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3409B1 -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409B1
KR101593409B1 KR1020090002212A KR20090002212A KR101593409B1 KR 101593409 B1 KR101593409 B1 KR 101593409B1 KR 1020090002212 A KR1020090002212 A KR 1020090002212A KR 20090002212 A KR20090002212 A KR 20090002212A KR 101593409 B1 KR101593409 B1 KR 10159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920A (ko
Inventor
남명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409B1/ko
Priority to US12/623,511 priority patent/US8760405B2/en
Publication of KR2010008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920A/ko
Priority to US14/296,841 priority patent/US9235236B2/en
Priority to US14/929,751 priority patent/US981111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4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회동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개폐시키는 폴더부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에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 또는/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고정부와 폴더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성되며,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공급하는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 출력 방법 또는/및 입력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여유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커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전자 잉크, 휴대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COV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장착하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근래 들어, 전자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백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의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기능이 단말기에 구현된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콘텐츠뿐만 아니라 라디오(Radio)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등의 수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각종 장신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결속되어 일정 각도로 개폐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 여부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단순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미려하게 하고,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장신구이나, 휴대용 단말기의 경박화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 만족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또 다른 방향으로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장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유닛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유닛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회동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개폐시키는 폴더부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에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 또는/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고정부와 폴더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성되며,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공급하는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 출력 방법 또는/및 입력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운용에 필요한 여유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외관을 감싸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출력 또는/및 입력 또는/및 전력 공급 등의 다 기능을 수행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구성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커버(20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101)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바디)(101)은 하기의 구성요소들을 실장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2)와, 상기 스피커(102) 하부에 위치하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3)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3) 하부에 위치하며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04)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03)는 수백만 화소를 갖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일반적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엘씨디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제공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103)는 일반적인 데이터 입력 수단인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를 대신하여 데이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주된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상기 디스플레이(또는, '메인 입력 유닛'이라 칭함)(103)를 사용한다 정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안착 후 고정시키는 안착부(201)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03)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폴더부(202)와, 상기 안착부(201)와 상기 폴더부(20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폴더부(2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유닛(210)(이하 '서브 입력 유닛'라 칭함) 또는/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은 돔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 방식, 압력 센서를 이용한 입력 방식, 터치 입력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E-ink(Electronic Paper Display)를 사용하며,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은 상기 E-ink(Electronic Paper Display)를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한다. 하기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은 상기 E-ink(Electronic Paper Display)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가정한다.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은 상기 폴더부(202)에서 상기 메인 입력 유닛(103)과 맞닿는 면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을 상기 메인 입력 유닛(103)의 부가적인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안착부(201), 폴더부(202) 및 연결부(203) 중 적어도 하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유닛(220)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및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충전 유닛(220)은 상기 안착부(201)와 상기 폴더부(202)에 구성된다. 특히, 상기 충전 유닛(220)은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의 상부에 적층구 성된다.
더욱이, 상기 커버(200)는 상기 안착부(201)와 연결부(20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 및 상기 충전 유닛(220)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커버(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감지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커버(200)에 장착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 1 면(S1)은 커버(200)의 안착부(201)에 고정되고, 커버(200)의 폴더부(202)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 2 면(S2)(즉, 제 1 면 S1에 반대의 면으로서, 디스플레이 102가 배치되는 면)을 덮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커버(200)의 연결부(203)는 제 1 면(S1)과 제 2 면(S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면(S3)을 덮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기 커넥터는 커버(200)의 연결부(203)에 배치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커버(200)의 연결부(20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 3 면(S3)에 접하게 되고, 연결부(203)의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폴더부(202)를 열어,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01) 및 상기 폴더부(202)에 구비된 상기 충전 유닛(220)은 상기 서브 입력 유닛(210)에 필요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유닛(22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안착 후 고정시키는 안착부(301)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03)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폴더부(302)와, 상기 안착부(301)와 상기 폴더부(30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동일 기능의 서브 입력 유닛(310) 및 충전 유닛(320)을 포함한다. 도 2의 커버(300)는 도 1의 커버(200)와 비교하여 상기 폴더부(302)에 구성되는 상기 서브 입력 유닛(310) 및 충전 유닛(320)의 적층 순서가 뒤바뀐 예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폴더부(302)가 닫힌 경우 외부에서 상기 서브 입력 유닛(310)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폴더부(302)를 열어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4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안착 후 고정시키는 안착부(401)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03)를 개폐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폴더부(402)와, 상기 안착부(401)와 상기 폴더부(40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03)를 포함한다.
상기 폴더부(402)는 상기 도 1 및 도 2의 폴더부(201, 301)와 다르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03)를 개폐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402)는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동일 기능의 서브 입력 유닛(410)을 상기 메인 입력 유닛(103)과 맞닿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폴더부(402)는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동일 기능의 충전 유닛(420)을 상기 서브 입력 유닛(410)의 상부에 적층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폴더부(402)는 상기 서브 입력 유닛(410)과 상기 충전 유닛(420)의 적층 순서를 뒤바꿀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기 서브 입력 유닛에 따라 구성된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입력 유닛은 E-ink(Electronic Paper Display)를 이용하여 숫자, 문자 등의 각 모드로 전환 시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입력 유닛은 배터리 잔량 표시, 메모리 잔량 표시, 주변광 밝기 표시 등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입력 유닛은 특정 동작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슬립모드로 유지하면서 상기 특정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MP3 플레이 동작 중 슬립 모드로 전환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액티브시키지 않고 해당 음원의 재생, 정지, 선곡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입력 유닛은 해당 키가 선택됨을 확인 시키기 위하여 해당 키를 반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입력 유닛은 카메라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블루투스 모드, 디엠비 모드 등의 특정 모드를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키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 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 입력 유닛에 따라 구성된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8)

  1. 전자적 커버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전자 장치에 접힐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제 2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에 배치되고, 콘텐츠를 표시 및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적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적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전자적 커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전자 장치를 위한 부가적인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입력 유닛으로 적용되는 전자적 커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전자적 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적 커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한 다수의 표시 모드들 사이를 전환하는 전자적 커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sleep mode) 중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는 전자적 커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커버의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적 커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열린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커버의 노출면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활성화하는 전자적 커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E-ink를 포함하는 전자적 커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2 커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전자적 커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렉시블한(flexible) 전자적 커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또는 상기 제 2 커버에 배치되는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적 커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자적 커버.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전자적 커버.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적 커버와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전자적 커버와 연관하여 동작하는 전자적 커버.
KR1020090002212A 2009-01-12 2009-01-12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Expired - Fee Related KR10159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212A KR101593409B1 (ko) 2009-01-12 2009-01-12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US12/623,511 US8760405B2 (en) 2009-01-12 2009-11-23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14/296,841 US9235236B2 (en) 2009-01-12 2014-06-05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14/929,751 US9811115B2 (en) 2009-01-12 2015-11-02 Cover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212A KR101593409B1 (ko) 2009-01-12 2009-01-12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920A KR20100082920A (ko) 2010-07-21
KR101593409B1 true KR101593409B1 (ko) 2016-02-12

Family

ID=4231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2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3409B1 (ko) 2009-01-12 2009-01-12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760405B2 (ko)
KR (1) KR101593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091A (ko) 2013-12-17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20090303673A1 (en) * 2008-06-09 2009-12-10 Mark Holzhausen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566035B1 (ko) * 2009-12-03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케이스
US8432124B2 (en) 2010-02-24 2013-04-30 A&D Concept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rrier with charging system
US9118195B2 (en) 2010-02-24 2015-08-25 David A. Fost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US9160824B2 (en) 2011-04-18 2015-10-13 Mobilicer As Cover for portable devices adapted to attach modules thereto
TW201301090A (zh) * 2011-06-30 2013-01-01 Hon Hai Prec Ind Co Ltd 滑鼠
RU2633512C2 (ru) * 2011-07-20 2017-10-13 Йота Девайсез Ипр Лтд Узел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US9048927B2 (en) * 2011-10-04 2015-06-02 Glynntech, Inc. Solar powered mobile phone
KR101390392B1 (ko) * 2011-11-24 2014-04-30 안성기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US8866769B2 (en) * 2012-03-13 2014-10-21 Blackberry Limited Device cover with drawing pad input device
US9502193B2 (en) 2012-10-30 2016-11-2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710069B2 (en) 2012-10-30 2017-07-1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US9449772B2 (en) 2012-10-30 2016-09-20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KR101359267B1 (ko) * 2012-12-31 2014-02-07 김삼녀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09744B1 (ko) * 2013-01-03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이의 커버장치
JP6313339B2 (ja) * 2013-02-06 2018-04-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的に調整可能な外観及び機能を有する入力/出力デバイス
KR102095013B1 (ko) * 2013-04-11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US9391662B2 (en) * 2013-04-30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lip-type cov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lip-type cover
DE102013008042A1 (de) * 2013-05-13 2014-11-13 Abb Ag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mit Beschriftungselement sowie Programmiergerät zur Programmierung eines derartigen Beschriftungselements
KR102108118B1 (ko) * 2013-05-13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6103543B2 (ja) 2013-05-27 2017-03-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行程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KR102091432B1 (ko) 2013-05-27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00041A (ko) * 2013-06-21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
US9908310B2 (en) 2013-07-10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reduced friction surface
KR20150009065A (ko) * 2013-07-12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RU2641486C2 (ru) * 2013-08-30 2018-01-17 Йота Девайсез Ипр Лтд Обложка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TW201508626A (zh) * 2013-08-30 2015-03-01 Hon Hai Prec Ind Co Ltd 觸控顯示器及使用其的觸控顯示系統
WO2015047661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with reduced thickness
WO2015047606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CN103561143B (zh) * 2013-10-30 2016-08-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带电子墨水显示装置的智能终端
KR102173725B1 (ko) * 2013-11-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793066B1 (en) 2014-01-31 2017-10-17 Apple Inc. Keyboard hinge mechanism
KR102245289B1 (ko)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20150094272A (ko) * 2014-02-11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9779889B2 (en) 2014-03-24 2017-10-03 Apple Inc. Scissor mechanism features for a keyboard
USD756947S1 (en) * 2014-04-15 2016-05-24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US9704665B2 (en) 2014-05-19 2017-07-11 Apple Inc. Backlit keyboard including reflective component
US9715978B2 (en) 2014-05-27 2017-07-25 Apple Inc. Low travel switch assembly
KR101522987B1 (ko) * 2014-06-10 2015-05-27 주식회사 넥소 플립 커버 형태의 휴대형 스마트 기기용 태양광 충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형 스마트 기기용 플립 커버.
KR101471504B1 (ko) * 2014-07-07 2014-12-11 홍용표 이-페이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EP3180678A1 (en) 2014-08-15 2017-06-21 Apple Inc. Fabric keyboard
KR102242319B1 (ko) 2014-08-22 202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0082880B1 (en) 2014-08-28 2018-09-25 Apple Inc. System level features of a keyboard
CN105472064A (zh) * 2014-09-11 2016-04-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保护套及其使用方法
US9870880B2 (en) 2014-09-30 2018-01-16 Apple Inc. Dome switch and switch housing for keyboard assembly
CN105764280B (zh) * 2014-12-18 2020-02-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保护套及应用该保护套的便携式电子装置组件
US9997304B2 (en) 2015-05-13 2018-06-12 Apple Inc.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US9997308B2 (en) 2015-05-13 2018-06-1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WO2016183488A1 (en) 2015-05-13 2016-11-17 Apple Inc. Keyboard assemblies having reduced thicknesses and method of forming keyboard assemblies
WO2016183510A1 (en) 2015-05-13 2016-11-17 Knopf Eric A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
US9934915B2 (en) 2015-06-10 2018-04-03 Apple Inc. Reduced layer keyboard stack-up
US9741188B2 (en) * 2015-07-15 2017-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case
US9971084B2 (en) 2015-09-28 2018-05-15 Apple Inc.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KR20170076435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액세서리 장치
US10353485B1 (en) 2016-07-27 2019-07-16 Apple Inc.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US10115544B2 (en) 2016-08-08 2018-10-30 Apple Inc. Singulated keybo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keyboard
US10755877B1 (en)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00538B2 (en) 2016-09-13 2022-11-15 Apple Inc.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JP6793569B2 (ja) * 2017-02-20 2020-12-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ケース
US10372398B2 (en) 2017-04-04 2019-08-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CN117270637A (zh) 2017-07-26 2023-12-22 苹果公司 具有键盘的计算机
CN108469898B (zh) 2018-03-15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柔性屏终端
US10528083B1 (en) * 2018-10-02 2020-0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over with integrated solar panel
WO2020145933A1 (en) * 2019-01-07 2020-07-16 Coleman Johnathan Power screen prot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03Y1 (ko) 1999-10-20 2000-03-15 이재경 태양전지가 부착된 휴대폰 케이스
KR100722205B1 (ko) 2006-03-16 2007-05-29 주식회사 팬택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140A (en) * 1996-11-27 1999-02-02 Motorola, Inc. Display system and circuit therefor
US6535199B1 (en) * 1999-02-04 2003-03-18 Palm, Inc. Smart cover for a handheld computer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US20030100338A1 (en) * 2001-11-28 2003-05-29 Peter Lee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ver with an integrated keypad
US7187363B2 (en) * 2001-11-30 2007-03-06 Palm, Inc. Integrated handheld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a sliding form factor
US20050250562A1 (en) * 2004-04-21 2005-11-10 David Carroll Hand-held, mobile personal computing device/phone
KR101172454B1 (ko) * 2006-10-20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101474418B1 (ko) * 2007-11-09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03Y1 (ko) 1999-10-20 2000-03-15 이재경 태양전지가 부착된 휴대폰 케이스
KR100722205B1 (ko) 2006-03-16 2007-05-29 주식회사 팬택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5236B2 (en) 2016-01-12
US20100177036A1 (en) 2010-07-15
US8760405B2 (en) 2014-06-24
US20140285961A1 (en) 2014-09-25
US9811115B2 (en) 2017-11-07
US20160062396A1 (en) 2016-03-03
KR20100082920A (ko)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4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101641229B1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KR1015870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18B1 (ko)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06065B1 (ko) 휴대 단말기
US7321789B2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JP2000124977A (ja) 電子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KR20060114905A (ko) 복합형 휴대 단말기
KR20130032195A (ko) 휴대 전자기기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78799B1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10091815A (ko) 게임기를 내장한 이동전화장치
KR201400486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파우치
KR1014379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16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0560919B1 (ko)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37982B1 (ko) 휴대 단말기
JP4818953B2 (ja) 電子機器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716715B1 (ko) 회전바형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517239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