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377B1 -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 Google Patents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3377B1 KR101593377B1 KR1020150129229A KR20150129229A KR101593377B1 KR 101593377 B1 KR101593377 B1 KR 101593377B1 KR 1020150129229 A KR1020150129229 A KR 1020150129229A KR 20150129229 A KR20150129229 A KR 20150129229A KR 101593377 B1 KR101593377 B1 KR 101593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state
- upper member
- container
- hol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KTYLMNFRDHKIL-UHFFFAOYSA-N copper;5,10,15,20-tetraphenylporphyrin-22,24-diide Chemical compound [Cu+2].C1=CC(C(=C2C=CC([N-]2)=C(C=2C=CC=CC=2)C=2C=CC(N=2)=C(C=2C=CC=CC=2)C2=CC=C3[N-]2)C=2C=CC=CC=2)=NC1=C3C1=CC=CC=C1 RKTYLMNFRDHKI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용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손잡이는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손잡이의 일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결합부를 갖는 손잡이 본체, 손잡이 본체의 상부에 결착되되 제1상태, 제2상태와 제3상태 사이를 축회전 운동하는 상부부재, 일측은 상부부재와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손잡이 본체와 결합하여서 상부부재를 손잡이 본체에 대해 축회전 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 및 손잡이 본체의 하부에 결착되되 상부부재와 연결되어서 상부부재의 축회전 운동에 따라 함께 축회전 운동하면서 용기부의 결합돌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부재로 구성된다.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ab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body having a hollow engag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handle so as to insert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a first state, a first state,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A torsion spring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upper part, And a lower member detachab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while being pivotally moved together with the rotary mo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a kitchen container.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단순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기와 조리를 위해 가열할 수 있는 조리용기로 분류될 수 있다. 조리용기의 예로는 후라이팬, 냄비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용기는 가열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며 가열 중에도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려 있다. 주방용기에 손잡이가 달린 경우 용기를 보관할 때에 손잡이로 인해 적층하는 것이 어렵게 되므로 이러한 용기의 보관을 위해서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In general, a kitchen container can be classified into a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simply storing food and a cooking container capable of being heated for cooking. Examples of the cooking utensil include a frying pan, a pot, and the like. Normally, such a contain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heated, and has a handle for holding it even during heating. When a handle is attached to a kitchen container, it is difficult to stack the container with the handle when storing the container, so that it is inconvenient that a large space is required for storing such a container.
이러한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 10-933007, 10-716595, 한국특허공개 2006-108597호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가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로서 이러한 손잡이로는 조리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 10-1140459호는 주방용기 외측면에 고정되며 걸림턱을 갖는 중공형 소켓과, 이 소켓의 걸림턱에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부재를 갖는 손잡이를 개시하고 있다. 이 손잡이는 이전의 것에 비해 주방용기와 손잡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었으나, 돌기부재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기만에 의해 손잡이와 소켓이 결합하므로 여전히 만족할만한 결합력은 얻을 수 없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10-1528452호는 만족할만한 결합력을 갖는 손잡이를 개시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avoid such an inconvenien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933007, No. 10-716595, and No. 2006-108597 disclose a detachable handle for a kitchen utensil. However, these are simple handles for cooking utensil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grasped.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0459 discloses a handle having a hollow socket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a kitchen container and having a latching jaw, and a projection member formed with a projection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of the socket. This handle has improved coupling force between the kitchen container and the handle a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ut the handle and socket are joined by only two projections protruding from the projection member, so that a satisfactory coupling force can still not be obtai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8452 discloses a handle having a satisfactory bonding force, bu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력이 뛰어나며 동시에 구성이 간단한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handle for a kitchen machine which is excellent in bonding force and simple in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용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손잡이는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손잡이의 일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결합부를 갖는 손잡이 본체, 손잡이 본체의 상부에 결착되되 제1상태, 제2상태와 제3상태 사이를 축회전 운동하는 상부부재, 일측은 상부부재와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손잡이 본체와 결합하여서 상부부재를 손잡이 본체에 대해 축회전 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 및 손잡이 본체의 하부에 결착되되 상부부재와 연결되어서 상부부재의 축회전 운동에 따라 함께 축회전 운동하면서 용기부의 결합돌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가 용기부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부부재가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 고정되며 이때 스프링은 최대 비틀림 상태에 있고,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손잡이의 중공형 결합부로 삽입되면 상부부재는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서 해제되어 제2상태로 축회전하면서 하부부재는 용기부의 결합 돌기와 1차 결합하고, 사용자가 상부부재를 축회전 운동의 제3상태로 회전시키면 하부부재는 용기부의 결합 돌기와 2차 결합하여 손잡이가 용기와 완전히 결합하며 이때 스프링은 비틀림이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ab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body having a hollow engag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handle so as to insert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a first state, a first state,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A torsion spring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upper part, And a lower member detachab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while being pivotally moved together with the rotary 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the upper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state of the axial rotation movement, wherein the spring is in the maximum twisted state,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portion of the handle, The member is released from the first state of the axial rotation and is axially rotated to the second state so that the lower member is first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upper member to the third state of axial rotation, And the handle is fully engaged with the container, so that the spring is in a state without twist.
손잡이 본체는 상부부재가 결착하는 부위와 하부부재가 결착하는 부위 및 이들을 관통하는 중앙 개구를 가지며, 상부부재는 판상 동체와, 이 동체의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손잡이 본체의 중앙 개구로 삽입되어 축회전 운동하는 중공형 원기둥으로 구성되며, 하부부재는 원판형 동체와, 이 동체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상부부재의 중공형 원기둥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연결 돌기로 구성되어서 상부부재의 축회전시 하부부재도 함께 축회전 한다. The handle body has a plate-like body and a lower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pening of the handle body and which is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handle body. The handle body has a plate- And the lower member is composed of a disk-like moving body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and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cylindrical cylinder of the upper member so that the lower member Rotate the shaft together.
한편, 하부부재가 일정한 두께의 원호형 돌기를 가지며,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그 하부에 상기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와 결합하는 원호형 홈을 갖되 이 원호형 홈이 폭이 넓은 제1 통로와 폭이 좁은 제2 통로로 구성된다. 상부부재가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서 해제되어 제2상태로 축회전하면서 하부부재가 용기부의 결합 돌기와 1차 결합할 때는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가 상기 원호형 홈의 제1 통로와 결합하고, 사용자가 상부부재를 축회전 운동의 제3상태로 회전시켜서 하부부재가 용기부의 결합돌기와 2차 결합할 때는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가 상기 원호형 홈의 제2 통로와 결합한다. The lower member has an arc-shaped protrus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tainer has an arcuate groove, which is engaged with the arcuate protrusion of the lower member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arcuate groove has a first passage having a larger width, And a narrow second passage. When the upper member is released from the first state of the axial rotation and is axially rotated to the second state and the lower member is first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arcuate projection of the lower member engages with the first passage of the arcuate groove , When the user rotates the upper member to the third state of axial pivoting motion and the lower member engages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arcuate projection of the lower member engages with the second passage of the arcuate groove.
또한, 손잡이 본체는 중앙 개구의 일측에 중공형 결합부의 중공부와 통하는 상부전방개구를 가지며, 상부부재는 이 상부전방개구로 삽입될 수 있는 하향 돌기를 가져서 상부부재가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 고정될 수 있다.The handle body also has an upper front opening communicating with a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coupl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central opening, the upper member having a downward projec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front opening, As shown in FIG.
상기 용기부의 결합 돌기는 그 상부에 상향 돌기를 가져서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손잡이 본체의 중공형 결합부로 삽입되면 이 상향 돌기가 손잡이 본체의 상부전방개구로 삽입되면서 상부부재의 하향 돌기를 밀어낸다 따라서 상부부재는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서 해제되어 제2상태로 축회전하게 된다.When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engaging portion of the handle body,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has an upward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front opening of the handle body, The member is released from the first state of the axial rotation and is axially rotated to the second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주방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용기부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방용기의 용기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손잡이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부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분리된 상태의 주방용기의 용기부에 손잡이를 부착하는 초기 단계의 단면도로서 손잡이는 도 2의 A-A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8은 주방용기의 용기부와 손잡이가 최종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손잡이는 도 1의 B-B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9는 주방용기의 용기부와 손잡이가 1차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container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the kitchen contain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portion of the kitchen container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shown in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body shown in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ember shown in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n initial stage in which a handle is attached to a container portion of the kitchen container in a separated state, and the handle is seen in the direction AA in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portion of the kitchen container and the handle are finally engaged, and the handle is seen in the direction of BB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portion of the kitchen container and the handle are first coupl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손잡이(10)가 용기부(2)에 부착된 주방용기(1)를 보여주며, 도 2는 손잡이(10)와 용기부(2)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FIG. 1 shows a
용기부(2)는 일측에 결합돌기(3)가 형성된다. 결합돌기(3)는 상부에 상향돌기(4)를 가지며 하부에 원호형 홈(5)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향돌기(4)는 원호형상을 갖는다. 하부의 원호형 홈(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로(6)와 제2 통로(7)로 구성된다. 이들 통로(6,7)로는 후술될 하부부재(50)의 원호형 돌기(55)(도 4 참조)가 삽입되며, 제1 통로(6)는 원호형 돌기(55)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으며 제2 통로(7)는 원호형 돌기(55)가 타이트하게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좁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통로(6,7)의 상대적 길이는 동일하다.The container portion (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jection (3) on one side.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는 손잡이 본체(11), 상부부재(30), 토션 스프링(40) 및 하부부재(5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이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때의 손잡이(10)를 기준으로 볼 때 윗면과 아랫면 방향을 말하여, 전방과 후방은 손잡이(10)를 기준으로 볼 때 용기부(2)와 결합하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을 말한다.4, the
손잡이 본체(11)는 일측단부, 즉 전방단부에 용기부의 결합 돌기(3)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 결합부(12)를 갖는다. 이 중공형 결합부(12)는 손잡이의 전방단부로부터 손잡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다. 또한, 손잡이 본체(11)는 상부부재(30)가 위치되는 원형의 상부부재 결착부(13)와 하부부재(50)가 위치되는 원형의 하부부재 결착부(23)를 각각 상부와 하부에 갖는다. 상부부재 결착부(13)는 그 중앙에 상부부재 결착부(13)와 하부부재 결착부(23)를 관통하는 중앙 개구(15), 이 중앙 개구(15)의 일측, 즉 전방방향에 중공형 결합부(12)의 중공부와 통하는 상부전방개구(17), 및 후술될 토션 스프링(40)의 제1 단부(41)가 삽입되는 제1 스프링 결합홈(14)을 갖는다. 상부부재 결착부(13)는 또한 상부전방개구(17)와 제1 스프링 결합홈(14)의 사이에 중앙개구(15) 둘레를 따라 일측에 형성되는 측홈(18)을 가지며, 이 측홈은 원호형상을 갖는다. 하부부재 결착부(23)는 중앙개구(15) 둘레를 따라 원호형의 하부돌기(25)가 형성되어서 이 하부돌기와 손잡이 본체 사이에 원호형 통로(27)가 형성된다. 하부부재 결착부(23) 전방, 즉 상부부재 결착부의 상부전방개구(17)에 상응하는 위치에 중공형 결합부(12)의 중공부와 통하는 하부전방개구(29)가 또한 형성된다.The
상부부재(30)는 판상 동체(31)와, 이 동체의 하부로 연장되며 손잡이 본체(11)의 중앙 개구(15)로 삽입되는 중공형 원기둥(33)을 갖는다. 판상 동체(31)는 대략적으로 원형이며 일측에 손가락을 걸고 회전시키기 편하도록 돌기 형태의 파지부(32)가 형성된다. 중공형 원기둥(33)의 중공부(34)는 도시된 바와같이 4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부부재의 판상 동체(31) 하부에는 후술될 토션 스프링(40)의 제2 단부(43)가 삽입되는 제2 스프링 결합홈(36)과, 하향돌기(37)가 형성된다. 하향돌기(37)는 상부부재(30)가 원형의 상부부재 결착부(13)에 안착하기 편하도록 상부부재(30)의 판상동체(31)로부터 하향연장되는 하향 원호형 돌기(38)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나 이 하향 원호형 돌기(38)와 달리 상부부재 결착부(13)로부터 연장되되 일측으로 만곡연장되어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운동할 수 있는 원호형 탄성부재(38') 상에 위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져 있다. The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40)은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상부부재 결착부(13)에 위치되며,손잡이 본체(11)의 제1 스프링 결합홈(14)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단부(41)와 상부부재(30)의 제2 스프링 결합홈(36)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단부(43)를 갖는다. 이 토션 스프링(40)은 손잡이 본체(11)와 상부부재(30) 사이에 위치되어서 상부부재(30)를 손잡이 본체(11)에 대해 탄성적으로 축회전 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하부부재(50)는 원판형 동체(51)와, 이 동체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부재(30)의 중공형 원기둥의 중공부(34)로 삽입되는 연결돌기(53)를 갖는다. 연결돌기(53)는 중공형 원기둥의 중공부(34)로 삽입될 수 있도록 4각형의 중공부(34) 형상에 맞는 4각형 돌기이다. 또한, 하부부재(50)는 연결돌기(53) 둘레를 따라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원호형 돌기(55)를 갖는다.Th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부부재(30)는 중공형 원기둥(33)이 손잡이 본체(11)의 중앙개구(15)로 삽입되도록 상부부재 결착부(13)에 위치하되 토션 스프링(40)에 의해 중공형 원기둥(33)을 회전축으로 하여 축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11)와 결합한다. 상부부재(30)가 토션 스프링(40)에 의해 최대로 축회전된 상태(제1 상태)에 있을 때, 상부부재(30)는 하향돌기(37)가 손잡이 본체의 상부부재 결착부(13)에 형성되는 전방개구(17)로 삽입되어 위치됨으로써 제1 상태에 고정된다. 도 2는 상부부재(3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의 파지부(32)의 위치를 보여준다. 하부부재(50)는 4각형의 연결돌기(53)가 상부부재(30)의 중공형 원기둥(33)의 4각형 중공부(34)로 삽입되도록 손잡이 본체(11)의 하부부재 결착부(23)에 위치된다. 연결돌기(53)와 중공부(34)의 결합에 의해 상부부재(30)의 축회전시 하부부재(50)도 함께 축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3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하부부재(50)의 원호형 돌기(55)가 상부부재의 파지부(32)와 거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부부재(50)와 상부부재(30)가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6)는 하부돌기(25)와 손잡이 본체(11) 사이의 원호형 통로(27)에 위치한다. 상부부재(30)와 하부부재(50)가 보다 완전하게 결합하여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함께 축회전 운동하며 하부부재(50)가 사용중 중력에 의해 상부부재(30)와 분리되지 않도록 나사(60)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하부부재(50)에는 나사(60)가 관통하는 나사구멍(54)이 형성되고 상부부재(30)에는 중공형 원기둥(33)의 중앙부에 나사홈(35)이 형성된다. The
이하에서는 도 7과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의 사용과 관련한 각 구성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relating to the use of the
손잡이(2)가 용기부(2)와 분리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30)는 토션 스프링(40)에 의해 최대로 축회전된 제1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부부재의 파지부(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손잡이의 전방을 향하는 위치에 있게 되며,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6)는 원호형 통로(27) 내에 위치하되 중공형 결합부(12)의 길이방향에 거의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제 손잡이(2)를 용기부(2)의 결합돌기(3)에 결착하기 위해 손잡이의 중공형 결합부(12)로 용기부의 결합돌기(3)를 삽입한다. 손잡이(2) 후단을 약간 들어올리면서 삽입하면 용이하게 삽입된다. 도 7은 용기부의 결합돌기가 손잡이의 중공형 결합부(12) 내로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손잡이는 도 2의 A-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30)는 토션 스프링(40)에 의해 최대로 축회전된 제1 상태에 있게 되며, 상부부재의 하향돌기(37)가 손잡이 본체의 상부전방개구(17)로 삽입되어서 제1 상태에 고정되어 있다. When the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2)를 용기부의 결합돌기(3) 방향으로 밀어서 더욱 밀착시키면, 결합돌기(3)의 상향돌기(4)가 상부전방개구(17)에 삽입되어 있는 상부부재의 하향돌기(37)를 밀어내며 상부전방개구(17) 내로 삽입된다. 하향돌기(37)는 원호형 탄성부재(38) 상에 위치하므로 상방으로 밀리면서 상부전방개구(17)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토션 스프링(40)의 최대 비틀림에 의해 축회전의 제1 상태에 고정되어 있던 상부부재(30)는 토션 스프링(40)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하며, 상부부재(30)의 축회전에 따라 하부부재(50)도 축회전 한다. 하부부재(50)의 축회전시,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는 원호형 통로(27) 내의 위치에서 중공형 결합부(12)와 통하는 하부전방개구(29) 위치로 회전하여서 용기부의 결합돌기(3)의 하부에 형성된 원호형 홈(5)으로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호형 홈(5)은 원호형 돌기(55)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 통로(6)와 원호형 돌기(55)가 타이트하게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2 통로(7)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는 축회전으로 결합돌기의 원호형 홈(5)과 결합하되 토션 스프링(40)의 복원력은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가 원호형 홈의 제1 통로(6)로는 용이하게 삽입시키나 제2 통로(7)로의 삽입은 진행시키지 못한다. 즉,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는 원호형 홈의 제1 통로(6)로 삽입된 채로 제1 통로(6)와 제2 통로(7)의 연결부에서 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1차 결합). 이와 같이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는 원호형 홈의 제1 통로(6)로만 삽입된 상태를 축회전 운동의 제2 상태라 하며, 도 9는 이러한 상태에 있는 손잡이(10)를 보여준다. 축회전 운동의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부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부재의 파지부(32)는 손잡이(10) 길이방향에 거의 수직하게 위치한다.7, the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부부재의 파지부(32)를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상부부재(30)를 끝까지 축회전시키면,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는 원호형 홈의 제2 통로(7)로 삽입되어 위치하며(2차 결합), 이때 토션 스프링(40)은 비틀림이 전혀 없는 축회전 운동의 제3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부재(50)가 용기부의 결합돌기(3)와 2차 결합한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손잡이(10)가 용기부(2)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부재(30)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부부재의 파지부(32)는 손잡이(10) 후방을 향해 손잡이(10) 길이방향에 거의 수평하게 위치한다. 손잡이(10)와 용기부(2)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에서 B-B 방향 단면을 보여주는 도 8을 참조하면, 용기부 결합돌기(3)의 상향돌기(4)는 상부전방개구(17)에 삽입되어 있고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는 원호형 홈의 제2 통로(7)로 삽입된 2차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용기부(2)는 용기부의 결합돌기(3)가 손잡이(10)의 중공형 결합부(12)로 삽입된 채로 용기부 결합돌기의 상향돌기(4)는 상부전방개구(17)로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동시에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55)가 용기부 결합돌기의 원호형 홈의 제2 통로(7) 내로 타이트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용기부(2)와 손잡이(10)는 매우 확실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한다.9, when the user pushes the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부부재(30)의 파지부(32)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각 구성부가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이동하면서 손잡이가 용기부의 결합돌기(3)로부터 해제되면서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and rotates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의 하향돌기(37)가 손잡이 본체의 상부전방개구(17)로부터 해제되어 상부부재(30)와 하부부재(50)가 축회전 운동의 제1 상태에서 제2 및 제3 상태로 축회전 할 때, 상부부재의 하향돌기(37)가 이 축회전 운동에 저항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의 상부부재 결착부(13)에는 중앙개구(15) 둘레를 따라 원호형상의 측홈(18)이 형성된다. 이 측홈(18)의 일측에는 경사부(19)가 형성되어서 상부부재의 하향돌기(37)가 이 측홈(18)으로 진입 및 이탈이 부드럽게 진행된다. 또한, 손잡이 본체(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 결착부(13)에 인접하여 위치된 파지홈(20)이 형성되어서 상부부재(30)의 파지부(32)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The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손잡이의 일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결합부를 갖는 손잡이 본체,
손잡이 본체의 상부에 결착되되 제1상태, 제2상태와 제3상태 사이를 축회전 운동하는 상부부재,
일측은 상부부재와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손잡이 본체와 결합하여서 상부부재를 손잡이 본체에 대해 축회전 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 및
손잡이 본체의 하부에 결착되되 상부부재와 연결되어서 상부부재의 축회전 운동에 따라 함께 축회전 운동하면서 용기부의 결합돌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부재로 구성되어서,
손잡이가 용기부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부부재가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 고정되며 이때 스프링은 최대 비틀림 상태에 있고,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손잡이의 중공형 결합부로 삽입되면 상부부재는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서 해제되어 제2상태로 축회전하면서 하부부재는 용기부의 결합 돌기와 1차 결합하고, 사용자가 상부부재를 축회전 운동의 제3상태로 회전시키면 하부부재는 용기부의 결합 돌기와 2차 결합하여 손잡이가 용기와 완전히 결합하며 이때 스프링은 비틀림이 없는 상태에 있으며,
하부부재가 일정한 두께의 원호형 돌기를 가지며,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그 하부에 상기 하부부재의 원호형 돌기와 결합하는 원호형 홈을 갖되 이 원호형 홈이 폭이 넓은 제1 통로와 폭이 좁은 제2 통로로 구성되어서, 상부부재가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서 손잡이 본체의 하부전방개구를 향해 축회전운동의 제2상태로 축회전하면 하부부재는 원호형 돌기가 용기부 결합돌기의 원호형 홈의 제1 통로로 삽입되는 1차 결합을 하고 사용자가 상부부재를 축회전 운동의 제2 상태에서 제3상태로 회전시키면 하부부재는 원호형 돌기가 용기부 결합돌기의 원호형 홈의 제2 통로로 삽입되는 2차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A handle body having a hollow engag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handle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An upper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knob body and is axially rotated between a first state,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A torsion spring that engages one sid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torsion spring in engagement with the knob body to rotate the upper member about the knob body,
And a lower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and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and detachably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tainer portion while being pivotally moved together with the axial rotation of the upper member,
In the state where the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the upper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state of the axial rotation movement, and the spring is in the maximum twisted state, and when the coupl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portion of the handle, The lower member is first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while the lower member is rotated to the second state, 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upper member to the third state of axial rotation, the lower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And the handle is fully engaged with the container, at which time the spring is free of twist,
The lower member has an arc-shaped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tainer has an arcuate groove, which is engaged with the arcuate protrusion of the lower member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arcuate groove has a first passage with a wide width, When the upper member is axially rotated from the first state of the axial rotation movement to the second state of the axial rotation movement toward the lower front opening of the handle body, the lower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rc- When the user performs the primary coupling inserted into the first passage of the groove and the user rotates the upper member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third state of the axial rotation movement, the lower member causes the arcuate projection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arcuate groove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passageway.
손잡이 본체는 상부부재가 결착하는 상부부재 결착부와 하부부재가 결착하는 하부부재 결착부를 갖되 이들 결착부를 관통하는 중앙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부재 결착부는 중앙 개구의 일측에 중공형 결합부의 중공부와 통하는 상부 전방개구를 갖고 하부부재 결착부는 상부 전방개구와 같은 방향에 중공형 결합부의 중공부와 통하는 하부 전방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main body has a central member opening having an upper member binding portion to which the upper member is engaged and a lower member binding portion to which the lower member is joined,
The upper member binding portion has an upper fron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coupl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central opening and the lower member binding portion has a lower fron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coupl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front opening Removable handle for kitchen machine.
상부부재는 판상 동체와, 이 동체의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손잡이 본체의 중앙 개구로 삽입되어 축회전 운동하는 중공형 원기둥으로 구성되며,
하부부재는 원판형 동체와, 이 동체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상부부재의 중공형 원기둥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연결 돌기로 구성되어서 상부부재의 축회전시 하부부재도 함께 축회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member is composed of a plate-like body and a hollow cylindrical body which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pening of the body,
Wherein the lower member comprises a disk-shaped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and inserted into a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cylindrical body of the upper member so that the lower member also rotates when the shaft of the upper member rotates. Removable handle for use.
상부부재가 상부부재 결착부의 상부 전방개구로 삽입될 수 있는 하향 돌기를 가져서 상부부재가 축회전 운동의 제1상태에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member has a downward projec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front opening of the upper member binding portion so that the upper member can be fixed to the first state of axial rotation movement.
상기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그 상부에 상향 돌기를 가져서 용기부의 결합 돌기가 손잡이 본체의 중공형 결합부로 삽입되면 이 상향 돌기가 손잡이 본체의 상부 전방개구로 삽입되면서 상부부재의 하향 돌기를 밀어내며, 이때 상부부재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축회전 운동의 제2 상태로 축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tainer unit has an upward protrusion on its upper par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tainer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unit of the handle body, the upwar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front opening of the handle body to push the downward protrusion of the upper member, Wherein the upper member is folded into a second state of axial rotational movement by a torsion sp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229A KR101593377B1 (en) | 2015-09-11 | 2015-09-11 |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229A KR101593377B1 (en) | 2015-09-11 | 2015-09-11 |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3377B1 true KR101593377B1 (en) | 2016-02-11 |
Family
ID=5535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229A Active KR101593377B1 (en) | 2015-09-11 | 2015-09-11 |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337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346U (en) * | 2019-12-06 | 2021-06-16 | 양원준 | Handle capable of attaching or detaching to cooker |
CN115463338A (en) * | 2021-07-12 | 2022-12-13 | 苏州心擎医疗技术有限公司 | Device for assisting the heart in the occurrence of functional fail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486B1 (en) * | 2010-11-19 | 2011-04-06 | 이상만 | Cooking utensils |
JP2012080995A (en) * | 2010-10-08 | 2012-04-26 | Kuriyama:Kk | Single-hand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
KR101140459B1 (en) * | 2010-09-15 | 2012-04-30 | 김형선 | 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
CN104146634A (en) * | 2014-07-16 | 2014-11-19 |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 Knob type detachable handle of pot |
-
2015
- 2015-09-11 KR KR1020150129229A patent/KR1015933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0459B1 (en) * | 2010-09-15 | 2012-04-30 | 김형선 | 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
JP2012080995A (en) * | 2010-10-08 | 2012-04-26 | Kuriyama:Kk | Single-hand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
KR101027486B1 (en) * | 2010-11-19 | 2011-04-06 | 이상만 | Cooking utensils |
CN104146634A (en) * | 2014-07-16 | 2014-11-19 |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 Knob type detachable handle of po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346U (en) * | 2019-12-06 | 2021-06-16 | 양원준 | Handle capable of attaching or detaching to cooker |
KR200494365Y1 (en) * | 2019-12-06 | 2021-09-27 | 양원준 | Handle capable of attaching or detaching to cooker |
CN115463338A (en) * | 2021-07-12 | 2022-12-13 | 苏州心擎医疗技术有限公司 | Device for assisting the heart in the occurrence of functional failure |
CN115463338B (en) * | 2021-07-12 | 2024-05-14 | 心擎医疗(苏州)股份有限公司 | Device for assisting heart in the event of fail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54835A (en) | Food handling implement | |
US6079590A (en) | Grip device for a food cooking vessel, in particular a frying-pan | |
KR101140459B1 (en) | 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 |
TWI701114B (en) | Tool having one or more rotatable tool members | |
KR101509482B1 (en) | Folding style handle structure in cookware | |
EP3691500B1 (en) | Camping utensil kit | |
US20080203746A1 (en) | Folding pizza peel | |
KR101528452B1 (en) | Detachable handle | |
KR20180076281A (en) | disposable folding meal tool | |
KR101248661B1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 |
US20130305893A1 (en) | Multifunctional cooking utensil | |
WO2006098740A2 (en) | Screwdriver handle | |
KR101593377B1 (en) |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 |
US6746062B2 (en) | Collapsible grilling spatula | |
KR20100098021A (en) | A pot and pan grip | |
KR20140035246A (en) | Handgrip for cooking vessels | |
KR101300211B1 (en) | Removable handle for cooker | |
EP2623003B1 (en) | Detachable handle | |
WO2002003842A1 (en) | Housing for electrical household cooking appliance designed to be hand-held in different positions | |
US7051397B2 (en) | Multi-use tool device, tool theref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101568941B1 (en) | Food cookware | |
KR20140143978A (en) | Cookware and handle equipment thereof | |
KR101457788B1 (en) | Detachable receptacle handle with receptacle gripping compatability | |
KR101083126B1 (en) | A detachable handle capable of adjusting distance for cooking vessels | |
KR102225158B1 (en) | Multipurpose radl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