 축적하게 된다. 그 후 복수의 이음부재(410a,410b,410c) 각각은 에어백(5)의 전개압력에 순차적으로 대응하다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거의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The joint strength of the
결국,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대, 증대되는 에어백(5)의 차별화된 전개압력이 도어 본체(310)의 하면 전체로 분산됨에 따라 에어백 도어(300)의 일정한 상대 선형운동이 유도될 수 있으며, 에어백(5)의 전개방향은 분산된 압력이 축적되는 도어 본체(310)가 개방되는 측(힌지부(330)와 대향되는 측 또는 탑승자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As a result, as the differential developing pressure of the
이것은, 파열부(400)와 같은 구성이 없던 종래의 에어백 모듈의 경우, 에어백(5)의 압력 중심에서 사방으로 전개되는 전개압력이 도어 본체(310)가 개방되는 측까지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상태에서 도어 본체(310) 및 크래쉬 패드(30)가 개방됨에 따라 에어백(5)은 탑승자 쪽이 아닌 압력 중심의 연직 상방으로 전개되고, 이는 크래쉬 패드(30)의 과도한 회동을 초래하여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유발하곤 했던 것과 구별된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bag module having no structure similar to the rupturing
이러한 파열부(400)는 상술한 압력분산수단(30)과 함께 2중으로 에어백(5)의 전개압력을 분산함에 따라 탑승자 측으로의 에어백(5) 전개는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래쉬 패드(30)에 의한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This rupturing
상술한 이음부재(410)의 내용을 종합하면, 도어 본체(310)와 슈트(200) 간의 결합강도에 대응하는 이음부재(410)의 폭은 에어백(5)의 압력 중심에서 이음부재(410)까지의 이격거리와 반비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The width of the
이러한 이음부재(410)의 위치에 따른 폭는 이음부재(410)의 재질, 형태, 개수, 에어백(5)의 압력의 크기, 도어 본체(310)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가능한 것으로, 에어백 모듈(10)의 사용목적 및 장착공간 등을 종합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width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이음부재(410) 및 절개공(412)에 의한 이음부재(410)의 동시 절단 및 전개압력 분산의 목적은 동일한 폭의 이음부재(410)를 에어백(5)의 압력 중심과 가까운 곳에는 편중하고, 먼 곳에는 적게 설치함으로써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urpose of simultaneous cutting and spreading pressure dispers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재(410)의 변형예인 도 5b에 도시된 이음부재(410)는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과 동일한 이격거리에 각각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동일한 결합강도, 즉 동일한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410)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The
이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도어 본체(310)의 중앙으로부터 사방으로 확대되는 에어백(5)의 전개압력이 대칭 형성된 동일 두께의 이음부재(410) 각각에 동일한 크기로 작용하고 분산되어 이음부재(410) 각각이 치우침 없이 동시에 절단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열부(400)의 다른 형태인 절개홈(420)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에 의해 슈트 본체(210)로부터 도어 본체(31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슈트 본체(210)와 도어 본체(310)가 접하는 영역을 따라 scoring line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6A to 6C, the cutout groove 420, which is another type of the
이때, 절개홈(420)은 슈트(200)와 에어백 도어(300)를 사출 성형하면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슈트(200)와 에어백 도어(300)를 일체로 제작한 후 레이저에 의한 홈가공을 통해 절개홈(4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절개홈(420)은 도어 본체(310)의 정면(탑승자 측과 마주보는 면) 및 도어 본체(310)의 배면(에어백(5)이 수납된 에어백 하우징(100)을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tting groove 420 can be integrally manufactured while injection molding the
절개홈(420)은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5)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면서 전개압력을 분산하여 슈트 본체(210)로부터 도어 본체(310)가 동시에 분리될 수 있도록 깊이를 달리하는 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utout grooves 420 are formed in a manner such that the opening pressure of the
이는 상술한 압력분산수단(30)인 변형절개라인(34)과 동일한 개념의 구성으로,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영역의 도어 본체(310)와 슈트(200) 간의 결합강도(전단력)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앞서 설시한 폭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이음부재(410a,410b,410c)와 기술적 공통성이 있다.(Shear force) between the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절개홈(4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도어 본체(310)의 경우,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도어 본체(310)의 중앙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420a→420b→420c) 홈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게 된다.6A to 6C, the cutout groove 4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이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인 도어 본체(310)의 중앙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의 절개홈(420a)에 가장 큰 전개압력이 미치고, 가장 먼 곳의 절개홈(420c)에 가장 낮은 전개압력이 미치며, 중간 거리 정도의 절개홈(420b)에는 중간 정도의 전개압력이 미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greatest develop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cutting
즉, 에어백(5)의 압력 중심과 가까울수록(420c→420b→420a) 절개홈(420a)의 깊이를 얕게 형성(절개홈(420)에 의한 도어 본체(310)와 슈트 본체(210) 간의 결합강도(전단력)이 증대됨)함으로써, 절개홈(420a,420b,420c)은 각각의 깊이만큼의 결합강도에 상응하는 에어백(5)의 차별화된 전개압력이 가해질 때까지 절개되지 않고,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의 전개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전개압력을 축적하게 된다. 그 후 절개홈(420a,420b,420c) 각각은 에어백(5)의 전개압력에 순차적으로 대응하다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거의 동시에 절개될 수 있다.That is, the depth of the
결국, 에어백(5)의 압력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확대, 증대되는 에어백(5)의 차별화된 전개압력이 도어 본체(310)의 하면 전체로 분산됨에 따라 에어백 도어(300)의 일정한 상대 선형운동이 유도될 수 있으며, 에어백(5)의 전개방향은 분산된 압력이 축적되는 도어 본체(310)가 개방되는 측(힌지부(330)와 대향되는 측 또는 탑승자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As a result, as the differential developing pressure of the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열부(400)인 절개홈(420)과 같은 구성이 없던 종래의 에어백 모듈의 경우, 에어백(5)이 탑승자 쪽이 아닌 압력 중심의 연직 상방으로 전개되어 크래쉬 패드(30)의 과도한 회동을 초래함으로써,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을 유발하곤 했던 것과 구별됨은 마찬가지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bag module having no constitution like the cutout groove 420 which is the rupturing
이러한 절개홈(420)은 상술한 압력분산수단(30)과 함께 2중으로 에어백(5)의 전개압력을 분산함에 따라 탑승자 측으로의 에어백(5) 전개는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래쉬 패드(30)에 의한 차량 전면 윈드글래스의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This incision groove 420 distributes the unfolding pressure of the
상술한 절개홈(420)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면, 도어 본체(310)와 슈트(200) 간의 결합강도에 대응하는 절개홈(420)의 깊이는 에어백(5)의 압력 중심에서 절개홈(420)까지의 이격거리와 비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The depth of the cutout groove 420 corresponding to the joint strength between the
이러한 절개홈(420)의 위치에 따른 깊이는 절개홈(420)의 재질, 에어백(5)의 압력의 크기, 도어 본체(310)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가능한 것으로, 에어백 모듈(10)의 사용목적 및 장착공간 등을 종합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depth of the cutout groove 420 may vary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utout groove 420, the size of the pressure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파열부(400)에 의해 에어백(5)의 전개압력이 도어 본체(310)의 하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도어 본체(310)는 에어백(5)의 전개에 따라 슈트 본체(210)로부터 사방이 동시에 분리될 수 있고, 슈트 본체(210)에 대해 상방으로 일정성 있게 상대 선형운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이 노출되도록 슈트 본체(21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bag deployment type air b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10)은 에어백 도어(300)가 일체로 사출성형 되어 마련된 슈트(200)의 하부에 에어백 하우징(100)이 결합되도록 하여 크래쉬 패드(20)의 하부에 장착된다.7A,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기 결정된 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에어백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5)이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측으로 전개되기 시작한다.7B, gas is supplied from the inflator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에어백(5)이 전개되면, 도어 본체(310) 및 덮개부(22)는 파열부(400) 및 압력분산수단(30)에 의해 전개압력의 분산 및 축적이 이루어지다가 슈트 본체(210) 및 크래쉬 패드(20)로부터 사방이 동시에 분리되면서 전개공(212)의 개방을 위해 슈트 본체(210)에 대해 상방으로 상대 선형운동을 시작한다. When the
즉, 인플레이터의 가스압으로 전개되는 에어백(5)에 의해 파열부(400) 및 압력분산수단(30)이 구비된 절개라인(24)은 에어백(5)의 전개압력을 분산하고 축적한 후 절단 또는 절개됨으로써, 도어 본체(310) 및 덮개부(22)는 슈트 본체(210) 및 크래쉬 패드(20)로부터 분리되고 제1체결고리(120)에 의해 안내되는 도어 측벽(320)의 이동에 따라 슈트 본체(210)에 대해 상방으로 상대 선형운동하게 된다.That is, the
이러한 도어 본체(310)의 상승은 도어 측벽(320)의 안내공(322)이 에어백 하우징(100)의 제1체결고리(120)의 하면과 만날 때까지 안내공(322)의 상하 길이만큼 계속 진행된다.The upward movement of the door
즉, 도어 본체(310)는 슈트 본체(21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전개공(212)을 개방하게 되고 힌지부(330)가 슈트 본체(210)로부터 완전한 노출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승 돌출된 후 제1체결고리(120)에 걸림 되어 멈추게 된다.That is, the door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전개되는 에어백(5)에 의해 도어 본체(310) 및 덮개부(22)는 파열부(400) 및 압력분산수단(30)이 구비된 절개라인(24)이 절단 또는 절개된 후, 힌지부(330) 및 회동부(26)를 통해 슈트 본체(210) 및 크래쉬 패드(2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열리게 된다.7C, the
에어백(5) 전개압력의 분산 및 축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어 본체(310) 및 덮개부(22)가 열리게 되면, 에어백(5)이 오픈된 전개공(212)을 통해 차량의 탑승자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 및 전개되면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
5: 에어백 10: 에어백 모듈
20: 크래쉬 패드 22: 덮개부
24: 절개라인 26: 회동부
30: 압력분산수단 32: 돌출부
34: 변형절개라인
100: 에어백 하우징 110: 체결브라켓
120: 제1체결고리 130: 제2체결고리
200: 슈트 210: 슈트 본체
212: 전개공 220: 슈트 측벽
222: 걸림공 230: 체결부
300: 에어백 도어 310: 도어 본체
320: 도어 측벽 322: 안내공
330: 힌지부 400: 파열부
410: 이음부재 412: 절개공
420: 절개홈1: Air bag deployment Pressure distribution type air bag system
5: air bag 10: air bag module
20: crash pad 22: cover part
24: incision line 26:
30: pressure distributing means 32:
34: Variation incision line
100: air bag housing 110: fastening bracket
120: first fastening ring 130: second fastening ring
200: Suit 210: Suit body
212: opening ball 220: chute side wall
222: latching hole 230: fastening part
300: air bag door 310: door main body
320: door sidewall 322: guide ball
330: hinge part 400: rupture part
410: joint member 412: incision ball
420: incision groove
Claims (9)
상기 에어백 모듈 상단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파열되는 절개라인과,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따라 상기 덮개부가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 및
상기 크래쉬 패드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라인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의 전개압력을 분산하는 압력분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분산수단은,
상기 회동부와 먼쪽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단위 면적당 상기 절개라인의 길이를 연장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An airbag module for deploying the airbag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 incision lin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id unit and ruptured by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a rotation unit provided on the lid unit in such a manner that the lid unit can be pivoted upward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 crash pad comprising; And
And pressure distributing means formed in the incision line to distribute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so as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crash pad,
Wherein the pressure distributing means comprises: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otation portion and extending a length of the incision line per unit area.
상기 돌출부는,
좌우 대칭형태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on
Wherein the airbag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ymmetrical shapes.
상기 압력분산수단은,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기 위해 깊이를 달리하여 상기 절개라인을 형성한 변형절개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distributing means comprises:
And a deformation incision line in which the incision line is formed at different depths to correspond to different distances according to a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deployed airbags.
상기 변형절개라인은,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비례하는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dified cutting line includes:
Wherein the airbag is formed by a groove having a depth proportional to a distance from a center of pressure of the deployed airbag.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에어백이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어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 전개공이 일측에 구비된 슈트;
상기 전개공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공을 덮는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도어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 측벽과, 상기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측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도어 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도어; 및
상기 도어 본체와 상기 슈트를 상호 연결 고정하되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따른 압력을 분산한 후 파열되는 파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bag module includes:
An airbag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the airbag and ope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chu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airbag housing and having a deployment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airbag is deployed and protruded outward;
A door sidewall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oor body for guiding the door body to relatively linearly move with respect to the chute; And a hinge portion interconnecting the door sidewall and allowing the door body to make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hute; And
And a rupture unit that connects the door body and the chute to each other and ruptures after the pressure is disper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irbag.
상기 파열부는,
복수의 이음부재와 절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음부재는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반비례한 결합강도로 상기 도어 본체와 상기 슈트를 연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upturing portion
A plurality of joint members and a cutting hole,
Wherein the joint member connects and fixes the door main body and the chute at a coupling strength in inverse proportion to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airbag and a center of pressure of the deployed airbag.
상기 이음부재는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 동일한 이격거리에 대칭을 이루며 각각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결합강도로 상기 도어 본체와 상기 슈트를 연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joint member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same distance as the pressure center of the deployed airbag, and the door body and the chute are connected and fixed with the same joint strength.
상기 파열부는,
상기 도어 본체와 상기 슈트 사이에 절개홈으로 이루어지고,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의 압력 분포에 따라 각각 차등 대응하기 위해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의 압력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비례하는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전개압력 분산형 에어백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upturing portion
And a cutt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door body and the chute,
Wherein the airbag is formed by a groove having a depth proportional to a distance from the pressure center of the airbag deployed to differentially respond to a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deployed airba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2022A KR101598199B1 (en) | 2014-10-20 | 2014-10-20 | A Airbag System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Air Bag Deploy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2022A KR101598199B1 (en) | 2014-10-20 | 2014-10-20 | A Airbag System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Air Bag Deploy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8199B1 true KR101598199B1 (en) | 2016-02-29 |
Family
ID=5544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20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8199B1 (en) | 2014-10-20 | 2014-10-20 | A Airbag System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Air Bag Deploy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819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353U (en) * | 1996-11-08 | 1998-08-05 | 박병재 | Airbag door structure |
JP2010173505A (en) * | 2009-01-30 | 2010-08-12 | Toyoda Gosei Co Ltd | Front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
KR101260853B1 (en) | 2010-11-29 | 2013-05-06 | 덕양산업 주식회사 | Air bag moudil |
-
2014
- 2014-10-20 KR KR1020140142022A patent/KR1015981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353U (en) * | 1996-11-08 | 1998-08-05 | 박병재 | Airbag door structure |
JP2010173505A (en) * | 2009-01-30 | 2010-08-12 | Toyoda Gosei Co Ltd | Front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
KR101260853B1 (en) | 2010-11-29 | 2013-05-06 | 덕양산업 주식회사 | Air bag moudi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758539B2 (en) | Airbag cover | |
US20180134244A1 (en) | Front airbag for vehicle | |
US7988189B2 (en) | Air bag cover and air bag device | |
JP2002356136A (en) | Vehicular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 |
US9333937B1 (en) | Airbag cover with stress relief features | |
JPH06321044A (en) | Elastic cover for air bag device | |
JP2019081497A (en) | Airbag device for front passenger seat | |
KR101598199B1 (en) | A Airbag System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Air Bag Deployment | |
JPH02303949A (en) | Cover unit for air bag | |
US11091116B2 (en) | Airbag device | |
JP3916030B2 (en) | Airbag device | |
JPH0885406A (en) | Structure for air bag door for automoible | |
JP3975433B2 (en) | Airbag door tearing structure | |
JP2014213749A (en) | Air bag | |
JP3589732B2 (en) | Vehicle seat structure | |
JP5182985B2 (en) | Cover body of airbag device | |
JP2008239065A (en) | Airbag device | |
JP2008155849A (en) | Cover body of airbag device | |
KR102741904B1 (en) | Structure for Air-bag Door | |
JP2004175248A (en) | Cover for airbag device | |
KR102398272B1 (en) | Airbag cover | |
EP3350027B1 (en) | Airbag covering | |
JP6193770B2 (en) | Vehicle interior parts | |
JP2003095049A (en) | Airbag door | |
KR101001461B1 (en) | Passenger seat airb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2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2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