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051B1 - Storage Tank of the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flow path for increased efficiency of cold storage - Google Patents
Storage Tank of the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flow path for increased efficiency of cold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3051B1 KR101593051B1 KR1020150132772A KR20150132772A KR101593051B1 KR 101593051 B1 KR101593051 B1 KR 101593051B1 KR 1020150132772 A KR1020150132772 A KR 1020150132772A KR 20150132772 A KR20150132772 A KR 20150132772A KR 101593051 B1 KR101593051 B1 KR 101593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ezing
- storage tank
- flow path
- heat storag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1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93 welding typ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49 polyester-amid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2005/002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heat exchange fluid storage tan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브라인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형성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가 위치되어 형성되는 제1결빙용기층,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갖는 유로차단막,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가 위치되어 형성되는 제2결빙용기층 및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이 포함되어 브라인과 상기 결빙용기와의 열교환 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축열조 내에 유로를 생성하여 최상부에 유입된 브라인이 생성된 유로를 통해 하강하면서 결빙용기 내의 용액과 열교환 하면서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낮은 층의 결빙용기를 냉각하고 축열조의 하부 출구를 통해 냉동기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브라인과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확보된 유로에서 제빙을 촉진하고 해빙시에도 확보된 유로를 통해 열교환 시간을 늘려 시스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treated tank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a plurality of freezing containers are inserted into the lid, and a lid is closed. One side of the lid is formed with one side inle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with the brine. Wherein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storage tank, the first freezing vessel having a first inlet and a second outlet, And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blocking membrane, wherein the flow-blocking membrane has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2 < / RTI > of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and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wherein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It includes a grating that secure value relates to a heat storage tank for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with a flow path for the chuknaeng increase efficiency, comprising a step of increasing as much as possible improve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with the brine and the time of the freezing contain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storage tank, and the brine flowing into the uppermost portion descends through the generated flow path while descending while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finally cooling the lowest freezing vessel, Thereby improving the system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time of the solution in the brine and the freezing vessel and accelerating the freezing in the secured flow channel and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time through the channel secured in the freezing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열조 내에 유로를 생성하여 최상부에 유입된 냉각유체인 브라인이 생성된 유로를 통해 하강하면서 결빙용기 내의 용액과 열교환 하면서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낮은 층의 결빙용기를 냉각하고 축열조의 하부 출구를 통해 냉동기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결빙용기 내 용액과 브라인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확보된 유로에서 제빙을 촉진하고 해빙시에도 확보된 유로를 통해 열교환 시간을 늘려 시스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And cooling the freezing vessel of the lowest layer finally and flowing into the freezer through the lower outlet of the heat storage tank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time between the solution and the brine in the freezing vessel to accelerate the ice making in the secured flow pass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which can improve the system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time through the passage secured even during thawing.
일반적으로 빙축열 시스템은 야간에 저렴한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빙축냉열을 저장하고 주간에는 야간에 저장해 두었던 빙축냉열을 냉방에 이용하는 것으로, 주간의 냉방용 피크전력을 감소시키고, 여름철에 가끔 발생하는 블랙아웃(blackout)의 중요한 원인인 냉방시스템에 사용되는 주간의 소비전력을 야간의 심야전기로 대체하여 전력 공급의 평준화를 이룰 수 있는 축냉식 냉방시스템이다.In general, the ice storage system uses the low-temperature nighttime electricity to store the ice cold air and the ice during the day to store the ice cold air during the daytime for cooling. It reduces the peak power for cooling during the daytime, cooling system that can equalize the power supply by replacing the daytime power consumption used in the cooling system, which is an important cause of blackout, by the nighttime nighttime electricity.
빙축열 냉방시스템 원리는 저온용 냉동기를 가동하여 물을 어는점 이하로 냉각하면 물은 얼음이 되고, 물이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 될 때 얼음 1kg에 대해 약 80kcal에 해당하는 잠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얼음을 물로 해빙할 때는 약 80kcal의 잠열을 흡수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 하면서 냉방을 하는, 물의 잠열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다.The principle of the ice-cooled cooling system is that when the water is cooled down below the freezing point by operating a low-temperature refrigerator, the water becomes ice, and when the water is phase-changed from liquid to solid, it releases about 80 kcal of latent heat for 1 kg of ice. Conversely, when thawing ice with water, it is a cooling system using latent heat of water, which absorbs latent heat of about 80 kcal and performs cooling while changing phase from solid to liquid.
이런 빙축열시스템은 코일의 외부에 제빙하는 관외착빙(ICE ON COIL TYPE) 방식과, 결빙용기 내에 충전된 용액인 물 또는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제빙 및 해빙하는 결빙용기(ICE CONTAINER TYPE) 방식과, 메탄올 또는 프로필렌그리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결빙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얼음을 미세한 입자인 슬러리 형태로 제빙하는 슬러리(ICE SLURRY TYPE) 방식과,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제빙판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착빙시킨 후 냉매가스를 역순환시키어 제빙판에서 얼음조각 형태로 탈빙하는 방박리(ICE HARVEST TYPE) 방식으로 분류된다. This type of ice and water storage system includes an ICE ON COIL TYPE system for deicing the outside of a coil and an ICE CONTAINER TYPE for freezing and thawing a water or phase change material (PHASE CHANGE MATERIAL) (ICE SLURRY TYPE) system in which ice formed by using an ice solution prepared by mixing an additive such as methanol or propylene glycol in a form of a slurry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and a slurry (ICE HARVEST TYPE) method in which ice is iced, and the refrigerant gas is circulated back and de-glazed in ice form on the ice sheet.
이중 결빙용기 방식의 빙축열시스템은 결빙용기 내에 충전된 용액이 제빙과 해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용액의 제빙과 해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결빙용기의 셀(SHELL) 바깥 표면과 유동하는 브라인(brine)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온도가 변화면서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로 상변화를 이룬다. 결빙용기는 형상 및 크기, 셀의 두께, 열전도성 등에 따라 열교환 효율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In the double ice storage type ice storage heat system, the solution fill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repeatedly performs ice making and thawing. In order to effectively freeze and thaw the solution,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ll of the freezing vessel and the brine is required to smoothly perform the phase change to the liquid state and the solid state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It accomplishes. The freezing vessel has a large difference in heat exchange efficiency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the thickness of the cell,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제빙운전의 열교환은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열이 결빙용기의 셀을 통해 브라인으로 이동해야 한다. 우선은 빙축열조의 브라인의 온도가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어는점 이하로 내려가서 제빙을 위한 환경을 조성한다.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온도는 대류와 전도에 의해 어는점 이하로 내려간다. 셀 주위의 용액부터 서서히 얼음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결빙용기의 중심부로 향하고, 마지막으로 공기층과 접하는 부분의 표면이 얼음으로 변화면서 제빙운전은 종결한다. Heat exchange of the ice-making operation requires that the heat of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is transferred to the brine through the cells of the freezing vessel. Firs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of the ice storage tank is lowered below the freezing point of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ice mak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is lowered below the freezing point by convection and conduction. The ice is gradually generated from the solution around the cell to the center of the ice-making container, and finally, the surfac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ir layer changes into ice, and the ice-making operation is terminated.
해빙운전은 결빙용기 내의 얼음이 셀 주위부터 해빙이 시작되고, 최종적으로는 중심부가 해빙되면서 해빙운전이 마무리된다.In the sea ice operation, the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starts to melt from the vicinity of the cell, and finally, the center portion is thawed, and the sea ice operation is completed.
하지만, 축열조 내의 결빙용기와 브라인과 열교환 하는 방식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은 결빙용기가 축열조 내에서 브라인과 열교환 하는 것이다. 결빙용기 주위의 브라인 온도를 내리면 열교환은 잘 이루어지겠지만, 냉동기의 성능계수가 감소되고, 적용해야 할 냉동기의 종류 등 여러 사항이 검토되어야 한다. However, in the method of heat exchange with the freezing vessel in the storage tank and the brine, an important consideration is that the freezing vessel exchanges heat with the brine in the storage tank. Lowering the brine temperature around the freezing vessel will result in better heat exchange, but the performance factor of the freezer will be reduced, and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ype of freezer to be applied should be considered.
이런 기존의 빙축열시스템은 냉각된 유체가 축열조 상부로 유입하여 축열조 하부로 유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결빙용기와 열교환 하지만, 무질서하게 축열조에 위치하는 결빙용기와의 열교환 시간이 짧아 축열조 내의 브라인 온도를 낮추어야만 전체가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되어 결빙이 시작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해빙시에도 결빙용기와 브라인과의 열교환 시간이 짧아 열교환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ice storage system, the cooled fluid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and flows out 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tank. However, since the heat exchange time with the freezing container located in the storage tank is short, the temperature of the brine in the storage tank must be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hole is cool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less to start freezing, and the heat exchange time between the freezing vessel and the brine is shortened even at the time of thawing, so that heat exchange is not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열조 내에 유로를 생성하여 최상부에 유입된 브라인이 생성된 유로를 통해 하강하면서 결빙용기 내의 용액과 열교환 하면서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낮은 층의 결빙용기를 냉각하고 축열조의 하부 출구를 통해 냉동기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빙축열시스템에서 축열조에 유입된 브라인과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열교환을 촉진시키고 축냉 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ce- And the cooling water flows into the freezer through the lower outlet of the heat storage tank,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time between the brine introduced into the heat storage tank and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in the ice storage heat system, thereby promoting heat exchange and furthe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syst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the increas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브라인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형성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treated tank, in which a lid for sealing a plurality of ice-making containers into an upper portion thereof is formed, a one-side inlet / And a grating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vessel is formed in the storage tank of the ice storage heat storage system,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가 위치되어 형성되는 제1결빙용기층;A first freezing vesse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storage tank;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갖는 유로차단막;A flow path blocking layer having a elasticity and being made of a fiber material located above the first freezing compartment layer and having an open flow path portion through which the brine flows at one side;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가 위치되어 형성되는 제2결빙용기층; 및A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re positioned above the flow blocking membrane; And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이 포함되어 브라인과 상기 결빙용기와의 열교환 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And a grating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and the flow path blocking film provided above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time between the brine and the freezing vessel, .
상기 유로차단막은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대응되는 상기 축열조 내부 면적보다 커서,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내측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걸쳐지며 밀착되는 특징이 있다.The flow path blocking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open flow path portion is larger than the internal area of the heat storage tank corresponding to the other area except for the open flow path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상기 유로차단막과 상기 개방유로부는, 외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내측면과 밀착되는 프레임에 의해 둘러 쌓여져 있는 특징이 있다.The flow path blocking film and the open channel portion are surrounded by a frame whose out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상기 유로차단막은 상기 축열조 내측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프레임에 의해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벽면에 체결되는 특징이 있다.The flow-barrier membra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surface excluding the open channel portion is fasten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by a fixed support frame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by fixing means.
상기 유로차단막의 상기 개방유로부는 필요에 따라 그 크기를 넓게 또는 좁게 가변적으로 형성시키는 특징이 있다.The open channel portion of the flow path blocking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size is formed broadly or narrowly as needed.
상기 고정지지프레임은 파이프로, 상기 축열조의 크기에 따라 1/4 ∼ 3인치의 흑관을 사용하고 스크류 이음 또는 용접 이음으로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며 모서리부분은 스크류 타입 또는 용접 타입 엘보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The fixed support frame is a pipe, and a 1/4 to 3 inch black tube is 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eat storage tank and assembled in the field by screw or weld joint. The corner por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screw type or welding type elbow have.
상기 유로차단막이 n개(n〉2) 이상인 경우, n+1개의 결빙용기층과 n개의 개방유로부가 포함되며, 상기 n개의 개방유로부는 인접한 개방유로부와의 위치가 최대한 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N + 1) of freezing container layers and n open flow path portions when the flow path shielding film is n (n > 2) or more, and the n open flow path portions are form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adjacent open flow path portions hav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축냉 효율 증대방법은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브라인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형성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al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insulation treated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ice storage containers are inserted, And an ice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brine is injected into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grating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located on the uppermost insid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at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1결빙용기층 형성단계;A first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in the lower part of the thermal storage tank;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대응되는 상기 축열조 면적보다 커서,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벽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걸쳐지며 밀착되면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유로차단막 형성단계; And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open channel part is larger tha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heat storage tank so that the other side surface excluding the open channel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Forming a barrier layer on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while the barrier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2결빙용기층 형성단계; 및 A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bove the flow passage blocking film; And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And a grating forming step provided above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eezing compartment layer,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and the flow path blocking lay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축냉 효율 증대방법은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브라인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형성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al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insulation treated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ice storage containers are inserted, And an ice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brine is injected into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grating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located on the uppermost insid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at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1결빙용기층 형성단계;A first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in the lower part of the thermal storage tank;
프레임에 의해 둘러 쌓여져 있는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외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유로차단막 형성단계; And an open channel portion through which the brine flow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A flow path blocking film forming step of forming a flow path blocking film;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2결빙용기층 형성단계; 및 A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bove the flow passage blocking film; And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nd a grating forming step provided above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eezing compartment layer,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and the flow path blocking lay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축냉 효율 증대방법은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브라인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가 형성되고,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형성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al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insulation treated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ice storage containers are inserted, And an ice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brine is injected into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grating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located on the uppermost inside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at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축열조 내측면에 고정지지프레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시키는 고정지지프레임설치단계;A fixed support frame mounting step of fixing one or more fixed support fram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by fixing means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고정지지프레임설치단계를 거친 고정지지프레임에 섬유재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유로차단막을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시키면서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형성시키는 브라인유로 형성단계; 및A brine flow path forming step of forming an open flow path portion through which the brine flows while fixing and installing a flow blocking membrane having elasticity and being made of a fiber material to the fixed support frame through the fixing support frame installing step; And
상기 브라인유로 형성단계를 거친 유로차단막의 개방유로부 위치와 크기를 축열조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변경하여서 브라인과 상기 결빙용기와의 열교환 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려 열교환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키는 브라인유로 최적화단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 brine flow path optimization step of maximiz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heat exchange time between the brine and the freezing vessel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pen channel portion of the flow path barrier through the brine flow channel forming step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thermal storage tank And the lik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축열조 내에 유로를 생성하여 최상부에 유입된 브라인이 생성된 유로를 통해 하강하면서 결빙용기 내의 용액과 열교환 하면서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낮은 층의 결빙용기를 냉각하고 축열조의 하부 출구를 통해 냉동기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브라인과 결빙용기 내의 용액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확보된 유로에서 제빙을 촉진하고 해빙시에도 확보된 유로를 통해 열교환 시간을 늘려 시스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축열조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형성된 유로를 통해 열교환 시간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시스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thermal storage tank, the brine flowing into the uppermost portion descends through the generated flow path while descending while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solution in the freezing vessel, finally cooling the lowest freezing vesse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time of the solution in the brine and the freezing vessel by promoting the freezing in the ensured flow path and 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time through the flow path secured in the sea ice, have.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flow path in the existing thermal storage tank,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time through the formed flow path,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ystem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로차단막이 축열조 벽면에 걸쳐져서 개방유로부와 유로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로차단막이 축열조 벽면에 걸쳐져서 개방유로부와 유로가 형성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축열조의 단면이 사각형일 때 개방유로부를 갖는 유로차단막의 형상과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축열조의 단면이 원형일 때 개방유로부를 갖는 유로차단막의 형상과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로차단막과 개방유로부가 프레임에 의해 둘러 쌓여져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고정지지프레임에 의해 유로차단막이 축열조 벽면에 체결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인 고정지지프레임에 의해 유로차단막이 축열조 벽면에 체결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브라인유로 최적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축냉 효율 증대방법의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flow path barrier,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ver a wall surface of a heat storage tank to form an open flow path portion and a flow path por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storage and heat cooling system having a channel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in which a flow path shielding fil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ver a wall surface of a heat storage tank and an open channel portion and a channel are formed.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and lamination structure of the flow path blocking film having the open channel portion when the end 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is rectangular.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and lamination structure of the flow path blocking film having the open flow path portion when the end of the heat storage tank is circular.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low path shielding film and an open flow path portion, which a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rrounded by a fram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a cooling efficiency by which a flow path shielding film is fastened to a wall surface of a heat storage tank by a fixed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a cooling efficiency by which a flow path shielding film is fastened to a wall surface of a heat storage tank by a fixed support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thermal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which comprises a brine flow path optimization step.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51)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5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브라인(53)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54)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53)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55)가 형성되고,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51)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56)이 형성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1)에 있어서, 뚜껑(52)을 통해 축열조(1)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51)가 투입되어 축열조(1) 하부에 제1결빙용기층(12)이 형성된다. 축열조(1) 최하부에 설치되는 제1결빙용기층(12)은 축열조(1)의 크기와 결빙용기(51)의 크기 및 축냉효율을 고려하여 한 개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빙용기층(12)이 형성된 후, 제1결빙용기층(12) 상부에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이 놓여지며, 차단막의 일측에 브라인(53)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11)를 가지는 유로차단막(10)이 형성된다. 개방유로부(11)는 주입된 브라인(53)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55)와 가장 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뚜껑(52)을 통해 축열조(1)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51)가 다시 한번 투입되어 유로차단막(10) 상부에 제2결빙용기층(13)이 형성된다. 제2결빙용기층(13)은 축열조(1)의 크기와 결빙용기(51)의 크기 및 축냉효율을 고려하여 한 개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인(53)이 축열조(1)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54)는 개방유로부(11)와 가장 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빙용기층(13) 상부에 그레이팅(56)이 형성되어, 제1결빙용기층(12), 제2결빙용기층(13) 및 유로차단막(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브라인(53)이 축열조(1) 내부에 채워질 때 다수개의 결빙용기(51)들과 유로차단막(10)에 부력이 작용하고, 제1결빙용기층(12), 제2결빙용기층(13) 및 유로차단막(10)이 처음 형성된 위치 보다 상부로 움직일 수 있어, 그레이팅(56)이 이러한 위치 변화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레이팅(56)은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레이팅(56)의 상부에 위치한 일측입출구(54)에서 브라인(53)이 토출되면, 중력에 의해 그레이팅(56)의 격자 구조를 통과하여 제2결빙용기층(13) 일측의 결빙용기(51)와 접촉하게 된다. 이후 브라인(53)이 유로차단막(10) 상부를 따라 흐르면서 제2결빙용기층(13)의 다수개의 결빙용기(51)들과 접촉하여 열교환을 하게된다. 유로차단막(10) 상부를 따라 흐르는 브라인(53)은 제2결빙용기층(13) 타측에 도달하여 차단막이 없는 개방유로부(11)를 만나게된다. 브라인(53)은 개방유로부(11)에서 제1결빙용기층(12)과 접촉하게 되고 중력에 의해 제1결빙용기층(12)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브라인(53)이 유로차단막(10) 하부를 따라 흐르면서 제1결빙용기층(12)의 다수개의 결빙용기(51)들과 접촉하여 열교환을 하게된다. 이후 타측입출구(55)를 통해 브라인(53)이 축열조(1)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an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는 제1결빙용기층(12), 유로차단막(10) 및 제2결빙용기층(13)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브라인(53)이 축열조(1) 상부에서 주입되어 하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브라인(53)이 축열조(1) 하부에서 주입되어, 축열조(1) 상부에서 주입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결빙용기층(12), 유로차단막(10) 및 제2결빙용기층(13)이 축열조(1)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브라인(53)이 축열조(1)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주입되고, 축열조(1)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서 주입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freezing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브라인(53)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11)를 갖는 유로차단막(10)은 브라인(53)이 투과되지 않으면서 일정한 탄성을 가져 작업 중에 외력을 가해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갖는다. 폴리에스터나 폴리아마이드 등과 유사한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은 유로차단막(10)이 축열조(1) 내측면에 걸쳐져서 개방유로부(11)와 유로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먼저 뚜껑(52)을 통해 축열조(1)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51)가 투입되어 축열조(1) 하부에 제1결빙용기층(12)이 형성된다. 제1결빙용기층(12)은 축열조(1)의 크기와 결빙용기(51)의 크기 및 축냉효율을 고려하여 한 개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빙용기층(12)이 형성된 후, 제1결빙용기층(12) 상부에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이 놓여지며, 차단막의 일측에는 브라인(53)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11)를 가지는 유로차단막(10)이 형성된다. 유로차단막(10)의 개방유로부(11)을 제외한 부분의 면적이 대응되는 축열조(1) 단면적보다 넓어서, 유로차단막(10)이 제1결빙용기층(12)을 덮을 때, 개방유로부(11)을 제외한 모서리 부분이 축열조(1) 내측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걸쳐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축열조(1)에 유로차단막(10)을 설치할 때, 축열조(1) 내측면과 별도의 체결과정을 요하지 않고, 유로차단막(10)의 탄성에 의해 축열조(1) 내측면과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에 의하면 제1결빙용기층(12) 상부에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이 놓여지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개방유로부(11)를 제외한 유로차단막(10) 모서리들이 축열조(1) 내측면에 걸쳐짐으로써,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이 완성될 수 있다. 물론 축열조(1) 내측면에 걸쳐진 유로차단막(10)의 모서리들은 접착제나 체결수단에 의해 축열조(1) 내측면에 추가로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2, an ice-cooling heat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ow
축열조(1)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유로차단막(10)은 축열조(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4와 도 5는 축열조(1)의 단면이 사각형일 때와 원형일 때 개방유로부(11)를 갖는 유로차단막(10)의 형상과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경우 인접한 개방유로부(11)들이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쌓이는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6에 의하면 유로차단막(10)과 개방유로부(11)는 프레임(14)에 의해 둘러 쌓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4)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재질일 수 있으며, 축열조(1)의 단면적과 프레임(14)을 포함하는 유로차단막(10)과 개방유로부(11) 면적은 동일하거나 프레임(14)을 포함하는 유로차단막(10)과 개방유로부(11) 면적이 프레임(14)의 탄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약간 클 수 있다. 축열조(1) 내측면에 탄성이 있는 프레임(14) 외부 측면이 밀착되도록 끼워져서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이 완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이 접착제나 체결수단에 의해 축열조(1) 내측면에 추가로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6, the flow
본 발명의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1)는, 단열처리된 탱크로, 상부에는 내부로 다수개의 결빙용기(51)들이 투입된 후 밀폐되는 뚜껑(52)과, 일측에는 브라인(53)이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54)와, 타측에는 주입된 브라인(53)이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55)와, 내부 최상측에 위치된 다수개 결빙용기(51) 상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56)과, 상기 축열조(1) 내측면에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유로차단막(10)을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프레임(20)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20)에 체결수단(30)에 의해 체결설치되어 브라인(53)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차단막(10)으로 구성된다.A heat storage tank (1) of an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d (52) which is sealed after a plurality of ice storage containers (51) A second inlet /
상기 고정지지프레임(20)은, 상기 축열조(1) 내측면에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으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고, 유로차단막(10)이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에 의해 체결고정된다.The fixed
상기 유로차단막(10)은, 상기 고정지지프레임(20)에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섬유재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막으로, 일측에는 개방되어 상기 브라인(53)이 유통되는 유로가 생성되는 개방유로부(11)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축열조(1) 내부에 두 개 이상의 고정지지프레임(20)이 고정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유로차단막(10) 개방유로부(11)의 위치가 인접된 다른 개방유로부(11)의 위치와 최대한 멀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브라인(53)과 상기 결빙용기(51)와의 열교환 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려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The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1)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상기 일측입출구(54)는 상기 축열조(1)의 상단좌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입출구(55)는 상기 축열조(1)의 하단우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프레임(20)은 축열조(1) 내측면에 수평으로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40)으로는 고정볼트를 일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다른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상기 고정지지프레임(20)은 상기 실시 예에서는 사각파이프를 사용하였으나, 파이프 또는 봉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축열조(1)의 크기에 따라 1/4 ∼ 3인치의 흑관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스크류 이음 또는 용접 이음으로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면서 모서리부분은 스크류 타입 또는 용접 타입 엘보를 사용한다.In this embodiment, a square pipe is used. However, a pipe or a rod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 1/4 to 3 inch black pip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제빙운전시, 유로차단막(10)을 갖는 고정지지프레임(20)을 축열조(1) 내측면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고정설치하여 축열조(1) 내에 개방유로부(11)에 의해서 유로를 생성하면, 축열조(1)의 전체 온도와 상관없이, 브라인(53)의 일측입출구(54) 유입과 동시에 구간별로 적재된 다수개 결빙용기(51)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7, in the icemaking operation, one or more fixed support frames 20 having a flow path-shielding
제빙운전은 일측입출구(54)를 통해 축열조(1) 최상부에 유입된 브라인(53)이 고정지지프레임(20)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유로차단막(10)의 개방유로부(11)를 통해 생성된 유로를 통해 하강하면서 브라인(53)의 온도는 상승하고, 다수개 결빙용기(51) 내의 용액의 온도는 하강하면서 어는점 이하가 되면 결빙을 시작한다. 최종적으로 브라인(53)은 가장 낮은 층의 결빙용기(51)를 냉각하고 축열조(1)의 하부 출구인 타측입출구(55)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제빙은 최상부의 결빙용기(51)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하부의 결빙용기(51)로 제빙하면서 종결한다.The ice ma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기존의 방식은 뚜껑(52)을 통해 결빙용기(51)가 무질서하게 축열조(1) 내부로 투입되고 별도의 유로 없이 브라인(53)의 유동에 의해 열교환 하는 것인데 반해, 본 발명은 기존의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서, 고정지지프레임(20)에 고정설치된 유도차단막(10)의 개방유로부(11)에 의해 확보된 유로에서 다수개의 결빙용기(51)가 적재되어 있는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축열조(1) 내부의 체류시간이 보다 연장된 브라인(53)과 다수개 결빙용기(51)와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ventional method is that the freezing
도 8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인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1)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상기 일측입출구(54)는 상기 축열조(1)의 우측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입출구(55)는 상기 축열조(1)의 좌측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프레임(20)은 축열조(1) 내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설치되게 구성시켜 브라인(53)의 축열조(1)내 체류시간을 보다 연장시킴으로써 다수개 결빙용기(51)와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개방유로부(11)의 면적은 축열조(1)의 크기, 결빙용기(51)의 크기에 따라 넓게또는 좁게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차단막(10)과 개방유로부(11)를 둘러 싼 프레임(14)이 축열조(1) 내부에 설치된 이후에 시험가동을 하여 적절한 개방유로부(11)의 면적을 파악하고, 적절한 개방유로부(11) 면적을 지닌 유로차단막(10)과 개방유로부(11)를 둘러 싼 프레임(14)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미 설치된 프레임(14)에서 유로차단막(10)이 롤러구조를 포함하여, 유로차단막(10)이 롤러로부터 풀려질 때에는 프레임(14)을 따라 연장되어 개방유로부(11)의 면적이 감소되고, 유로차단막(10)이 롤러로 감겨질 때에는 프레임(14)을 따라 단축되어 개방유로부(11)의 면적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개방유로부(11)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유로차단막(10)이 고정지지프레임(20)에 의해 축열조(1) 벽면에 체결된 경우에도, 시험가동 이후 개방유로부(11)가 적절한 면적을 가지도록 다른 크기를 가진 유로차단막(10)을 고정지지프레임(20)을 이용해 축열조(1) 벽면에 체결하여 재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로차단막(10)이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시험가동 후 유로차단막(10)을 롤러로부터 풀어 고정지지프레임(20)을 따라 연장시키거나, 유로차단막(10)을 롤러에 감아 고정지지프레임(20)을 따라 단축시켜 개방유로부(11)가 적절한 면적을 가지도록 조정하고, 유로차단막(10)을 고정지지프레임(20)에 의해 축열조(1) 벽면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area of the
유로차단막(10)이 2개가 설치될 경우에는 축열조(1) 하부에 제1결빙용기층(12)이 형성되고, 제1결빙용기층(12) 상부에 개방유로부(11)를 갖는 유로차단막(10)이 위치하며, 유로차단막(10) 상부에 제2결빙용기층(13)이 형성되고, 제2결빙용기층(13) 상부에 다시 개방유로부(11)를 갖는 유로차단막(10)이 위치하며, 유로차단막(10) 상부에 제3결빙용기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제1결빙용기층(12)과 제2결빙용기층(13) 사이의 개방유로부(11)와 제2결빙용기층(13)과 제3결빙용기층 사이의 개방유로부(11)는 최대한 멀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제1결빙용기층(12)과 제2결빙용기층(13) 사이의 개방유로부(11)가 축열조(1) 내부 좌측 벽면 쪽에 형성되면, 제2결빙용기층(13)과 제3결빙용기층 사이의 개방유로부(11)는 축열조(1) 내부 우측 벽면 쪽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인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1)가 n개(n〉2)의 유로차단막(10)을 포함하면, n+1개의 결빙용기층과 n개의 개방유로부(11)를 포함하고, 결빙용기층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개방유로부(11)들은 서로 최대한 먼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결빙용기층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개방유로부(11)들이 서로 최대한 먼 거리를 가짐으로써, 브라인(53)이 통과하는 유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브라인(53)의 축열조(1)내 체류시간을 보다 연장시킴으로써 다수개 결빙용기(51)와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freezing
브라인(53)이 축열조(1) 내부로 주입되는 일측입출구(54)는 축열조(1)의 최상측 개방유로부(11)의 위치와 최대한 멀게 축열조(1) 상단 일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축열조(1) 최상측 개방유로부(11)가 축열조(1) 내부 좌측 벽면 쪽에 형성되는 경우, 일측입출구(54)는 축열조(1) 내부 우측 벽면 쪽에 형성된다. 브라인(53)이 축열조(1) 외부로 배출되는 타측입출구(55)는 축열조(1)의 최하측 개방유로부(11)의 위치와 최대한 멀게 축열조(1) 하단 일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축열조(1) 최하측 개방유로부(11)가 축열조(1) 내부 우측 벽면 쪽에 형성되는 경우, 타측입출구(55)는 축열조(1) 내부 좌측 벽면 쪽에 형성된다. 일측입출구(54)와 타측입출구(55)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일측입출구(54)를 통해 축열조(1) 내부로 주입되어 타측입출구(55)를 통해 축열조(1) 외부로 배출되는 브라인(53)이 통과하는 유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브라인(53)의 축열조(1)내 체류시간을 보다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개 결빙용기(51)와의 열교환 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One
1 : 축열조
10 : 유로차단막 11 : 개방유로부
12 : 제1결빙용기층 13 : 제2결빙용기층
14 : 프레임
20 : 고정지지프레임
30 : 체결수단
40 : 고정수단
51 : 결빙용기 52 : 뚜껑
53 : 브라인 54 : 일측입출구
55 : 타측입출구 56 : 그레이팅1: heat storage tank
10: flow path barrier 11: open flow path portion
12: first freezing vessel layer 13: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14: frame
20: Fixed support frame
30: fastening means
40: Fixing means
51: ice making container 52: lid
53: brine 54: one side inlet / outlet
55: the other inlet / outlet 56: the grating
Claims (11)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가 위치되어 형성되는 제1결빙용기층;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갖는 유로차단막;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가 위치되어 형성되는 제2결빙용기층; 및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이 포함되어 브라인과 상기 결빙용기와의 열교환 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The upper end of the tank is formed with a lid which is sealed after being filled with a plurality of freezing containers. One side of the brine is provided with one side inlet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other side inlet and outlet, And a grating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located on the uppermost inner side is formed,
A first freezing vesse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storage tank;
A flow path blocking layer having a elasticity and being made of a fiber material located above the first freezing compartment layer and having an open flow path portion through which the brine flows at one side;
A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re positioned above the flow passage blocking film; And
And a grating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and the flow path blocking film provided above the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time between the brine and the freezing vessel, Wherein the heat storage tank has an oil passage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상기 유로차단막은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대응되는 상기 축열조 내부 면적보다 커서,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내측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걸쳐지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path blocking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except for the open channel portion and the other side surface except the open channel portion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cooling water.
상기 유로차단막과 상기 개방유로부는, 외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내측면과 밀착되는 프레임에 의해 둘러 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path blocking film and the open channel portion are surrounded by a frame whose out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hermal storage tank.
상기 유로차단막은 상기 축열조 내측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프레임에 의해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벽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path blocking film is fasten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by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except for the open flow path portion by a fixing support frame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by the fixing means. Heat storage tank.
상기 유로차단막의 상기 개방유로부는 상기 축열조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넓게 또는 좁게 가변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open channel portion of the flow path blocking film is formed to be wider or narrow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thermal storage tank.
상기 고정지지프레임은 파이프로, 상기 축열조의 크기에 따라 1/4 ∼ 3인치의 흑관을 사용하고 스크류 이음 또는 용접 이음으로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며 모서리부분은 스크류 타입 또는 용접 타입 엘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ed support frame is a pipe, and 1/4 to 3 inches of black tube is 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eat storage tank. It is assembled in the field by screw connection or welded joint, and a screw type or welding type elbow is used for the corner portion The heat storage tank of the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the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상기 유로차단막이 n개(n〉2) 이상인 경우, n+1개의 결빙용기층과 n개의 개방유로부가 포함되며, 상기 n개의 개방유로부는 인접한 개방유로부와의 위치가 최대한 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N + 1) of freezing container layers and n open flow path portions when the flow path shielding film is n (n > 2) or more, and the n open flow path portions are form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adjacent open flow path portions The heat storage tank of the ice storage heat cooling system having the flow path fo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상기 일측입출구는 상기 축열조의 일측상단부에 최상측 개방유로부의 위치와 최대한 멀게 형성되고, 상기 타측입출구는 상기 축열조의 일측하단부에 최하측 개방유로부의 위치와 최대한 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효율 증대를 위한 유로를 갖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ne side inlet and the outlet side are form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open channel part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heat storage tank and the other side inlet and outlet are form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position of the lowermost open channel part at one side lower end of the heat storage tank. Heat storage tank of an ice storage heat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a flow path for cooling water.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1결빙용기층 형성단계;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대응되는 상기 축열조 면적보다 커서, 상기 개방유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벽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걸쳐지며 밀착되면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유로차단막 형성단계;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2결빙용기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축냉 효율 증대방법.The upper end of the tank is formed with a lid which is sealed after being filled with a plurality of freezing containers. One side of the brine is provided with one side inlet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other side inlet and outlet, And a grating provided on an upper end of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ice making space,
A first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in the lower part of the thermal storage tank;
And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open channel part is larger tha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heat storage tank so that the other side surface excluding the open channel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Forming a barrier layer on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while the barrier lay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reezing vessel layer;
A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bove the flow passage blocking film; And
And a grating forming step provided above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eezing compartment layer,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and the flow path blocking film. Increasing method.
상기 축열조 하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1결빙용기층 형성단계;
프레임에 의해 둘러 쌓여져 있는 섬유재질이고 탄성을 갖는 차단막으로, 일측에 상기 브라인이 유통되는 개방유로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외부 측면이 상기 축열조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상부에 위치되는 유로차단막 형성단계;
상기 유로차단막 상부에 다수의 결빙용기를 위치시키는 제2결빙용기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제2결빙용기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빙용기층, 제2결빙용기층 및 유로차단막의 위치를 고정하는 그레이팅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냉각시스템의 축열조의 축냉 효율 증대방법.The upper end of the tank is formed with a lid which is sealed after being filled with a plurality of freezing containers. One side of the brine is provided with one side inlet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other side inlet and outlet, And a grating provided on an upper end of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ice making space,
A first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in the lower part of the thermal storage tank;
And an open channel portion through which the brine flow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tank, A flow path blocking film forming step of forming a flow path blocking film;
A second freezing vessel layer forming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freezing vessels above the flow passage blocking film; And
And a grating forming step provided above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eezing compartment layer, the second freezing compartment layer and the flow path blocking film. Increas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772A KR101593051B1 (en) | 2015-09-21 | 2015-09-21 | Storage Tank of the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flow path for increased efficiency of cold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772A KR101593051B1 (en) | 2015-09-21 | 2015-09-21 | Storage Tank of the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flow path for increased efficiency of cold stor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3051B1 true KR101593051B1 (en) | 2016-02-11 |
Family
ID=5535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2772A Active KR101593051B1 (en) | 2015-09-21 | 2015-09-21 | Storage Tank of the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flow path for increased efficiency of cold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30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7937A1 (en) * | 2020-03-20 | 2021-09-23 |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 Heat pump system and cooling/heating system using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0989A (en) * | 1999-05-12 | 2000-11-24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Heat accumulator |
KR100453747B1 (en) | 2002-01-15 | 2004-10-20 | (주)이앤이 시스템 | Ice storage tank of cooling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
JP2008015705A (en) * | 2006-06-08 | 2008-01-24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Vending machine |
KR20110091328A (en) * | 2010-02-05 | 2011-08-11 | (주) 좋은 이웃과 나눔 | Heat storage |
-
2015
- 2015-09-21 KR KR1020150132772A patent/KR1015930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0989A (en) * | 1999-05-12 | 2000-11-24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Heat accumulator |
KR100453747B1 (en) | 2002-01-15 | 2004-10-20 | (주)이앤이 시스템 | Ice storage tank of cooling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
JP2008015705A (en) * | 2006-06-08 | 2008-01-24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Vending machine |
KR20110091328A (en) * | 2010-02-05 | 2011-08-11 | (주) 좋은 이웃과 나눔 | Heat stora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7937A1 (en) * | 2020-03-20 | 2021-09-23 |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 Heat pump system and cooling/heating system u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35578B2 (en) | Storage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storing temperature-sensitive items | |
US9618253B2 (en) | Refrigeration apparatus | |
US11009298B2 (en) | Thermal energy storage apparatus | |
JP6211537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US11435146B2 (en) | Thermal energy storage apparatus | |
KR101365419B1 (en) | Refrigeration container for special vehicle | |
US9644882B2 (en) |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CN104081139A (en) | Cooling element and cooling device | |
JP2016507042A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EP2397799B1 (en) | Refrigerator | |
KR101371362B1 (en) | Multi-cooled method heat exchanger integrated phase change material cold storage tank. | |
JP2020145067A (en) | Cooling device for battery module | |
KR101593051B1 (en) | Storage Tank of the ice thermal storage cooling system having flow path for increased efficiency of cold storage | |
EP3117170B1 (en) | Heat exchanger for low temperatures | |
CN108088156A (en) | Defrost drain assembly and with its refrigerator | |
KR101216012B1 (en) | battery pack cooler using heat-pipes | |
FR2465963A1 (en) | Heat energy storage by phase transformation - forms ice blocks in heat recovery vessel during draw-off period | |
JP2010065889A (en) | Pedestal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4043987A (en) | Refrigerator | |
US10749222B2 (en) | Thermal battery with shut-off valve | |
CN111486631A (en) |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0234360Y1 (en) | Ice storage tank in use of thermal storage concept system | |
CN214688935U (en) | Cold storage device and cold chain conveyer | |
JP4572757B2 (en) | Vacuum heat insulation container and heat storage type warming device for automobile using vacuum heat insulation container | |
CN204177021U (en) | For refrigerator household freezer courage assembly and there is its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