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715B1 - Car Mat fixate device - Google Patents
Car Mat fixat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2715B1 KR101592715B1 KR1020140078931A KR20140078931A KR101592715B1 KR 101592715 B1 KR101592715 B1 KR 101592715B1 KR 1020140078931 A KR1020140078931 A KR 1020140078931A KR 20140078931 A KR20140078931 A KR 20140078931A KR 101592715 B1 KR101592715 B1 KR 101592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hook member
- hook
- mat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는 매트(보조 매트)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에 고정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매트를 고정하는 훅을 상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저면에는 한 쌍의 결합핀을 형성한 훅부재 및 상기 훅부재를 차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들이 끼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형성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훅부재를 장착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매트 고정구의 조립성 및 장착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 for a vehicle, which fixes a mat (auxiliary mats) provided on an indoor floor of a vehicle to a carpet installed on a vehicle body or a vehicle body, And a fixing member formed with a pair of engagement holes in which the hook member having the engagement pin formed therein and the engagement pins of the hook member are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hook member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 fastener for a vehicle, which is fastened to a fixing member to facilitate assembling and mounting of the mat fastener,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는 매트(보조 매트)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에 고정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워패널 상면에는 메인매트(main mat)가 고정형으로 깔려 있으며, 이러한 메인매트 위에 분리형 보조매트를 추가로 적용함으로써, 메인매트가 국부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막고 바닥면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main mat is fixed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a vehicle's floor panel, and a separate auxiliary mats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main mats. Thus, the main mats are prevented from being locally worn and easily cleaned So that it can be carried out.
상기한 보조매트는 차량의 실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고정구가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가 장착되는데,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prevent the auxiliary mats from flowing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a mat fixtur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or the car body. The conventional techniqu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등록특허 제10-01234765호(2013.02.13)에서는 카페트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탈착되게 결합 고정되되, 보조매트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는 카페트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부가 카페트를 관통되게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카페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부재의 상부에 결속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에 결속구가 돌출 형성되고, 이 결속구의 외측부에는 고정부재의 고정구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결속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개구가 형성되고, 이 절개구의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돌출구가 형성되며, 이 돌출구의 외측부에는 상단 외측부에 결속돌기가 형성된 탄성레버가 구비된 자동차의 보조매트용 후크장치를 제공하고,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01234765 (Feb. 23, 2013) discloses a carpet comprising a fixed portion fastened and fixed to a carpet, and a fastening portion fastened and fixed to the auxiliary mat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portion, And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rpet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holes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member.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openings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n elastic lev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outer side thereof,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10-0030281호(2010.03.18)에서는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차량의 보조매트에 마련된 링부와, 패널형의 몸체와,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몸체의 타측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암으로 이루어진 후크부로 구성되는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였다.In additio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30281 (Mar. 18, 2010), a ring portion provided on an auxiliary mat of a vehicl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 the center thereof, a panel-shaped body, And a hook portion formed of a protruding hook and a fixing arm protruding from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통상 모두 합성수지 사출물로 이루어져 상호 탄력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라 상호 결합부위에 마모가 발생함으로써 보조매트가 메인매트로부터 스스로 분리되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저해하고 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arts are generally made of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they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in a resilient manner, so that the auxiliary mats are separated from the main mats by themselves due to abrasion at mutual bonding portions according to use for a long period of time, .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크에 대한 결합부위의 치수를 타이트하게 설계할 경우에는 후크에 조립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후크로부터 분리시킬 때 이분 형성되어 있는 후크가 자체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 및 정비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hook to the hook when the dimension of the joining portion to the hook is designed to be tight. In addition, when the hook is separated from the hook, There was a problem that it fell.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성 및 장착이 용이하고,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 fastener for a vehicl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mount, and has compatibility applicable to all types of vehicle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는 매트를 고정하는 훅을 상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저면에는 한 쌍의 결합핀을 형성한 훅부재 및 상기 훅부재를 차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들이 끼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형성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A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member for upwardly protruding a hook for fixing a mat, a hook member having a pair of coupling pi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coupling pins of the hook member for fixing the hook member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ing member having a pair of coupling holes formed therein.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걸림턱를 형성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hook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홀에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연에서 연장 형성하여,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에 의해 하향으로 밀려 굽혀져 자체반발 탄성을 갖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의 자체반발 탄성에 의해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에 형성한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도록 상응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락부재를 포함한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resilient portion formed in the engaging hole of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xten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hole and bent downward by the engaging pin of the hook member fitted in the engaging hole, And a locking member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portion and formed with a corresponding second hook so as to be caught by the first hook formed on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by self-repulsion elasticity of the elastic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부의 배면에는 복수의 접힘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olding lines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는 상기 락부재의 배후에 구비하여, 상기 락부재에 탄성을 더 부과하는‘∧’형의 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at m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te spring provided behind the lock member and further applying an elasticity to the lock member.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는 상기 락부재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하여,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락부재를 후퇴시켜, 상기 결합핀을 결합홀에서 이탈하도록 하는 언락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n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ck member to retract the lock member by a selective operation to allow the engagement pin to be detached from the engagement ho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홀에는 그 주연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락부재의 배후에 위치하는 상기 리브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핀이 결합홀에 삽입될 시, 상기 락부재의 배후를 압박해 상기 락부재의 체결력을 더 부과하는 압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rib in the coupling hole formed downwardly along a periphery of the coupling hole; forming a rib on a side of the locking member; And a pressing piece for pressing the back of the locking member to further apply a fastening force of the lock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mat m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매트를 고정되는 훅부재와 상기 훅부재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된 카페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훅부재의 저면에는 결합핀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결합핀이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홀을 형성하여, 상기 훅부재를 장착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매트 고정구의 조립성 및 장착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First, it is constituted of a hook member to which a mat is fix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hook member to a car body or a carpet provided on a vehicle body, wherein an engagement pin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by being positioned at a portion to which the hook member is to be fastened, so that the ease of assembly and mounting of the mat fastening means is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둘째,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이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홀에 끼워지는 것으로, 체결되기에 차종이나,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의 두께에 상관없이 하나의 모델로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since the engagement pin of the hook member is fitted into the engagement hole of the fixing member, it is possible to realize compatibility with all kinds of vehicles with one model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or the thickness of the carpet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or the vehicle body .
셋째, 상기 결합홀의 내부에 끼워진 결합핀을 압박하는 락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서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락부재의 배후에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락부재의 압박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Third, a locking member for pressing the coupling pin inserted in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o prevent the coupling p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and a leaf spring is provided behind the locking member to increase the pressing force of the locking member .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훅부재 및 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훅부재 및 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훅부재 및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차량용 매트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고정부재의 락부재 배후에 압박편을 구비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고정부재의 락부재 배후에 판스프링을 구비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고정부재의 락부재에 언락돌기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ok member and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ok member and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vehicle mat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hook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 for a vehicle is fixed to a mat m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ing piece is provided behind a lock member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af spring is provided behind a lock member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ck member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훅부재 및 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훅부재 및 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따른 훅부재 및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차량용 매트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ook member and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 mat fixing memb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ok member and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 for a vehicle is fixed to a mat m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는 매트를 고정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BACKGROUN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매트 고정구는 훅부재(10)와, 고정부재(20)로 구성하는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훅부재(10)는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에 면접하도록 판 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훅부재(10)의 상면 중심에서 상향으로 매트를 고정하는 훅(11)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훅부재(10)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한 쌍의 결합핀(12)을 돌출 형성한다. 1 to 7, the
상기 훅부재(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을 통해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의 상면과 면접하게 되고, 상기 훅부재(10)의 저면에는 결합핀(12)들을 돌출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결합핀(12)들은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12)들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걸림턱(13)을 일률적으로 각각 형성한다.The
상기한 결합핀(12)들은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에 형성된 관통공(2)을 관통하여,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의 저면으로 돌출된다.The
또한 상기 훅부재(10)의 저면에는 요철부(14)를 형성하여, 상기 훅부재(10)가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의 상면과 면접할 시, 상기 요철부(14)에 의해 상기 훅부재(10)의 유동을 방지한다.A
이때 상기 요철부(14)의 기능이 배가 되도록, 상기 한 쌍의 결합핀(12) 사이에 요철부(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ncav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훅부재(10)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에 고정하도록,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의 저면에 면접하고, 상기 훅부재(10)와 체결되어, 상기 훅부재(10)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에 고정한다.2, the
상기 고정부재(20) 역시 판 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훅부재(10)의 결합핀(12)들이 끼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홀(21)을 형성한다.The
따라서 상기 훅부재(10)의 결합핀(12)이 상기 고정부재(20)의 결합홀(21)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훅부재(10)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1)에 고정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결합홀(21)들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홀(21)들의 주연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된 리브(2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21)들의 내부에는 각각 탄성부(23)와, 락부재(24)를 포함한다.At this time,
상기 탄성부(23)는 상기 결합홀(21)들의 내주연에서 상기 결합홀(21)의 내부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결합홀(21)에 끼워지는 상기 훅부재(10)의 결합핀(12)에 의해 하향으로 밀려 굽혀져 자체반발 탄성을 갖는다.The
또한 상기 탄성부(23)의 단부에는 락부재(24)를 형성하는데, 상기 락부재(24)는 상기 탄성부(23)의 자체반발 탄성에 의해 상기 훅부재(10)의 결합핀(12)을 압박하여, 상기 고정부재(20)의 결합홀(21)에 끼워져 체결된 상기 훅부재(10)의 결합핀(12)이 상기 결합홀(21)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단속한다.A
이러한 기능을 위해 상기 락부재(24)에는 상기 결합핀(12)에 형성한 상기 제1걸림턱(13)에 걸리도록 상응하는 제2걸림턱(25)을 형성한다.For this function, the
그리고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3)의 배면에는 복수의 접힘라인(26)을 형성하여, 한번 굽혀진 탄성부(23)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a plurality of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홀(21)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리브(22) 중 상기 락부재(24)의 배후에 위치하는 상기 리브(22)의 일측에 압박편(28)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핀(12)이 결합홀(21)에 삽입될 시, 상기 락부재(24)의 배후를 압박편(28)이 지지 압박해 상기 락부재(24)의 체결력을 더 증대한다. 5, a
더불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락부재(24)의 배후에는 ‘∧’형의 판스프링(30)을 구비하여, 상기 락부재(24)에 탄성을 더 부과하여, 상기 훅부재(10)의 결합핀(12)에 대한 상기 락부재(24)의 압박력을 증대한다.6, a
이때 상기 판스프링(30)이 그 위치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락부재(24)의 배 후에는 상기 판스프링(30)이 장착되는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더불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락부재(24)의 일측에는 언락돌기(27)를 형성하여, 상기 언락돌기(27)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락부재(24)를 후퇴시켜, 상기 결합핀(12)을 결합홀(21)에서 이탈하도록 해, 차량의 보수 및 부품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7, an unlocking
이때 상기 언락돌기(27)는 상기 락부재(24)의 일측에서 상기 결합홀(21)의 하방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nlock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카페트 2: 관통공
10: 훅부재 11: 훅
12: 결합핀 13: 제1걸림턱
14; 요철부 20: 고정부재
21: 결합홀 22: 리브
23: 탄성부 24: 락부재
25: 제2걸림턱 26: 접힘라인
27: 언락돌기 30: 판스프링 1: Carpet 2: Through-hole
10: hook member 11: hook
12: engaging pin 13: first engaging jaw
14; Concave / convex portion 20: fixing member
21: coupling hole 22: rib
23: elastic portion 24: locking member
25: second latching jaw 26: folding line
27: unlocking projection 30: leaf spring
Claims (7)
매트를 고정하는 훅을 상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저면에는 한 쌍의 결합핀을 형성한 훅부재;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들이 끼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형성하여, 상기 훅부재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되는 카페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홀에는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이 결합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단속하기 위하여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에 형성한 제1걸림턱에 걸리도록 제2걸림턱을 형성한 락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홀에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연에서 연장 형성하여,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에 의해 하향으로 밀려 굽혀져 자체반발 탄성을 가지며 단부에는 락부재가 형성되는 탄성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
In constructing a fixture for fixing a mat provided on an indoor floor of a vehicle,
A hook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ok for fixing the mat and forming a pair of engagement pins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hook member to the car bod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or the vehicle body by forming a pair of engagement holes into which the engagement pins of the hook member are fitted and fastened;
Lt; / RTI >
And a locking member having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engage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so as to interlock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to prevent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upling hole, And,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fixing member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upling hole and to be bent downward by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inserted in the coupling hole to have self- Wherein the vehicle is a vehicle.
상기 훅부재의 결합핀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걸림턱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in of the hook member
And a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탄성부의 배면에는
복수의 접힘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body.
상기 락부재의 배후에 구비하여, 상기 락부재에 탄성을 더 부과하는‘∧’형의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ate spring disposed behind the lock member and further applying a resilience to the lock member.
상기 락부재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하여,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락부재를 후퇴시켜, 상기 결합핀을 결합홀에서 이탈하도록 하는 언락돌기를 더 포함하는 매트 고정훅.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unlocking projection projecting from one side of the lock member to retract the lock member by a selective operation so that the engaging pin is released from the engaging hole.
상기 결합홀에는
그 주연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락부재의 배후에 위치하는 상기 리브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핀이 결합홀에 삽입될 시, 상기 락부재의 배후를 압박해 상기 락부재의 체결력을 더 부과하는 압박편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고정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hole
A rib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ck member is formed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rib located behind the lock member so that when the engaging pi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iece that further applies a fastening force of the lock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931A KR101592715B1 (en) | 2014-06-26 | 2014-06-26 | Car Mat fixat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931A KR101592715B1 (en) | 2014-06-26 | 2014-06-26 | Car Mat fixat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779A KR20160001779A (en) | 2016-01-07 |
KR101592715B1 true KR101592715B1 (en) | 2016-02-19 |
Family
ID=5516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8931A Active KR101592715B1 (en) | 2014-06-26 | 2014-06-26 | Car Mat fixat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27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09357B (en) * | 2018-01-19 | 2024-01-30 | 嘉兴市捷豪清洁用品有限公司 | Foot pad hook |
KR102239684B1 (en) * | 2019-12-09 | 2021-04-14 | 동진이공(주) | Fixing device for car ma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7393B1 (en) * | 2012-10-31 | 2014-02-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Fixing device of auxiliary mat automobi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5445B1 (en) * | 2010-08-05 | 2012-03-2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for fixing carmat of vehicle |
-
2014
- 2014-06-26 KR KR1020140078931A patent/KR1015927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7393B1 (en) * | 2012-10-31 | 2014-02-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Fixing device of auxiliary mat automob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779A (en) | 2016-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149714U (en) | Magnet fastener and ceiling inside lining subassembly | |
KR101447637B1 (en) | Clip for fixing mat on cappet of vehicle | |
JP2015203480A (en) | clip | |
KR101447634B1 (en) | Clip for fixing mat on cappet of vehicle | |
KR101592715B1 (en) | Car Mat fixate device | |
RU180276U1 (en) | CAR DOOR SAFETY INSERT | |
KR101582895B1 (en) | Fixture for vehicle | |
KR101608198B1 (en) | Car Mats fixtures | |
KR20150074344A (en) | Fastener for vehicle | |
KR102529461B1 (en) | Carpet and car mat fixing device for vehicl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
KR200472150Y1 (en) | An air vent knob for a vehicle | |
CN102072232A (en) | Fastener and connect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 |
US8622596B2 (en) | Automotive interior lamp | |
KR20130107111A (en) | A mat hook for a vehicle | |
JP6153306B2 (en) | Eyelet | |
KR20150011431A (en) | Fixing clip for automotive interior parts | |
KR101759513B1 (en) | Coupling unit | |
KR101477924B1 (en) | Fixing device of auxiliary mat automobile | |
CN113840754A (en) | Fixing device for fixing a covering skirt on a rear light housing of a motor vehicle and assembly method by means of said device | |
CN107725554B (en) | The outer layer fixed mechanism of analytical equipment | |
JP6587082B2 (en) | Fastening unit and bicycle tire | |
JP2004268731A (en) | Mat fixture, floor mat for automobile and its fixing structure | |
KR200482535Y1 (en) | Tether holder fixing structure for vehicles | |
KR200460425Y1 (en) | Interior member mounting hook for automobile | |
CN210027224U (en) | Fixed structures, vehicle trunks and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6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