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680B1 - rivet type electrode terminals for a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rivet type electrode terminals for a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7680B1 KR101597680B1 KR1020140045286A KR20140045286A KR101597680B1 KR 101597680 B1 KR101597680 B1 KR 101597680B1 KR 1020140045286 A KR1020140045286 A KR 1020140045286A KR 20140045286 A KR20140045286 A KR 20140045286A KR 101597680 B1 KR101597680 B1 KR 1015976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et
- base
- welding
- base portion
- battery p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05 an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단자부 간의 통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결합 강도에 대한 확보를 추가로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 중앙 부위로부터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중공의 관체로 이루어진 리벳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를 상기 리벳부에 수용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리벳부 내에 플럭스를 내포한 용접 단위체를 충전한 후 열을 가하는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와 리벳부가 서로 단일체를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can be smoothly carried out, will be.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a central portion of a top surface; And a rivet portion formed of a hollow tube body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s received. In the stat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s received in the rivet portion, the welding unit including the flux is filled in the rivet portion, Wherein the base portion and the rive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rough brazing welding to which the rivet terminal is attac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와 단자부 간의 통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결합 강도에 대한 확보를 추가로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vet terminal for a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vet terminal for a battery pack,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smooth connection between a base portion and a terminal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이루어지면서 해당 전기자동차의 모터 구동을 위한 전원과 같은 각종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대용량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팩이다.Generally, a battery pack used in an electric automobile is a pack made of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supply various kinds of power such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motor of the electric vehicle.
이와 같은 배터리팩은 내부에 양극재와 음극재, 전해액 및 분리막 등의 기초 소재가 수용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전지캡 및 상기 전지캡에 구비되는 리벳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case in which a base material such as a cathode material, an anode material,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is accommodated, a battery cap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a rivet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cap .
특히, 상기 리벳단자는 평판형의 베이스부와 리벳형의 단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단자부 간은 저항 마찰용접을 이용한 융착으로써 서로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12402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041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3-141173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Particularly, the rivet terminal is composed of a flat base portion and a rivet type terminal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fusion welding using resistance friction welding. This i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10-2012-124026, 10-2013-004041 and 10-2013-141173.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리벳단자는 상기 단자부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베이스부에의 융착을 위한 표면적이 극히 작음에 따라 결합 강도가 약하여 외부 충격이나 지속적인 부하의 발생시 상기 융착 부위가 분리되었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ivet terminal has a cylindrical shape, the surface area for fusion bonding to the base portion is extremely small,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is weak and the fusion portion is separated when an external impact or a continuous load is generated Lt; / RTI >
특히, 최근에는 통전 성능의 향상을 위해 상기 리벳단자를 이루는 베이스부를 구리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단자부는 배터리팩을 이루는 전지 케이스와 동일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서로 간의 저항 마찰용접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fication performance, the base portion constituting the rivet terminal is formed of copper, and the terminal portion is made of the same aluminum as the battery case of the battery pa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often occurs.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부와 단자부 간의 통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결합 강도에 대한 확보를 추가로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curing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terminal unit, And to provide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에 따르면 상면 중앙 부위로부터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중공의 관체로 이루어진 리벳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를 상기 리벳부에 수용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리벳부 내에 플럭스를 내포한 용접 단위체를 충전한 후 열을 가하는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와 리벳부가 서로 단일체를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rivet portion formed of a hollow tube body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s receiv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s received in the rivet portion, the welding unit including the flux is filled in the riv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the rivet portion are formed as a unitary body through brazing welding.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는 하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리벳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단과, 상부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나사단에 비해 더욱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소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includes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screwing the rivet portion and forming a lower end portion, and a reduced end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readed portion .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base portion ar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베이스부를 이루는 결합돌기의 둘레면에는 요입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forming the base portion.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상하로 개방된 관체의 리벳부를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리벳부 내의 상측 공간에 플럭스를 내포한 용접 단위체를 충전하는 단위체 충전단계;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리벳부 간의 결합 부위에 열을 가하여 상기 용접 단위체를 용융시키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teps of: coupling a rivet portion of a tube to an upper surface of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base; A unit body filling step of filling a welding unit including the flux in an upper space in the rivet part; And a welding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joint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rivet part to melt the welding unit body.
여기서, 상기 용접단계의 완료 후 상기 리벳부를 기계 가공하여 설정된 치수로 성형하는 기계 가공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chining step further comprises a machining step of machining the rivet par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elding step and shaping the rivet part into a predetermined dimens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는 용접와이어 단위체를 이용하여 베이스부와 리벳부를 서로 용접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리벳부 내로 일부 수용되는 결합돌기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와 리벳부 간의 통전 성능 및 결합 강도의 동시적인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rivet terminal for the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welding the base portion and the rivet portion by welding using a welding wire unit, and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rivet por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imultaneous improvement of the electrification performance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rivet portion.
더욱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그 제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Further, the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manufactured simply because the overall structure is si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explaining a structure of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는 크게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상기 리벳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0)를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서로의 통전 성능에 대한 향상 및 결합 강도의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는 전지 케이스(10) 내에 충전된 기초 소재(양극재와 음극재, 전해액 및 분리막 등)(12)와의 통전을 위한 부위이다.First, the
이와 같은 베이스부(100)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우수한 통전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이와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10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10)의 상면을 덮는 커버체(11)를 관통하여 상기 전지 케이스(10) 내에 충전된 기초 소재(12)와 통전되도록 설치된다.2,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 중앙 부위에 결합돌기(110)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결합돌기(110)는 상기 커버체(11)를 관통하여 전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특히, 상기 결합돌기(110)는 하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단(111)과, 상부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나사단(111)에 비해 더욱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소단(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상기한 결합돌기(11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후술될 리벳부(20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한 임의적인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서로 간의 통전 성능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상기와 같은 축소단(112)의 구조로 인해 용접을 위한 표면적이 최대한 확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다음으로, 상기 리벳부(200)는 배터리팩의 외부 연결을 위한 단자이다.Next, the
이와 같은 리벳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전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결합돌기(110)가 수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중공 관체로 이루어진다.The
특히, 상기 리벳부(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0)를 이루는 나사단(11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리벳부(200)를 베이스부(100)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임의적인 가조립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용접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때, 상기한 나사산은 실시예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벳부(200)의 내주면 하단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리벳부(200)의 내주면 전 부위에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hread may be formed only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베이스부(100) 및 리벳부(200)를 각각 별도로 제조한다.First, the
즉, 상기 베이스부(100)는 구리 재질로 주물이나 프레스 혹은, 기계 가공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리벳부(2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주물이나 프레스 혹은, 기계 가공하여 형성됨에 따라 서로 별개의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다.That is, the
특히,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리벳부(200)는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도록 한다.Particularly, an
이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리벳부(200) 간을 첨부된 도 3과 같이 서로 결합한다. 즉, 상기 베이스부(100)의 결합돌기(110)에 상기 리벳부(20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서로 간이 임의적인 가조립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부(100)와 리벳부(1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벳부(110) 내의 상측 공간에 플럭스(21)를 내포한 용접와이어의 단위체(20)를 충전한다.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이때, 상기 플럭스(21)를 내포한 용접와이어 단위체(20)라 함은 플럭스 충전 용접와이어(flux-cored welding wire)를 상기 리벳부(200) 내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어진 단위체이다.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리벳부(110) 내에 플럭스(21)를 내포한 용접와이어의 단위체(20)가 충전되면 상기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의 결합 부위에 열을 가한다.When the
이의 경우, 상기 리벳부(200) 내에 충전된 용접와이어 단위체(20)는 상기와 같이 가해지는 열로 인해 용융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용융되는 용접와이어 단위체(2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결합돌기(110)와 상기 리벳부(200) 간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 부위 사이로 녹아내리면서 해당 부위의 틈새에 충전되어 상기 결합돌기(110)와 리벳부(200) 간의 결합 부위 전체가 완전히 통전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this case, the welding
즉,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의 나사식 결합만으로도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리벳부(200) 간의 통전이 이루어질 수는 있지만, 상기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는 그의 치수가 매우 정밀하지 않는다면 결합에 의한 실질적인 접촉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 구조로써 부분적으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서 실질적인 통전 성능이 낮을 수밖에 없으나, 상기 용접와이어 단위체(20)를 이용한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이 점접촉 구조가 아닌 면접촉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통전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결합은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although energiz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따라서, 전술된 과정을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가 완성되며, 이렇게 제조된 리벳단자는 그의 베이스부(100)가 전지 케이스(10) 내에 충전된 기초 소재(양극재와 음극재, 전해액 및 분리막 등)(12)와 통전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리벳부(200)는 전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리벳단자를 통한 전원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2의 상태와 같다.Thus, the rivet terminal for the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rivet terminal thus manufactured has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의 결합 구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즉,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결합돌기(110)를 상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함과 더불어 리벳부(200)의 내경은 상기 결합돌기(110)의 외경에 비해 더욱 큰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브레이징 용접을 통한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의 용접이 완료된 후 상기 리벳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원치않게 이격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이의 경우,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결합돌기(110)가 상기 리벳부(200)의 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리벳부(200)의 내부에 플럭스(21)를 내포한 용접와이어 단위체(20)를 충전하고, 이후 열을 가하여 첨부된 도 9와 같이 상기 용접와이어 단위체(20)를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이 일체형을 이루도록 한 다음 기계 가공을 수행하여 설정된 치수로 성형하여 첨부된 도 6의 리벳단자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리벳부(200)와 베이스부(100) 간의 통전 성능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그 결합 강도 역시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engaging
물론,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결합돌기(110)는 그의 둘레면에 요입홈(113)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전 면적 및 결합 강도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10, the
이렇듯,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는 용접와이어 단위체(20)를 이용하여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를 서로 용접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상기 리벳부(200) 내로 일부 수용되는 결합돌기(110)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와 리벳부(200) 간의 통전 성능 및 결합 강도의 동시적인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ivet terminal for the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welding the
더욱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그 제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overall structure, the rivet terminal can be manufactured easily.
10. 전지 케이스 11. 커버체
12. 기초 소재 20. 용접와이어 단위체
21. 플럭스 100. 베이스부
110. 결합돌기 111. 나사단
112. 축소단 113. 요입홈
200. 리벳부10.
12.
21.
110. Coupling
112.
200. rivet part
Claims (6)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중공의 관체로 이루어진 리벳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를 상기 리벳부에 수용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리벳부 내에 플럭스 충전 용접와이어(flux-cored welding wire)를 상기 리벳부 내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어진 플럭스를 내포한 용접 단위체를 충전한 후 열을 가하는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상기 충전된 용접 단위체를 용융시켜 상기 베이스부와 리벳부가 서로 단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A base portion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rivet portion formed of a hollow tube body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s received,
And a flux-cored welding wire is cut into a size enough to be received in the rivet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base portion is received in the rivet portion, Wherein the base unit and the rivet unit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by melting the charged welding unit through brazing welding to heat the unit body and then heat the unit body.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는 하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리벳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단과, 상부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나사단에 비해 더욱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소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ncludes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threadedly engaging the rivet portion and forming a lower end portion, and a reduced end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readed portion, And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s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upper portion.
상기 베이스부를 이루는 결합돌기의 둘레면에는 요입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engaging projection of the base portion.
상기 리벳부 내의 상측 공간에 상기 리벳부 내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어진 플럭스를 내포한 용접 단위체를 충전하는 단위체 충전단계;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리벳부 간의 결합 부위에 열을 가하여 상기 용접 단위체를 용융시키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방법.A coupling step of coupling a rivet part of the tube opened up and down to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unit filling step of filling the upper space in the rivet part with a welding unit including a flux made by cutting to a size large enough to be accommodated in the rivet part; And,
And a welding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joint between the base and the rivet to melt the welding unit.
상기 용접단계의 완료 후 상기 리벳부를 기계 가공하여 설정된 치수로 성형하는 기계 가공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의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machining the rivet portion after completion of the welding step to form the rivet portion into a predetermined dimens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ivet terminal for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5286A KR101597680B1 (en) | 2014-04-16 | 2014-04-16 | rivet type electrode terminals for a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5286A KR101597680B1 (en) | 2014-04-16 | 2014-04-16 | rivet type electrode terminals for a battery pa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9994A KR20150119994A (en) | 2015-10-27 |
KR101597680B1 true KR101597680B1 (en) | 2016-02-29 |
Family
ID=5442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5286A Active KR101597680B1 (en) | 2014-04-16 | 2014-04-16 | rivet type electrode terminals for a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6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52444B (en) * | 2015-12-24 | 2018-02-06 | 惠州金源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rivet driver for battery |
KR102612062B1 (en) * | 2016-06-24 | 2023-12-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21367A (en) * | 1998-07-07 | 2000-01-21 |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 Battery |
JP2002216742A (en) * | 2001-01-16 | 2002-08-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Lead storag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45699A (en) * | 1997-07-29 | 1999-02-16 |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 Terminal formation method for lead-acid battery |
US9537135B2 (en) * | 2010-07-21 | 2017-01-03 | Samsung Sdi Co., Ltd. |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14
- 2014-04-16 KR KR1020140045286A patent/KR1015976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21367A (en) * | 1998-07-07 | 2000-01-21 |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 Battery |
JP2002216742A (en) * | 2001-01-16 | 2002-08-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Lead storag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9994A (en) | 2015-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49963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element assembly | |
US9680145B2 (en) |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
US10950916B2 (en) |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 |
US10790483B2 (en) | Power battery top cap structure | |
WO2012014510A1 (en) | Secondary cell | |
EP2654098A1 (en) | Device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EP3491684B1 (en) | Weldable aluminum terminal pads of an electrochemical cell | |
KR102236759B1 (en) |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 |
JP2016207433A (en) | Square secondary battery | |
US10109824B2 (en) |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 |
JP6939566B2 (en) | Power storage element | |
KR20130008223A (en) | Rechargeable battery | |
JP201906776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element, power storage element, and power storage device | |
US20230015845A1 (en) | Termina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89402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the friction-stir welding of an assembly for storing electricity | |
KR101597680B1 (en) | rivet type electrode terminals for a battery pack | |
JP6855662B2 (en) | Cylindrical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welding columns | |
CN104781952A (en) | Battery cell comprising housing cover plate with riveted filling opening | |
US11610743B2 (en) | Energy storage device | |
JP5871871B2 (en) |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
JP2005011675A (en) | Sealed battery | |
JP2015046301A (en) | Secondary battery | |
JP6108545B2 (en) | Squar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 |
JP2009277427A (en)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
JP4691919B2 (en) | Welding method for metal par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