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5346B1 -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 Google Patents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46B1
KR101595346B1 KR1020090039606A KR20090039606A KR101595346B1 KR 101595346 B1 KR101595346 B1 KR 101595346B1 KR 1020090039606 A KR1020090039606 A KR 1020090039606A KR 20090039606 A KR20090039606 A KR 20090039606A KR 101595346 B1 KR101595346 B1 KR 10159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as
gas flow
vent hole
airbag cush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0790A (en
Inventor
권태익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03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4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4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가스가 채워져서 전개되어지는 에어백 쿠션; 전개되었을 때의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 발생기를 포함하는 공간을 제1 챔버, 그리고 그외의 제 2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간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와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챔버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부분에는 외측 벤트 홀이 형성된다.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bag cushion in which a gas is filled and developed; The airbag cushion is formed in the airbag cushion so as to divide the airbag cushion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into the first chamber and the other second chamber, A baffle having a first gas flow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a gas flow and a second gas flow control part, and an outer vent hole is formed in a part of the airbag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mber.

에어백, 벤트 홀 Airbag, vent hole

Description

에어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Airba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modu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modul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안전 벨트는 차량의 충동시에 차량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저속 충돌의 경우, 안전 벨트에 의해, 탑승자는 윈드 쉴드(windshield),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도어, 측면 윈도우, 또는 운전대와 같은 차량 내부에 배치된 물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보호된다. 그러나, 보다 심각한 충돌이 발생한 경우, 탑승자가 벨트를 매고 있다 하더라도 탑승자는 차량 내부에 충돌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시에 차량의 내부 물체 또는 내부 표면과 탑승자 사이의 공간으로 전개되어 일반적인 안전 벨트를 보조하도록 개발되었다. 이러한 에어백은 탑승자의 움직임을 감속시키도록 작동하여 차량의 내부에 탑승자가 충돌하여 부상을 당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게 된다. The seatbelt is designed to protect the vehicle occupant during the impulse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low speed collision, the occupant is protected by the seatbelt from colliding against an object placed inside the vehicle, such as a windshield, instrument panel, door, side window, or steering wheel. However, in the event of a more serious collision, the occupant experiences collision inside the vehicle even if the occupant is wearing the belt. BACKGROUND ART An airbag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assist a general seatbelt when deployed into a space between an inner object or an inner surface of a vehicle and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Such an air bag operates to decelerate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that the occupant is injured inside the vehicle and is injured.

일반적인 에어백 시스템은 작동 모듈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개별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에어백 쿠션, 에어백 팽창기, 센서,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은 얇으며 내구성이 있으면서 운전대 공간, 대시보드, 내부 공간, 루프, 시트, 또는 차량의 다른 공간에 고정되어 접혀지는 직물로 일반적으로 만들어진다. A typical airbag system consists of a number of individual components coupled to form an operating module. Such components include an airbag cushion, an airbag inflator, a sensor,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e airbag cushion is typically made of a thin, durable, fabric that is fixed in the steering wheel space, dashboard, interior space, roof, seat, or other space in the vehicle.

상기 에어백 팽창기는 필요시에 상기 쿠션을 신속하게 팽창시키도록 가스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센서는 충격의 특징인 차량의 급속한 감속을 탐지한다. 상기 센서에 의한 감지는 충돌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자 제어 유닛에서 행해진다.The airbag inflator is designed to generate gas to rapidly inflate the cushion as needed. The sensor detects the rapi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impact. The sensing by the sensor is done 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using an algorithm that determines if a collision has occurred.

차량용 에어백 모듈은 탑승자의 정면에 설치되는 전방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에어백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측면 에어백 모듈은 탑승자의 좌석의 측면에 설치되며, 탑승자와 차량 문의 사이에서 전개된다.The vehicle airbag module can be divided into a front airbag modul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occupant and a side airbag modul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ccupant. The side airbag modul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ccupant's seat and is deployed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vehicle door.

에어백 모듈은 충돌이 있은 후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인플레이터(inflator)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킨다. 이때 에어백 쿠션 내부에 유입되는 가스가 빠져 나갈 수 있는 벤트 홀로 에어백 안의 압력을 조절하여 승객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쇄 한다.The airbag module deploys the airbag cushion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after the collision, with hot, high pressure gas from the inflator. At this time, the vent hole that can escape the gas that flows into the airbag cushion can control the pressure in the airbag to attenuat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passenger.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측면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쿠션의 팽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lated state of an airbag cushion of a side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고하면, 에어백 모듈은 인플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게 되는 에어백 쿠션(10)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챔버(20)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측에는 인플레이터(미도 시)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유입로(30)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irbag module has an airbag cushion 10 that is inflated by the gas supplied from the inflator. The airbag cushion 10 is provided with a chamber 20 in which a gas is filled and an inflow path 30 through which gas is supplied from an inflator (not show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bag cushion 10.

한편,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유입된 가스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트 홀(40)을 구비하여, 챔버(20)을 충진하는 가스의 일부는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4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The airbag cushion 10 is provided with a vent hole 40 for discharging a part of the introduced gas to the outside so that a part of the gas filling the chamber 20 flows into the vent 2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40).

여기서, 에어백 쿠션(10)의 챔버(20)로 유입된 가스가 바로 벤트 홀(40)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챔버(20) 내부의 압력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공급된 기체의 일부가 챔버(20)에서 벤트 홀(40)을 통하여 직접 에어백 쿠션(10) 외부로 직접적으로 토출됨으로 인하여 가스 충진시에 시간에 따른 챔버(20) 내부의 압력은 인플레이터의 가스 발생이 적어지는 특정한 시간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한다.Here, since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20 of the airbag cushion 10 can be directly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40,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20 directly affects the pressure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inflator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20 with respect to time during gas filling is lower than that of the inflator 20 due to the fact that a part of the supplied gas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chamber 20 through the vent hole 40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ushion 10. [ The specific time after the gas generation is reduced sharply decreas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전개된 에어백 쿠션의 완충성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강화하며 아울러 에어백 쿠션 내부의 적정시간에 따른 압력의 감소를 완화하여 에어백 쿠션의 전개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ag module which can maintain or enhance the cushioning property of the deployed airbag cushion at a current level, The airbag modul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가스가 채워져서 전개되어지는 에어백 쿠션; 전개되었을 때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공간을 제 1 챔버와 제 2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간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와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챔버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부분에는 외측 벤트 홀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bag cushion in which a gas is filled and developed; The airbag cushion being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airbag cushion so as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bag cushion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into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trol gas flow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a baffle having a gas flow control unit and a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wherein an outer vent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mber.

여기서,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상기 제 2 챔버로의 가스 유동을 개폐한다. Here,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opens and closes the gas flow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한편,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상기 제 1 챔버로의 가스 유동을 개폐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as flow control part opens and closes the gas flow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벤트 홀은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와 오정렬(misalign)되어 배치된다.In the state that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the outer vent hole is misaligned with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상기 제 1 챔버는 가스가 에어백 쿠션으로 유입되는 유입로에 인접하게 배치 되며,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유입로에서 멀게 배치된다. The first chamber is disposed adjacent to an inflow path through which gas enters the airbag cushion, and the second chamber is disposed remotely from the inflow path.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을 관통하는 제 1 내측 벤트 홀을 구비한다.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includes a first inner vent hole passing through the baffle.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을 관통하는 제 2 내측 벤트 홀과 상기 배플의 표면 중 상기 내부 챔버 측 표면에 형성되어 제 2 내측 벤트 홀을 개폐하는 제 2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includes a second inner vent hole passing through the baffle and a second cover memb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hamber side of the baffl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inner vent hole.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의 표면 중 상기 제 2 챔버 측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을 개폐하는 제 1 커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memb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baff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inner vent hole.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의 단면적은 상기 외측 벤트 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Sectional area of the first inner vent hole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vent hole.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한다.Wherein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gas charged in the second chamber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i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And blocks gas flow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is less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2 챔버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챔 버와 상기 제 1 챔버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한다.Wherein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gas charged in the first chambe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i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And blocks gas flow between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is small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조의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차량을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having an airbag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ba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에어백 쿠션이 팽창된 상태가 오래 지속될 수 있게 된다. First, the inflated state of the airbag cush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둘째, 전개된 에어백 쿠션의 완충성이 강화되어 차량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Second, the cushioning property of the deployed airbag cushion is enhanced, so that the vehicle occupant can be safely protected.

셋째, 에어백 쿠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인플레이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ird, the gas introduced into the airbag cushion can be efficiently used, and the ne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nflator can be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백 모듈을 살펴본다.Hereinafter,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에 가스가 주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가스 유동 제어부가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배플의 부분 사시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bag module of FIG. 2, and FIG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irbag module of FIG. 2,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affle showing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충전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채워져서 전개되어지는 에어백 쿠션(100)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었을 때의 상기 에어백 쿠션(100)의 내부 공간을 제 1 챔버(110)와 제 2 챔버(120) 로 구획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플(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챔버(110)는 인플레이터에서 공급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100)으로 유입되는 유입로(13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챔버(120)는 상기 유입로에서 멀게 배치된다. 2 and 3,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bag cushion 100 in which gas generated from an inflator (not shown) generating a filling gas is filled and developed. The airbag module is formed inside the airbag cushion 100 so as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bag cushion 100 when the airbag cushion 100 is deployed into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As shown in FIG. The first chamber 1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flow path 130 where the gas supplied from the inflator flows into the airbag cushion 100 and the second chamber 120 is disposed away from the inflow path.

특히, 상기 에어백 모듈이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루프 레일이나 시트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이 차량의 시트에 장착될 경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면 제 2 챔버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1 챔버는 제 2 챔버 대비 상대적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Particularly, when the airbag module is used as a side airbag of a vehicle, the airbag module can be installed in a roof rail or a seat of the vehicle. When the airbag module is moun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he second cha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vehicle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and the first cha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rear of the vehicle relative to the second chamber.

한편, 상기 배플(11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 1 챔버(110)와 제 2 챔버 (120)간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150)와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챔버로(110)부터 상기 제 2 챔버(120)로의 가스 유동을 개폐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상기 제 1 챔버로의 가스 유동을 개폐하는 작용을 한다. The baffle 115 includes a first gas flow control unit 150 and a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16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trol gas flow between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Respectively.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150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gas flow from the first chamber 110 to the second chamber 120,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gas flow to the one chambe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의 경우,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115)을 관통하는 제 1 내측 벤트 홀(15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은 상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은 복수개로 인접하게 형성된 관통공일 수 있다. 2 and 3,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includes a first inner vent hole 150 passing through the baffle 115, and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Is maintained in the normally open state.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may be a plurality of adjacent through holes.

한편,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160)는 상기 배플(115)을 관통하는 적어 도 하나의 제 2 내측 벤트 홀(162)과 상기 배플(115)의 표면 중 상기 제 1 챔버(110) 측 표면에 형성되어 제 2 내측 벤트 홀(162)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164)를 구비한다. The second gas flow controller 16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inner vent hole 162 passing through the baffle 115 and a second inner vent hole 162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a cover member 164 formed on the second inner vent hole 162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inner vent hole 162.

또한, 상기 제 2 챔버(120)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100)의 부분에는 에어백 쿠션을 통하여 가스가 관통할 수 있는 외측 벤트 홀(140)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벤트 홀은(140)은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인 제 1 내측 벤트 홀(150)와 정렬되어 배치되지 않고 오정렬(misalign)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을 통하여 제 1 챔버(110)에서 제 2 챔버(120)로 유입되는 가스가 제 2 챔버(120) 내부를 팽창시키지 않고 제 2 챔버(120)를 바로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n outer vent hole 140 through which gas can pass through the airbag cushion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1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mber 120. In a state where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the outer vent holes 140 are arranged in mis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vent holes 150, which are not aligned with the first inner vent holes 150. Therefore, the gas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120 from the first chamber 110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does not exp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hamber 120, It is prevented from escaping.

한편,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의 단면적은 상기 외측 벤트 홀(14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측 벤트 홀(140)도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복수개의 제 1 내측 벤트 홀(150)의 전체 단면적은 복수개의 외측 벤트 홀(140)의 전체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vent hole 140.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may have a plurality of outer vent holes 140 and the plurality of first inner vent holes 150 may have a plurality of outer vent holes 140. In this case, Sectional area of the outer vent hole 140.

도 2 내지 도 3에서 화살표는 에어백 쿠션(100) 내에서의 가스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The arrows in Figs. 2 to 3 show the flow path of the gas in the airbag cushion 100.

유입로(130)를 통하여 유입된 팽창 가스는 먼저 제 1 챔버(110)을 채우게 된다. 제 1 챔버(110)에 충진된 가스의 일부는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을 통하여 배플(115)을 관통하여 제 2 챔버(110)를 충진하게 된다.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을 통하여 제 2 챔버(110)로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는 외측 벤트 홀(140)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The infla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channel 130 first fills the first chamber 110. Part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110 passes through the baffle 115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to fill the second chamber 110. A part of the gas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110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ushion through the outer vent hole 140.

상기 외측 벤트 홀(140)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일부 에어백 쿠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0)의 팽창시에 에어백 쿠션이 너무 단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성이 확보되어 에어백 쿠션(100)에 접하게 되는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The gas inside the airbag cushion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ushion 100 through the outside vent hole 140 to thereby ensure a buffering property for preventing the airbag cushion from becoming too hard at the time of inflation of the airbag cushion 100,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occupan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ushion 100.

한편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150)을 통하여 제 2 챔버(120)로 유입된 가스 중 일부는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160)을 통하여 다시 제 1 챔버(110)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160)는 제 2 챔버(120)로부터 제 1 챔버(110)로의 가스 유동을 허용하지만 제 1 챔버(110)에서 제 2 챔버(120)로의 유동은 허용하지 않는 일방향 밸브로서 기능한다. Part of th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120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150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110 through the second gas flow controller 160. The second gas flow control 160 is a one-way valve that allows gas flow from the second chamber 120 to the first chamber 110 but does not allow flow from the first chamber 110 to the second chamber 120. [ .

즉,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160)는 상기 제 2 챔버(12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11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챔버(120)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110)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챔버(12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11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110)와 상기 제 2 챔버(120)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한다. That is,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120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110, the second gas flow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econd chamber 120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120 is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110, The gas flow between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second chamber 120 is blocked.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160)가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배플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특히 도 4a 및 도 4b 는 제 1 챔버에서 배플을 보았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4A and 4B are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s of a baffle showing the second gas flow controller 160 of FIG. 2 in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affle in the first chamber.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배플(115)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내측 벤트 홀(162)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들을 엄폐할 수 있는 크기의 커버 부재(164)가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 부재(164)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들의 외측에서 고정부(166)에 의해 상기 배플(115)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at least one second inner vent hole 162 is formed in the baffle 115. Meanwhile, a cover member 164 having a size enough to cover the second inner vent holes 162 is disposed to cover the second inner vent holes 162. Both end portions of the cover member 164 are fixed to the baffle 115 by fixing portions 166 outside the second inner vent holes 162.

상기 에어백 쿠션(100), 상기 배플(115), 상기 커버 부재(164)는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164)는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를 차단할 수도 있고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The airbag cushion 100, the baffle 115, and the cover member 164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refor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over member 164 may block the second inner vent hole 162 or may open the second inner vent hole 162. FIG.

도 4a는 상기 제 1 챔버(110)의 내부 가스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120)의 내부 가스 압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 1 챔버(110) 내의 가스가 상기 커버 부재(164)를 배플(115)에 밀착시켜서 상기 커버 부재(164)가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을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다.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s in the first chamber 110 contacts the cover member 164 with the baffle 115 when the internal gas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110 is greater than the internal gas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120 So that the cover member 164 closes the second inner vent hole 162. As shown in Fig.

도 4b는 상기 제 2 챔버(120)의 내부 가스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110)의 내부 가스 압력 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 2 챔버(120) 내의 가스가 상기 커버 부재(164)를 배플(115)로부터 밀어내어 상기 커버 부재(164)가 상기 제 2 내측 벤트 홀(162)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s in the second chamber 120 moves the cover member 164 to the baffle 115 when the internal gas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120 is larger than the internal gas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110 And the cover member 164 opens the second inner vent hole 162. As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가스 유동 제어부의 작동에 의하여 제 1 챔버에 충진된 가스와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 간의 압력차는 완화될 수 있게 된다.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and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can be alleviated by the operation of the gas flow control part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4A and 4B.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유입로(130)를 통하여 에어백 쿠션(100)에 유입된 가스는 에어백 쿠션(100) 내부의 공간에 유동 없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상기 외측 벤트 홀(140)를 통하여 배출되어 에어백 쿠션(100)이 완충성을 유지하게 하면서, 동시에 제 2 챔버(120)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가 다시 제 1 챔버(110)로 반환되어 에어백 쿠션(100)이 비교적 장시간 팽창된 상태로 유지된다. 2 and 3, the gas introduced into the airbag cushion 100 through the inflow passage 130 is not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airbag cushion 100 without flowing, The airbag cushion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120 and 140 so that the airbag cushion 100 is maintained in a buffered state while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gas charged in the second chamber 120 is returned to the first chamber 110, And is kept in the expanded state for a long tim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에 가스가 주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gas is injected into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airbag module of FIG.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과 유사하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200)이 전개되었을 때의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내부 공간을 제 1 챔버(210)와 제 2 챔버(220)로 구획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플(215)을 포함한다. Similar to the airbag modu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described above, the airbag modu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irbag cushion 200 when the airbag cushion 200 is deployed, And a baffle 215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airbag cushion 200 to partition the airbag cushion 200 into a first chamber 210 and a second chamber 220.

한편, 상기 배플(21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 1 챔버(210)와 제 2 챔버(220)간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와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는 상기 배플(215)을 관통하는 제 1 내측 벤트 홀(252)와 상기 배플(215)의 표면 중 상기 제 2 챔버(220) 측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252)을 개폐하는 제 1 커버 부재(254)를 구비한다.The baffle 215 includes a first gas flow control unit 250 and a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26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trol the gas flow between the first chamber 210 and the second chamber 220, Respectively.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250 includes a first inner vent hole 252 passing through the baffle 215 and a second inner vent hole 252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ffle 215 on the second chamber 220 side, And a first cover member 25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vent hole 252.

한편,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260)는 상기 배플(215)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측 벤트 홀(262)과 상기 배플(215)의 표면 중 상기 제1 챔버(210) 측 표면에 형성되어 제 2 내측 벤트 홀(262)을 개폐하는 제 2 커버 부재(264)를 구비한다.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inner vent hole 262 passing through the baffle 215 and at least one second inner vent hole 262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210, And a second cover member 264 that is formed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ner vent hole 262.

또한, 상기 제 2 챔버(220)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200)의 부분에는 에어백 쿠션을 통하여 가스가 관통할 수 있는 외측 벤트 홀(240)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벤트 홀(240)은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와 정렬되어 배치되지 않고 오정렬(misalign)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을 통하여 제 1 챔버(210)에서 제 2 챔버(220)로 유입되는 가스가 제 2 챔버(220) 내부를 팽창시키지 않고 제 2 챔버(220)를 바로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n outer vent hole 240 through which gas can pass through the airbag cush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2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mber 220.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the outer vent holes 240 are arranged in misalignment rather than aligned with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250. The gas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220 from the first chamber 210 through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25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220 without expanding the second chamber 220. It is prevented from escaping.

도 5 내지 도 6에서 화살표는 에어백 쿠션(200) 내에서의 가스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The arrows in Figs. 5 to 6 show the flow path of the gas in the airbag cushion 200.

유입로(230)를 통하여 유입된 팽창 가스는 먼저 제 1 챔버(210)을 채우게 된다. 제 1 챔버(210)에 충진된 가스의 일부는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의 제 1 내측 벤트 홀(252)을 통하여 배플(215)을 관통하여 제 2 챔버(220)를 충진하게 된다.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252)을 통하여 제 2 챔버(220)로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는 외측 벤트 홀(240)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200)의 팽창시에 에어백 쿠션이 너무 단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성이 확보되어 에어백 쿠션(200)에 접촉하게 되는 탑승자가 에어백의 팽창으로부터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inflation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ath 230 first fills the first chamber 210. A part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210 passes through the baffle 215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252 of the first gas flow controller 250 to fill the second chamber 220 . A part of the gas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220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25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ushion through the outer vent hole 240. Thus, when the airbag cushion 200 is infl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ssenge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airbag cushion 200 from being injured by the inflation of the airbag.

한편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252)을 통하여 제 2 챔버(220)로 유입된 가스 중 일부는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260)을 통하여 다시 제 1 챔버(210)로 유입 된다.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 및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260)는 제 2 챔버(120)와 제 1 챔버(110)간의 가스 유동을 일방향으로만 제어하는 일방향 밸브로서 기능한다. Part of the g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220 through the first inner vent hole 252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210 again through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260.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250 and the second gas flow control part 260 function as a one-way valve for controlling the gas flow between the second chamber 120 and the first chamber 110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는 상기 제 1 챔버(21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22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210)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2 챔버(220)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챔버(21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22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챔버(220)와 상기 제 1 챔버(210)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한다.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210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220, the first gas flow controller 250 charges the first chamber 210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210 is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220, Thereby blocking gas flow between the second chamber 220 and the first chamber 210.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260)는 상기 제 2 챔버(22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210)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챔버(220)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210)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210)와 상기 제 2 챔버(220)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한다.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220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210, the second gas flow controller 260 charges the second chamber 220 The first chamber 210 and the second chamber 210 are controlled to flow to the first chamber 210.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is less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210, And the second chamber (220).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에 사용되는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250) 및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26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가스 유동 제어부(16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250 and the second gas flow control part 260 used in the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5 and 6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gas flow control part 160 shown in FIGS. 4A and 4B As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유입로(230)를 통하여 에어백 쿠션(200)에 유입된 가스는 에어백 쿠션(200) 내부의 공간에 유동 없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상기 외측 벤트 홀(240)을 통하여 배출되어 에어백 쿠션(200)이 완충성을 유지하게 하면서, 동시에 제 2 챔버(220)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가 다시 제 1 챔버(210)로 반환되어 에어백 쿠션(200)이 비교적 장시간 팽창된 상태로 유지된다.5 and 6, the gas introduced into the airbag cushion 200 through the inflow path 230 is not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airbag cushion 200 without flowing, So that the airbag cushion 200 is maintained in a buffered state while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220 is returned to the first chamber 210, And remains in an expanded stat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에서의 에어백 쿠션 내부의 압력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over time in the pressure inside the airbag cushion in the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airbag module as shown in Fig. 1. Fig.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내부 압력은 파선으로 도시되고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내부 압력은 실선으로 표시된다.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hown by a broken line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도 7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의 에어백 모듈의 내부 압력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시간에 따른 에어백 모듈 내부의 압력의 변화가 완만하고 시간이 흐른 뒤에도 종래 기술의 에어백 모듈보다는 높은 내부 압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module of the prior art rapidly decreases with time, while the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change in pressure inside the airbag module over time is slow and time- The airba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high internal pressur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에 관한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an airbag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쿠션에 가스가 주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 gas is injected into an airbag cushion of a conventional airbag modul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에 가스가 주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 gas is injected into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bag module of Fig.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가스 유동 제어부가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배플의 부분 사시도이다.Figs. 4A and 4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the baffle, in which the gas flow control of Fig. 2 shows the closed and open states, respectively.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에 가스가 주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gas is injected into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bag module of Figure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종래의 에어백 모듈간의 시간에 따른 내부 압력 변화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comparing internal pressure changes over time between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airbag modul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200: 에어백 쿠션 110, 210: 제 1 챔버100, 200: air bag cushion 110, 210: first chamber

120, 220: 제 2 챔버 130, 230: 유입로120, 220: second chamber 130, 230:

140, 240: 외측 벤트홀 115, 215: 배플140, 240: outer vent hole 115, 215: baffle

150: 제 1 내측 벤트홀 160: 가스 유동 제어부150: first inner vent hole 160: gas flow control part

162: 제 2 내측 벤트홀 164: 커버 부재162: second inner vent hole 164: cover member

166: 고정부 250: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166: Fixing part 250: First gas flow control part

252: 제 1 내측 벤트홀 254: 제 1 커버 부재252: first inner vent hole 254: first cover member

260: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 264: 제 2 커버 부재260: second gas flow control section 264: second cover member

Claims (12)

가스가 채워져서 전개되어지는 에어백 쿠션;An airbag cushion filled with gas and developed; 전개되었을 때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공간을 제 1 챔버와 제 2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 1 챔버와 제 2 챔버간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와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배플;을 포함하며,Wherein the airbag cushion is formed so as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bag cushion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into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bag cushion to control the flow of gas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 baffle having a control part and a second gas flow control part, 상기 제 2 챔버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부분에는 외측 벤트 홀이 형성되며, An outer vent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mber,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을 관통하는 제 2 내측 벤트 홀과 상기 배플의 표면 중 상기 제 1 챔버 측 표면에 형성되어 제 2 내측 벤트 홀을 개폐하는 제 2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Wherein the second gas flow control portion includes a second inner vent hole passing through the baffle and a second cover memb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side of the baffl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inner vent ho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상기 제 2 챔버로의 가스 유동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Wherein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opens and closes the gas flow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상기 제 1 챔버로의 가스 유동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Wherein the second gas flow control part opens and closes a gas flow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first chamber. 제 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벤트 홀은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와 오정렬(misalign)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Wherein the outer vent hole is disposed misaligned with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 챔버는 가스가 에어백 쿠션으로 유입되는 유입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유입로에서 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Wherein the first chamber is disposed adjacent an inflow path through which gas enters the airbag cushion and the second chamber is disposed remotely from the inflow path.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을 관통하는 제 1 내측 벤트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Wherein the first gas flow control part has a first inner vent hole passing through the baffl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배플의 표면 중 상기 제 2 챔버 측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을 개폐하는 제 1 커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The airbag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first cover memb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side of the baffle surfa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inner vent hole,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 1 내측 벤트 홀의 단면적은 상기 외측 벤트 홀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inner vent hol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vent ho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1 챔버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econd gas flow control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i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And closes the gas flow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is small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가스 유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 중 일부를 상기 제 2 챔버로 유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제 2 챔버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간의 가스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Wherein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gas flow control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gas charged in the first chambe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And closes the gas flow between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chamber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first chamber is small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filled in the second chamber.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차량.A vehicle having an airbag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8 to 11.
KR1020090039606A 2009-05-07 2009-05-07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Expired - Fee Related KR1015953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06A KR101595346B1 (en) 2009-05-07 2009-05-07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06A KR101595346B1 (en) 2009-05-07 2009-05-07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90A KR20100120790A (en) 2010-11-17
KR101595346B1 true KR101595346B1 (en) 2016-02-18

Family

ID=4340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6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5346B1 (en) 2009-05-07 2009-05-07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2970B1 (en) 2022-06-29 2023-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ne-way multiple chambers and cushions airb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875B1 (en) * 2015-06-29 2022-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ushion of passenger air ba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09B1 (en) 2005-06-03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ushion of chest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968U (en) * 1997-04-24 1998-11-25 김욱한 Double airbag cushion for car
KR20040039126A (en) * 2002-11-04 2004-05-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ir bag having muti-cell in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09B1 (en) 2005-06-03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ushion of chest airba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2970B1 (en) 2022-06-29 2023-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ne-way multiple chambers and cushions airbag
DE102022127848A1 (en) 2022-06-29 2024-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SPOSABLE MULTI-CHAMBER AND MULTI-CUSHION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90A (en)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79B1 (en) Headrest air bag for vehicle
KR102589026B1 (en) Airbag for vehicle
CN106627470B (en) Three-cavity frontal collision safety air bag with controllable pressure difference
US8020891B2 (en) Vehicular airbag device
JP4157132B2 (en) Vehicle safety device protecting pedestrians and cyclists
US8376396B2 (en) Multi-chamber knee airbag
KR100980931B1 (en) Airbag Cushion Structure with Variable Inner Vent Hole
US8613465B2 (en) Side airbag device
KR101756005B1 (en) Front airbag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999843B2 (en) Side airbag unit for automobile
US20090322062A1 (en) Airbag for a motor vehicle
JP2008149965A (en) Air bag device
US7641224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including an airbag
RU149431U1 (en) LATERAL INFLATABLE BLOCK OF VEHICLE VEHICLE
JP2007022526A5 (en)
KR101595346B1 (en) Airbag module and vehicle with it
KR20180062494A (en) Front airbag for vehicle
KR101020547B1 (en) Airbag Module with Vent Hole Control
KR100512427B1 (en) Airbag in vehicle
US12269414B2 (en)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GB2630976A (en) Airbag cushion systems for vehicles
JP2009537360A (en) Automotive airbag
KR20190025775A (en) Curtain air bag for vehicle
JP4005819B2 (en) Side airbag device
KR100599573B1 (en) Structure of Inflator Assembly for Driver&#39;s Seat Airba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