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4887B1 -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 Google Patents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887B1
KR101594887B1 KR1020150028077A KR20150028077A KR101594887B1 KR 101594887 B1 KR101594887 B1 KR 101594887B1 KR 1020150028077 A KR1020150028077 A KR 1020150028077A KR 20150028077 A KR20150028077 A KR 20150028077A KR 101594887 B1 KR101594887 B1 KR 10159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frame
hinge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김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문 filed Critical 김진문
Priority to KR102015002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된 건반이 원위치로 리턴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1)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 프레임(10)에 일측(2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반(20);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반(20)의 타측(22)을 누르면 가압되어 중량부(31)가 건반(20)에 하중을 가하는 상태로 회동하며, 건반(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중량부(31)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면서 건반(20)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해머(30); 및 일정 위치까지 건반(20)이 눌려지면 접점이 연결되는 접점회로판(40); 을 포함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로서, 프레임(10)의 일측(11)에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힌지돌기(51), 및 건반(20)의 일측(21)의 상면에 힌지돌기(51)가 위에서 끼워지게 오목하게 형성된 힌지홈(52)을 포함하는 건반힌지부(50); 및 탄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건반힌지부(50)로부터 건반(20)의 타측(22) 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0)에 형성되며, 건반힌지부(5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건반(20)을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건반(20)에 복귀력을 가하는 탄성편(61)을 구비하는 리턴판(6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Keyboard for Keyed Instrument Having Improved Return Properties}
본 발명은 전자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된 건반이 원위치로 리턴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어쿠스틱(acoustic) 악기들의 음향을 전기전자적으로 생성하는 전자악기들이 널리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현의 소리가 아닌 전자 음향으로 연주를 하는 전자피아노(또는 디지털피아노, 전자피아노, 전자오르간 등)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해머가 현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리로 연주하지만, 전자피아노는 각 건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자음을 전자회로에 저장하여 두고 건반을 누르면 해당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 원리로 연주를 한다.
전자피아노는 전기전자회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피아노 사운드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들(바이올린, 오르간, 트럼펫 등)의 사운드도 연주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연주용은 물론 학습용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면 연주자의 손에 전달되는 독특한 느낌(일반적으로 '터치감'이라 한다)이 있고, 이런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은 오랜 기간 동안 피아노의 변천과 더불어 고착되어 현재에 이르렀고,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터치감은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매우 익숙해져 있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에서 연주자가 건반을 누를 때 느끼게 되는 터치감은, 건반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저항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터치감의 대표적인 요인은 해머와 댐퍼에 의한 저항감이다.
전자피아노는 전기접점의 연결로 음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리 발생의 측면에서만 본다면 해머와 댐퍼를 적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는 전자피아노의 터치감은 어쿠스틱 피아노와는 이질적일 수밖에 없는 바, 이런 전자피아노의 이질적인 터치감을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에 근접시키고자 하는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전자피아노에서 어쿠스틱 피아노와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술의 하나는,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해머를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건반에 연계하여 설치함으로써 건반을 누를 때 해머의 중량감이 건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6은 해머가 적용된 종래의 예시적인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6의 A는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도6의 B는 건반을 누른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자피아노의 건반구조(200)는, 프레임(210), 건반(220), 해머(230) 및 전기접점(240)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건반(220)은, 그 일단(좌단)이 프레임(210)의 건반힌지(2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건반(220)의 하측에는 해머가압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해머(230)는, 무게 중심에서 이탈된 위치에서 회동축(231)에 의해 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에는 전기접점(240)을 가압하는 접점가압부(23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부(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머가압부(221) 쪽의 상측에는 건반(210)의 해머가압부(221)에 의해 가압되는 작용부(2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건반(220)의 우단을 누르면 해머가압부(221)가 작용부(234)를 가압하여 접점가압부(232)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전기접점(240)을 눌러 소리가 발생하도록 함과 아울러, 중량부(233)가 위로 회동하면서 건반(220)의 누름에 저항(하중)을 가하게 되고, 이로써 건반(220)을 누를 때 어쿠스틱 피아노의 해머로부터 받은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도6의 종래의 건반구조(200)는, 건반을 누르는 초기부터 건반이 완전히 눌려진 후기까지 건반에 중량부(233)의 저항이 균일하게 가해지기 때문에,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해머에서 기인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만을 느낄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자는 전자피아노의 터치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10-0806560호(2008년 02월 18일 등록)와 대한민국 특허 제10-0965620호(2010년 06월 15일 등록)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407843호의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전자건반의 터치감을 더욱 개선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자는, 특허 제10-0965614호의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전자건반악기에 관련하여, 건반, 회로기판, 해머 등 각종 건반 관련 부품들을 보다 용이하고 균일하게 조립할 수 있는 건반프레임을 제안한바 있다.
전자피아노에서 건반의 터치에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또 다른 사항의 하나는, 건반을 누르는 힘이 없어진 후에 건반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리턴)하는 과정에서의 느껴지는 힘과 감각이다.
일반적으로 건반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주로 해머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바, 건반의 복귀(리턴)를 촉진할 목적으로 건반과 프레임 사이의 건반의 회동 경로에 탄성의 리턴스프링을 장착하고 있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반(220)의 일단은 프레임(210)에 형성된 건반힌지(2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반에는 회동축(23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해머(4)가 하중을 가하게 되는 바, 건반(220)과 프레임(210) 사이의 스프링고정구(250)에는 금속 재질의 리턴스프링(260)을 설치함으로써, 리턴스프링(260)이 해머(230)와 협력하여 건반(220)의 터치감과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된 건반이 원위치로 리턴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에 있어서, 프레임에 건반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고, 누르는 힘이 사리진 이후에 해머와 협력하여 건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력 제공 구조가 매우 단순한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건반구조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반;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건반의 타측을 누르면 가압되어 중량부가 상기 건반에 하중을 가하는 상태로 회동하며, 상기 건반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중량부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면서 상기 건반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해머; 및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20)이 눌려지면 접점이 연결되는 접점회로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는, 건반힌지부와 리턴판을 포함한다.
상기 건반힌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힌지돌기, 및 상기 건반의 일측의 상면에 상기 힌지돌기가 위에서 끼워지게 오목하게 형성된 힌지홈을 포함한다.
상기 리턴판은, 탄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건반힌지부로부터 상기 건반의 타측 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건반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건반을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상기 건반에 복귀력을 가하는 탄성편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돌기는, 좌우 배치로 형성된 1쌍의 돌기 및 상기 돌기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홈은, 좌우 배치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1쌍의 홈, 및 상기 홈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판은, 상기 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리턴판은 다수의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다수의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반구조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상하 회동을 안내하는 건반플랫폼, 상기 건반플랫폼에 형성되고 상기 건반의 좌우요동을 방지하는 안내돌기, 및 상기 건반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반구조는, 상기 안내홈과 상기 안내돌기 및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돌기를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돌기와 상기 탄성편 사이의 틈으로 상기 건반의 일측을 밀어 넣으면, 상기 탄성편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기 돌기에 상기 홈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에 간단한 구조의 상기 리턴판을 적용하는 것만으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에서 눌렸던 건반이 원위치로 리턴하는 복귀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에 의하면, 건반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에 있어서, 눌렸던 건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력 제공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 건반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분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분해 상태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조립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작동도.
도6은 종래의 예시적인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1)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 건반(20), 해머(30) 및 접점회로판(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전자건반악기(전자피아노)를 구축하는 것에 관련된 부품들인 건반(20), 해머(30) 및 접점회로판(40) 등을 조립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골격이다.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고강도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단위 개수(예, 12개: 7개의 백건과 5개의 흑건)의 건반(3)들을 조립하도록 일체형 조립 '유닛'으로 형성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건반(20)은 프레임(10)에 탈착식으로 설치되되 그 일측(21: 도면에서 전방)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해머(30)는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반(20)의 타측(22: 도면에서 후방)을 누르면 해머(30)도 가압되어 중량부(31)가 건반(20)에 하중을 가하는 상태로 회동하며, 건반(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중량부(31)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면서 건반(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접점회로판(40)은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일정 위치까지 건반(20)이 눌려지면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해당 건반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된다.
즉, 본 발명의 건반구조(1)는, 종래의 건반구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반(20),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머(30)를 포함하며, 손으로 건반(20)을 눌러 회동시켜 건반(20)의 해머가압부(20a)가 해머(30)의 작용부(30a)를 가압하면, 해머(30)가 건반(20)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이때 해머(30)의 중량부(31)가 건반(20)에 저항(하중)을 가하여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건반(20)의 하측의 프레임(10)에는 접점회로판(40)이 설치되어서, 건반(20)이 일정거리 이상 눌러지면 접점이 연결되어 음향이 발생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1)는, 후술하는 건반힌지부(50) 및 리턴판(60)을 제외하고, 프레임(10), 건반(20), 해머(30) 및 접점회로판(40) 등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 등에서는 접점회로판(40)이 건반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접점회로판(40)을 해머(30)와 프레임(10) 사이에 설치하는 등, 다른 구조들도 본 발명의 건반구조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건반구조(1)는 건반힌지부(50)와 리턴판(60)을 포함한다.
상기 건반힌지부(50)는 리턴판(60)과 협력하여 건반(20)을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고, 상기 리턴판(60)은 건반(20)의 리턴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상기 건반힌지부(50)는 힌지돌기(51)와 힌지홈(52)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돌기(51)는 프레임(10)의 일측(11: 전방)에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 구조이고, 힌지홈(52)은 건반(20)의 일측(21: 전방)의 상면에 힌지돌기(51)가 위에서 끼워지게 오목하게 형성된 홈구조이며, 아래의 힌지홈(52)의 위에 힌지돌기(51)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건반(20)은 간섭 없이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시된 구체예와 같이, 힌지돌기(51)는 좌우 배치로 형성된 예를 들어 V자형 (또는 U자형)의 1쌍의 돌기(51a) 및 상기 돌기(51a)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51b)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와 같이, 힌지홈(52)은 좌우 배치로 형성되고 돌기(51a)가 삽입되는 예를 들어 V자형(또는 U자형)의 1쌍의 홈(52a), 및 상기 홈(52a)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51b)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52b)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51a)와 상기 홈(52a)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V자형(또는 U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돌기(51a)와 상기 홈(52a)을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한다고 하는 것은, 절대적인 V자형이나 U자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삽입되어 접하면서 접면을 축으로 회동할 수 있는 볼록한 또는 오목한 형상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건반(20)에서 건반힌지부(50)가 형성된 쪽을 말하고, 후방은 건반(20)에서 손으로 누르는 부분 쪽을 말하며, 따라서 도면에서는 대략 위쪽이 전방이 되고 아래쪽이 후방이 된다.
도시된 힌지돌기(51)와 힌지홈(52)의 구체예에 의하면, 프레임(10)의 가이드홈(51b)에는 아래로부터 건반(20)의 가이드돌기(52b)가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이드홈(51b) 및 가이드돌기(52b)와 수직으로 배치된 프레임(10)의 예를 들어 V자형 돌기(51a)는 그 아래의 위치하는 건반(20)의 예를 들어 V자형 홈(52a)에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상기 리턴판(60)은, 해머(30)와 협력하여 눌려졌던 건반(2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에 해머(30)의 하중과 협력하여 복귀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아세틸계열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리턴판(60)은 건반힌지부(50)로부터 건반(20)의 타측(22: 후방) 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0)에 형성된다.
리턴판(60)에는 건반힌지부(5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건반(20)을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건반(20)에 복귀력을 가하는 탄성편(6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탄성편(61)은 리턴판(60)에 대해 대략 길게 늘어진 S자 형상으로 위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탄성편(61)은 그 위의 건반(20)에 대해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가지는 고유의 탄성 저항력을 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탄성편(61)은 해머(30)와 협력하여 건반의 터치감을 형성하고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리턴판(60)은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별개로 형성하여 예를 들어 나사못(62) 등으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12개의 건반(20)을 조립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을 형성한 전술한 구체예에서 리턴판(60)도 12개의 탄성편(61)이 일정간격으로 1열로 형성되어 있는 사이즈로 별도로 형성하여 나사못(62) 등으로 프레임(10)에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반구조(1)에서 리턴판(60)의 탄성편(61)이 건반힌지부(50)로부터 건반(20)의 타측(22) 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눌렸던 건반(20)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해머(20)의 하중과 함께 탄성편(61)의 탄성력이 협력하여 건반(20)이 리턴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된 건반구조(1)에서는 건반(20)의 리턴 반응 속도가 빠르며, 리턴판(60)의 소재와 탄성편(61)의 탄성특성을 대응하는 건반구조에 맞게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리턴 속도를 해당 전자건반악기의 필요에 맞게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리턴판(60)의 탄성편(61)이 건반의 리턴에 작용하는 힘의 정도는, 예를 들어 해머(30)의 하중이 대략 80%를 감당하고 탄성편(61)의 탄성력이 대략 20% 정도를 담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1)는, 건반플랫폼(70)을 포함할 수 있다. 건반플랫폼(70)은 프레임(10)의 타측(12)에 형성되며, 건반(20)의 상하 회동을 상하 일정 길이의 범위 내로 안내하는 평평한 부분이다.
건반플랫폼(70)에는 건반(20)의 좌우요동을 방지하는 안내돌기(71)를 형성하고, 건반(20)의 타측(22)에는 안내돌기(71)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23)을 형성할 수 있다. 건반(20)은 그 안내홈(23)에 건반플랫폼(70)의 안내돌기(7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좌우의 요동 없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프레임(10)의 타측(12)에는 건반(20)의 좌우요동을 방지하는 안내돌기(71)가 형성된 건반플랫폼(70)을 형성하고, 건반(20)의 타측(22)에는 안내돌기(71)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손가락의 가압에 의해 건반의 일측(21)을 중심으로 타측(22)이 아래로 이동하고 해머(30)와 리턴판(60)에 의해 타측(22)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프레임의 안내돌기(71)와 건반(20)의 안내홈(23)의 결합이 건반힌지부(50)와 협력하여 건반(20)의 타측(22)의 이동을 상하로만 제한하여 줌에 따라, 건반(20)이 좌우로 요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1)는, 안내홈(23)과 안내돌기(71) 및 가이드홈(51b)과 가이드돌기(52b)를 정위치에 맞춤한 상태에서, 돌기(51a)와 탄성편(61) 사이의 틈으로 건반(20)의 일측(21)을 밀어 넣으면, 탄성편(61)의 탄성을 극복하고 아래로 벌어지면서 돌기(51a)에 홈(52a)이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5 등의 쿠션부재(13)는, 프레임(10)에 부착되어 회동하는 건반(20)과 해머(30)가 프레임(10)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고 부딪칠 때의 충격을 탄성적으로 흡수한다.
1: 본 발명의 건반구조 10: 프레임
11: 프레임의 일측 12: 프레임의 타측
20: 건반 21: 건반의 일측
22: 건반의 타측 23: 안내홈
30: 해머 31: 해머의 중량부
40: 접점회로판 50: 건반힌지부
51: 힌지돌기 51a: 돌기
51b: 가이드홈 52: 힌지홈
52a: 홈 52b: 가이드돌기
60: 리턴판 61: 탄성편
70: 건반플랫폼 71: 안내돌기

Claims (4)

  1.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일측(2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반(20); 상기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건반(20)의 타측(22)을 누르면 가압되어 중량부(31)가 상기 건반(20)에 하중을 가하는 상태로 회동하며, 상기 건반(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중량부(31)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면서 상기 건반(20)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해머(30); 및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20)이 눌려지면 접점이 연결되는 접점회로판(40); 을 포함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11)에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힌지돌기(51), 및 상기 건반(20)의 일측(21)의 상면에 상기 힌지돌기(51)가 위에서 끼워지게 오목하게 형성된 힌지홈(52)을 포함하는 건반힌지부(50); 및
    탄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건반힌지부(50)로부터 상기 건반(20)의 타측(22) 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며, 상기 건반힌지부(5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건반(20)을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상기 건반(20)에 복귀력을 가하는 탄성편(61)을 구비하는 리턴판(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51)는, 좌우 배치로 형성된 1쌍의 돌기(51a) 및 상기 돌기(51a)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51b)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홈(52)은, 좌우 배치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51a)가 삽입되는 1쌍의 홈(52a), 및 상기 홈(52a)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1b)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5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12)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건반플랫폼(70), 상기 건반플랫폼(70)에 형성되고 상기 건반(20)의 좌우요동을 방지하는 안내돌기(71), 및 상기 건반(20)의 타측(22)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71)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23)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23)과 상기 안내돌기(71) 및 상기 가이드홈(51b)과 상기 가이드돌기(52b)를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돌기(51)와 상기 탄성편(61) 사이의 틈으로 상기 건반(20)의 일측(21)을 밀어 넣으면, 상기 탄성편(61)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기 돌기(51a)에 상기 홈(52a)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판(60)은, 상기 프레임(10)과는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조립되며, 상기 리턴판(60)은 다수의 상기 건반(20)에 대응하는 다수의 탄성편(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KR1020150028077A 2015-02-27 2015-02-27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Active KR10159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77A KR101594887B1 (ko) 2015-02-27 2015-02-27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77A KR101594887B1 (ko) 2015-02-27 2015-02-27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87B1 true KR101594887B1 (ko) 2016-02-17

Family

ID=5545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77A Active KR101594887B1 (ko) 2015-02-27 2015-02-27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924B1 (ko) * 2016-10-12 2018-03-30 주식회사 다이나톤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CN111063321A (zh) * 2018-10-17 2020-04-24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键盘乐器
KR20200089067A (ko) 2019-01-16 2020-07-24 허맹오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KR20240155488A (ko) 2023-04-20 2024-10-29 (주)우림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766A (ja) * 2002-12-25 2004-07-22 Yamaha Corp 鍵盤構造
JP2010262129A (ja) * 2009-05-07 2010-11-1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KR101407843B1 (ko) * 2013-05-08 2014-06-16 김진문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766A (ja) * 2002-12-25 2004-07-22 Yamaha Corp 鍵盤構造
JP2010262129A (ja) * 2009-05-07 2010-11-1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KR101407843B1 (ko) * 2013-05-08 2014-06-16 김진문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924B1 (ko) * 2016-10-12 2018-03-30 주식회사 다이나톤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CN111063321A (zh) * 2018-10-17 2020-04-24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键盘乐器
CN111063321B (zh) * 2018-10-17 2023-08-1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键盘乐器
KR20200089067A (ko) 2019-01-16 2020-07-24 허맹오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KR102159444B1 (ko) * 2019-01-16 2020-09-23 허맹오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KR20240155488A (ko) 2023-04-20 2024-10-29 (주)우림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845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101594887B1 (ko)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JP2019056781A (ja) 鍵盤装置
US20240112660A1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JP6069844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018072532A (ja) 鍵盤装置
JP2023148692A (ja) 鍵盤装置の鍵
JP2024051205A (ja) 鍵盤楽器のハンマー装置
KR20030077457A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CN115050346A (zh) 用于键盘乐器的键盘装置
JP6617514B2 (ja) サポ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鍵盤装置
JP2004252246A (ja) 鍵盤装置
JP5145903B2 (ja) 電子鍵盤楽器のペダル装置
CN107430842B (zh) 支撑组件和键盘装置
KR100965614B1 (ko)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CN106023955B (zh) 支撑组件和键盘设备
CN107408375B (zh) 支撑组件和键盘设备
JP2016180803A (ja) 鍵盤装置のアクション機構および鍵盤楽器
KR102159444B1 (ko)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JP6464867B2 (ja) サポ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鍵盤装置
JP6663127B2 (ja)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2005195987A (ja) 鍵盤楽器の鍵
JP7280548B2 (ja) 鍵盤楽器
JP2002108341A (ja) 電子ピアノ用鍵盤装置
JP6464868B2 (ja) サポ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