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1261B1 -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261B1
KR101591261B1 KR1020140117919A KR20140117919A KR101591261B1 KR 101591261 B1 KR101591261 B1 KR 101591261B1 KR 1020140117919 A KR1020140117919 A KR 1020140117919A KR 20140117919 A KR20140117919 A KR 20140117919A KR 101591261 B1 KR101591261 B1 KR 10159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mixing
mixed
discharged
grai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춘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다양한 곡물(S1/S2/S3)이 투입될 수 있고, 타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혼합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토출될 수 있는 곡물혼합조(131); 및 상기 곡물혼합조(131)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만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 될 수 있는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완벽하게 혼합할 수는 없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혼합날개 끊김부가 다수개 형성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가 내주면에 구비되는 곡물혼합조를 활용함으로써, 쌀 또는 어떠한 종류이건 불문하고 다양한 곡물을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극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AUTOMATIC EQUIPMENT OF MIXING/PACKING VARIETY GRAI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완벽하게 혼합할 수는 없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곡물의 혼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곡물혼합조의 내주면에 나선형곡물혼합날개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특히 곡물혼합조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상기 나선형곡물혼합날개의 일정 위치에 다수개의 곡물혼합날개 끊김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곡물혼합조가 회동되는 동안, 규칙적인 혼합과정 이외에도 더불어서 불규칙한 혼합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쌀 또는 어떠한 종류이건 불문하고 다양한 곡물을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등 멥쌀 및 찹쌀을 제외한 모든 작물을 일컫는 말인 잡곡은, 과거 단순한 끼니 대용 구황작물에서 현재 웰빙-먹거리로써 다양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작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한국인이 섭취하는 탄수화물 식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백미 밥의 경우 잡곡밥보다 혈당지수가 높고, 백미의 도정 과정에서 필수영양소인 비타민, 무기질 및 섬유질이 손실되지만, 잡곡과 섞게 되면 각종 필수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들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고, 혈당지수가 낮아, 당뇨병 및 여러 성인병과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질환을 위한 식이요법으로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들어, 건강과 웰빙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더욱더 늘어감에 따라, 기존의 단순 백미 또는 현미 위주의 식단에서 탈피하여, 흑미, 수수, 율무, 콩 등의 잡곡을 백미와 함께 섭취하여, 균형있는 영양 섭취를 꾀하기 위한 혼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현재 섭취되고 있는 잡곡밥은 가정과 기업, 병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본 발명에서도 단순 도정미 뿐만 아니라 혼합된 잡곡미를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현재, 혼합곡은 대부분 계량, 혼합, 포장까지 모두 수작업으로 생산되어 생산 자금과 인력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는 단일 품종의 포장, 계량은 가능하나, 잡곡의 혼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계적 장치나 기술력이 부족하여, 잡곡 생산에 돌입할 경우, 역시 수작업에만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에서의 관련기술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포장용 혼합곡 제조 회사로는 푸르메, 푸른곳간, 현대농산, 에버라이스, 풀빛마을 등 대략 10개 미만으로 파악되며, 대부분 대형 마트나 온라인 마켓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또한, 찹쌀, 서리태, 적두, 차조, 찰수수, 찰흑미, 찹쌀, 이랑현미, 이랑검정찰현미, 할맥, 찰보리, 검정콩, 팥 등의 잡곡이, 보통 5곡 정도부터 최대 24곡까지 혼합되고 있다.
이로인해, 수작업에 따른 생산 효율의 저하는 곧 가격 경쟁력 저하를 야기하여, 결국 판매 부진으로까지 이어지므로, 잡곡 혼합의 자동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29104호(2006년09월21일 등록)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쌀 또는 어떠한 종류이건 불문하고 다양한 곡물을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곡 혼합미의 혼합을 하나의 설비로써 끝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다양한 곡물(S1/S2/S3)이 투입될 수 있고, 타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혼합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토출될 수 있는 곡물혼합조(131); 및 상기 곡물혼합조(131)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만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 될 수 있는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는, 상기 곡물혼합조(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곡물혼합조 구동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곡물혼합조(131)는, 내주면 벽면에 장착되는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 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는 다수개의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가 구비되어 있어, 곡물혼합조(1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규칙적인 혼합과정 이외에도 더불어서 불규칙한 혼합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는, 제1 저장조(111)/제2 저장조(112)/제3 저장조(113)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이 토출되어, 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는 단계(S110); 곡물혼합조 구동수단(160)의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S120); 상기 곡물혼합조(131)가 회동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 내주면에 구비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 의하여 투입된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이 혼합되는 단계(S130); 상기 곡물혼합조(131)가 회동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 내주면에 구비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 형성되어 있는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에 의하여 투입된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이 불규칙하게 혼합되는 단계(S140); 불규칙하게 혼합된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의 혼합곡물이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토출되는 단계(S150); 및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토출되는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의 상기 혼합곡물이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에 가이드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완벽하게 혼합할 수는 없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곡물혼합날개 끊김부가 다수개 형성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가 내주면에 구비되는 곡물혼합조를 활용함으로써, 쌀 또는 어떠한 종류이건 불문하고 다양한 곡물을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극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혼합조를 구비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와 이를 활용하는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에 구비된 혼합곡물투입구를 통하여, 다양한 곡물이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작업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에 내주면에 구비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에 형성된 곡물혼합날개 끊김부에 의하여, 불규칙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작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에 구비된 혼합곡물토출구로부터 혼합된 곡물이 투하되는 것을 나타낸 작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혼합조를 구비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와 이를 활용하는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를 구비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와 편의상 이를 활용하는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성은 오로지 곡물혼합조를 구비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에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곡물혼합조를 구비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인 곡물저장부(110), 곡물계량부(140), 그리고 곡물포장부(150)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를 이루는 구성요소일 뿐, 이들 곡물저장부(110), 곡물계량부(140), 그리고 곡물포장부(150)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님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를 구비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100)를 포함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는, 하단부에 혼합량제어기(121 ~ 121n)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저장조(111 ~ 111n)로 구성되는 곡물저장부(110)와 상기 곡물저장부(110)에서 공급되는 다양한 곡물(S1/S2/S3 ~ Sn)들이 곡물혼합조(131)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후, 곡물계량부(140)에서 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되고, 곡물포장부(150)에서 포장처리되어, 비로소 출하될 수 있게 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곡물혼합조(131)의 내주면에는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가 장착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는 다수개의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가 형성되어 있어서, 규칙적인 혼합과정 이외에도 더불어서 불규칙한 혼합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쌀 또는 어떠한 종류이건 불문하고 다양한 곡물을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를 구성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곡물혼합조(1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다양한 곡물(S1/S2/S3)이 투입될 수 있고, 타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혼합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토출될 수 있는 곡물혼합조(131); 및 곡물혼합조(131)의 내주면에는 장착되는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를 포함하며,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는 다수개의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가 구비되어 있어, 곡물혼합조(1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규칙적인 혼합과정 이외에도 더불어서 불규칙한 혼합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곡물혼합조(131)는 외부로부터 관통되는 구동축(161)이 용접부(W)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곡물혼합조(131)는 구동축(161)을 통하여 연결되는 곡물혼합조 구동수단(160)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곡물혼합조(131) 내측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혼합된다.
또한, 상기 곡물혼합조 구동수단(160)은 편의상 구동축(161)에 직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체인-스프라킷방식 또는 기어-기어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은, 하측방향에 제1 혼합량제어기(121)가 장착되는 제1 저장조(111)로부터 일정한 양만큼씩 토출되는 제1 곡물(S1); 하측방향에 제2 혼합량제어기(122)가 장착되는 제2 저장조(112)로부터 일정한 양만큼씩 토출되는 제2 곡물(S2); 및 하측방향에 제3 혼합량제어기(123)가 장착되는 제3 저장조(113)로부터 일정한 양만큼씩 토출되는 제3 곡물(S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는, 하측방향에 제1 혼합량제어기(121)가 장착되어 일정한 양만큼씩 제1 곡물(S1)이 토출되는 제1 저장조(111), 하측방향에 제2 혼합량제어기(122)가 장착되어 일정한 양만큼씩 제2 곡물(S2)이 토출되는 제2 저장조(112), 그리고 하측방향에 제3 혼합량제어기(123)가 장착되어 일정한 양만큼씩 제3 곡물(S3)이 토출되는 제3 저장조(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곡물저장부(110);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상기 곡물저장부(110)로부터 다양한 곡물(S1/S2/S3)이 투입될 수 있고, 타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혼합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토출될 수 있는 곡물혼합조(131); 상기 곡물혼합조(131)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만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될 수 있는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 상기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에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되는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담겨져서 일시 보관되는 곡물계량조(142)와 상기 곡물계량조(142)에 담겨져 있는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의 중량이 일정한 값이 되도록 계량하는 곡물계량기(141)를 포함하는 곡물계량부(140); 상기 곡물계량부(140)에서 계량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순차적으로 포장되기 위하여 각각 담겨지는 다수개의 곡물포장재(P1/P2/P3)가 적재된 상태에서 각가 포장될 수 있는 곡물포장기(151)와 상기 곡물포장기(151)에서 포장된 다수개의 상기 곡물포장재(P1/P2/P3)가 출하를 위하여 이송되는 포장곡물이송기(152)를 포함하는 곡물포장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혼합량제어기(121/122/123)는, 상기 각 저장조(111/112/ 113)로부터 연장되는 각 저장조유로(111a/112a/113a)의 유로개폐율을 변경시켜, 각 저장조유로(111a/112a/113a)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일정한 양만큼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조(111/112/113)는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은 점차적으로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호퍼(hopper) 타입으로 형성되어서, 내측에 담겨지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용이하게 하측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저장조(111/112/113)의 하방에는 각각 저장조유로(111a/112a/ 113a)가 연장구비되고, 상기 저장조유로(111a/112a/113a)에는 각각 혼합량제어기( 121/122/123)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각 저장조(111/112/113)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의 토출량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총 3가지의 곡류 중 세 가지를 임의 선택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는 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다양한 곡물(S1/S2/S3)은 12곡물/24곡물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에 구비된 혼합곡물투입구를 통하여, 다양한 곡물이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작업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에 내주면에 구비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에 형성된 곡물혼합날개 끊김부에 의하여, 불규칙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작업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131)는, 일측에는 투입구개폐도어(132a)로써 개폐가능한 혼합곡물투입구(1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토출구개폐도어(134a)로써 개폐가능한 혼합곡물토출구(1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상기 곡물혼합조(131) 내측에는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를 더 포함하며,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는 다수개의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가 구비되어 있어, 곡물혼합조(1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규칙적인 혼합과정 이외에도 더불어서 불규칙한 혼합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곡물혼합조에 구비된 혼합곡물토출구로부터 혼합된 곡물이 투하되는 것을 나타낸 작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곡물혼합조(131) 하방에는 곡물혼합조(131)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만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 될 수 있는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는, 곡물혼합조(131)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곡물혼합조(131)의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토출되는 혼합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다른 방향으로 튀어져 나가지 않고, 다만 곡물계량조(142)를 향하여 한 방향으로만 가이드 되다가, 하측면에 형성된 안착가이드부재 토출공(135a)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 하방에는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에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되는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담겨져서 일시 보관되는 곡물계량조(142)와 상기 곡물계량조(142)에 담겨져 있는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의 중량이 일정한 값이 되도록 계량하는 곡물계량기(141)를 포함하는 곡물계량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곡물혼합조(1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에 가이드 된 다음, 곡물계량조(142)를 향하여 토출되어 담겨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100)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출하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에 따른 포장단위에 따라, 상기 곡물계량조(142)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양만큼의 다양한 곡물(S1/S2/S3)이 혼합된 상태로 담겨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100)는, 제1 저장조(111)/제2 저장조(112)/제3 저장조(113)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이 토출되어, 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는 단계(S110); 곡물혼합조 구동수단(160)의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S120); 상기 곡물혼합조(131)가 회동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 내주면에 구비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 의하여 투입된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이 혼합되는 단계(S130); 상기 곡물혼합조(131)가 회동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 내주면에 구비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 형성되어 있는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에 의하여 투입된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이 불규칙하게 혼합되는 단계(S140); 불규칙하게 혼합된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의 혼합곡물이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토출되는 단계(S150); 및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토출되는 제1 곡물(S1)/제2 곡물(S2)/제3 곡물(S3)의 상기 혼합곡물이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에 가이드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완벽하게 혼합할 수는 없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가 다수개 형성된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가 내주면에 구비되는 곡물혼합조(131)를 활용함으로써, 쌀 또는 어떠한 종류이건 불문하고 다양한 곡물을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극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곡물과 쌀 등의 적정 혼합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를 전체적으로 완전 자동설비로서 구성시킴으로써, 쌀 다곡 혼합제품의 우수성으로 국내시장 점유율을 획기적으로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국내 쌀시장의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110 : 곡물저장부 111 : 제1 저장조
111a : 제1 저장조유로 112 : 제2 저장조
112a : 제2 저장조유로 113 : 제3 저장조
113a : 제3 저장조유로 120 : 혼합량제어부
121 : 제1 혼합량제어기 122 : 제2 혼합량제어기
123 : 제3 혼합량제어기 130 : 곡물혼합부
131 : 곡물혼합조 132 : 혼합곡물투입구
132a : 투입구개폐도어 133 : 나선형곡물혼합날개
133a : 곡물혼합날개 끊김부 134 : 혼합곡물토출구
134a : 토출구개폐도어
135 :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
135a : 안착가이드부재 토출공
140 : 곡물계량부 141 : 곡물계량기
142 : 곡물계량조 150 : 곡물포장부
151 : 곡물포장기 152 : 포장곡물이송기
160 : 곡물혼합조 구동수단 161 : 구동축
P1 : 제1 곡물포장재 P2 : 제2 곡물포장재
P3 : 제3 곡물포장재 S1 : 제1 곡물
S2 : 제2 곡물 S3 : 제3 곡물
W : 용접부

Claims (4)

  1.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투입구(13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다양한 곡물(S1/S2/S3)이 투입될 수 있고, 타측에 구비되는 혼합곡물토출구(134)를 통하여 혼합된 다양한 상기 곡물(S1/S2/S3)이 토출될 수 있는 곡물혼합조(131);
    상기 곡물혼합조(131)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혼합곡물토출구(134)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만 가이드됨과 동시에 토출 될 수 있는 토출혼합곡물 안착가이드부재(135);
    상기 곡물혼합조(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곡물혼합조 구동수단(160);
    상기 곡물(S1/S2/S3)을 각각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조(111, 112, 113); 및
    상기 저장조(111, 112, 113)의 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일정한 양만큼씩 상기 곡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혼합량제어기(121, 122, 123);
    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혼합조(131)는, 내주면 벽면에 장착되는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곡물혼합날개(133)에는 다수개의 곡물혼합날개 끊김부(133a)가 구비되어 있어, 곡물혼합조(1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곡물혼합조(131)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곡물(S1/S2/S3)이 규칙적인 혼합과정 이외에도 더불어서 불규칙한 혼합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곡물의 혼합을 위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17919A 2014-09-04 2014-09-04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Active KR10159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19A KR101591261B1 (ko) 2014-09-04 2014-09-04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19A KR101591261B1 (ko) 2014-09-04 2014-09-04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261B1 true KR101591261B1 (ko) 2016-02-03

Family

ID=5535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919A Active KR101591261B1 (ko) 2014-09-04 2014-09-04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263A (zh) * 2021-11-11 2022-02-08 臻味之(烟台)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饮料酶解装置
CN116573431A (zh) * 2023-05-23 2023-08-11 吉林大学 一种翻粮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380A (ja) * 1995-02-28 1996-09-10 Sugiyama Juko Kk 回転円筒容器型連続混合機
JP2000126575A (ja) * 1998-10-20 2000-05-09 Mizutani Seisakusho:Kk 粉粒体の混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380A (ja) * 1995-02-28 1996-09-10 Sugiyama Juko Kk 回転円筒容器型連続混合機
JP2000126575A (ja) * 1998-10-20 2000-05-09 Mizutani Seisakusho:Kk 粉粒体の混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263A (zh) * 2021-11-11 2022-02-08 臻味之(烟台)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饮料酶解装置
CN114011263B (zh) * 2021-11-11 2023-12-22 广州广氏食品有限公司 一种饮料酶解装置
CN116573431A (zh) * 2023-05-23 2023-08-11 吉林大学 一种翻粮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43585U (zh) 一种自动制作及贩卖饮料设备
CN106659995A (zh) 用于制备反刍家畜的饲料混合物的静态装置
KR101591261B1 (ko) 다양한 곡물의 혼합과 포장을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운용방법
CN114655515B (zh) 一种用于食品包装的装载系统及其装载方法
KR20140137918A (ko) 포장밥의 정량투입장치
CN206252428U (zh) 定量装置及烹饪器具
CN101564101A (zh) 一种公鸡饲料的配制方法
CN201002725Y (zh) 多物料自动配料混料包装机
CN207328864U (zh) 多物料组合称重包装机
US20070199741A1 (en) Combined Weighing Apparatus
CN105124198A (zh) 一种鳗用饲料及其加工工艺
KR101150746B1 (ko) 효과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 가축용 배합사료의 저장 및 발효장치
CN206730914U (zh) 一种原料混合装置
CN204323722U (zh) 一种调味料自动定量配料系统
CN107211728A (zh) 菌包生产线
IE60685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imal feed
CN207838979U (zh) 定量加料式甲醛清除剂反应釜
CN214853526U (zh) 一种生猪流食自动饲喂装置
CN212698612U (zh) 自动拌饭生产线
CN210206688U (zh) 一种米通食品加工系统
KR101978244B1 (ko) 곡물 포장기용 혼합곡물 공급기
CN214106524U (zh) 一种青椒混合机
CN212741370U (zh) 一种用于饲料资源化的饲料发酵生产装置
CN101998830A (zh) 用于制造溶液的计量混合设备以及方法
CN203789046U (zh) 螺旋式发酵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