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56B1 - Accessory for smart phone - Google Patents
Accessory for smart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4456B1 KR101594456B1 KR1020140059534A KR20140059534A KR101594456B1 KR 101594456 B1 KR101594456 B1 KR 101594456B1 KR 1020140059534 A KR1020140059534 A KR 1020140059534A KR 20140059534 A KR20140059534 A KR 20140059534A KR 101594456 B1 KR101594456 B1 KR 101594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accessory
- signal
- earphon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스마트폰에 의해서 조정되는 새로운 스마트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액세서리는 액세서리의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와, 이어폰의 삽입 시 발생하는 신호와 구별되는 제1신호를 보내는 스마트폰에 보내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삽입구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smartphone accessory that is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and adjusted by a smartphone.
An accessory to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accessory and a control unit for sending a first signal to a smartphone for sending a first signal distinguishable from a signal generated upon insertion of the earphone; An earphone insertion port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terminal exis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스마트폰에 의해서 조정되는 새로운 스마트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smartphone accessory that is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and adjusted by a smartphone.
종래 핸드폰에는 본체에 고리를 끼울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홀에 줄을 달아 다양한 액세서리를 연결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은 디자인 측면에서 본체에 관통 홀이 없어 액세서리를 달기 어렵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하는 액세서리들이 개발되고 있다. Conventional mobile phones have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ring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a variety of accessories can be connected by attaching a line to the through-hole. However, in terms of design, a smartphone has no through hole in the main body. Accordingly, accessories to be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are being develope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공보 20-2013-0004151에서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하는 장신구가 달린 스마트폰 이어폰 잭 덮개를 개시하고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Open Publication No. 20-2013-0004151 discloses a smartphone earphone jack cover with an ornamental insert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공보 10-2013-0103854에서는 이어폰 단자의 전원을 이용한 발광 이어캡 액세서리를 개시하고 있다. 액세서리부의 장신구나 조형물은 빛을 산란 또는 집광하여 액세서리의 기능을 충실하도록 한 장치이며,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의 착신신호에 의해 발광체(21)가 발광하여 수신 알람 하는 장치여서 액세서리의 효과와 기능성을 갖춘 액세서리이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03854 discloses a light emitting ear cap accessory using an earphone terminal power source. The ornaments and sculptures of the accessories are devices for enhancing the functions of the accessories by scattering or condensing light, and are devices for emitting and receiving alarms by the incoming signals of smart phones or mobile phones, It is an accessory.
그러나, 이어폰 잭에 전도성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액세서리를 이어폰으로 인식하여, 이어폰 통화모드로 자동 전환되면서, 폰스피커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폰스피커의 작동을 위해서는 이어폰 잭에 삽입된 액세서리를 빼고서 통화한 후, 다시 끼워놓아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는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액세서리의 개발에 있어서 큰 장애가 된다. However, when a conductive plug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most smartphones recognize the accessory as an earphone and automatically switch to the earphone call mode so that the phone speaker is not operated.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phone speaker, This inconveniences the user to disconnect the inserted accessory and then put it back in. This is a major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an accessory to be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또한, 액세서리들을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할 경우 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 대부분이 평상시에도 음악이나 방송을 듣기 위해 이어폰을 사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또한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액세서리의 사용자 환경을 악화시키는 주 요인이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accessories are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the earphone can not be used. Considering that most users use earphones to listen to music or broadcast even at normal times, this is also a major factor in deteriorating the user experience of the accessories that are inserted into earphone jacks.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액세서리를 삽입 시, 폰스피커의 작동이 가능한 새로운 스마트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smartphone accessory capable of operating a phone speaker when an accessory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액세서리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어폰의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스마트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smartphone accessory capable of using an earphone while an accessory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된 액세서리를 조정하고, 액세서리의 종류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작동 방식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gram capable of adjusting an accessory inserted in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ccessory.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된 액세사리를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조절할 경우,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출력되는 다른 음성 신호와 혼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a mix of an accessory inserted in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with another voice signal outputted through an earphone terminal when the accessory is adjusted through an earphone terminal.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액세서리는 액세서리의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와, 스마트폰에 이어폰의 삽입 시 발생하는 신호와 구별되는 제1신호를 보내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삽입구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ory to be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accessory, A control unit; An earphone insertion port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terminal exis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몸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특정 캐릭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몸체의 일부가 동작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눈의 깜박임, 몸체가 진동할 수 있으며, 캐릭터에 장식된 전구가 작동하는 기능성 액세서리일 수 있다. 캐릭터의 동작이나 진동, 전구의 깜빡임 등을 위해서 통상의 소형 전자석과 전원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accessory may have various shape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accessory is a specific character.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may be a functional accessory in which a part of the body can operate, for example, a blinking eye, a body can be vibrated, and a bulb decorated with characters is operated. A small electric magnet and a power supply circuit may be included for the operation and vibration of the character, flicker of the bulb,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액세서리 몸체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한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상기 액세서리의 이어폰 플러그를 통해서 스마트폰의 전원이 공급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ccessory body, and uses the power of the smart phone as a power source. In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smartphone is powered through the earphone plug of the accessory inserted into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 플러그가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될되는 경우, 스마트폰이 액세서리의 삽입과 이어폰의 삽입을 구별할 수 있도록 제1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1 신호는 일 예로 후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후크 신호는 제어부에 설치된 후크 회로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 회로는 이어폰 잭을 통해서 전원이 공급 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the controller transmits a first signal so that the smartphone can distinguish the insertion of the accessory and the insertion of the earphone. The first signal may be, for example, a hook signal. The hook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hook circu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nd the hook circuit may transmit a signal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earphone jack.
상기 제어부는 액세서리의 이어폰 삽입구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1 신호와 상이한 제2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2 신호는 제2 후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 신호는 제1 후크 신호의 송출을 대신할 수 있으며, 제1 신호와 함께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econd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lug of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insertion port of the accessory. The second signal may be a second hook signal. The second hook signal may be a substitut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hook signal and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irst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을 통해서 액세서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동작 신호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을 통해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함께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음성신호와 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음성신호는 이어폰 삽입구를 통해 이어폰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몸체를 동작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through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The operation signal may be input together with a voice signal output through an earphone jack of a smartphone.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voice signal of the smartphone from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ody part,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earphone through the earphone insertion port, and operates the body using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스마트폰의 음성 신호와 혼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른 파장대의 음향 신호,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신호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라 함은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may be introduced into an acoustic signal of a different wavelength band, preferably an ultrasonic signal, so as to prevent the control signal from being mixed with a voice signal of a smartphone. The term " ultrasonic signal " means a signal including th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wave region.
상기 초음파 신호는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 신호, 구체적으로는 16 KHz이상의 주파수 신호와, 가청 영역의 주파수 신호, 구체적으로 16 KHz 미만의 주파수 신호로 이루어지며,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 신호는 “1”로 해석되고, 가청 주파수 신호는 “0”으로 해석되는 신호이다. 상기 초음파 신호는 패킷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신호의 전달을 알리는 헤더영역과 신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영역은 소정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영역들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이격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는 이어폰 잭의 서로 다른 채널, 바람직하게는 좌우 스피커에 연결되는 좌우 채널을 통해서 한 쌍의 신호로 유입된다. The ultrasonic signal is composed of a frequency signal of an ultrasonic wave region, specifically a frequency signal of 16 KHz or more and a frequency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region, specifically a frequency signal of less than 16 KHz, and the frequency signal of the ultrasonic wave region is interpreted as " 1 " , And the audible frequency signal is a signal interpreted as " 0 ". The ultrasonic signal may be transmitted as a packet, and may include a header area and a signal area for inform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The signal area may b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sub-area, and the sub-areas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The ultrasound signals are input into a pair of signals through different channels of the earphone jack, preferably left and right channels connected to left and right speakers.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 단자의 좌우 채널을 통해서 유입되는 음성신호와 초음파 제어신호를 16 kHz의 기준파장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서 액세서리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voice signal and the ultrasound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earphone terminal by using the reference wavelength of 16 kHz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에 후크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서 음성신호와 제어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신호 처리부에서 분리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액세서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부와 분리된 음성신호를 액세서리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hook signal to a smartphon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a signal for separating a voice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using the control signal separa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voic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parated voice signal to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accessory.
본 발명에 있어서, 액세서리의 몸체에 존재하는 이어폰이 삽입되는 삽입구는 통상의 이어폰 잭,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이어폰 잭과 동일한 이어폰 잭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잭은 전기적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이어폰 잭의 삽입에 의해서 제2 신호가 발생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 in which the earphone existing in the body of the accessory is inserted may use the same earphone jack as that of the earphone jack, which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smartphone. The earphone jack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signal is generated by inserting the earphone jack.
본 발명에 있어서, 액세서리의 몸체에 존재하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통상의 플러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이어폰의 말단에 존재하는 원통형 플러그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inserted into the earphone terminal present in the body of the accessory may be a conventional plug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and may preferably be a cylindrical plug existing at the end of a conventional earphone.
본 발명에 있어서, 액세서리가 결합되는 상기 “스마트폰”은 단순히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어폰이 삽입되는 이어폰 잭과 폰 스피커를 포함하며, 사용자 프로그램, 일명 앱을 설치하여 작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통신 가능한 모든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예로, 3G, 4G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 태블릿이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smartphone " to which the accessory is coupled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nd includes an earphone jack and a phone speaker into which an earphone is inserted, And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mobil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Examples include 3G, 4G smartphones, or smart pads and table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액세서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유무 및 신호의종류에 따라 스마트폰의 동작, 구체적으로는 음성의 출력 동작이 변경된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액세서리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는 폰스피커로 음성이 출력되며,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는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음성이 출력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specifically the output operation of vo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ccessory and the type of the signal.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signal output from the accessory in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voice is output to the phone speaker when the plug is not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and voice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액세서리가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제1 신호가 있을 경우,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경우에도, 스마트폰은 이어폰 단자에서 음성이 출력되지 않고 폰스피커로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이어폰이 삽입된 액세서리가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제2 신호가 있을 경우, 폰스피커로 음성이 출력되지 않고, 이어폰 단자로 음성이 출력된다. If there is a first signal indicating that an accessory has been inserted, even if a plug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the smartphone outputs a voice to the phone speaker without outputting voice at the earphone terminal. Also, when there is a second signal indicating that the accessory with the earphone is inserted, no voice is output to the phone speaker, and voice is output to the earphone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유무와 종류를 인식하고, 스마트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응용 프로그램, 일 예로 기본 앱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basic app,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in order to recogn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output from the accessory and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본 앱은 액세서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인식과 함께 액세사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작동 신호는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다른 가청 영역의 음성신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비가청 영역,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로 액세서리의 제어부로 송출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app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in addi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ccessor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martph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accessory with the ultrasonic signal using the frequency of the non-audible region, preferably the ultrasonic regio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audible region generated in the smartphone .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기본앱은 스마트폰의 구동과 액세서리의 제어 신호를 신호가 연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또는 전화가 올 경우, 액세서리의 눈이 움직이거나 입 하단의 LED 전구가 반짝이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application can set the control signals of the driving of the smartphone and the accessory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text message or a telephone call, the accessory eye may be moved or a control signal may be sent to cause the LED bulb at the bottom of the mouth to flash.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기본 앱은 스마트폰의 작동 방식을 변형하고, 액세서리가 구동하기 위해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의 커널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application modifi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martphone and is installed for driving the accessory, and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kernel end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가 삽입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기본 앱은 액세서리의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와 스마트폰의 통화 설정을 변경시키는 설정부와 스마트폰의 동작과 액세서리에 작동 신호를 연동시키는 전송하는 앱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into which the accessory is inserted includes a recognizing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of the accessory, a setting unit changing a call setting of the smartphone, And an app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an accesso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기본앱은 액세서리에 제2 신호가 인식될 경우즉, 액세서리에 이어폰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액세서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송출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 신호의 송출을 중지할 경우,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음성 신호만 출력되며, 액세서리의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송하는 전달부로 기능하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app can stop dispatching a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when the second signal is recognized in the accessory, i.e.,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accessory.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is stopped, only the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of the accessory functions a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earphone.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액세서리의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와, 스마트폰에 이어폰의 삽입 시 발생하는 신호와 구별되는 제1신호를 보내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삽입구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포함하는 액세서리와, 및 상기 액세서리에서 출력되는 제1 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의 음성 신호 송출 방식을 변경하고, 상기 액세서리의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액세서리의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삽입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금속 플러그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이 삽입되지 않은 액세서리가 휴대폰에 삽입될 경우에는 제1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제1 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음향을 스피커폰으로 출력하고,
이어폰이 삽입된 액세서리가 스마트폰에 삽입될 경우에는 제2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제2 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음향을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configuring an appearance of an accessory; a control unit for sending a first signal distinguishable from a signal generated when an earphone is inserted into a smartphone; An earphone insertion port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terminal exis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smartphone in which a program for changing an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accessory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accessory is installed.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device comprising a body constituting an appearance of an accessory,
An earphone insertion port at one side of the body;
A metal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terminal exis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smartphone when the accessory into which the earphone is not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The smartphone recognizes the first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of the smartphone to the speakerphone,
Wherein when the accessory in which the earphone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recognizes the second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of the smartphone to the earphone terminal. Lt; / RTI >
본 발명에 의해서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에 액세서리가 삽입된 경우에도 스피커 폰이 작동되는 액세서리가 제공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화를 받기 위해서 이어폰 단자에 액세서리를 빼내야 하는 불편이 개선되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ory in which the speaker phone is operated even when the accessory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smartphone is provided, thereby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removing the accessory from the earphone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the call.
또한, 액세서리에 이어폰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액세서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어폰으로 음악 감상, 게임, 전화 수신 등이 가능하여, 악사세리의 사용자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In addition, since the ear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accessory, it is possible to listen to music, play games, and receive a call with the earphone while the accessory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의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가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앱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앱 제어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가 스마트폰에 삽입될 경우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가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연결된 경우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가 이어폰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연결된 경우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전송되는 초음파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얻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초음파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front and a side view of an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body portion of an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smartphon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sic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pp control scree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when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smartphon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when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with an earphone inserted.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when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without an earphone being inserted.
10 is a view showing obtaining a digital signal from an ultrasonic analog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earphone terminal.
1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ultrasonic signal.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설명되며, 그 외 부분의 설명은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but not limit the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parts is omitted so as not to disturb the gist.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형 스마트폰 액세서리(100)는 캐릭터 형태의 몸체부(110)과 캐릭터 몸체부(110)의 하단에 돌출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120)와 캐릭터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이어폰 삽입구(130)을 포함한다. 상기 캐릭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캐릭터 몸체의 각 부위를 동작하고, 스마트폰에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haracter-
상기 캐릭터 형상의 몸체부(110)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성형되고, 동물, 사람, 물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게임의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삽입구(130)와 플러그(120)는 각각 통상의 4극 이어폰 암-수를 사용한다. 이어폰 플러그(120)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어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The character-shaped body 110 may be formed using plastic,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n animal, a person, and an object. Preferably, a character of a game embedded in a smart phone may be used. The earphone insertion port 130 and the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형 스마트폰 액세서리(100)는 제어부의 동작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전기 및 기계적 반응이 가능한 로봇 형태의 캐릭터형 악세사리이다. 캐릭터 몸체부(110)에서 귀(111)는 양쪽이 앞뒤로 딸각거리면서 접혔다 폈다를 반복할 수 있으며, 눈(112)은 양쪽 눈이 각각 눈꺼풀이 깜박거리게 작동되며, 입(113)은 내장된 LED 전구에 의해서 점등 또는 소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haracter-
몸체부 내부에는 귀(111)나 눈(112)을 움직일 수 있는 소형 전자석과 장치들이 내장되고, LED 전구를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스위치가 내장된다. A small electromagnet and devices capable of moving the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에는 이어폰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이어폰 잭(220)이 형성되어 있다. 액세서리(100)의 하단에 있는 이어폰 플러그(120)가 스마트폰(200)에 있는 이어폰 잭(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액세서리(100)의 일측에 이어폰(300)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이어폰(300)이 액세서리(100)를 매개로 스마트폰(200)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액세서리(100)의 내부에는 PCB 기판에 이어폰 플러그(120)이 연결되어 신호의 전달과 전원 공급 기능을 하게 되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이 일체로 실장되어 제어 신호를 처리한다. In the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은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잭(220)에 삽입 시 액세서리(100)가 삽입될 때, 스마트폰(200)에 후크 신호를 송출하는 후크신호 송출부(141)와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42)와 수신된 신호에서 제어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43)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액세서리의 각 부위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부(144)와 음성신호를 액세서리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 when the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의 커널단에는 기본앱(250)이 설치된다.기본 앱(250)은 캐릭터형 스마트폰 액세서리(100)의 삽입을 이어폰의 삽입과 구분하기 위해서 액세서리(100)에서 전달되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인식하는 인식부(251)와 스마트폰의 통화 설정을 변경시키는 설정부(252)와 스마트폰의 동작과 액세서리에 작동 신호를 연동시키는 전송하는 앱 제어부(2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5, a
기본 앱(250)은 안드로이드나 애플의 앱 서비스에서 다운로드되어 스마트폰(200)의 커널단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의 전화/문자/기타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액세서리의 모션을 제어하게 되며, 다양한 조작 버튼을 통해서 액세서리 각 부분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The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형 스마트폰 액세서리(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앱 제어부(253)에는 일 예로, 동작 테스트 및 설정 페이지에서는 상단에 귀동작 제어부(261), 눈동작 제어부(262), 눈꺼풀 작동 제어부(263), LED 작동 제어부(264)가 있으며, 하단에 전화 수신 알림 제어부(265), 문자 수신 알림 제어부(266), 부재중 전화 알림 제어부(267), SNS 수신 알림 제어부(268)이 있어, 하단에서 제어된 각 상황에 따른 기구의 움직임을 정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6, the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스마트폰(200)에 액세서리(100)의 삽입에 따른 스마트폰(200)에서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7 to 9 show an operation process in the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에서는 이어폰 잭(220)에 액세서리의 플러그(120)가 삽입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폰 스피커로 음향이 송출된다.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220)에 액세서리의 플러그(120)가 삽입된 경우, 액세서리(100)에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액세서리(100)에 내장된 후크 회로가 작동하여 후크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in the
기본 앱(250)이 설치된 스마트폰(200)에서는 이어폰 잭(220)에 전도성 플러그가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유입되면, 기본앱(250)이 액세서리(120)에서 송출되는 후크 신호가 있는 존재를 파악한다. 액세서리(100)의 접속을 알리는 후크 신호가 없으면, 이어폰 잭에 이어폰이 접속된 것으로 인식하여 이어폰 단자로 음향을 송출하게 된다. 액세서리(100)의 접속을 알리는 후크 신호가 인식되면, 이어폰 단자(220)를 통해서 액세서리(1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ductive plug is inserted into the
또한, 후크 신호의 종류가 액세서리(100)에 이어폰(300)이 접속된 상태의 제2 후크 신호인지 또는 액세서리(100)에 이어폰(3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의 제1 후크 신호인지를 확인하여, 제1 후크 신호인 경우 제어 신호는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는 반면 음향을 스피커폰으로 출력하고, 제2 후크 신호인 경우 음향과 제어신호를 함께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출력한다. It is also checked whether the kind of the hook signal is the second hook signal in which the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에서는 이어폰 잭(220)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스피커로 음향이 송출된다. 이어폰 잭(220)에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 액세서리(100)에서 송출되는 후크 신호의 존재를 파악하게 된다. 액세서리의 접속을 알리는 후크신호가 없으면, 이어폰 잭에 이어폰이 접속된 것으로 인식하여 이어폰으로 음향을 송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in the
액세서리의 접속을 알리는 후크 신호가 인식되면 후크 신호가 액세서리에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의 제2 후크 신호인지 또는 액세서리에 이어폰(30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의 제1 후크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제1 후크 신호인 경우 음향을 스피커 폰으로 출력하고, 이어폰(300)이 접속된 상태인 제2 후크 신호인 경우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음향 신호와 제어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If the hook signal indicating the connection of the accessory is recogniz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ook signal is the second hook signal in which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accessory or the first hook signal in which the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폰으로부터 액세서리에 음향 신호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초음파인 경우, 즉 16 kHz미만의 주파수인 경우에는 음향신호로 판단하여 액세서리에 접속된 이어폰으로 송출하고, 신호가 16 kHz이상의 주파수인 경우 제어신호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번역하고 이를 이용해서 액세서리의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When the acoustic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re input from the smartphone to the accessory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when the signal is an ultrasonic wave, that is, when the frequency is lower than 16 kHz, it is determined as an acoustic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accessory. In the case of a frequency of kHz or more, it is judged as a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lated and used to operate the device of the accessory.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서는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스피커로 음향이 송출된다.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 액세사리에서 송출되는 후크 신호의 존재를 파악하게 된다. 액세서리의 접속을 알리는 후크신호가 없으면, 이어폰 잭에 이어폰이 접속된 것으로 인식하여 이어폰으로 음향을 송출하게 된다. 액세서리의 접속을 알리는 후크 신호가 인식되면 후크 신호가 액세서리에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의 후크 신호인지 또는 액세서리에 이어폰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의 후크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As shown in Fig. 9, in a smartphone, sound is basically transmitted to a speaker unless a plug is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the presence of the hoo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y is recognized. If there is no hook signal indicating the connection of the accessory, it is recognized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and the sound is output to the earphone. When the hook signal indicating the connection of the accessory is recognized, the hook signal determines whether the accessory is a hook signal with the earphone connected or a hook signal with the earphone not connected to the accessory.
액세서리에 이어폰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의 후크 신호인 경우 음향을 스피커 폰으로 출력하고, 이어폰이 접속된 상태의 후크 신호인 경우 액세서리에 이어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기본앱에서 액서사리의 작동 신호 송출을 중지한다. 스마트 폰으로부터 액세서리에는 음향 신호만 입력되며, 입력된 음향신호는 직접 이어폰으로 연결된다.If the hook signal is not connected to the accessory, the sound is output to the speaker phone. If it is a hook signal with the earphone connected, it is judged that the earphone is inserted in the accessory. Stop. Only the sound signal is input to the accessory from the smartphone, and the input sound sig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arphone.
100: 액세서리
110: 몸체부
120: 이어폰 플러그
130: 이어폰 삽입구
200: 스마트폰
220: 이어폰 잭
250: 기본앱100: Accessories
110:
120: Earphone plug
130: Earphone insertion port
200: Smartphone
220: Earphone jack
250: Native app
Claims (8)
상기 몸체의 일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삽입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존재하는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금속 플러그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이 삽입되지 않은 액세서리가 스마트폰에 삽입될 경우에는 제1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제1 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음향을 스피커폰으로 출력하고,
이어폰이 삽입된 액세서리가 스마트폰에 삽입될 경우에는 제2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제2 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음향을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에서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액세서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초음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액세서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유무와 종류를 인식하고, 스마트폰의 음성 출력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기본 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액세서리.A body constituting an appearance of the accessory,
An earphone insertion port at one side of the body;
A metal plug inserted into an earphone terminal exis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smartphone when the accessory in which the earphone is not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recognizes the first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of the smartphone to the speakerphone,
When the accessory in which the earphone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recognizes the second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of the smartphone to the earphone terminal,
He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Wherein the control signal comprises an ultrasonic signal,
Wherein the smartphone is provided with a basic app for recognizing presence / absence of a signal output from an accessory and changing a voice output operation mode of the smartphon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9534A KR101594456B1 (en) | 2014-05-19 | 2014-05-19 | Accessory for smart phone |
PCT/KR2014/010768 WO2015178552A1 (en) | 2014-05-19 | 2014-11-11 | Smartphone accesso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9534A KR101594456B1 (en) | 2014-05-19 | 2014-05-19 | Accessory for smart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2942A KR20150132942A (en) | 2015-11-27 |
KR101594456B1 true KR101594456B1 (en) | 2016-02-16 |
Family
ID=545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9534A Active KR101594456B1 (en) | 2014-05-19 | 2014-05-19 | Accessory for smart pho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4456B1 (en) |
WO (1) | WO201517855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4655B1 (en) | 2018-09-18 | 2020-11-05 | 지종완 | Smart body temperature patch and system using i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5740B1 (en) * | 2012-11-14 | 2013-06-17 | 주식회사 하이소닉 | Smart toy for portable device |
KR101288073B1 (en) * | 2012-07-24 | 2013-07-22 | 이태현 | Connection jack of capable emitting light for decorating cell phon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1094A (en) * | 2000-12-22 | 2002-06-28 | 구자홍 | Mobile phone accessory and voice dialing method using its |
KR200459632Y1 (en) * | 2011-07-12 | 2012-04-04 | 정해 | Accessory For Earphone Jack |
KR20130103854A (en) * | 2012-03-12 | 2013-09-25 | 송진구 | Luminous ear cap accessories with ear terminal power |
KR200461724Y1 (en) * | 2012-05-15 | 2012-08-01 | 송준용 | accessory for earphone jack |
KR20140025858A (en) * | 2012-08-23 | 2014-03-05 | 김애경 | Lighting accessory for cell phone |
KR20140058833A (en) * | 2012-11-07 | 2014-05-15 | 안정훈 | Smartphone earcap with various expression according to message receiving |
-
2014
- 2014-05-19 KR KR1020140059534A patent/KR101594456B1/en active Active
- 2014-11-11 WO PCT/KR2014/010768 patent/WO201517855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073B1 (en) * | 2012-07-24 | 2013-07-22 | 이태현 | Connection jack of capable emitting light for decorating cell phone |
KR101275740B1 (en) * | 2012-11-14 | 2013-06-17 | 주식회사 하이소닉 | Smart toy for portabl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78552A1 (en) | 2015-11-26 |
KR20150132942A (en) | 2015-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202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dio sharing | |
EP2285134A1 (en) | Headset | |
KR101518010B1 (en) | multi-function earphones | |
WO2017127965A1 (en) | Communication earphone | |
KR101861357B1 (en) |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 |
KR101594456B1 (en) | Accessory for smart phone | |
KR20140025858A (en) | Lighting accessory for cell phone | |
JP3074434U (en) | Toy with 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 | |
US20210316225A9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 |
US1053781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 |
US12200426B2 (en) | Setting system of wireless headphone and setting method of wireless headphone | |
US2016007778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 |
CN104539305A (en) | Wireless communication pendant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 |
US20070149253A1 (en) | External megaphone system of the mobile phone | |
KR200397845Y1 (en)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
KR20190036079A (en) | Lighting unit with alert function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 |
CN101561963A (en) | Multifunction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 |
KR200194750Y1 (en) | Wireless sending and receiv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200142981A (en) | Multi-functional mobile controller | |
CN205670771U (en) | A kind of wall embedded Bluetooth phone system | |
KR200355990Y1 (en) | Transceiver headset apparatus | |
US20030013502A1 (en) | Hand-free handset for cellular telephone | |
EP2223515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at least one output device to a rende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s | |
CN204376898U (en) | wireless communication pendant | |
JP3082867U (en) | Structure of 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