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25B1 - Extracts and glabretal-type triterpenoids from the root bark of Dictamnus dasycarpus and its use - Google Patents
Extracts and glabretal-type triterpenoids from the root bark of Dictamnus dasycarpus and its 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4425B1 KR101594425B1 KR1020130114162A KR20130114162A KR101594425B1 KR 101594425 B1 KR101594425 B1 KR 101594425B1 KR 1020130114162 A KR1020130114162 A KR 1020130114162A KR 20130114162 A KR20130114162 A KR 20130114162A KR 101594425 B1 KR101594425 B1 KR 101594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extract
- white
- chemical formula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백선피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4종의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작용이 적고 우수한 면역억제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여 장기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아토피 등과 같은 면역 과민반응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뿐만 아니라 식품첨가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ur kinds of novel glabeletal-type triterpenoid compounds separated from them and their immunosuppressive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immunosuppressive effect with few side effects, thereby providing a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immune hyperresponsiveness such as organ rejection, autoimmune disease, allergy, It can also be used as an additiv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선피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glabretal-type triterpenoid)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면역억제 활성추적법을 바탕으로 한 백선피로부터 분리된 4종의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ite python extract and a novel glabretal-type triterpenoid isolated therefrom and uses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ur novel glabertal-type triterpenoid compounds isolated from white line fatigue based on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tracking method and to an immunosuppres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현재 우리나라는 수명 연장과 삶의 질의 향상으로 면역질환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면역억제제는 type I 당뇨병, 류머티스성 관절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장기이식 시 면역세포에 의한 거부 반응의 치료에 사용되며, 전 세계 시장은 올해 100억 달러 수준으로 이러한 추세는 인간의 수명이 향상됨으로써 향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Currently, the social and economic interest in immune diseases is increasing due to the extension of life spa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Immunosuppressants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type I diabetes and rheumatoid arthritis, or rejection reactions by immune cells in organ transplantation. The worldwide market is worth $ 10 billion this year, It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기존의 면역억제제로 천연물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나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FK506)가 대표적이다. 사이클로스포린 A는 실린드로카르폰 루시디움(Cylindrocarpon lucidum)과 톨리포클라디움 인플라텀(Tolypocladium inflatum)에서 분리되었고 타크로리무스(FK506)는 방선균(Streptomyces tsukubaensis)에서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오늘날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로 장기 이식에서 거부반응의 예방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Borel et al., Inflammation Res. 43:179-186, 1994; Herold et al., J. Immunol. 136:1315-1321, 1986; Kronke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81:5214-5218, 1984;Mann, Nat. Prod. Rep. 18:417-430, 2001; Siekierka et al., Nature 341:755-757). Cyclosporin A and tacrolimus (FK506), isolated from natural product extracts, are typical immunosuppressants. Cyclosporin A was isolated from Cylindrocarpon lucidum and Tolypocladium inflatum and tacrolimus (FK506) was isolated from Streptomyces tsukubaensis ),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immunosuppressants in clinical practice today,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jection reactions in organ transplantation (Borel et al., Inflammation Res. 43: 179-186, 1994; Herold et al , J. Immunol., 136: 1315-1321, 1986, Kronke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5214-5218, 1984, Mann, Nat.Prod. Rep. 18: 417-430, 2001; Siekierka et al., Nature 341: 755-757).
하지만 이들은 면역세포 특이적이지 않기 때문에 신장 독성, 혈관 경직, 림프종, 피부암 유발뿐만 아니라 각종 감염증과 같은 부작용의 이유로 새로운 면역억제 작용물질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Huang et al., Eur. J. Pharmacol. 211:359-364, 1992).
However, because they are not specific for immune cells, the need for new immunosuppressive agents has been suggested for reasons of renal toxicity, vascular stiffness, lymphoma, skin cancer as well as side effects such as various infectious diseases (Huang et al., Eur. 211: 359-364,1992).
한편, 운향과 식물인 백선(Dictamnus dasycarpus T.)은 아시아와 유럽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에서 방출되는 가연성의 방향물질로 인해 '가스 플랜트(gas plant)' 또는 '버닝 부쉬(burning bush)'라고 알려져 있다(Gao et al., Chem. Biodiversity, 8:1234-1244, 2011; Storer et al., Tetrahedron, 29:1217-1222, 1973). 백선은 예로부터 월경 불순, 항수정, 기침, 황달, 류머티즘, 피부병 등에 사용되었다(Jeong et al., Arch. Pharm. Res., 29:1119-1124, 2006; Woo et al., Planta Med., 53:399-401, 1987; Beis et al., Turk. J. Pharm. Sci., 2:111-124, 2005). 이 식물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s), 리모노이드(limo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쿠마린(coumarins), 세스퀴테르펜 글리코사이드(sesquiterpene glycosides), 정유(essential oils)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졌다(Storer et al., Tetrahedron, 29:1217-1222, 1973; Baser et al., Planta Med., 60:481-482, 1994; Souleles et al., Planta Med., 55:402, 1989). Dictamnus dasycarpus T. is a perennial herb that is native to Asia and Europe. It is a 'gas plant' or 'burning bush' because of the flammable aromatic substances emitted from the leaves. (Gao et al., Chem. Biodiversity, 8: 1234-1244, 2011; Storer et al., Tetrahedron, 29: 1217-1222, 1973). Woo et al., 1996, Planta Med., 1987), have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for the treatment of menstrual irregularities, antifungal, cough, jaundice, rheumatism, 53: 399-401, 1987; Beis et al., Turk. J. Pharm. Sci., 2: 111-124, 2005). This plant is known to contain alkaloids, limonoids, flavonoids, coumarins, sesquiterpene glycosides, essential oils (Storer et al. Tetrahedron, 29: 1217-1222, 1973, Baser et al., Planta Med., 60: 481-482, 1994; Souleles et al., Planta Med., 55: 402, 1989).
백선(D. albus var. caucasicus) 추출물은 혈액응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trov et al., Uch. Zap., Pyatigorskii Farm. Inst. 5:335-338, 1961). 또한 백선(D. albus L.)에서 분리된 퓨로퀴놀린 알칼로이드(furoquinoline alkaloid)는 생체 외에서 평활근 이완 관련 효소인 인간 포스포다이에스테라제 5(human phosphodiesterase 5)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am et al., Arch. Pharm. Res. 28:675-679, 2005). 더욱이 백선피 (D. dasycarpus T.)에서 분리된 글리코사이드(glycosides)는 면역시스템을 조절한다고 보고되었다(Chang et al., J. Nat. Prod. 64:935-938, 2001; Chang et al., Planta Med. 68:425-429, 2002).The extract of D. albus var. Caucasicus is known to exhibit a blood coagulation effect (Petrov et al., Uch. Zap., Pyatigorskii Farm. Inst. 5: 335-338, 1961).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the furoquinoline alkaloid isolated from D. albus L. inhibits
본원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4142호(2012.11.13)에는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중약물내성 억제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347호(2012.09.17)에는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1671호(2011.01.28)에는 백선피 추출물 또는 리모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백선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glabretal-type triterpenoid)의 면역억제 활성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24142 (Nov. 13, 2012) disclos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multiple drug resistance comprising an extract of white tiger bark as an active ingredient, -1181347 (Sep. 17, 2012) disclos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pid-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s or obesity, which comprises white tiger bloo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11671 (Jan. 28, 2011)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egenerative brain nervous system disease comprising a white line extract or a remonoid compound. However, there is no known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the white line extract and the novel glabretal-type triterpenoid isolated therefrom.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인용문헌 및 특허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 및 특허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Numerous cited documents and patent documents are referred to and ci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disclosures of the cited documents and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state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면역억제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통 중인 약용자원 500종에 대한 추출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활성을 타진한 결과, 백선피에서 강력한 면역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면역억제 활성 추적법을 기반으로 하여 추출물과 그의 분획물에 대한 유의성 있는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신규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여 그 구조를 동정하였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ors have used an extract library for 500 medicinal resources in the domestic market, which is possessed by the inventors in order to isolate a substance having immunosuppressive activity from natural products As a result, strong immunosuppressive activity was observed in white bloo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e significant activity of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on the basis of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tracing method. From the result, new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to identify the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선피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하는 면역억제 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munosuppressive act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inea cordis, or a novel glabertal-type triterpenoid isolated therefro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선피 추출물에서 분리된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glabertal-type triterpenoid compound isolated from the white pine bark extra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munosuppres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white radish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 4로 각각 표시되는 화합물 1 ~ 4에서 선택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iterpenoid compound selected from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 4로 각각 표시되는 화합물 1 ~ 4에서 선택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iterpenoid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elected from the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장기이식거부반응; 루푸스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자가면역질환; 비염, 천식, 아토피의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said composition is an organ transplant rejection reaction caused by an immunosensitivity reaction; Autoimmune diseases of lupus or rheumatoid arthritis; Rhinitis, asthma, allergic diseases of atopy.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백선피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헥산(hexane)과 클로로포름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분획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CHCl3-MeOH)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실리카 젤 크로마토그래피(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xtracting white line extract, comprising extracting white line extract with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 second step of suspending the extract extracted from the first step in distilled water, and then sequentially fractionating the extract with hexane and chloroform;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concentration gradient silica gel chromatography on the fraction dissolved in chloroform in the second step using a mixed solvent of chloroform and methanol (CHCl 3 -MeOH) to obtain a fra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riterpenoid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자들은 백선피 추출물의 강력한 면역억제 활성을 확인하고, 백선피에서 면역억제 활성추적법을 바탕으로 4개의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glabretal-type triterpenoid)인 딕타브레톨 A ~ D(dictabretol A ~ D, 화학식 1~4)를 분리하였다. 화합물 1~4의 구조는 2D NMR을 비롯한 분광학적 분석법을 통해 확인되었다. 면역억제 활성은 T 세포를 기반으로 측정하였고 활성화된 T 세포의 증식을 IC50 1.48 μM까지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e strong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the tsukuni extract and, based on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tracking method in white blood, the four new glabretal-type triterpenoids, dictabitol A- D (dictabretol A to D,
따라서, 본 발명은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munosuppression, which contains an extract of P. tuberculosi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백선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천연물 추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다.
As the extraction solvent for preparing the white line extract,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used a solvent which can be generally used in the extraction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water, an anhydrous o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ethyl acetate , Butyl acetate, 1,3-butylene glycol, and a mixed solvent thereof, and more preferably methano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 4로 각각 표시되는 화합물 1 ~ 4에서 선택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riterpenoid compound selected from the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학식 1 ~ 4로 각각 표시되는 화합물 1 ~ 4는 하기와 같이 딕타브레톨 A ~ D (Dictabretol A ~ D)로 구조가 결정되었다.
화합물 1(Compound 1 ( DictabretolDictabretol A, 화학식 1) A, Formula 1)
딕타브레톨 A(Dictabretol A)는 흰색의 비결정성 고체로 분리됐고 녹는점이 234.4 ℃이다. 분자 화학식은 HRESIMS에서 587.3951의 값이 측정됨으로써 C35H56O7로 결정되었으며, 이 분자의 불포화도는 8임을 확인하였다. IR 스펙트럼을 통해 수산기 (3402 cm-1)와 에스테르작용기 (1723 cm-1)를 확인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 (클로로포름, 표 1)δ H 0.88 (H-19), 1.31 (H-27), 0.84 (H-28), 0.87 (H-29), 1.04 (H-30), 0.96 (H-4′), 및 0.95 (H-5′)로부터 7개의 메틸기를 확인했다. δ H 4.65 (H-3), 3.75 (H-7), 5.43 (H-21), 3.94 (H-23), 3.18 (H-24), 및 3.65 (H-26)의 신호로부터 6개의 옥시메틴을 확인했고, 알리파틱메틴과 메틸렌의 중복 신호도 확인했다. 또한 좀 더 고 자장 영역인 δ H 0.71 (2H, doublet, J = 4.5 Hz, H-18a) 과 0.46 (2H, doublet, J = 5.0 Hz, H-18b)에서 사이클로프로필메틸렌기의 특징적인 신호를 확인했다. 1H 과 13C NMR 스펙트럼 (클로로포름, 표 1과 2) 분석과 더불어 HMBC 스펙트럼으로부터 화합물 1이 glabretal-type triterpenoid 임을 밝혔다(Kamperdick et al., J. Nat. Prod. 66:675-678, 2003; Mulholland et al., Phytochemistry 34:579-580, 1993; Su et al., Bioorg. Med. Chem. 14:960-972, 2006). 화합물 1의 1H 과 13C NMR 스펙트럼은 C-24 [δ H 3.18 (1H, doublet, J = 7.5 Hz) 및 δ C 63.38]과 C-25 (δ C 60.74)에서 3치환형 에폭시기 신호를 보였다. 추가로 δ C 98.26 (C-21) 와 δ H 5.43 (1H, overlap, H-21) 의 신호로부터 헤미아세탈기의 존재를 추론했다. δ H 2.21 (2H, broad doublet, J = 7.0 Hz, H-2′), 2.13 (1H, multiplet, H-3′), 0.96 (3H, doublet, J = 2.0 Hz, H-4′), 및 0.95 (3H, doublet, J = 2.0 Hz, H-5′) 의 1H NMR 신호를 통해 이소발레르산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소발레르산은δ H 0.84 (H-28) 및 δ H 0.87 (H-29) 와 δ C 77.77 (C-3), 36.16 (C-4), 및 41.27 (C-5) 사이의 HMBC 상호연관과 δ H 4.65 (H-3) 과 δ C 33.85 (C-1), 22.88 (C-2), 36.16 (C-4), 41.27 (C-5), 27.79 (C-28), 21.87 (C-29), 및 172.95 (C-1′) 사이의 상호연관을 통해 3번 탄소에 위치함을 확인했다 (Kamperdick et al., J. Nat. Prod. 66:675-678, 2003).Dictabretol A is separated into a white amorphous solid and has a melting point of 234.4 ° C. The molecular formula was determined to be C 35 H 56 O 7 by measuring the value of 587.3951 in HRESIMS and the unsaturation of this molecule was found to be 8. The hydroxyl group (3402 cm -1 ) and the ester function (1723 cm -1 ) were confirmed by IR spectrum. 1 in the H NMR spectrum (chloroform, Table 1) δ H 0.88 (H- 19), 1.31 (H-27), 0.84 (H-28), 0.87 (H-29), 1.04 (H-30), 0.96 ( H-4 '), and 0.95 (H-5'). H-26 from the signals of δ H 4.65 (H-3), 3.75 (H-7), 5.43 (H-21), 3.94 We confirmed the methine and confirmed the duplicate signal of aliphatic methine and methylene. The characteristic signals of the cyclopropylmethylene group in the higher field region δ H 0.71 (2H, doublet, J = 4.5 Hz, H-18a) and 0.46 (2H, doublet, J = 5.0 Hz, H-18b) Confirm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1 H and 13 C NMR spectra (chloroform, Tables 1 and 2), the HMBC spectrum revealed that
δ H4.65 (1H, broad singlet, H-3) 과 3.75 (1H, broad singlet, H-7) 의 넓은 단일신호는 이소발레르산과수산기가 알파 방향으로 되어있다는 것을 나타낸다(Su et al., Bioorg. Med. Chem. 14:960-972, 2006; Ntalli et al., Molecules 15:5866-5877, 2010). 나아가 화합물 1의 입체구조에 대한 상대배치는 H-3/H-19 과 H-7/H-30 간의 NOE 상호연관과 glabretal-type triterpenoid의 문헌 값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했다 (Kamperdick et al., J. Nat. Prod. 66:675-678, 2003;Mulholland et al., Phytochemistry 34:579-580, 1993; Su et al., Bioorg. Med. Chem. 14:960-972, 2006; Ntalli et al., Molecules 15:5866-5877, 2010; Ochi et al., Bull. Chem. Soc. Jpn. 61:3225-3229, 1988). 게다가 HSQC 스펙트럼으로부터 확인된 H-21 (δH 5.43 overlap) 과 C-21 (δC 98.26 and 102.17)의 상호연관과 13C NMR 스펙트럼이 밀접하게 짝을 이루는 신호를 통해 이 화합물이 21번 탄소가 분리되지 않는 에피머성 혼합물이라는 것을 확인했다(Kamperdick et al., J. Nat. Prod. 66:675-678, 2003;Su et al., Bioorg. Med. Chem. 14:960-972, 2006; Ntalli et al., Molecules 15:5866-5877, 2010). 위의 결과에 따라 신규 glabretal-type triterpenoid인 dictabretol A의 구조가 결정되었다.A broad single signal of δ H 4.65 (1H, broad singlet, H-3) and 3.75 (1H, broad singlet, H-7) indicates that isovaleric and hydroxyl groups are in the alpha direction (Su et al., Bioorg. Med. Chem. 14: 960-972, 2006, Nalli et al., Molecules 15: 5866-5877, 2010). Further, the relative arrangement of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화합물 2 (Compound 2 ( DictabretolDictabretol B, 화학식 2) B, formula (2)
딕타브레톨 B(Dictabretol B)는 흰색의 비결정성 고체로 분리됐고 녹는점이 229.9 ℃이며, HRESIMS에서 589.4103의 값이 측정됨으로써 분자화학식이 C35H58O7이고 불포화도가 7임을 확인했다. 1H 과 13C NMR 스펙트럼은 (표 1과 2) 화합물 1과 매우 유사하였고, 이 화합물 역시 glabretal-type triterpenoid 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26번 탄소의 단일신호 메틸기[δH 1.28 (3H, singlet) and δC 26.93] 가 1번 화합물의 메틸렌 신호 [δH 3.65 (2H, doublet, J = 12.5 Hz) and δC 64.95] 를 대체하였고, 이는 26번의 수산기가 소실된 것임을 나타낸다. 2번 화합물의 C-24 (δC 75.27) 과 C-25 (δC 73.72)의 저자장 이동은 에폭시환의 개방을 명시하는데 (Su et al., Bioorg. Med. Chem. 14:960-972, 2006), 이는 화합물 1에 비해서 불포화도가 1이 감소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2의 구조는 26번 탄소에 단일 메틸기를 가지고 24,25-디하이드록시기를 가짐을 명확하게 결정했다. 마찬가지로 화합물 2 또한 에피머성 혼합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부 이성질체의 1D와 2D NMR 신호가 구조해석을 완성하기에는 뚜렷하지 않기에 주 이성질체의 1H 과 13C NMR 결과만을 표에 포함시켰다 (표 1과 2).Dictabretol B was isolated as a white amorphous solid with a melting point of 229.9 ° C and a HRESIMS value of 589.4103 to confirm that the molecular formula was C 35 H 58 O 7 and an unsaturation of 7. The 1 H and 13 C NMR spectra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compound 1 (Tables 1 and 2), indicating that this compound is also a glabretal-type triterpenoid. In addition, the single signal methyl group [δH 1.28 (3H, singlet) and δC 26.93] of 26 carbon replaced the methylene signal [δH 3.65 (2H, doublet, J = 12.5 Hz) and δC 64.95] Indicating that the hydroxyl group of the hydroxyl group has disappeared. Chem. 14: 960-972, 2006), the authorship of C-24 (δC 75.27) and C-25 (δC 73.72) of compound No. 2 specify the opening of the epoxide ring (Su et al., Bioorg. , Which proved to reduce the degree of unsaturation by one compared to
[화학식 2](2)
화합물 3 (Compound 3 ( DictabretolDictabretol C, 화학식 3) C, Formula 3)
딕타브레톨 C(Dictabretol C)는 무색의 오일로 분리됐다. 분자화학식은 HRESIMS에서 657.4731의 값에 따라 C40H66O7이고 불포화도는 8임을 확인했다. 화합물 3의 1H 과 13C NMR 스펙트럼에서 (표 1과 2) 이소발레르산에 해당하는 신호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glabretal-type triterpenoid 임을 알 수 있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 C-4'-C-7' 긴 지방족 사슬에 해당하는 δ H 1.24-1.61의 메틸렌기와 δ H 0.87의 메틸기 신호를 통해 데칸산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질량 스펙트럼으로 입증되었다. 추가로 HMBC분석에서 δ H 4.63 (H-3) 와 δ C 33.85 (C-1), 36.20 (C-4), 41.25 (C-5), 27.71 (C-28), 21.84 (C-29), 및 173.65 (C-1′)의 상호연관과 δ H2.32 (H-2′) 와 δ C 77.78 (C-3), 173.65 (C-1′), 25.19 (C-3′), 및 29.19 (C-4′)의 상호연관을 바탕으로 데칸산이 3번 탄소에 위치함을 확정하였다. 그러므로 1D와 2D NMR 스펙트럼을 통해 화합물 3은 3번 탄소에 데칸산 치환기를 가지는 glabretal triterpene 임이 결정되었다.Dictabretol C was isolated as a colorless oil. The molecular formula was found to be C 40 H 66 O 7 and an unsaturation degree of 8 according to the value of 657.4731 in HRESIMS. The 1 H and 13 C NMR spectra of compound 3 (Tables 1 and 2) were very similar to
[화학식 3](3)
화합물 4 (Compound 4 ( DictabretolDictabretol D, 화학식 4) D, Formula 4)
딕타브레톨 D(Dictabretol D)는 노란색의 오일로 분리됐다. 분자화학식은 HRESIMS에서 671.4887의 값에 따라 C41H68O7 이고 불포화도는 8임을 확인했다. 화합물 4의 1H 과 13C NMR 스펙트럼에서 (표 1과 2) 8'번 탄소에 안테이소 형의 메틸 곁사슬의 전형적인 신호를 제외하고는 화합물 3과 거의 일치하였다. 8번 위치에 메틸기가 붙은 데칸산의 존재는 HMBC 분석에서 δH0.86 (H-10') 과 δC34.36 (C-8') 및 δC29.71 (C-9')의 상호연관과 δH0.84(H-11')와 δC36.58 (C-7'), δC34.36 (C-8'), 및 δC29.71 (C-9')의 상호연관을 바탕으로 결정됐다. 더욱이, 8'번 탄소의 메틸 치환에 따른 감마효과로 인해 10'번 (δ C11.41)에 위치한 말단 메틸기의 고자장 이동이 확인됐고, 이것은 화합물 3번의 엔알킬 곁사슬이 아닌 안테이소 형의 메틸 곁사슬의 존재를 의미한다 (Kim et al., J. Antibiot. 59:797-800, 2006; Wang et al., J. Nat. Prod. 66:51-56, 2003). 따라서 화합물 4의 구조는 화합물 3의 데칸산 부분에서 8'번 탄소에 메틸 치환기를 가지는 것으로 명백히 결정되었다.Dictabretol D was isolated in yellow oil. The molecular formula was found to be C 41 H 68 O 7 , with an unsaturation of 8 according to the value of 671.4887 in HRESIMS. In the 1 H and 13 C NMR spectra of the compound 4 (Tables 1 and 2), the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상기 화학식 1 ~ 4로 각각 표시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염, 수화물 및 용해화물을 포함한다.
The triterpenoid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s (1) to (4), respectively, can be used in the form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include salts, hydrates and solvates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 4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백선피로부터 추출 및 정제하여 얻을 수 있고, 유기합성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The compounds of formulas (1) to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and purifying from white ring fat, and can be obtained through organic synthesis.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의 분리 및 정제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a novel triterpeno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백선피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헥산(hexane)과 클로로포름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분획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CHCl3-MeOH)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실리카 젤 크로마토그래피(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xtracting white line extract, comprising extracting white line extract with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 second step of suspending the extract extracted from the first step in distilled water, and then sequentially fractionating the extract with hexane and chloroform;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concentration gradient silica gel chromatography on the fraction dissolved in chloroform in the second step using a mixed solvent of chloroform and methanol (CHCl 3 -MeOH) to obtain a fraction do.
나아가 상기 제3단계에서 수득된 분획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CHCl3-MeOH)을 이동상으로 세파덱스 LH-20로 정제하고, 정제된 분획물을 헥산-아세톤(hexane-acetone)을 이동상으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분리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수득된 분획물을 아세토니트릴과 물(MeCN-H2O)을 사용하여 역상(Reverse Phase, RP) 컬럼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수득된 분획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CH2Cl2-MeOH)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 1을 수득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the fraction obtained in the third step was purified by using Sephadex LH-20 as a mobile phase with chloroform and methanol (CHCl 3 -MeOH), and the purified fraction was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hexane-acetone as a mobile phase To obtain a fraction; The fraction obtained in the fourth step is subjected to a fifth step of obtaining a fraction using a reverse phase (RP) column using acetonitrile and water (MeCN-H 2 O), and a fifth step of obtaining the fraction obtained in the fifth step Is subjected to chromatography using a mixed solvent of dichloromethane and methanol (CH 2 Cl 2 -MeOH) to obtain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수득된 분획물을 아세토니트릴과 물(MeCN-H20)을 사용하여 역상(Reverse Phase, RP) 컬럼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수득된 분획물을 헥산과 아세톤(hexane-acetone)의 혼합용매,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CH2Cl2-MeOH)의 혼합용매 또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CHCl3-MeOH)의 혼합용매를 각각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 2, 화학식 3의 화합물 3, 또는 화학식 4의 화합물 4를 각각 수득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 the fraction obtained in the fourth step is subjected to a fifth step of obtaining a fraction using a reverse phase (RP) column using acetonitrile and water (MeCN-H 2 O) The separated fractions were chromatographed using a mixed solvent of hexane and acetone, a mixed solvent of dichloromethane and methanol (CH 2 Cl 2 -MeOH) or a mixed solvent of chloroform and methanol (CHCl 3 -MeOH) To obtain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백선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상기 화합물 1 ~ 4의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munosuppression or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novel triterpeno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above-mentioned tsunami extract or the
상기 조성물은 면역과민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장기이식거부반응; 루푸스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자가면역질환; 비염, 천식, 아토피의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said composition is an organ transplant rejection reaction caused by an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Autoimmune diseases of lupus or rheumatoid arthritis; Rhinitis, asthma, allergic diseases of atopy, and the like.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상기 화합물 1 ~ 4에 대한 면역억제 활성이 T 세포에서의 증식과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통해 측정되었고, 이를 위해 8-10주 된 OT-II T 세포 수용체를 가진 형질전환 생쥐에서 채취한 지라세포를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 염색을 통해 측정되었고, 세포 증식과 사이토카인 분비에 활성이 있는 농도에서 T 세포에 어떠한 독성도 없음을 나타냈다. 세포 증식 측정 결과, 화합물 1, 3, 및 4번에서 IC50값이 1.49, 1.78, 및 1.48 μM이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cyclosporin A (IC50 0.05 μM) 사용], 이는 세포 성장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음을 나타냈다 (표 3). 추가로 활성화된 T 세포에서 사이토카인IL-2와 IFN-γ의 분비 정도를 측정하였으나, 어떠한 화합물도 사이토카인 분비에 있어서 특별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서 화합물 1, 3, 및 4는 사이토카인 분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against the
본 발명의 화합물 1 ~ 4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히드록시기의 염을 포함하며, 히드록시기의 염으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류염,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카리 토금속류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나트륨, 칼륨, 칼슘과의 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염들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1 ~ 4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의 의해 제제화될 수 있고,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통상으로 허용되는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Easton PA]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by methods well known in the pharmaceutical or food science field and can be formulated into pharmaceutical or food-grade preparations in admixture with itsel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the like, For example, it may be formulated into a liquid, a syrup, a capsule or the like. Can further be suitably formulated according to each disease or ingredient, using appropriate methods in the art or as disclosed in Remington ' 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have.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하거나 경구투여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for example,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or orally, depending on the intended method.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제, 캡슐제 등은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제, 분말제, 과립제, 액상제, 환제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한 건강식품 또는 음료, 요구르트, 치즈 등의 기능성 식품을 말한다.The term "health supplementary f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nutritional supplement which is obtained by using a raw material or ingredient having a useful function in the human body, Refers to a functional food such as a health food or beverage, yogurt, or cheese prepa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a capsule, a powder, a granule, a liquid agent, or a pill.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 0.01∼500mg/kg, 바람직하게는 0.1∼2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excretion rate, the age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sex and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and the like, but is generally 0.01 to 500 mg / Preferably 0.1 to 200 mg / kg. The unit dosage formulations thus formulated may be administered several tim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s necessary.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본 발명의 백선피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 1 ~ 4를 식품 제조시 원료 물질에 첨가하거나 조리된 식품에 적절히 혼합하여 상기한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백선피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 1 ~ 4의 함량은 각각 0.01 내지 30 중량% 범위이다.The white root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는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보완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생약재 또는 이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promotion food or drin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other herbal medicines or extracts thereof that a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or elevating or supplementing the desired effe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선피 추출물 및 신규 화합물은 면역세포 및 류머티스성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면역 기능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매우 뛰어나 경쟁력 있는 면역억제제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hite line extract and the novel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highly effective in suppressing immune function in animal models of immune cells and rheumatoid arthritis, and can be usefully used as competitive immunosuppressants.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백선피 추출물 등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ffe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substance with little toxicity and side effects, it can be safely used even when taken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백선피 추출물의 T 림프구 활성에 대한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백선피에서 분리된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 생존도에 대한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 도 3d는 본 발명에 따라 백선피에서 분리된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 증식능력 억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백선피에서 분리된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주기 활성억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백선피에서 분리된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 주기 관련 조절자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백선피에서 분리된 신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에 의한 류머티스성 관절염 모델동물에 대한 치료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white lin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 lymphocyte activity. Fig.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a novel triterpenoid compound separated from white blood cells on cell survival of immune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to 3D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novel triterpenoid compound isolated from the white bloo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of immune cells.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novel triterpenoid compound isolated from the white bloo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nhibit the cell cycle activity of immune cells.
FIGS. 5A and 5B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cell cycle-related regulators of immune cells by novel triterpenoid compounds isolated from white bloo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therapeutic effect on a rheumatoid arthritis model animal by a novel triterpenoid compound isolated from white tiger bl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식물plant 재료material
백선피는 대한민국 경동시장에서 2008년 1월에 구매했으며, 대한민국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이경순 명예교수에 의해 동정 되었다. 식물 표본은 대한민국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에 보관되었다(SS45-01142008).
The white pine bloom was purchased at the Kyungdong market in Korea in January 2008 and was recognized by Professor Emeritus Lee Kyung Soon of the College of Pharmac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Herbarium specimens were kept at th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Life Sciences (SS45-01142008).
세포 증식 및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한 효능 분석Efficacy analysis for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secretion
8-10주 된 OT-II T 세포 수용체를 가진 형질전환 생쥐 (H-2b haplotype; 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 USA)에서 채취한 지라세포 (1 × 106 cells/well)를 96-well plate에 퍼뜨렸다. 그 다음으로 지라세포는 OVA323-339 peptide(323ISQAVHAAHAEINEAGR339; AnaSpec, Fremont, CA, USA)를 이용해 자극시킨 후, 각각의 화합물이 포함된 RPMI-10 medium 에서 5% CO2와 37℃의 조건 하에서 배양했으며, DMSO (0.1%)가 대조군으로 사용됐다. 다음날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 염색을 실행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FACSCaliburTM system with CellQuestsoftwareTM (BD Biosciences, San Jose, CA)를 이용한 유동 세포 분석법에 의해 분석됐다. 상대적인 세포 생장 속도는 각각의 화합물을 처리한 뒤 삼일 후에 MTT assay kit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 (Promega, Madison, WI, USA)에 따라 측정됐다. 세포 배양액 중 상층액을 취하여 IL-2와 IFN-γ의 분비 정도를 sandwich ELISA kit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 (Invitrogen, Carlsbad, CA, USA)에 따라 측정됐다.
(1 × 10 6 cells / well) collected from transgenic mice (H-2b haplotype; 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 USA) well plate. The cells were then stimulated with OVA323-339 peptide (323 ISQAVHAAHAEINEAGR339; AnaSpec, Fremont, CA, USA) and cultured in RPMI-10 medium containing 5% CO 2 and 37 ° C , And DMSO (0.1%) were used as controls. The next day propidium iodide staining was measured by running the cargo cell viabil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a FACSCalibur TM system with CellQuestsoftware TM (BD Biosciences, San Jose, CA). Relative cell growth rates were measured by MTT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 three days after each compound treatment. The level of secretion of IL-2 and IFN-γ in the supernatant was measured by sandwich ELISA kit (Invitrogen, Carlsbad, CA, USA).
실시예Example 1. One. 백선피White line blood 추출 및 이로부터 Extract and from this 글래브레탈Glavlevall -타입 -type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분리 detach
백선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건조된 백선피 5 kg을 상온에서 메탄올(methanol: MeOH)로 3회 추출했고, 여과 과정을 거쳐 진공 속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CHCl3),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tOAc)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In order to separate the active substance from the white ring blood, 5 kg of the dried white ring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methanol (MeOH) at room temperature, and the solvent was removed in vacuo through filtration. The methanol extract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and then fractionated by sequential use of hexane ( n- Hexane), chloroform (CHCl 3 ), and ethyl acetate (EtOAc).
면역억제 활성 결과에 따라, CHCl3 추출물(95 g)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Cl3-MeOH, 100:0 to 50:50)를 실행하였고, 5개의 분획(SS45-47-1-SS45-47-5)을 얻었다. 세부 분획인 SS45-47-4(12.8 g)는 CHCl3-MeOH(1:1)을 이동상으로 세파덱스 LH-20을 이용해 9개의 분획(SS45-51-1-SS45-51-9)으로 정제되었다. 얻어진 분획 중 SS45-51-3(4.4 g)는 hexane-acetone(10:1 to 1:1, 그리고 순수 acetone)을 이동상으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분리하였으며, 11개의 분획(SS45-56-1-SS45-56-11)을 얻었다. 그 중에서 SS45-56-5(900 mg)는 RP-18을 이용한 진공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acetonitrile-Water(40-100% acetonitrile, 그리고 acetonitrile-acetone 1:1)로 용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CH2Cl2-MeOH(1:0, 90:1, 80:1, 70:1, 60:1, 50:1, 40:1, 30:1)의 조건으로 용리하여 화합물 1(dictabretol A, 65 mg)을 분리했다. 또한 분획 SS45-56-4(203 mg)는 RP-18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acetonitrile-Water(3:7, 5:5, 7:3, 8:2, 9:1, 그리고 순수 acetonitrile)를 이동상으로 하여 9개의 분획(SS45-57-1-SS45-57-9)으로 나뉘었다. 얻어진 분획 중 SS45-57-2(44 mg)는 이동상을 hexane-acetone (10:1 to 1:1)으로 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였고, 화합물 2(dictabretol B, 33 mg)를 얻었다. 분획 SS45-57-6(36 mg)은 이동상을 CH2Cl2-MeOH(1:0, 80:1, 50:1, 30:1, 20:1, 10:1)로 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였고, 화합물 3(dictabretol C, 23 mg)을 얻었다. 분획 SS45-57-8(9 mg)은 이동상을 CHCl3-MeOH(1:0, 80:1, 50:1, 30:1, 20:1, 10:1)로 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였고, 화합물 4(dictabretol D, 5 mg)를 얻었다.
Depending on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results, CHCl 3 Extract (95 g) by column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CHCl 3 -MeOH, 100: 0 to 50:50) were run to give the five fractions (SS45-47-1-SS45-47-5). The detailed fraction SS45-47-4 (12.8 g) was purified with 9 fractions (SS45-51-1-SS45-51-9) using CHCl 3 -MeOH (1: 1) as mobile phase with Sephadex LH-20 . Among the obtained fractions, SS45-51-3 (4.4 g) was separ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hexane-acetone (10: 1 to 1: 1, pure acetone) as mobile phase, and 11 fractions (SS45-56- 1-SS45-56-11). Among them, SS45-56-5 (900 mg) was eluted with acetonitrile-water (40-100% acetonitrile and acetonitrile-acetone 1: 1) through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using RP-18, Eluting with CH 2 Cl 2 -MeOH (1: 0, 90: 1, 80: 1, 70: 1, 60: 1, 50: 1, 40: 1, 30: 1) (dictabretol A, 65 mg). Fractions SS45-56-4 (203 mg) were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RP-18 using acetonitrile-water (3: 7, 5: 5, 7: 3, 8: (SS45-57-1-SS45-57-9) as the mobile phase. Of the obtained fractions, SS45-57-2 (44 mg) was isol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hexane-acetone (10: 1 to 1: 1) as a mobile phase to give Compound 2 (dictabretol B, 33 mg) . The fraction SS45-57-6 (36 mg) was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mobile phase of CH 2 Cl 2 -MeOH (1: 0, 80: 1, 50: 1, 30: 1, 20: And the compound 3 (dictabretol C, 23 mg) was obtained. Fraction SS45-57-8 (9 mg) was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mobile phase CHCl 3 -MeOH (1: 0, 80: 1, 50: 1, 30: 1, 20: 1, 10: 1) , And Compound 4 (dictabretol D, 5 mg) was obtained.
실시예Example 2. 화합물의 구조분석 2. Structural analysis of compounds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녹는점과 선광도는 각각 Stanford Research System MPA100과 JASCO P-2000 선광계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IR 스펙트럼은 Varian 640-IR을 이용했다. 1H, 13C, 및 2D NMR 스펙트럼은 Varian 500 MHz NMR을 이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인 TMS가 포함된 CDCl3를 이용하였으며 화학적 이동은 δ 값으로 표현했다. 고분해능 전자분무 이온화(high-resolution electrospray ionization: HRESI) 질량 스펙트럼은 Waters Q-TOF 질량분석기를 사용해 측정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겔(Kieselgel 60, 70-230 and 230-400 mesh, Merck, Darmstadt, Germany), 세파덱스 LH-20(GE Healthcare, Uppsala, Sweden), 및 YMC-gel ODS-A(75 ㎛, YMC, Kyoto, Japan)를 이용했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는 pre-coated silica gel 60 F254 plates(0.25mm, Merck, Darmstadt, Germany)를 이용했다.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obtained in Example 1, the following analysis was carried out. Melting points and optical intensity were measured using Stanford Research System MPA100 and JASCO P-2000 luminometer, respectively. IR spectra were recorded on a Varian 640-IR. The 1 H, 13 C, and 2D NMR spectra were recorded using Varian 500 MHz NMR and CDCl 3 with internal standard TMS. The chemical shifts were expressed as δ values. The high-resolution electrospray ionization (HRESI) mass spectra were measured using a Waters Q-TOF mass spectrometer. Colum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on silica gel (
화합물 1 (화학식 1)Compound 1 (Formula 1)
Dictabretol A (1): 흰색 비결정성 고체 형태이며 녹는점이 234.4 ℃ 이다. 선광도를 측정한 결과 [α]27 D-22.6(c 0.3, CHCl3)의 수치를 얻었다. I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3402, 2967, 1723, 1216, 1054 cm-1에서 관찰되었다. 1H 및 13C NMR자료(500 MHz, CHCl3)는 표 1 및 2의 결과와 같다. 음성 ESIMS에서 587 [M-H]-, 633 [M+HCOO]-의 값이 관찰되었고, 양성 ESIMS에서 611 [M+Na]+의 값이 관찰되었으며, 음성 고분해능 ESIMS에서 587.3951 [M-H]-(C35H55O7, 587.3948로 계산)의 값을 확인하였다.
Dictabretol A (1): White, amorphous solid, melting at 234.4 ° C.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roundness, values of [?] 27 D -22.6 (c 0.3, CHCl 3 ) were obtained. IR spectra were measured at 3402, 2967, 1723, 1216 and 1054 cm -1 . 1 H and 13 C NMR data (500 MHz, CHCl 3 )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the voice ESIMS 587 [MH] -, 633 [M + HCOO] - in this, the positive ESIMS was observed value 611 [M + Na], the value of + were observed, in the audio resolution ESIMS 587.3951 [MH] - (C 35 H 55 O 7 , calculated as 587.3948).
화합물 2 (화학식 2)Compound 2 (Formula 2)
Dictabretol B (2): 흰색 비결정성 고체 형태이며 녹는점이 229.9 ℃ 이다. 선광도를 측정한 결과 [α]27 D-20.2(c 0.3, CHCl3)의 수치를 얻었다. I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3444, 2930, 1727, 1387, 1095 cm-1에서 관찰되었다. 1H 및 13C NMR자료(500 MHz, CDCl3)는 표 1 및 2의 결과와 같다. 음성 ESIMS에서 589 [M-H]-, 635 [M+HCOO]-의 값이 관찰되었고, 양성 ESIMS에서 613 [M+Na]+의 값이 관찰되었으며, 음성 고분해능 ESIMS에서 589.4103 [M-H]-(C35H57O7, 589.4104로 계산)의 값을 확인하였다.
Dictabretol B (2): white amorphous solid form with melting point of 229.9 ° C.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roundness, values of [?] 27 D -20.2 (c 0.3, CHCl 3 ) were obtained. IR spectra were measured at 3444, 2930, 1727, 1387 and 1095 cm -1 . 1 H and 13 C NMR data (500 MHz, CDCl 3 )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the voice ESIMS 589 [MH] -, 635 [M + HCOO] - was the value of the observation, 613 [M + Na], the value of + were observed in the positive ESIMS, in voice resolution ESIMS 589.4103 [MH] - (C 35 H 57 O 7 , calculated as 589.4104).
화합물 3 (화학식 3)Compound 3 (Formula 3)
Dictabretol C (3): 무색 오일 형태이며 선광도를 측정한 결과 [α]27 D-33.2(c 0.3, CHCl3)의 수치를 얻었다. I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3421, 2931, 1721, 1215, 1025 cm-1에서 관찰되었다. 1H 및 13C NMR자료(500 MHz, CDCl3)는 표 1 및 2의 결과와 같다. 음성 ESIMS에서 657 [M-H]-, 703 [M+HCOO]-의 값이 관찰되었고, 양성 ESIMS에서 681 [M+Na]+의 값이 관찰되었으며, 음성 고분해능 ESIMS에서 657.4731 [M-H]-(C40H65O7, 657.4730로 계산)의 값을 확인하였다.
Dictabretol C (3): Colorless oil, measured by optical rotation [α] 27 D -33.2 (c 0.3, CHCl 3 ). IR spectra were measured at 3421, 2931, 1721, 1215 and 1025 cm -1 . 1 H and 13 C NMR data (500 MHz, CDCl 3 )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the voice ESIMS 657 [MH] -, 703 [M + HCOO] - was the value of the observation, in the positive ESIMS 681 [M + Na], the value of + were observed, in the audio resolution ESIMS 657.4731 [MH] - (C 40 H 65 O 7 , calculated as 657.4730).
화합물 4 (화학식 4)Compound 4 (Formula 4)
Dictabretol D (4): 노란색 오일 형태이며 선광도를 측정한 결과 [α]27 D-17.9(c 0.3, CHCl3)의 수치를 얻었다. I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3392, 2931, 1718, 1216, 1023 cm-1에서 관찰되었다. 1H 및 13C NMR자료(500 MHz, CDCl3)는 표 1 및 2의 결과와 같다. 음성 ESIMS에서 671 [M-H]-, 717 [M+HCOO]-의 값이 관찰되었고, 양성 ESIMS에서 695 [M+Na]+의 값이 관찰되었으며, 음성 고분해능 ESIMS에서 671.4887 [M-H]-(C41H67O7, 671.4887로 계산)의 값을 확인하였다.
Dictabretol D (4): Yellow oil type, and its optical density was measured. The value of [α] 27 D -17.9 (c 0.3, CHCl 3 ) was obtained. IR spectra were measured at 3392, 2931, 1718, 1216 and 1023 cm -1 . 1 H and 13 C NMR data (500 MHz, CDCl 3 )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the voice ESIMS 671 [MH] -, 717 [M + HCOO] - was the value of the observation, which was the 695 [M + Na] value of + observed in the positive ESIMS, in voice resolution ESIMS 671.4887 [MH] - (C 41 H 67 O 7 , calculated as 671.4887).
표 3은 8-10주 된 OT-II T 세포 수용체를 가진 형질전환 생쥐로부터 분리된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T 세포 증식에 대한 분리된 화합물 1 ~ 4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Table 3 show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solated compounds 1-4 on T cell proliferation using splenocytes isolated from transgenic mice with 8-10 week OT-II T cell receptors.
실시예Example 3. 면역억제에 대한 효능 분석 3. Analysis of efficacy against immunosuppression
1) One) 백선피White line blood 추출물 처리가 T 림프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treatment on T lymphocyte activity
백선피 추출물이 면역계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8-10주 된 OT-II T 세포 수용체를 가진 형질전환 생쥐(H-2b haplotype; 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 USA)에서 채취한 비장세포(1 x 106 cells/well)를 사용하였다. 비장세포에서 면역세포를 분리 후 96 well plate에 3 x 103 cells/well로 seeding 하였다. 그 후, OVA peptide(323ISQAVHAAHAEINEAGR339; AnaSpec, Fremont, CA, USA)를 넣어주어 T 림프구의 활성을 자극시킨 후, 백선피 추출물을 농도(10 ㎍/ml, 2 ㎍/ml, 0.4 ㎍/ml) 별로 넣고 3일 동안 배양하였다. (H-2b haplotype; 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 USA) with 8-10 week OT-II T cell recepto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tract on the immune system. Cells (1 x 10 6 cells / well) were used. Immunocytes were isolated from splenocytes and seeded at 3 × 10 3 cells / well in a 96-well plate. After the stimulation of the T lymphocyte activity by the addition of OVA peptide (323 ISQAVHAAHAEINEAGR339; AnaSpec, Fremont, CA, USA), the white blood cell extract was incubated at a concentration of 10 μg / ml, 2 μg / ml, 0.4 μg / ml And cultured for 3 days.
3 일째 되는 날 MTS assay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C.(positive control, 자극 준 상태) 및 N.C.(negative control, 자극 안 준 상태)과 비교하였을 때, 백선피가 0.4 ㎍/ml에서도 면역세포의 증식을 월등히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On the third day, MTS assay was used to measure the proliferation of immune cells. As a result, when compared with PC (positive control) and NC (negative control, non-stimulated state), the proliferation of immune cells was markedly suppressed even at 0.4 μg / ml of white blood.
2) 2) 백선피에서From white ring blood 분리된 화합물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 생존도 측정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of immune cells by separate compound treatment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3 및 4의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를 알아보기 위해, PI(Propidium Iodide)와 Annexin V staining 후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 FACSCaliburTM system with CellQuestsoftwareTM (BD Biosciences, San Jose, CA))를 통하여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ll viability of immune cells treated with the
세포는 생쥐 T 림프구인 RMA 세포주, 생쥐 B 림프구인 A20 세포주, 생쥐 대식세포주인 J774 세포주를 6 well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5 x 105/well 농도의 세포를 RMA 세포주와 A20 세포주는 10% 우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과 25mM HEPES를 함유한 RPMI-1640(invitrogen) 배지에서 배양하였고, J774 세포주는 10% 우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MEM(invitrogen)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Cells were transfected with 5 × 10 5 / well of RMA cell line and 10% of fetal bovine serum of A20 cell line in RTA cell line of mouse T lymphocyte, A20 cell of mouse B lymphocyte, and J774 cell line of mouse macrophage cell line in 6 well tissue culture plate (FBS), RPMI-1640 (Invitrogen) medium containing 1% penicillin / streptomycin and 25 mM HEPES and the J774 cell line was cultured in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enicillin / streptomycin in vitro culture medium.
이때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3, 및 4 샘플을 10% DMSO(sigma)를 포함한 PBS에 녹인 후, 총 배양액 부피의 1/100을 취하여 세포에 처리하여, 최종농도가 0.1% DMSO로 10uM, 5uM, 2uM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이때 세포 생존도의 측정은 PIlow와 Annexin Vlow 세포를 생존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At this time, the
3) 3) 백선피에서From white ring blood 분리된 화합물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증식능력 억제효과 분석 Analysis of inhibitory effect on cell proliferative capacity of immune cells by treatment with isolated compounds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 4의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CFSE [Carboxyfluorescein succinimidyl ester] proliferation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using the CFSE [Carboxyfluorescein succinimidyl ester] proliferation assay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세포주 실험으로는 실시예 3-2와 동일한 세포주를 각각 1 x 107을 0.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PBS에 1.5uM CFSE로 상온에서 8분간 1ml에 혼합한 후 100% 우태아 혈청을 1ml 혼합하고 37℃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해주었다. 이어 1500rpm에 5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세포들을 2%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PBS로 3회 세척하여 CFSE staining을 한 후 다시 count하여 6well 조직배양 플레이트에 1 x 105/well의 농도로 staining된 세포를 실시예 3-2와 동일한 조건의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For cell line experiments, 1 x 10 7 of the same cell lines as in Example 3-2 were mixed with 1 ml of PBS containing 0.1% fetal bovine serum in 1.5 μM CFSE at room temperature for 8 minutes, mixed with 1 ml of 100% fetal bovine serum Lt; RTI ID = 0.0 > 37 C < / RTI > for 10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at 1500 rpm for 5 minutes,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Cells were washed 3 times with PBS containing 2% fetal bovine serum and CFSE staining was performed. Then, the cells were counted and counted in a 6- well tissue culture plate at 1 × 10 5 / well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3-2.
이때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2, 3, 및 4 샘플을 최종농도가 0.1% DMSO로 2uM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1일, 3일, 5일 후에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의 형광 감소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증식능력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 ~ 도 3c에 나타냈다.
At this time, the
또한 primary cell에서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8주령에서 10주령 형질전환 생쥐(trnasgenic mouse)인 OT II 생쥐의 비장(spleen)을 분리하여 세포 5 x 107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케일 업 하여 CFSE staining한 후 96well round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5 x 105/well 농도로 10% 우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과 25mM HEPES를 함유한 RPMI-1640(invitrogen)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비장 세포를 생체 외 (in vitro) 자극 신호를 주기 위해서, OVA323 -339 peptide (323ISQAVHAAHAEINEAGR329; AnaSpec, Fremont, CA, USA)를 1uM/ml 처리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in primary cells, spleen of OT II mice transgenic to 10-week old transgenic mice (trnasgenic mice) was isolated and 5 x 10 7 cells were scaled up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fter CFSE staining, cells were cultured in RPMI-1640 (Invitrogen)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enicillin / streptomycin and 25 mM HEPES at a concentration of 5 x 10 5 / well in 96-well round tissue culture plates. To stimulate splenocytes in vitro stimulation signals were treated with 1 uM / ml of OVA 323 -339 peptide ( 323 ISQAVHAAHAEINEAGR 329 ; AnaSpec, Fremont, CA, USA).
이때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2, 3, 및 4 샘플을 최종농도가 0.1% DMSO로 0.5uM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1일, 3일, 5일 후에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의 형광 감소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증식능력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d에 나타냈다.
At this time, the
4) 4) 백선피에서From white ring blood 분리된 화합물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주기 활성억제효과 분석 Analysis of inhibitory effect on cell cycle activity of immune cells by treatment with isolated compounds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 4의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의 세포주기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PI(Propidium iodide) cell cycle analysis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주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ll cycle activity of immune cells treated with the
RMA 세포주와 J774 세포주를 이용하여 6 well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5 x 105/well 농도의 세포를 RMA 세포주는 10% 우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과 25mM HEPES를 함유한 RPMI-1640(invitrogen) 배지에서 배양하였고, J774 세포주는 10% 우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MEM(invitrogen)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RMA cell line and J774 cell line were used to culture cells at a concentration of 5 x 10 5 / well in a 6-well tissue culture plate in RPMI-1640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enicillin / streptomycin and 25 mM HEPES, 1640 (Invitrogen) medium. The J774 cell line was cultured in DMEM (Invitrogen)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enicillin / streptomycin.
이때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2, 3, 및 4 샘플을 10% DMSO(sigma)를 포함한 PBS에 녹인 후, 총 배양액 부피의 1/100을 취하여 세포에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0.1% DMSO로 2uM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세포를 수확하여 PBS로 washing 한 후 70% 에탄올로 -20℃에 12시간 고정시켰다. 이 후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50ug/ml의 PI(Propidium Iodide), 0.1mg/ml의 RNaseA, 0.05% Triton X-100을 넣은 PBS 500ul 로 세포를 풀어서 37℃에서 40분간 인큐베이션 시키고 PBS로 washing해 준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RMA 세포주에 화합물 1, 3, 및 4 샘플을 처리해 준 실험구에서 S기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t this time, the
5) 5) 백선피에서From white ring blood 분리된 화합물 처리에 의한 면역세포 세포주기 관련 조절자 분석 Immune cell cell cycle-related Adjuvant analysis by separate compound treatment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 4의 처리에 의해 RMA세포주에서 세포주기 중 S기로의 이행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기에 백선피 화합물이 세포주기 양성조절자인 cyclin D1과 cyclin E와 세포주기 음성조절자인 p27KIP1, p21CIP1 그리고 p27KIP1과 p21CIP1을 상위에서 억제하는 c-Myc의 발현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nti-cyclin D1 (Santa-cruz), anti-cyclin E (Santa-cruz), anti-p27KIP1 (Santa-cruz), anti-p21CIP1 (Santa-cruz) 와 anti- c-Myc (Santa-cruz)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럿팅(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of
세포배양은 실시예 3-4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였으며, 웨스턴 블럿(western blot)은 배양 1일 후 세포를 수확하여 proteinase inhibitor cocktail이 포함된 RIPA lysis buffer (50 mM Tris, 150 mM NaCl, 1.0% NP-40, 0.5% deoxycholate, 0.1% SDS)로 lysis 시킨 후, 10%, 12% SDS polyacrylamide gel에 전기 영동시켜 Hybond-P PVDF membrane (GE Healthcare, Buckinghamshire, UK)에 transfer하였다. 그 후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실시하였다. immunoreative band는 ECL system을 이용, Biomolecular imaging system(ImageQuantTM LAS4000mini Bio-molecular Imager, GE Healthcare, Buckinghamshire, UK)으로 시각화하였고 그 결과를 도 5a에 나타냈다.
Cell cultur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3-4. One day after the culture, western blot was harvested and cultured in RIPA lysis buffer containing proteinase inhibitor cocktail (50 mM Tris, 150 mM NaCl, 1.0% (GE Healthcare, Buckinghamshire, UK) by electrophoresis on 10% SDS polyacrylamide gels, and then lysed with 0.5% deoxycholate, 0.1% SDS. After that, immunoblot was performed using the antibody. The immunoreactive band was visualized with a Biomolecular Imaging System (ImageQuantTM LAS4000mini Bio-molecular Imager, GE Healthcare, Buckinghamshire, UK) using an ECL syste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또한 primary cell에서 세포주기에 백선피가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양성 조절자인 cyclin E와 음성 조절자인 p27KIP1을 위와 동일한 항체를 이용, 웨스턴 브럿팅(western blotting) 실시하였다. 세포는 실시예 3-3에서 사용한 OT II mouse 의 비장 세포를 96well round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1 x 106/well 농도로 10% 우태아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과 25mM HEPES를 함유한 RPMI-1640(invitrogen)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비장 세포를 생체 외 (in vitro) 자극 신호를 주기 위해서, OVA323 -339 peptide (323ISQAVHAAHAEINEAGR329; AnaSpec, Fremont, CA, USA)를 1uM/ml 처리하였다. 이때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 1 샘플을 최종농도가 0.1% DMSO로 0.5uM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3일 후에 세포를 수확하여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웨스턴 블럿(Western blot)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5b에 나타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hite blood cells on the cell cycle in primary cells, cyclin E, a cell cycle positive regulator, and p27 KIP1 , a negative regulator, were subjected to western blotting using the same antibody. The cells were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3 except that OT II mouse spleen cells were cultured in a 96-well round tissue culture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 × 10 6 / well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enicillin / streptomycin and 25 mM HEPES 0.0 > RPMI-1640 < / RTI > (invitrogen). To stimulate splenocytes in vitro stimulation signals were treated with 1 uM / ml of OVA 323 -339 peptide ( 323 ISQAVHAAHAEINEAGR 329 ; AnaSpec, Fremont, CA, USA). At this time, one sample of the compound isolated from the white blood line was treated to a concentration of 0.5 uM in a final concentration of 0.1% DMSO, and after 3 days,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subjected to Western blott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bove. .
6) 6) 백선피에서From white ring blood 분리된 화합물에 의한 By separated compound 류마티스성Rheumatism 관절염 모델동물에 대한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 on arthritis model animals
백선피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의한 콜라겐으로 유도한 류머티스성 관절염 동물모델(Collagen-induced arthritis model)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험 하루 전에 제2형 콜라겐 용액 (2.5 mg/ml)을 0.05M 아세트산으로 제조하여 4℃에서 보관하였다. 면역화 직전에, 동일한 부피의 CFA(Complete Freund's Adjuvant)을 쓰리웨이 스탑콕을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마우스의 꼬리 아랫부분에 140 ul 피하 주사하였다. 3주가 지난 후 다시 콜라겐 용액을 동일한 부피의 IFA(Incomplete Freund's Adjuvant)와 혼합하여 꼬리에 100 ul 피하 주사하였다. 2차 접종 후 10일 후부터 치료 투여를 2일에 한 번씩 3주 동안 지속시켰다. 음성 대조군을 비히클 (0.5% DMSO)로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을 엔브렐 (8 mg/kg)로 처리하였다. 백선피 화합물 1 샘플은 10 mg/kg로 시험하였다.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collagen-induced arthritis model induced by collagen-induced compounds by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inea bloom, a type II collagen solution (2.5 mg / ml) was added at 0.05 M acetic acid and stored at 4 ° C. Immediately prior to immunization, the same volume of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was mixed using a three-way stopcock. This mixed solution was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the tail bottom portion of the mouse at a dose of 140 μl. After 3 weeks, the collagen solution was mixed with the same volume of IFA (Incomplete Freund's Adjuvant) and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the tail at 100 μl. From 10 days after the second inoculation, the treatment was continued for 3 weeks once every 2 days. Negative controls were treated with vehicle (0.5% DMSO) and positive controls treated with Enbrel (8 mg / kg). One sample of the white line compound was tested at 10 mg / kg.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고 이때 관절염의 임상평가는 4개의 각 발의 부종 및 발적을 관절염 점수로 순위를 매겼다. 0 - 증상 없음; 1 - 하나의 발가락 및 관절에 국한된 경한 부종과 발적; 2 - 관절의 2 가지 이상 유형의 보통의 발적 및 부종; 3 - 발가락을 포함한 전체 발의 심한 발적 및 부종; 4 - 다수의 관절을 포함한 최대로 염증을 일으킨 사지의 발적 및 부종 (동물당 최대의 누적 임상 관절염 점수 16)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wherein clinical evaluation of arthritis ranked four arthritis edema and redness as arthritis scores. 0 - no symptoms; 1 - mild edema and fever limited to one toe and joint; 2-normal flare and edema of two or more types of joints; 3 - severe redness and swelling of the whole foot, including the toes; 4 - maximal inflammation of the limbs including multiple joints, redness and edema (the largest cumulative clinical arthritis score per animal 16)
조성물 Composition 실시예Example
제제예 1. 산제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powder
백선피 추출물 2g2g of white pine bark extract
유당 1gLactose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nd packed in airtight bags to prepare powders.
제제예 2. 정제의 제조Formul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tablets
백선피 추출물 100mg100mg of white radish extract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Lactose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Formul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capsules
백선피 추출물 100mg100mg of white radish extract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Lactose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he capsules were filled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eparation method of capsules.
제제예 4. 캡슐제의 제조Formul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capsules
실시예 1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200mg200 mg of the chloroform fraction of Example 1
유당 100mgLactose 100mg
전분 93mgStarch 93mg
탈크 2mgTalc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Magnesium stearate qs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nd filled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eparation method of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제제예 5. 주사제의 제조Formul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Injection
백선피 추출물 100 ㎎100 mg of white radish extract
만니톨 180 ㎎,180 mg mannitol,
Na2HPO412H2O 26 ㎎Na 2 HPO 4 12 H 2 O 26 mg
증류수 2974 ㎎2974 mg of distilled water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an injec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usual production method.
제제예 6. 건강식품의 제조Formulation Example 6. Preparation of Healthy Foods
백선피 추출물 100 mg100 mg of white radish extract
비타민 혼합물 적량Vitamin mixture quantity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Vitamin A acetate 70 μg
비타민 E 1.0 mg Vitamin E 1.0 mg
비타민 B1 0.13 mg Vitamin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0.15 mg of vitamin B2
비타민 B6 0.5 mg Vitamin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Vitamin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Biotin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Nicotinic acid amide 1.7 mg
엽산 50 μg Folic acid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Calcium pantothenate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Mineral mixture quantity
황산제1철 1.75 mg 1.75 mg of ferrous sulfate
산화아연 0.82 mg 0.82 mg of zinc oxide
탄산마그네슘 25.3 mg Magnesium carbonate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Potassium monophosphate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Secondary calcium phosphate 55 mg
구연산칼륨 90 mg Potassium citrate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Magnesium chloride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 is comparatively mixed with a composition suitable for health food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healthy foods , Granules can be prepared and used in the manufacture of health food composi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균등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obvious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6)
[화학식 1]
[화학식 3]
[화학식 4]
1. A triterpenoid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1), (3) and (4), respectively.
[Chemical Formula 1]
(3)
[Chemical Formula 4]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1. A composition for immunosuppression comprising a triterpenoid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as an active ingredient.
[Chemical Formula 1]
(2)
(3)
[Chemical Formula 4]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헥산(hexane)과 클로로포름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분획물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CHCl3-MeOH)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실리카 젤 크로마토그래피(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각각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Extracting the white line extract with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 second step of suspending the extract extracted from the first step in distilled water, and then sequentially fractionating the extract with hexane and chloroform; And
In the second step to perform the density gradient silica gel chromatography (gel chromatography) using a mixed solvent of chloroform and methanol fractions (CHCl 3 -MeOH) it was dissolved in the chloroform to a third step of obtaining a fraction (1) to (4), wherei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2)
(3)
[Chemical Formula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4162A KR101594425B1 (en) | 2013-09-25 | 2013-09-25 | Extracts and glabretal-type triterpenoids from the root bark of Dictamnus dasycarpus and its 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4162A KR101594425B1 (en) | 2013-09-25 | 2013-09-25 | Extracts and glabretal-type triterpenoids from the root bark of Dictamnus dasycarpus and its u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4068A KR20150034068A (en) | 2015-04-02 |
KR101594425B1 true KR101594425B1 (en) | 2016-02-16 |
Family
ID=5303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4162A Active KR101594425B1 (en) | 2013-09-25 | 2013-09-25 | Extracts and glabretal-type triterpenoids from the root bark of Dictamnus dasycarpus and its 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44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15707B (en) * | 2023-06-07 | 2024-02-02 | 齐齐哈尔医学院 | Dictamni-containing phenolic glycoside D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1671B1 (en) | 2008-02-27 | 2011-01-28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cerebral nervous system disease comprising ringworm skin extract or limonoid compound |
KR101181347B1 (en) | 2010-02-25 | 2012-09-17 |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pid-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 or obesity containing the extracts of Dictamnus dasycarpus as active ingredient |
KR101302086B1 (en) | 2011-05-03 | 2013-09-0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multidrug resistance containing an extract of Dictamnus dasycarpus Turcz. |
-
2013
- 2013-09-25 KR KR1020130114162A patent/KR101594425B1/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3. Vol. 149, pp. 471-477 (온라인 공개일: 2013. 07. 10.)* |
Natural Product Research. 2013. Vol. 27, No. 8, pp. 753-760 (온라인 공개일: 2012. 06. 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4068A (en) | 2015-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6044B2 (en) | Triptolide derivatives and their uses | |
Chou et al. | New flavanones from the leaves of Cryptocarya chinensis and their antituberculosis activity | |
JPH0556357B2 (en) | ||
Gallo et al. | Endophytic fungi found in association with Smallanthus sonchifolius (Asteraceae) as resourceful producers of cytotoxic bioactive natural products | |
EP3077402B1 (en) | Anticancer maytansinoids with two fused macrocyclic rings | |
Ngo et al. |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Ligustrum japonicum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T cell activation | |
Li et al. | Neogenkwanines A–H: daphnane-type diterpenes containing 4, 7 or 4, 6-ether groups from the flower bud of Daphne genkwa | |
Tabakmakher et al. | Normonanchocidins A, B and D, new pentacyclic guanidine alkaloids from the Far-Eastern marine sponge Monanchora pulchra | |
Duan et al. | Przewalcyrones A–F, epoxychromene-containing polycyclic polyprenylated acylphloroglucinols with immunosuppressive activity from Hypericum przewalskii Maxim. | |
CN110343116B (en) | Wild chrysanthemum extrac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in preparation of medicine for treating nasopharyngeal carcinoma | |
Chen et al. | New pterosin sesquiterpenes and antitubercular constituents from Pteris ensiformis | |
KR101594425B1 (en) | Extracts and glabretal-type triterpenoids from the root bark of Dictamnus dasycarpus and its use | |
Chen et al. | A New Long‐Chain Alkene and Antituberculosis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Pourthiaea lucida | |
TWI612963B (en) | Cordyceps militaris extract for anti-inflammation and anti-proliferation against human liver cancer cell lines, and its preparation method | |
WO2017151947A1 (en) | 4-azapodophylotoxins compounds | |
Hu et al. |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Edgeworthia chrysantha and its effective chemical constituents | |
KR100933770B1 (en) | Secoisorariciresin derivatives and anticancer agents using the same | |
Zan et al. | An antitumor component from Fomitiporia ellipsoidea | |
KR101056878B1 (en) | Novel Jasmonate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 |
KR100965305B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mediated by overexpression of HSP 27 | |
KR100829834B1 (en)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type 2 diabetes | |
EP2468253A1 (en) | Terpenoid spiro ketal compounds with LXR agonists activity, their use and formulations with them | |
AU2019329879B2 (en) | Bioactive compound | |
KR101655554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bone diseases comprising Alisma canaliculatum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or compounds isolated from therefrom | |
KR101723869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Dihydroisocoumarin Derivativ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