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7615B1 -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615B1
KR101597615B1 KR1020140106912A KR20140106912A KR101597615B1 KR 101597615 B1 KR101597615 B1 KR 101597615B1 KR 1020140106912 A KR1020140106912 A KR 1020140106912A KR 20140106912 A KR20140106912 A KR 20140106912A KR 101597615 B1 KR101597615 B1 KR 10159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inlet
gas
main body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하
조정호
서일광
장재형
임채호
유승목
Original Assignee
박종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종하
Priority to KR102014010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6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6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A device to supply draft beer having a cleaning function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main body which has a drink inlet for allowing beer supplied from a beer barrel to flow thereinto; a drink outlet which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main body and discharges the beer flowing into the cylindrical main body to the outside; and a clean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main body and supplies cleaning water to the cylindrical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to supply draft beer having a cleaning function effectively removes beer stones formed in a draft beer drawing device and a pipe of the draft beer drawing device, and performs sterilization and cleaning management in the draft beer drawing device and the pipe of the draft beer drawing device using micro-bubbled carbonated water.

Description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supply device having a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supply device having a clean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er suppl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beer stones formed in ducts of draft beer extraction devices and draft beer extraction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er feeding device provided with a cleaning function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drafting device and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in a conduit.

생맥주는 완전히 밀폐된 생맥주통에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을 연결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의 콕크밸브를 조작하여 맥주잔에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draft beer is generally supplied to the consumer by connecting the conduit of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to the completely closed draft beer barrel and manipulating the cockle valve of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to be put in a beer glass.

이와 같이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나, 생맥주 인출장치 자체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1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ique for connecting the draft beer drafting machine and the draft beer drafting machine itself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557418 and Korean Patent No. 10-0557424.

그런데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소위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되는데, 이러한 비어스톤은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약제를 주입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비어스톤 제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어스톤 제거 약제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urse of discharging the draft beer through the conduit in the draft beer barrel, a so-called "beer stone"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or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Such beer stones deteriorate the beer, Lt; / RTI >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n effort to inject medicines, bu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beer stone remov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beer stone removing agent for edible purposes.

아울러, 생맥주통에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는 생맥주 공급 라인과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부 구조는 위생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살균 및 세정 관리가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생맥주 공급 장비의 내부 구조에 대한 정기적인 세정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aft beer supply line including the conduit connecting the draft beer outlets in the draft beer barrel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aft beer outlets are required to be periodically sterilized and cleaned for sanitation management, conventionally, There was no way to regularly manag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lt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remove beer stones formed in conduits of draft beer drafting apparatus and draft beer draft drawing apparatus and also to enable sterilization of draft beer drafts and draft beer drafts in ducts using microbubbed carbonated water And a cleaning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cleaning manag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액체와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혼합되는 혼합구; 및 상기 혼합구에서 상기 기체와 혼합된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apparatus using a gas mixture liquid, comprising: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iq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gas mixed with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flows into the second inlet; A mixing port for mixing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and the gas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n the mixing port is dischar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는 물이고,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iquid is water, and the gas is carbon dioxide gas or nitrogen gas.

또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는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a pulsating phenomen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액체와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혼합되는 혼합구; 및 상기 혼합구에서 상기 기체와 혼합된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는 상기 액체 내에서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cleaning apparatus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iq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gas mixed with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flows into the second inlet; A mixing port for mixing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and the gas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n the mixing port is discharged, wherein the gas forms minute bubbles in the liqui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는 물이고,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iquid is water, and the gas is carbon dioxide gas or nitrogen gas.

또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는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a pulsating phenomenon.

또한,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혼합구 사이에 설치되는 소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ntered bod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let and the mixing po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는, 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맥주가 유입되는 음료 유입구가 구비된 통형 본체부; 상기 통형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형 본체부에 유입된 맥주가 유출되는 음료 유출구; 및 상기 통형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통형 본체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beer supply equipment provided with the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main body portion having a beverage inlet through which beer fed from a beer barrel is introduced; A beverage outlet provided in the tubular main body and through which the beer flowing into the tubular main body flows out; And a cleaning device installed in the tubular main body and supplying cleaning water to the tubular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액체와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혼합되는 혼합구; 및 상기 혼합구에서 상기 기체와 혼합된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ea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iq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gas mixed with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flows into the second inlet; A mixing port for mixing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and the gas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mixing port.

또한, 상기 기체는 상기 액체 내에서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as is characterized by forming fine bubbles in the liquid.

또한,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as is carbon dioxide gas.

또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는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a pulsating phenomenon.

또한, 상기 세정 장치는,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혼합구 사이에 설치되는 소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ea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intered bod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inlet and the mixing port.

본 발명에 따르면,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형성된 비어스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화된 탄산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beer stones formed in the conduits of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nd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s well as to control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of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nd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in conduits using microbubbed carbonated wat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가 설치된 맥주 공급 장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eaning apparatus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cleaning apparatus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leaning device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eer supply device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의 단면 구조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는 제1 유입구(110), 제2 유입구(120), 혼합구(130), 및 배출구(140)를 포함한다.1 and 2, a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let 110, a second inlet 120, a mixing port 130, (140).

제1 유입구(110)로는 제1 유입구(110)에 체결되는 외부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등의 액체가 유입되며, 이와 같이 제1 유입구(110)를 통해 세정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제2 유입구(120)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 등의 기체와 혼합구(130)에서 혼합되게 된다.Liquid such as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110 flows into the first inlet 110 and the liquid that has flowed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first inlet 110 passes through the first inlet 110, And mixed with gas such as carbon dioxide gas or nitrogen gas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120 in the mixing port 130.

한편, 혼합구(130)에서 기체와 혼합된 액체는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구(140)에 연결된 배출관(미도시)으로 공급되게 되며, 이와 같이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혼합 액체인 세정수는 배출관에 연결된 각종 다양한 산업용 관의 내부를 세정 및 세척하게 된다.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n the mixing port 130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4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and the gas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The cleaning water, which is liquid, cleans and cleans the interior of various industrial pipe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를 통해 세정 및 세척 가능한 산업용 관은 선박 송유관, 오폐수 슬러지 처리 시설의 배관, 건설 플랜트 설비의 내부 배관, 맥주 등의 식음료 장비에서의 음료 공급관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다양한 산업용 관의 내부에 침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 및 세균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100)를 통해 세정가능하게 된다.Industrial pipes that can be cleaned and cleaned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lea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the piping of the ship oil pipeline, the sewage sludge treatment facility, the internal piping of the construction plant facility, and the food and beverage equipment such as beer And a foreign matter such as scale and the like deposited on the inside of various industrial pipes can be cleaned by the clea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Meanwhil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ipe to be clean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panied by a pulsating phenomenon and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pipe to be cleaned.

본 발명에서의 맥동 현상이란 배관 내에서의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배관에서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pulsation phenomen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liquid and the discharge amount periodically fluctuate in the flow of the liquid without free water surface in the pipe, which causes periodic vibration in the pipe.

이와 같은 맥동 현상의 발생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배관의 토출 관로가 길고, 배관의 내부에 에어 포켓 등의 공기가 괴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re are various causes of such a pulsation phenomenon, but it is known that such a phenomenon occurs when a discharge pipe of a pipe is long and there is a portion where air such as an air pocket is stuck inside the pipe.

한편, 이와 같은 맥동 현상은 관내 유체의 원할한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관의 단면적, 유속, 유량을 조절하는 등과 같은 맥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맥동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관내 진동과 관내 벽면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통해 관내부를 세척 및 세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pulsation phenomenon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smooth flow of the fluid in the tube. Generally, a method for preventing the pulsation phenomenon such as removing the air in the pipe,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flow r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wash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a pipe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pulsation phenomenon and the amount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pipe wall.

즉, 본 발명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형상 및 규격의 혼합구(130)에 제1 유입구(110)를 통해 물 등의 액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액체의 이동 경로와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를 강제 주입하는 경우에 세정 장치(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That i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a state in which liquid such as water is supplied to the mixing port 130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ose shown in FIGS. 1 and 2 through the first inlet 110, The clean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when the gas such as carbon dioxide gas is forcibly injected through the second inlet 120 is accompanied by a pulsation phenomenon,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살균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2 유입구(120)를 통해 혼합구(130)에 공급되어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는 극미세 크기로 버블화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cleaning and sterilizing by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ixing bowl 130 through the second inlet 120 and mixed with the liquid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is a gas such as carbon dioxide gas which is bubbled to a very fine size.

즉,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가 액체 내에서 미세 기포를 형성하고 있다면,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살균의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2 유입구(120)와 혼합구(130) 사이에 소결체(150)를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if the gas such as carbon dioxide gas forms fine bubbles in the liquid, the effect of cleaning and disinfection by the washing water can be further increase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intered body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ixing chamber 120 and the mixing chamber 130.

구체적으로, 제2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는 소결체(15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입자로 분리되며, 미세 입자로 분리된 기체는 제1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액체와 혼합구(130) 내에서 혼합됨으로써,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이산화탄소 가스 등에 의한 마이크로 버블을 함유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gas such as carbon dioxide ga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inlet 120 is separated into micro-sized fine partic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sintered body 150, and the gas separated into fine particles flows through the first inlet 110 By mixing the introduced liquid with the mixing hole 130,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contains microbubbles due to carbon dioxide gas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과정에서의 실험에 의하면, 세정수가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경우에, 세정수가 맥동 현상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세정수에 포함된 마이크로 버블은 쉽게 소멸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긴 유로를 통해서도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세정 및 살균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with the pulsation phenomenon, the microbubbl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do not easily disappea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ashing water does not cause the pulsation phenomen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even through a long flow path, microbubbles are used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소결체(150) 이외에도 혼합구(130)내에서 기체와 혼합된 액체에 마이크로 버블이 내재되도록 하는 다양한 마이크로 버블화 장치 또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icrobubbing devices or mean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sintered body 150 to allow the microbubbles to be contained in 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n the mixing hole 13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의 기본 구조 및 기능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와 동일한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에서의 기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0)의 내부에는 역류 방지구(125)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the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3, a second inlet 120 into which the gas is introduced in the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the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verse flow chamber (not shown) 125 are additionally provided.

한편, 제2 유입구(120)를 통한 기체의 유입이 없는 경우에는 역류 방지구(125)를 탄성 지지하는 용수철 등의 탄성 부재(127)에 의해 역류 방지구(125)가 제2 유입구(120)를 제2 유입구(120)의 내부에서 차단함으로써, 혼합구(130) 내부의 액체가 제2 유입구(120)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gas does not flow through the second inlet 120, the reverse flow chamber 125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120 by the elastic member 127 such as a spring that resiliently supports the reverse flow chamber 125, The liquid in the mixing port 130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second inlet 120 by blocking the second inlet 120 inside the second inlet 120. [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에는 3-way 밸브(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3-way 밸브(200)를 조절함으로써, 세정 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된 맥주 등의 음료 유입구(310)의 개폐를 조절함과 동시에 제1 유입구(11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3, a 3-way valve 200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the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djusts the 3-way valve 20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verage inlet 310 such as beer combin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inlet 110 can be controlled.

즉, 사용자는 3-way 밸브(200)를 조절함으로써, 세정 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된 맥주 등의 음료 유입구(310)를 개방함으로써, 음료 유입구(310)로부터 공급되는 맥주 등의 음료가 혼합구(130)를 통과하여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3-way 밸브(200)를 조절함으로써, 세정 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된 맥주 등의 음료 유입구(310)를 폐쇄하고 제1 유입구(110)를 개방함으로써, 음료 유입구(310)로부터의 맥주 등의 음료의 공급을 차단하고, 제1 유입구(110)를 통해 물 등의 세정용 액체가 혼합구(130)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세정 장치(100)에 따른 세정 작업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adjusting the 3-way valve 200, the user opens the beverage inlet 310 such as beer,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The user can control the supply of the beer and the like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cleaning device 100 by controlling the 3-way valve 200. In addition, The beverage inlet 310 is closed and the first inlet 110 is opened so that the supply of beverage such as beer from the beverage inlet 310 is blocked and the cleaning liquid such as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inlet 110 So that the clea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lean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가 설치된 맥주 공급 장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가 설치된 맥주 공급 장비는 세정 장치(100), 3-way 밸브(200), 및 통형 본체부(300)를 포함한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eer supply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beer supply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apparatus 100, a three-way valve 200, and a tubular main body 300 ).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100)의 기본 구조 및 기능은 도 3에서의 세정 장치(100)와 동일하며, 통형 본체부(300)는 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맥주가 유입되는 음료 유입구(310)가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부유 차단볼(330)이 구비되어 있다.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the gas mixture liqu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is the same as that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in Fig. 3, A beverage inlet 310 into which a beer is supplie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oating blocking ball 330 is provided therein.

부유 차단볼(330)은 통형 본체부(300) 내부로 연결된 배출구(140)의 입구 위에 놓여 배출구(140)를 차단함으로써, 음료 유출구(320)를 통해 맥주를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하기 이전 단계인 대기 단계에서, 제2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가 음료 유출구(320)를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에서의 가스터짐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loating blocking ball 330 is placed on the inlet of the outlet 14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ubular main body 300 to shut off the outlet 140 so that the beer is supplied to the draft beer through the beverage outlet 320 In the waiting step, gas such as carbon dioxide ga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inlet 120 is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through the beverage outlet 320 to prevent the gasoline from being extracted from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do.

한편, 도 4에서의 통형 본체부(300)의 상세 구조 및 부유 차단볼(330)에 의한 기능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38263호(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에서와 동일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38263호 명세서의 내용 전부를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Meanwhil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main body 300 in FIG. 4 and the function of the floating blocking ball 330 are the same as those in Korean Patent No. 10-1238263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beating of gas from being blown and generating beerstone) In this specification, Korean Patent No. 10-1238263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한편, 도 4에서의 통형 본체부(300)에는 통형 본체부(300)에 유입된 맥주 등의 음료가 유출되는 음료 유출구(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통형 본체부(30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장치(100)가 통형 본체부(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4, a beverage outlet 320 through which a beverage such as beer flows into the tubular main body 300 is provided, and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ular main body 300 The cleaning device 10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ylindrical main body part 300. [

한편, 통형 본체부(300)의 하부에는 3-way 밸브(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3-way 밸브(200)를 조절함으로써, 음료 유입구(310)의 개폐를 조절함과 동시에 음료 유출구(32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3-way valve 200 is provided below the cylindrical body part 300, and the user adjus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verage inlet 310 by adjusting the 3-way valve 20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320 can be controlled.

즉, 통형 본체부(300) 내부와 음료 유출구(320)를 통한 맥주의 공급라인의 세정 및 살균을 위해 사용자는 3-way 밸브(200)를 조절함으로써, 세정 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된 맥주 등의 음료 유입구(310)를 폐쇄하고 음료 유출구(320)를 개방함으로써, 음료 유입구(310)로부터의 맥주 등의 음료의 공급을 차단하고, 세정 장치(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통형 본체부(300)의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이 내재된 상태에서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이동하는 세정액이 통형 본체부(300)의 내부를 거쳐 음료 유출구(320)를 통해 맥주의 공급라인으로 전달됨으로써, 맥주의 공급라인의 세정 및 살균 작업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adjust the 3-way valve 200 to clean and sterilize the supply line of the beer inside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300 and the beverage outlet 320, The supply of the beverage such as beer from the beverage inlet 310 is cut off by closing the beverage inlet 310 such as beer and opening the beverage outlet 320 so that the beverage can be supplied to the beverage outlet 310 through the outlet 140 of the cleaning device 100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0 is transferred to the supply line of beer through the beverage outlet 320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ular main body 300 while the microbubbles are present in the state where the microbubbles are present, So that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operation of the supply line of the beer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세정 장치, 110: 제1 유입구,
120: 제2 유입구, 130: 혼합구,
140: 배출구, 150: 소결체,
200: 3-way 밸브, 300: 통형 본체부,
310: 음료 유입구, 320: 음료 유출구,
330: 부유 차단볼.
100: cleaning device, 110: first inlet,
120: second inlet port, 130: mixing port,
140: outlet, 150: sintered body,
200: 3-way valve, 300: tubular body part,
310: beverage inlet, 320: beverage outlet,
330: Floating blocking ball.

Claims (6)

삭제delete 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맥주가 유입되는 음료 유입구(310)가 구비된 통형 본체부(300);
상기 통형 본체부(300)에 구비되며, 상기 통형 본체부(300)에 유입된 맥주가 유출되는 음료 유출구(320); 및
상기 통형 본체부(300)에 설치되며, 상기 통형 본체부(30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장치(100)
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10);
상기 제1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0);
상기 제1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액체와 상기 제2 유입구(120)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혼합되는 혼합구(130); 및
상기 혼합구(130)에서 상기 기체와 혼합된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40)
를 포함하는 것인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A tubular main body 300 having a beverage inlet 310 into which a beer fed from a beer canister flows;
A beverage outlet 320 provided in the tubular main body 300 and through which beer flows into the tubular main body 300; And
A cleaning device 100 installed in the tubular main body 300 and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ular main body 300,
/ RTI >
The cleaning device (100)
A first inlet 110 through which liq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A second inlet (120) through which gas mixed with the liquid flowing from the first inlet (110) flows;
A mixing port 130 for mixing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110 and the gas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120; And
A discharge port 140 through which 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mixing port 130,
Wherein the beer supply device has a cleaning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액체 내에서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것인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s forms fine bubbles in the liqu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 가스인 것인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s is carbon dioxide ga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는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것인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0) is discharged accompanied by a pulsation phenomen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장치(100)는, 상기 제2 유입구(120)와 상기 혼합구(130) 사이에 설치되는 소결체(15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leaning device (100) further comprises a sintered body (150)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inlet (120) and the mixing port (130).
KR1020140106912A 2014-08-18 2014-08-18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Active KR101597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12A KR101597615B1 (en) 2014-08-18 2014-08-18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12A KR101597615B1 (en) 2014-08-18 2014-08-18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615B1 true KR101597615B1 (en) 2016-02-25

Family

ID=5544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912A Active KR101597615B1 (en) 2014-08-18 2014-08-18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6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01B1 (en) 2016-11-25 2018-12-19 주식회사 캠프런 Beverage Distribution Head Integrating Direct Water Supply Type Clean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822A (en) * 2000-06-01 2001-12-11 Jonan Denki Kogyosho:Kk Method for cleaning pipe for beer and apparatus for cleaning beer server
JP2005088946A (en) * 2003-09-18 2005-04-07 Asahi Breweries Ltd Beverage server washer
KR20130020413A (en) * 2011-08-19 2013-02-27 조정호 Desliming apparatus of beer
KR101289954B1 (en) * 2011-11-11 2013-07-26 이한순 Oral Cleaner For Multiple U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822A (en) * 2000-06-01 2001-12-11 Jonan Denki Kogyosho:Kk Method for cleaning pipe for beer and apparatus for cleaning beer server
JP2005088946A (en) * 2003-09-18 2005-04-07 Asahi Breweries Ltd Beverage server washer
KR20130020413A (en) * 2011-08-19 2013-02-27 조정호 Desliming apparatus of beer
KR101289954B1 (en) * 2011-11-11 2013-07-26 이한순 Oral Cleaner For Multiple U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01B1 (en) 2016-11-25 2018-12-19 주식회사 캠프런 Beverage Distribution Head Integrating Direct Water Supply Type Cleanin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588B1 (en) Pipe cleaning method
JP6990387B2 (en) Beverage supply channel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equipment
JP6454003B2 (en) Cleaning device using gas mixture liquid
KR101921604B1 (en) Beverage distribution head integrating cleaning module
US9731252B2 (en) Aeration nozzle, and blockage removal method for said aeration nozzle
KR101597615B1 (en)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JP2011078858A (en) Method for generating microbubble and microbubble generator
KR102133461B1 (en) Pollutant cleaning method to remove and sterilize contaminants in water supply pipe
US20090100579A1 (en) Toilet Device
KR102002823B1 (en) Cleaning Apparatus Using Liquid Mixed with Gas
KR101936915B1 (en) Cleaning Apparatus Using Liquid Mixed with Gas
KR101658916B1 (en) Cleaning Apparatus Using Liquid Mixed with Gas
KR20210126271A (en) System for filter sterilization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819059B1 (en) Flushing system and method for pipe using micro bubble and the ship or offshore plant having the same
KR102829277B1 (en) Recycling System of Waste Salt Water
KR20140024755A (en) Scale removal apparatus
KR101658649B1 (en) Filter Cleaning Device
KR101435359B1 (en) Faucet directly connectable pipe cleaning equipment
JP6333097B2 (en) Filter cleaning equipment with flow path cleaning device
KR101865610B1 (en) Water excretion module structure of cleaning apparatus using liquid mixed with gas
JP5871479B2 (en) Cutting fluid purification device
KR101909001B1 (en) Beverage Distribution Head Integrating Direct Water Supply Type Cleaning Module
JP2006043595A (en) Washing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pipe inside wall, and washing solution supply apparatus used in the washing method
JP20092020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gas/liquid-two-phase flow
JP2017079947A (en) Mixed liquid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