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0735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735B1
KR101590735B1 KR1020147001651A KR20147001651A KR101590735B1 KR 101590735 B1 KR101590735 B1 KR 101590735B1 KR 1020147001651 A KR1020147001651 A KR 1020147001651A KR 20147001651 A KR20147001651 A KR 20147001651A KR 101590735 B1 KR101590735 B1 KR 101590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rrier
terminal
channels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341A (ko
Inventor
존 마크 메이어
헐리 체스터 몰
제임스 올리버 크로퍼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1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7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01R13/504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different pieces being assembled by press-f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정합가능한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포함하는 하우징(102)을 구비한다. 캐리어는 단자 채널들(142) 및 단자 채널들 내로 연장되는 단자 래치들(144)을 구비한다. 쉴드는 쉴드 면을 통하는 리드인 채널들(180)을 구비한다. 단자들은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된다. 단자들은 단자 래치들에 의해 단자 채널 내에서 유지된다. 캐리어와 쉴드는 캐리어와 쉴드를 연결하는 플래싱(120)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된다. 플래싱은 쉴드를 캐리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조립 동안 파손된다. 리드인 채널들은, 쉴드가 어너(earner)와 정합되면 단자 채널들과 정렬되며 단자 채널들의 앞에 위치한다. 리드인 채널들은 단자 채널들 내에 유지되고 있는 단자들과의 정합을 위한 정합 컨택트들을 유도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자를 유지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있어서, 장치를 활용하여 단자들을 제 위치에 잠그고 단자들이 전기 커넥터 내에 적절히 위치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단자들을 커넥터로부터 다시 분리되게 할 수도 있는 진동과 기타 힘을 전기 커넥터들이 겪게 되는 자동차 분야 등의 혹독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현재, 일부 전기 커넥터들에는, 단자들을 수용하도록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캐비티들을 갖는 하우징이 설치된다. 캐비티들에는, 캐비티들 내에 삽입되는 단자들을 잠그도록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탄성 잠금 래치들이 설치된다. 단자들을 단자 캐비티들 내에 고정하는 래치와 기타 복잡한 특징부를 하우징 내에 성형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들은 통상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하우징이나 쉘로부터 제조된다. 조립을 위해서는, 하우징 부품들을 픽업하고, 이들을 정렬하여 함께 정합해야 한다. 문제점은 이러한 조립이 노동 집약적이며 시간 소모적이라는 점이다. 또한, 양측 부품들은 통상적으로 별도의 몰드에서 성형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을 위한 제조 시간이 두 배로 된다.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용 효율적이며 신뢰성 있게 제조 및 조립될 수 있는 단자들을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정합가능한 캐리어와 쉴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캐리어는 단자 채널들 및 단자 채널들 내로 연장되는 단자 래치들을 구비한다. 쉴드는 쉴드의 면을 통하는 리드인 채널(Lead-in channel)들을 구비한다. 단자들은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된다. 단자들은 단자 래치들에 의해 단자 채널들 내에서 유지된다. 캐리어와 쉴드는 캐리어와 쉴드를 연결하는 브리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된다. 브리지는 쉴드를 캐리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조립 동안 파손된다. 리드인 채널들은, 쉴드가 캐리어와 정합되면 단자 채널들과 정렬되며, 단자 채널들의 앞에 위치한다. 리드인 채널들은 단자 채널들 내에서 유지되고 있는 단자들과의 정합을 위한 정합 컨택트들을 유도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상부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하부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하우징 내에 단자가 로딩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이 미조립 상태에 있는 단면도.
도 7은 캐리어의 고정 특징부의 확대도.
도 8은 쉴드에 결합된 캐리어를 도시하는 하우징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단자 래치를 도시하는 도
도 11은 래칭 위치에 있는 단자 래치를 도시하는 도.
도 1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의 상부 정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하우징의 상부 배면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하우징의 단면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도 1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배면 사시도.
도 1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배면 사시도.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100)는, 하우징(102)을 형성하도록 캐리어(104) 및 캐리어(104)에 정합가능한 쉴드(106)를 구비하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100)는, 자동차 시스템 내에서의 전기적 컨덕터들 또는 광섬유 컨덕터들의 상호 연결에 관련된 자동차 시스템 등의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0)는 강건하고 저가이며 컴팩트한 설계를 나타낸다. 또한, 전기 커넥터(100)의 구성과 배치는, 간략화된 설계 및 제조 공정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품질과 신뢰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회전율을 높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캐리어(104)는, 정합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단자(108)(도 5에 도시함)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쉴드(106)는 단자들(108) 중 일부를 둘러싼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쉴드(106)는, 전기 커넥터(100)를 정합 커넥터에 정합하는 동안 정합 단자들이 대응하는 단자들(108)과 체결하도록 정합 단자들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하우징 래치(110)는 전기 커넥터(100)를 정합 커넥터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래치(110)는 캐리어(104)로부터 연장된다. 대안으로, 하우징 래치(110)는 쉴드(106)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하우징(102)은, 전기 커넥터(100)를 정합 커넥터에 정합하는 동안 정합 커넥터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100)를 정렬시키는 데 사용되는 정렬 특징부들(112)을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정렬 특징부들(112)은 키잉 특징부(keying features)들을 구성할 수 있고, 여기서 전기 커넥터(100)는, 정렬 특징부들(112)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배향으로 정합 커넥터와 정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정렬 특징부(112)는 하우징(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편 두 개의 정렬 특징부(112)는 하우징(102)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정렬 특징부들(112)은 캐리어(104) 및/또는 쉴드(10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정렬 특징부들(112)은 캐리어(104) 및/또는 쉴드(106)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하우징(102)의 상부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102)의 하부 배면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이 제조될 때, 캐리어(104)와 쉴드(106)는,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연결하는 브리지(120)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된다. 브리지(120)는 성형 동작 동안 발생하는 플래싱(Flashing)일 수 있다. 브리지(120)는,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분리하기 위한 치수(예를 들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분리를 위해 파손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성형 후 어느 순간에, 브리지(120)가 파손되어 캐리어(104)가 쉴드(106)로부터 분리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쉴드(106)가 캐리어(104)와 정합하도록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에 의해 캐리어(104)는, 화살표 A 방향과 같은 로딩 방향으로 쉴드(106) 내에 직접 가압될 수 있다.
캐리어(104)를 쉴드(106) 내에 로딩하는 동안 브리지(120)가 파손된다. 브리지(120)는, 캐리어(104) 및/또는 쉴드(106)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파손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의 제조 후에, 캐리어(104)와 쉴드(106)는, 브리지(120)를 파손하고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향후 조립을 위해 별도의 통에 둠으로써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동일한 몰드를 사용하여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동시에 공동 성형함으로써, 하우징(102)의 부피를 더욱 크게 제조할 수 있다.
캐리어(104)는 유전 재료로 제조된다. 캐리어(104)는, 정면(130), 배면(132), 내측 단부(134), 외측 단부(136), 및 대향하는 측면들(138, 140)을 포함한다. 캐리어(104)는 정면(130)과 배면(132)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142)을 갖는다. 단자 채널들(142)은 (도 5에 도시한) 대응하는 단자들(108)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104)는 단자 채널들(142) 내로 연장되는 단자 래치들(144)을 갖는다. 단자 래치들(144)은, 대응하는 단자들(108)과 체결하여 단자들(108)을 단자 채널들(142)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104)는 캐리어(104)와 쉴드(106)의 정합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유도 특징부들(146)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유도 특징부들(146)은 쉴드(106)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더브테일(dovetail)이다. 선택 사항으로, 더브테일은 유도 특징부들(146)의 양 단부에서 사다리꼴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의 특징부일 수도 있다. 더브테일은 유도 특징부들(146)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만큼 연장될 수 있다.
캐리어(104)는, 쉴드(106)와 체결하여 캐리어(104)를 쉴드(106)에 단단히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 특징부들(14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148)은 측면들(138, 14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캐치들을 구성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148)은 유도 특징부들(146)로부터 연장된다. 고정 특징부들(148)은 대체 실시예들에서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쉴드(106)는 유전 재료로 제조된다. 쉴드(106)는, 정면(150), 배면(152), 내측 단부(154), 외측 단부(156), 및 대향 측면들(158, 160)을 포함한다. 쉴드(106)는 정면(150)과 배면(152) 사이에서 연장되는 캐비티(162)를 갖는다. 캐비티(162)는 캐리어(104)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쉴드(106)는 캐리어(104)와 쉴드(106)의 정합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유도 특징부들(166)을 포함한다. 유도 특징부들(166)은 유도 특징부들(146)과 상호 작용하여 캐리어(104)와 쉴드(106)의 정합을 유도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유도 특징부들(166)은 캐리어(104)의 유도 특징부들(146)을 수용하는 더브테일 채널들이다. 더브테일 채널들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의 채널들일 수 있다. 더브테일 채널들의 형상은 더브테일의 형상을 보완한다.
쉴드(106)는, 쉴드(106)와 체결하여 캐리어(104)를 쉴드(106)에 단단히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 특징부들(16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168)은, 캐리어(104)를 쉴드(106)에 고정하도록 캐리어(104)의 캐치들과 체결하는 레지(ledge)들을 갖는 빔들을 구성한다. 윈도우는 캐리어(104)의 캐치들을 수용하는 레지들 위에 설치된다. 고정 특징부들(168)은 대체 실시예들에서 다른 형상이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고정 특징부들(168)은 대체 실시예들에서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내측 단부들(134, 154)은 서로 대면한다. 조립 동안, 캐리어(104)의 내측 단부(134)는 쉴드(106)의 캐비티(162) 내로 가압된다. 선택 사항으로,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시, 내측 단부들(134, 154)은 서로 대략 평면을 이룬다. 브리지(120)는 내측 단부들(134, 154)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성형 공정 동안, 브리지(120)는 내측 단부들(134, 154) 사이에서 연장된다. 캐리어(104)는, 외측 단부(136)가 하우징(102)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쉴드(106)는, 외측 단부(156)가 하우징(102)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브리지(120)는 캐리어(104)의 측면들(138, 140)과 쉴드(106)의 대응하는 각 측면들(158, 160)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측면(138)은 브리지(120)에 의해 측면(158)에 연결되고, 측면(140)은 브리지(120)에 의해 측면(160)에 연결된다. 브리지(120)는 임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브리지(120)는 측면들(138, 140, 158, 160)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브리지(120)는 유도 특징부들(146)과 유도 특징부들(166) 사이에서 연장된다. 브리지(120)는 대체 실시예들에서 다른 곳에 있을 수도 있다.
하우징(102)은, 단자 채널들(142) 내에 단자들(108)을 고정하기 위한 백업 잠금 특징부로서 사용되는 2차 잠금부(17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2차 잠금부(170)는 쉴드(106)로부터 연장된다. 2차 래치(170)는 쉴드(106)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2차 래치(170)는 쉴드(106)에 힌지 결합되거나 쉴드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2차 잠금부(17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개방 위치에서, 단자들(108)은 단자 채널들(14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단자 채널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2차 잠금부(170)는 단자들(108)이 단자 채널들(142)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 사항으로, 2차 잠금부(170)는 단자 위치 보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단자들(108)이 조립 동안 단자 채널들(142) 내에 완전히 로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들(108) 중 하나가 완전히 로딩되지 않으면, 2차 잠금부(170)가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어서, 이러한 단자(108)가 대응하는 단자 채널(142) 내에 완전하게 로딩되지 않았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하우징(102)의 단면도이다. 하우징(102)은 캐리어(104)와 쉴드(106)가 정합을 위해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2)은,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함께 간단하게 가압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104)와 쉴드(106) 사이의 브리지(120)(도 6 참조)를 파손함으로써 캐리어(104)와 쉴드(106)가 조립될 수 있도록 쉴드(106)가 캐리어(104)에 대하여 정렬 위치에서 유지되는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도 4는 개방 위치에 있는 2차 잠금부(170)를 도시한다. 2차 잠금부(170)는 자신의 원단부에서 단차들(172, 174)을 갖는다. 쉴드(106)의 외측 단부(156)는 2차 잠금부(170)의 원단부를 지지하는 레지(176)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2차 잠금부(170)는 다수의 위치에서 레지(176)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레지(176)가 단차(174) 내에 수용되면, 2차 잠금부(170)는 중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단차(172)가 레지(176)와 체결하면, 2차 잠금부(170)는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중간 위치에서, (도 5에 도시한) 단자들(108)은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142) 내에 로딩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단자들(108)은 단자 채널들(142) 내에 로딩되지 않으며 단자 채널들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조립 동안, 2차 잠금부(170)는, 단자들(108) 모두가 단자 채널들(142) 내에 로딩될 때까지 중간 위치에서 유지된다. 일단 모든 단자들(108)이 단자 채널들(142) 내에 위치하면, 2차 잠금부(170)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쉴드(106)는 정면(150)에서 리드인 채널들(180)을 포함한다. 리드인 채널들(180)은 정합 컨택트들을 하우징(102) 내로 유도하도록 기능을 한다. 리드인 채널들(180)은 정합 컨택트들을 하우징(102) 내로 유도하는 챔퍼 면들(chamfered surface; 102)을 포함한다.
쉴드(106)는, 리드인 채널들(180)과 정렬되며 리드인 채널들의 내측에 있는 크레이들(cradle; 184)을 포함한다. 크레이들(184)은 단자들(10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크레이들(184)은 리드인 채널들(180)에 대하여 단자들(108)을 제 위치에서 유지한다. 크레이들(184)은, 상벽들(186), 하벽들(188), 및 측벽들(190)에 의해 형성된다(도 4에서는 하나의 측벽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단자(108)가 하우징(102) 내에 로딩된 전기 커넥터(100)의 단면도이다. 하우징(102)의 조립 동안, 캐리어(104)와 쉴드(106)는 함께 가압된다.
단자들(108)은 정합 단부(200)와 케이블 종단부(202)를 포함한다. 정합 단부(200)는 정합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종단부(202)는 케이블(204)의 일단부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단자(108)는 케이블(204)에 크림핑(crimp)된다. 단자(108)는, 대체 실시예들에서, 절연 변위 연결, 솔더링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케이블(204)에 종단될 수 있다.
정합 단부(200)는 정합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206)을 포함한다. 소켓(206)은 정면(208)과 배면(210) 사이에서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소켓(206)은 박스 형상일 수도 있다. 소켓(206)은 단자(108)를 스탬핑하여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단자(108)는 소켓(206) 내로 연장되는 스프링 암(212)을 포함한다. 스프링 암(212)은 스프링 암(212)의 원단부에 근접해 있는 정합 인터페이스(214)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범프(Bump; 216)는 스프링 암(212)의 대략 반대측의 단자(108)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범프(216)는 정합 인터페이스(214) 및 스프링 암(212)과 대략 정렬된 정합 인터페이스(218)를 포함한다. 정합 단자는, 소켓(206) 내에 로딩되어 정합 인터페이스들(214, 218)과 체결하여 단자(108)를 정합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자(108)는 단자(108)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정면 연장부(220)와 배면 연장부(222)를 포함한다. 단자 래치 캐비티(224)는 정면 연장부(220)와 배면 연장부(222) 사이에서 형성된다. 단자 래치 캐비티(224)는, 단자(108)를 단자 채널(142) 내에 고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단자 래치(14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단자(108)는 배면 연장부(222)가 아니라 정면 연장부(22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자(108)는 캐리어(104)의 배면(132)을 통해 단자 채널(142) 내로 로딩된다. 단자(108)는, 단자(108)의 정합 단부(200)가 크레이들(184) 내에 수용될 때까지 하우징(102) 내로 로딩된다. 정합 단부(200)는, 상벽(186), 하벽(188), 및 측벽들(190)과 체결하여 하우징(102) 내에서의 단자(108)의 부동량(amount of float)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크레이들(184)은 단자(108)의 측 이동뿐만 아니라 단자(108)의 상하 이동도 제한하거나 금지한다. 정합 단부(200)를 크레이들(184)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개구부가 소켓(206)에 대하여 리드인 채널(180)과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정합 단부(200)의 위치를 쉴드(106)의 크레이들(184)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리드인 채널들(180)을 갖는 부품(예를 들어, 쉴드(106))에 의해 단자(108)가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단자들(108)을 유지하는 부품인 캐리어(104)와는 대조적으로 쉴드(106)에 의해 정합 단부(200)가 제어되기 때문에, 쉴드(106)와 캐리어(104)의 오정렬 또는 오조립으로 인한 허용오차 문제가 완화된다.
단자 래치(144)는 단자 채널(142) 내외부로의 단자(108)의 순방향과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단자 래치(144)는 정면 연장부(220) 뒤의 단자 래치 캐비티(22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단자 래치(144)의 잠금면(226)은 단자(108)와 체결하여, 단자가 단자 채널(142)로부터 벗어나 역방향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단자 래치(144)는 단자(108)를 단자 채널(142) 내에 유지하기 위한 1차 잠금 특징부로서 기능을 한다. 폐쇄 위치에 있는 2차 잠금부(170)는, 단자(108)의 배면(210) 뒤에 위치하여 배면과 체결하여, 단자(108)가 단자 채널(142)로부터 벗어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선택 사항으로, 2차 잠금부(170)의 원단부는 배면 연장부(222)와 체결하여, 단자(108)가 단자 채널(142)을 벗어나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미조립 상태에 있는 하우징(102)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브리지(120)에 의해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연결함으로써 캐리어(104)와 쉴드(106)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도시한다. 브리지(120)는 내측 단부들(134, 154)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정 특징부들(148)은 측면들(138, 140)로부터 연장된다. 고정 특징부들(168)은 측면들(158, 160)에 설치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캐리어(104)의 내측부는, 캐리어(104)의 내측부가 캐비티(162)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쉴드(106)의 내측부보다 좁다. 측면들(158, 160)은 적어도 내측 단부(134)에서 측면들(138, 14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특징부들(148) 중 하나가 도 7에 더욱 상세히 예시되어 있다.
도 7은 캐리어(104)의 고정 특징부(148)의 확대도이다. 고정 특징부(148)는 위로 향하는 캐치(Catch; 24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캐치(240)는 측면(138)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캐치(240)는 위로 향하는 오목 래칭면(242)을 갖는다. 래칭면(242)은, 측면(13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측 래칭면(244)과 외측 래칭면(244)의 내측에 있는 내측 래칭면(246)에 의해 형성된다. 래칭면(242)은 측면(138)에 대하여 경사진 내측 래칭면(246) 및 내측 래칭면(246)에 대하여 경사진 외측 래칭면(244)과의 복합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래칭면(242)이 대략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내측 래칭면(246)은 아래로 경사지는 한편 외측 래칭면(244)은 위로 경사진다. 래칭면(242)은 내측 및 외측 래칭면들(246, 244)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다른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내측 래칭면(246)은 내측 및 외측 단부들(134, 136)에 평행한 면 P에 대하여 예각(248)으로 경사진다. 외측 래칭면(244)은 내측 단부(134)와 외측 단부(136)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예각(250)으로 경사진다.
도 8은 캐리어(104)가 쉴드(106)에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102)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고정 특징부(148)는 캐리어(104)를 쉴드(106)에 결합하도록 고정 특징부(168)와 체결한다. 고정 특징부(168)는 래칭면(242)과 측면(138) 사이의 영역 내에 캡처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외측 래칭면(244)은 내측 래칭면(246)에 대하여 역 경사지기 때문에, 외측 래칭면(244)이 고정 특징부(168)와 체결하면, 캐리어(104)가 외측 래칭면(244)에 의해 쉴드(106) 내부로 더욱 구동된다. 고정 특징부(148)는 쉴드(106)에 의해 지지되도록 캐리어(104)를 유지한다. 고정 특징부(148)는 캐리어(104)와 쉴드(106) 사이의 임의의 슬롭(slop)을 차지한다.
도 9는 하우징(102)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유도 특징부(146)와 유도 특징부(166)가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유도 특징부(146)는 더브테일을 구성한다. 유도 특징부(166)는 유도 특징부(146)를 수용하는 더브테일 개구부를 구성한다. 더브테일 개구부는 유도 특징부(146)가 유도 특징부(166)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에 저항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단자 래치(144)를 도시한다. 단자 래치(144)는 고정 단부(260)와 자유 단부(262)를 포함한다. 고정 단부(260)는 캐리어(104)의 몸체로부터 연장된다. 단자 래치(144)는 캐리어(104)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래치(144)는 캐리어(104)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자유 단부(262)까지 연장된다. 자유 단부(262)에서, 단자 래치(144)는 대략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는 잠금면(226)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262)에서, 단자 래치(144)는 잠금면(226)에 대하여 경사진 해제면(264)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면(264)은, 추출 툴에 의해 체결되어 단자 래치(144)를 기동시켜 단자 래치(144)를 단자(108)(도 5에 도시함)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추출 툴은 리드인 채널(180)(도 2에 도시함)에 인접하는 추출 윈도우(266)(도 2에 도시함)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추출 윈도우(266)는 단자 래치(144)를 단자 래치 캐비티(224)로부터 추출하도록 해제면(264)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단자(108)를 단자 캐비티(142)(도 3에 도시함)로부터 해제한다.
도 11은 단자(108)에 대하여 래칭된 위치에 있는 단자 래치(144)를 도시한다. 단자 래치(144)는 정면 연장부(220)와 배면 연장부(222) 사이의 단자 래치 캐비티(224) 내에 수용된다. 잠금면(226)은 정면 연장부(220)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정면 연장부(220)는 소켓(206)의 양측들 사이에서 단자(108)를 가로질러 대략 중간으로 연장된다. 이처럼, 추출 툴이 정면 연장부(22O)를 넘어 해제면(264)과 체결하여 단자 래치(144)를 단자(108)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해제면(264)을 노출시키도록 간격을 제공한다. 해제되면, 단자 래치(144)는 잠금면(226)이 정면 연장부(220)를 벗어날 때까지 단자(108)로부터 편향되거나 휘어진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유형의 래치를 사용하여 단자(108)를 하우징(102)(도 1에 도시함) 내에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30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300)는 전기 커넥터(100)와 유사하다. 전기 커넥터(300)는, 하우징(302)을 형성하도록 캐리어(304)(도 13에 도시함)와 캐리어(304)에 정합가능한 쉴드(306)를 구비하는 하우징(302)을 포함한다.
캐리어(304)는, 정합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과 정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단자(308)(도 16에 도시함)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단자들(308)은 단자들(108)(도 5에 도시함)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쉴드(306)는 단자들(308) 중 일부를 둘러싼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쉴드(306)는, 전기 커넥터(300)를 정합 커넥터와 정합하는 동안 정합 단자들을 대응하는 단자들(308)과 체결하기 위한 정합 단자들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하우징 래치(310)는 전기 커넥터(300)를 정합 커넥터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래치(310)는 쉴드(306)로부터 연장된다.
하우징(302)은, 전기 커넥터(300)를 정합 커넥터와 정합하는 동안 정합 커넥터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0)를 정렬하는 데 사용되는 정렬 특징부들(312)을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정렬 특징부들(312)은 키잉 특징부들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전기 커넥터(300)는 정렬 특징부들(312)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배향으로 정합 커넥터와 정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정렬 특징부(312)가 상부 근처에서 하우칭(302)의 일측(one side)에 설치되고, 하나의 정렬 특징부(312)가 하부 근처에서 하우징(302)의 타측(opposite side)에 설치된다.
도 13은 하우징(302)의 상부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하우징(302)의 상부 배면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02)을 제조할 때, 캐리어(304)와 쉴드(306)는 캐리어(304)와 쉴드(306)를 연결하는 브리지(320)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성형 후 어느 순간에, 브리지(320)는 캐리어(304)를 쉴드(306)로부터 분리하도록 파손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02)은, 쉴드(306)가 캐리어(304)와의 정합을 위해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에 의해 캐리어(304)가 화살표 B의 방향과 같은 로딩 방향으로 쉴드(306) 내로 직접 가압될 수 있다.
브리지(320)는 캐리어(304)를 쉴드(306) 내로 로딩하는 동안 파손된다. 브리지(320)는 캐리어(304) 및/또는 쉴드(306)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파손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하우징(302)의 제조 후에, 캐리어(304)와 쉴드(306)는, 브리지(320)를 파손하고 캐리어(304)와 쉴드(306)를 향후 조립을 위해 별도의 통에 둠으로써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동일한 몰드를 사용하여 캐리어(304)와 쉴드(306)를 동시에 공동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하우징(302)의 부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캐리어(304)는 유전 재료로 제조된다. 캐리어(304)는 정면(330), 배면(332), 내측 단부(334), 외측 단부(336), 및 대향 측면들(338, 340)을 포함한다. 캐리어(304)는 정면(330)과 배면(332)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342)을 갖는다. 단자 채널들(342)은 대응하는 단자들(308)(도 16에 도시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304)는 단자 채널들(342) 내로 연장되는 단자 래치들(344)을 갖는다. 단자 래치들(344)은 대응하는 단자들(308)과 체결하여 단자들(308)을 단자 채널들(342)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304)는, 캐리어(304)와 쉴드(306)의 정합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유도 특징부들(346)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유도 특징부들(346)은 쉴드(306)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더브테일이다.
캐리어(304)는, 쉴드(306)와 체결하여 캐리어(304)를 쉴드(306)에 단단히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 특징부들(348, 349)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348)은 측면들(338, 340)에서 포켓들을 구성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349)은 캐리어(30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탭들 또는 돌출부들을 구성한다.
쉴드(306)는 유전 재료로 제조된다. 쉴드(306)는 정면(350), 배면(352), 내측 단부(354), 외측 단부(356), 및 대향 측면들(358, 360)을 포함한다. 쉴드(306)는 정면(350)과 배면(352) 사이에서 연장되는 캐비티(362)를 갖는다. 캐비티(362)는 캐리어(304)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쉴드(306)는, 캐리어(304)와 쉴드(306)의 정합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유도 특징부들(366)을 갖는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유도 특징부들(366)은 캐리어(304)의 유도 특징부들(346)을 수용하는 더브테일 채널들이다.
쉴드(306)는, 쉴드(306)와 체결하여 캐리어(304)를 쉴드(306)에 단단히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 특징부들(36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368)은, 고정 특징부들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캐비티(362) 내로 연장되는 캐치들을 구성한다. 캐치들은 캐리어(304)의 포켓들 내에 수용되어 캐리어(304)를 쉴드(306)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단부들(334, 354)은 서로 대면한다. 조립 동안, 캐리어(304)의 내측 단부(334)는 쉴드(306)의 캐비티(362) 내로 가압된다. 선택 사항으로, 일체형으로서 제조될 때, 내측 단부들(334, 354)은 서로 대략 평면을 이룬다. 브리지(320)는 내측 단부들(334, 354)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성형 공정 동안, 브리지(320)는 내측 단부들(334, 354) 사이에서 연장된다. 캐리어(304)는 외측 단부(336)가 하우징(302)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쉴드(306)는 외측 단부(356)가 하우징(302)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브리지(320)는 캐리어(304)의 측면들(338, 340)과 쉴드(306)의 각각 대응하는 측면들(358, 360)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측면(338)은 브리지(320)에 의해 측면(358)에 연결되고, 측면(340)은 브리지(320)에 의해 측면(360)에 연결된다. 브리지(320)는 임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브리지(320)는 측면들(338, 340, 358, 360)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브리지(320)는 유도 특징부들(346)과 유도 특징부들(366) 사이에서 연장된다. 브리지(320)는 대체 실시예들에서 다른 곳에 있을 수도 있다.
하우징(302)은, 단자들(308)을 단자 채널들(342) 내에 고정하기 위한 백업 잠금 특징부로서 사용되는 2차 잠금부(37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2차 잠금부(370)는 캐리어(304)로부터 연장된다. 2차 잠금부(370)는 캐리어(30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2차 잠금부(370)는 캐리어(304)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2차 잠금부(37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개방 위치에서, 단자들(308)은 단자 채널들(34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단자 채널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2차 잠금부(370)는 단자들(308)이 단자 채널들(342)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차단한다. 선택 사항으로, 2차 잠금부(370)는 조립 동안 단자들(308)이 단자 채널들(342) 내에 완전히 로딩되는 것을 보장하는 단자 위치 보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들(308) 중 하나가 완전히 로딩되지 않으면, 2차 잠금부(370)는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어서, 이러한 단자(308)가 대응하는 단자 채널(342) 내에 완전히 로딩되지 않았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하우징(302)의 단면도이다. 하우징(302)은 캐리어(304)와 쉴드(306)가 정합을 위해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2)은 캐리어(304)에 대하여 정렬된 위치에서 유지되는 쉴드(306)와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때, 캐리어(304)와 쉴드(306)는, 캐리어(304)와 쉴드(306)를 함께 간단히 가압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304)와 쉴드(306) 사이의 브리지(320)를 파손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도 16은 단자(308)가 하우징(302) 내에 로딩된 전기 커넥터(300)의 단면도이다. 하우징(302)의 조립 동안, 캐리어(304)와 쉴드(306)는 함께 가압된다. 도 16은, 단자들(308)을 단자 채널들(342) 내에 잠그는, 폐쇄 위치에 있는 2차 잠금부(370)를 도시한다.
쉴드(306)는 정면(350)에서 리드인 채널들(380)을 포함한다. 리드인 채널들(380)은 정합 컨택트들을 하우징(302) 내로 유도하도록 기능을 한다. 리드인 채널들(380)은 정합 컨택트들을 하우징(302) 내로 유도하는 챔퍼 면들(382)을 포함한다.
쉴드(306)는, 리드인 채널들(380)과 정렬되고 리드인 채널들의 내측에 있는 크레이들(384)을 포함한다. 크레이들(384)은 단자들(30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크레이들(384)은 단자들(308)을 리드인 채널들(380)에 대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한다. 크레이들(384)은 상벽들(386), 하벽들(388), 및 측벽들(390)에 의해 형성된다(도 16에서는 하나의 측벽만이 도시되어 있다).
단자들(308)은 정합 단부(392)와 케이블 종단부(394)를 포함한다. 정합 단부(392)는 정합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종단부(394)는 케이블(396)의 일단부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단자(308)는 캐리어(304)의 배면(332)을 통해 단자 채널(342) 내에 로딩된다. 단자(308)는, 단자(308)의 정합 단부(392)가 크레이들(384) 내에 수용될 때까지 하우징(302) 내에 로딩된다. 정합 단부(392)는 상벽(386), 하벽(388), 및 측벽들(390)과 체결하여 하우징(302) 내에서의 단자(308)의 부유량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크레이들(384)은 단자(308)의 측 이동뿐만 아니라 단자(308)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거나 금지한다. 정합 단부(392)가 크레이들(384)에 의해 유지되게 함으로써, 소켓에 대한 개구부가 리드인 채널(380)과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정합 단부(392)의 위치를 쉴드(306)의 크레이들(384)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리드인 채널들(380)을 갖는 부품(예를 들어, 쉴드(306))에 의해 단자(308)가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단자들(308)을 유지하는 부품인 캐리어(304)와는 대조적으로 쉴드(306)에 의해 정합 단부(392)가 제어되기 때문에, 쉴드(306)와 캐리어(304)의 오정렬 또는 오조립으로 인한 허용오차 문제가 완화된다.
단자 래치(344)는 단자 채널(342) 내외부로 단자(308)의 순방향과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된다. 단자 래치(344)는 단자(308)를 단자 채널(342) 내에 유지하기 위한 1차 잠금 특징부로서 기능을 한다. 폐쇄 위치에 있는 2차 잠금부(370)는, 단자(308)의 배면 뒤에 위치하며, 이러한 배면과 체결하여, 단자(308)가 단자 채널(342)로부터 벗어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17과 도 18은 각각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40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400)는 전기 커넥터들(100, 300)과 유사하다. 전기 커넥터(400)는 하우징(402)을 형성하도록 캐리어(404)와 캐리어(404)에 정합가능한 쉴드(406)를 구비하는 하우징(402)을 포함한다. 캐리어(404)는, 캐리어(404)를 쉴드(406)로부터 분리하도록 파손가능한 브리지에 의해 쉴드(406)에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400)가 전기 커넥터(300)보다 단자 채널들을 덜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기 커넥터(300)와 다르다. 전기 커넥터(400)는 전기 커넥터(300)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조되고 조립된다.
도 19와 도 20은 각각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50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500)는 하우징(502)을 형성하도록 캐리어(504)와 캐리어(504)에 정합가능한 쉴드(506)를 구비하는 하우징(502)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500)가 전기 커넥터(300)보다 단자 채널들(542)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기 커넥터(300)와 다르다. 전기 커넥터(500)는 단자 채널들(542)의 두 줄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캐리어(504) 상의 2차 잠금부(570) 및 쉴드(506) 상의 2차 잠금부(571)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500)는 전기 커넥터(300)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조되지만, 캐리어(504)는 단자 래치들(544)의 두 줄 또는 세트를 포함하고, 쉴드(506)는 리드인 채널들(580)의 두 줄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500)는 전기 커넥터(300)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립되며, 캐리어(504)가 쉴드(506) 내로 가압되면 캐리어(504)와 쉴드(506) 사이의 브리지가 파손된다. 쉴드(506)는 전기 커넥터(500)를 정합 커넥터에 정합하는 동안 정합 단자들을 캐리어(504)에 의해 유지되는 대응하는 단자들과 체결하도록 정합 단자들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위 설명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다는 접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및/또는 그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수정을 행하여 특정 상황이나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에 맞출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치수, 재료의 유형, 배향,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위치는 일부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규정하려는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으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실시예들과 변형 예들은 위 설명을 고려해 볼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청구범위의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포함"(including) 및 "에서"(in which) 등의 용어들은 각각 "포함"(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 등의 용어들의 균등한 알기 쉬운 용어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며, 그 대상에 대하여 수치 한정을 가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의 한정 사항들은, 이러한 청구범위의 한정사항들이 추가 구조 없이 기능 표현이 뒤따르는 "을 위한 수단"이라는 구를 명백하게 사용하지 않는 한, 수단 플러스 기능의 형식으로 기재되지 않았으며 미국 특허법(35 U.S.C. ξ112, sixth paragraph; 한정에 대한 확인)에 기초하여 해석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전기 커넥터(100)로서,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정합가능한 캐리어(104)와 쉴드(106)를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102)으로서, 상기 캐리어는 단자 채널들(142) 및 상기 단자 채널들 내로 연장되는 단자 래치들(144)을 구비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쉴드의 면을 통하는 리드인(lead-in) 채널들(180)을 구비하는 것인, 하우징과,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 래치들에 의해 상기 단자 채널들 내에서 유지되는 단자들(108)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와 상기 쉴드는 상기 캐리어와 상기 쉴드를 연결하는 플래싱(120)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되고, 상기 플래싱은 상기 쉴드를 상기 캐리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조립 동안 파손되고, 상기 리드인 채널들은, 상기 쉴드가 상기 캐리어와 정합되면 상기 단자 채널들과 정렬되고 상기 단자 채널들의 앞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인 채널들은 상기 단자 채널들 내에서 유지되고 있는 상기 단자들과 정합하기 위한 정합 컨택트들을 유도하며,
    상기 플래싱은, 상기 단자 채널들의 외측에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4)와 상기 쉴드(106)는, 상기 쉴드가 상기 캐리어와 정합하도록 정렬되어 성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기 쉴드 내로 로딩 방향으로 직접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래싱(120)은 상기 캐리어를 상기 쉴드 내로 로딩하는 동안 파손되는, 전기 커넥터(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4)는 유도 특징부(146)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106)는, 상기 캐리어의 유도 특징부와 정렬되며 상기 캐리어의 유도 특징부와 체결하여 상기 쉴드와 상기 캐리어의 정합을 유도하는 유도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싱(120)은 상기 쉴드의 유도 특징부와 상기 캐리어의 유도 특징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4)는 정면(130), 배면(132), 내측 단부(134), 외측 단부(136), 및 대향하는 측면들(138, 140)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106)는 정면(150), 배면(152), 내측 단부(154), 외측 단부(156), 및 대향하는 측면들(158, 160)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와 상기 쉴드의 내측 단부들은 서로 대면하고, 상기 플래싱(120)은 상기 캐리어와 상기 쉴드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4)는 정면(130), 배면(132), 내측 단부(134), 외측 단부(136), 및 대향하는 측면들(138, 140)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정면(150), 배면(152), 내측 단부(154), 외측 단부(156), 및 대향하는 측면들(158, 160)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의 외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02)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쉴드의 외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플래싱(120)은 상기 내측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쉴드에 정합되면 상기 캐리어의 내측 단부가 상기 쉴드 내로 가압되는, 전기 커넥터(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106)는, 상기 리드인 채널들(180)과 정렬되며 상기 리드인 채널들의 내측에 있는 크레이들(cradle; 184)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단자들을 상기 리드인 채널들과 정렬시키도록 대응하는 단자들(108)의 정합 단부들(200)을 수용하는, 전기 커넥터(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106)는 정면(150), 배면(152), 내측 단부(154), 외측 단부(156), 및 대향하는 측면들(158, 160)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리드인 채널들(180)과 정렬되며 상기 리드인 채널들의 내측에 있는 크레이들(184)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단자들이 상기 쉴드의 외측 단부, 내측 단부, 대향하는 측면들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상기 단자들(108)과 체결하는 크레이들 벽들(186, 188)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4)는 고정 특징부(148)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고정 특징부(168)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특징부들 중 하나는 레지(ledge; 17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특징부들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레지와 체결하는 캐치(24O)를 포함하고, 상기 캐치는 오목 래칭면을 갖는, 전기 커넥터(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4)는 고정 특징부(148)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106)는 고정 특징부(168)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특징부들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10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측 래칭면(244)과 상기 외측 래칭면(248)의 내측에 있는 내측 래칭면(246)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 래칭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래칭면은 상기 외측 래칭면에 대하여 경사진, 전기 커넥터(100).
KR1020147001651A 2011-07-22 2012-09-24 전기 커넥터 Active KR101590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89,234 US8430689B2 (en) 2011-07-22 2011-07-22 Electrical connector
PCT/US2012/056875 WO2013016739A1 (en) 2011-07-22 2012-09-24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341A KR20140117341A (ko) 2014-10-07
KR101590735B1 true KR101590735B1 (ko) 2016-02-01

Family

ID=466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651A Active KR101590735B1 (ko) 2011-07-22 2012-09-2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0689B2 (ko)
EP (1) EP2735060B1 (ko)
JP (1) JP5967844B2 (ko)
KR (1) KR101590735B1 (ko)
CN (1) CN103828134B (ko)
WO (2) WO2013016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4200A (zh) * 2013-11-13 2015-05-20 湖北卫东化工股份有限公司 数码电子雷管起爆网络接线装置
US9142904B2 (en) 2014-01-14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102014213659B4 (de) * 2014-07-14 2020-03-1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Gehäuseteil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US9484660B2 (en) 2014-11-13 2016-11-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647378B1 (en) * 2016-05-10 2017-05-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905953B1 (en) 2016-09-30 2018-02-27 Slobodan Pavlovic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MX2020008873A (es) 2018-02-26 2021-01-08 Royal Prec Products Llc Conector electrico accionado por resorte para aplicaciones con potencia alta.
DE112019002878T5 (de) 2018-06-07 2021-05-06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interner federkomponente
CN119108838A (zh) 2019-01-15 2024-12-10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带有内部弹簧部件的屏蔽电连接器系统
DE112020000459T5 (de) 2019-01-21 2021-11-25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Stromverteilungsanordnung mit schraubenlosem sammelschienensystem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WO2021050499A1 (en) 2019-09-09 2021-03-18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Connector recording system with readable and recordable indicia
JP2023536817A (ja) 2020-07-29 2023-08-30 イートン インテリジェント パワー リミテッド 円筒形端子本体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058A (en) 1976-01-02 1978-05-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block
WO1996034429A1 (en) 1995-04-26 1996-10-31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S.A. Electric connector
EP0778636A1 (en) 1995-12-07 1997-06-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means
US5791943A (en) 1995-11-22 1998-08-11 The Siemon Company Reduced crosstalk modular outlet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0762A (en) * 1984-10-16 1986-11-04 Amp Incorporated Electronic key assemblies
US4602838A (en) * 1984-10-16 1986-07-29 Amp Incorporated Electronic key assemblies
US4648665A (en) * 1984-10-16 1987-03-10 Amp Incorporated Electronic key assemblies
US4602833A (en) * 1984-12-20 1986-07-29 Amp Incorporated Closed loop connector
US4890199A (en) * 1988-11-04 1989-12-26 Motorola, Inc. Miniature shield with opposing cantilever spring fingers
US4979913A (en) 1989-10-26 1990-12-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nged secondary lock
US5175928A (en) * 1990-06-11 1993-01-05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US5118310A (en) * 1991-03-06 1992-06-02 Panduit Corp. Central latch modular telephone connector
US5241453A (en) * 1991-11-18 1993-08-31 The Whitaker Corporation EMI shielding device
JP2595736Y2 (ja) * 1993-11-15 1999-06-02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US5561267A (en) 1993-11-30 1996-10-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rimp termin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414402B2 (ja) * 1994-01-25 2003-06-09 ザ ウイ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ンタクト
JPH1079272A (ja) * 1996-09-03 1998-03-24 Yazaki Corp 多段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組立方法
DE19727314B4 (de) 1997-06-27 2012-0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rimpverbindung
US5919063A (en) * 1997-09-17 1999-07-06 Berg Technology, Inc. Three row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with ground shield
US6358091B1 (en) * 1998-01-15 2002-03-19 The Siemon Company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having multi-pair modularity
US6338652B1 (en) * 1999-07-09 2002-01-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cable connector with grounding means
US6848943B2 (en) * 2002-04-16 2005-02-01 Pulse Engineering, Inc. Shield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6638110B1 (en) * 2002-05-22 2003-10-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7039417B2 (en) * 2003-09-25 2006-05-02 Lenovo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access point data rate degradation
US7074056B2 (en) * 2002-06-14 2006-07-1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ve boot for a connector
US6726489B2 (en) * 2002-06-14 2004-04-2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Protective housing for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CN100379089C (zh) * 2002-06-21 2008-04-02 莫莱克斯公司 具有模块化结构的高密度阻抗调谐连接器
US6739904B2 (en) * 2002-10-04 2004-05-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US6955565B2 (en) * 2002-12-30 2005-10-18 Molex Incorporated Cable connector with shielded termination area
EP1531523B1 (en) * 2003-11-13 2017-03-0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Lead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2005339850A (ja) 2004-05-25 2005-12-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線ケーブル用端子の防水構造
FR2875957A1 (fr) 2004-09-29 2006-03-31 Fci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lements de connecteur et connecteur le comprenant
DE202005018318U1 (de) * 2005-10-28 2007-03-1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Flachkabel und Kontaktelement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JP4820270B2 (ja) * 2005-11-22 2011-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70570B1 (en) * 2006-08-31 2007-09-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acked connector assembly
CN101192723B (zh) * 2006-11-24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26836B2 (ja) * 2007-06-05 2012-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23622A (ja) 2007-11-16 2009-06-04 Yazaki Corp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US8002583B2 (en) * 2008-03-14 2011-08-23 Fci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and latching features
US8105110B2 (en) * 2008-07-08 2012-01-31 Fci Cage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cage
US7762840B2 (en) * 2008-10-13 2010-07-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having an elevated upper electrical connector
JP2011023275A (ja) * 2009-07-17 2011-02-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857667B1 (en) * 2009-11-19 2010-12-2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pring assembly with spring members biasing and capacitively coupling jack contacts
DE102010041451B4 (de) * 2010-09-27 2021-06-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gehäuse für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e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konfektionierte elektrische Leitung
JP5602617B2 (ja) * 2010-12-28 2014-10-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058A (en) 1976-01-02 1978-05-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block
WO1996034429A1 (en) 1995-04-26 1996-10-31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S.A. Electric connector
US5791943A (en) 1995-11-22 1998-08-11 The Siemon Company Reduced crosstalk modular outlet
EP0778636A1 (en) 1995-12-07 1997-06-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0689B2 (en) 2013-04-30
CN103828134B (zh) 2016-05-25
CN103828134A (zh) 2014-05-28
JP5967844B2 (ja) 2016-08-10
EP2735060A1 (en) 2014-05-28
KR20140117341A (ko) 2014-10-07
WO2013016151A1 (en) 2013-01-31
WO2013016739A1 (en) 2013-01-31
EP2735060B1 (en) 2016-03-30
US20130023153A1 (en) 2013-01-24
JP2015508214A (ja) 2015-03-16
WO2013016739A8 (en)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735B1 (ko) 전기 커넥터
CN102437457B (zh) 连接器
CN108511984B (zh) 电连接器组件
CN111418117B (zh) 具有端子位置保证构件的电连接器
EP2218145B1 (en) Multi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CN104364973B (zh) 电连接器
US9666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568948B2 (en) Connector
EP2472678B1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US20090247011A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locking features
US6616481B2 (en) Connector
CN109616829B (zh) 连接器
EP3151345B1 (en) Electric connector
CN108604758A (zh) 连接器
EP3021423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453098B (zh) 电连接器
US2014004537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Housing
US6547594B2 (en) Connector
JP3494285B2 (ja) コネクタ
JP3555591B2 (ja) コネクタ
US20050142923A1 (en) Connector
CN114830458B (zh) 连接器
JP403565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