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0640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640B1
KR101590640B1 KR1020090066326A KR20090066326A KR101590640B1 KR 101590640 B1 KR101590640 B1 KR 101590640B1 KR 1020090066326 A KR1020090066326 A KR 1020090066326A KR 20090066326 A KR20090066326 A KR 20090066326A KR 101590640 B1 KR101590640 B1 KR 10159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input
display
module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799A (ko
Inventor
김윤주
이명엽
윤승현
변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컨텐츠(contents)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이동에 의해 입출력 모듈이 전면에 노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모니터, TV 등 여러가지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부가적인 컨텐츠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입출력 모듈이 전면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가하여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스피커 등의 입출력 모듈을 위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입출력 장치를 전면에 노출시키거나 감출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 입출력 모듈(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2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해 영상이나 텍스트 등을 표시하며, 그를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2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상기와 같은 여러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동일한 방식의 패널, 예를 들어 LCD 패널을 각각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식의 패널들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2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서로 다른 영상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 등으로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 정보들을 표시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모 듈(1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고, 하측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제1, 2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배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2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에 대한 채널 정보, 방송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되는 채널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채널의 명칭, 채널 번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거나 향후 디스플레이될 방송의 해상도, 장르, 줄거리, 시청 가능 연령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의 자막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정보는 시간, 날짜, 날씨, 주식, 온도 또는 습도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 경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오프 여부, 현재 연결된 외부 입력의 종류 또는 기존에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되었던 메뉴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정보들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정보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에 대한 곡명, 음질, 가수, 작곡가, 작사가, 연주자 또는 가사 등에 대한 정보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된 후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영상이 표시되기까지의 구간동안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기설정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파워 온을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정상 동작을 위한 파워 온 시퀀스(power on sequence)가 수행되고, 그에 따라 전원 공급 시작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디스플레이 화 면이 표시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파워 온 후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파워 온 대기 시간동안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특정 영상 또는 텍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외관 디자인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동작 중임을 알릴수 있다.
상기 파워 온 대기 시간동안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텍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로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channel browser), 사용자별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instant message) 또는 화상 채팅 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입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 입출력 모듈(300),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다른 모듈들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제어 신호 및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300)은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300)은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30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입력부일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 모듈(300)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외부입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입출력단자는 외부 장치와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AV 단자, USB(Uni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USB 단자 또는 SD 카드 등과 같은 메모리가 연결되기 위한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 모듈(300)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면에 위치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이동 시 전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후면에 위치하는 입출력 모듈(300)이 가려져 전면에서 볼때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으나,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동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동기되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입출력 모듈(300)이 동작하여야 할 시점에 이동하여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입출력 모듈(300)의 동작 시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모듈(300)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워 온(power on)을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켜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입출력 모듈(300),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음향 출력 모듈, 사용자 입력 모듈 또는 외부 입출력 단자이 동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400)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입출력 모듈(300)과 중첩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파워 온 상태인 경우 입출력 모듈(300)이 동작하여야 하므로, 제어부(400)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켜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요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 또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이용하고자 하거나,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이용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압력을 가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킴으로써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측에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후면에 입출력 모듈(30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인 상태에서는, 음향 출력 모듈, 사용자 입력 모듈 또는 외부 입출력 단자 등과 같은 입출력 모듈(300)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가려져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면에서 볼 때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의해 입출력 모듈(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AV 단자, USB 단자 또는 메모리 카드 단자 등과 같은 외부입출력단자들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 써,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이동함에 따라 후면에 위치한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되는 경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음향 출력 모듈, 사용자 입력 모듈 또는 외부 입출력 단자 등과 같은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되어 동작 가능 상태가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켜 입출력 모듈(300)을 전면에 노출시킴으로써, 입출력 모듈(300)의 동작이 필요한 시점에만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b)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서는 전면 필터(110)가 위치할 수 있다. 전면 필터(11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그를 위해 투명한 글래스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는 모듈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샤시(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에는 모듈 커버(210)가 위치할 수 있다. 모듈 커버(210)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로부터 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투 과시켜 컨텐츠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그를 위해 투명한 글래스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에서 볼때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위치하는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위치하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면 필터(110)와 모듈 커버(210)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커버(210)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듈 커버(210)가 이동함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후면의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입출력 모듈(300)의 후면에는 백커버(130)가 형성되며, 백커버(130)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입출력 모듈(300)의 후면을 감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한 일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구비되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측에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2 디스플레이 모듈(100, 11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전면 캐비닛이 제거되고, 전면 필터(110) 및 모듈 커버(21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보이는 전체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에는 채널 정보, 방송 정보 또는 시간, 날짜, 날씨, 주식, 온도, 습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형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중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층(1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측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표시 영역(140)은 검은색을 띄게 될 수 있다. 또한, 블랙층(14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필터(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백커버(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입출력 모듈(300)의 후면을 감싸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 장치(500)는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500)의 동작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후면에 배치된 입출력 모듈(300)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디스플레 이 모듈(100)의 후면에는 메인 프레임(15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5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들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50)에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모듈 구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형성된 전극들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드라이버 I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들과 외부 장치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들을 구비하는 입출력 보드가 메인 프레임(15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부(400)도 메인 프레임(15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 장치(500)는 복수의 기어(gear)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5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 장치(500)는 래크(rack) 기어(510, 511), 구동 유닛(520) 및 서포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520)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22), 모터(52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pinion) 기어(521)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피니언 기어(521)에 전달하기 위한 1 이상의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래크 기어(510)은 피니언 기어(521)와 맞물려 회전하여, 모터(520)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521)와 맞물려진 제1 래크 기어(510)와 반대편의 제2 래크 기어(511)는 서포터부(53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래크 기어(510)가 모터(520)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서포터부(530)에 의해 제2 래크 기어(511)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동 유닛(520)은 백커버(130)에 고정되고, 래크 기어들(510, 511) 및 서포터부(5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감싸는 모듈 커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커버(130)에 고정된 모터(520)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들(510, 511)이 상하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래크 기어들(510, 511)에 고정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구동 장치(500)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구동 장치(500)의 구성 중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2 래크 기어들(510, 511)은 와이어(540)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와이어(540)의 일단은 구동 유닛(520)의 피니언 기어(521)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래크 기어(511)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와이어(540)의 일단은 피니언 기어(5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스퍼(spur) 기어(541)에 연결되고, 와이어(540)의 타단은 제2 래크 기어(511) 측의 제2 스퍼 기어(543)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퍼 기어(543)는 제2 래크 기어(511)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54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장치(500)는 와이어(540)를 지지하기 위한 1 이상의 와이어 풀리(pulley, 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유닛(520) 및 와이어(540) 관련 구조물들은 백커버(130)에 고정되고, 래크 기어들(510, 511)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 또는 모듈 커버(210)에 고정될 수 있다.
백커버(130)에 고정된 모터(520)의 회전에 따라, 제1 래크 기어(510)이 상하로 이동하고, 와이어(540)가 제1 래크 기어(510) 방향으로 당겨짐에 의해 제2 래크 기어(511)도 제1 래크 기어(510)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래크 기어들(510, 511)에 고정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1, 2 래크 기어들(510, 511)은 벨트(belt, 550)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550)의 일측은 구동 유닛(520)의 피니언 기 어(521)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래크 기어(511)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벨트(550)의 일측이 피니언 기어(5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스퍼(spur) 기어(551)에 연결되고, 벨트(550)의 타측은 제2 래크 기어(511)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55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구동 장치(500)는 벨트(550)를 지지하기 위한 이상의 벨트 지지 풀리(belt tension pulley, 5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유닛(520) 및 벨트(550) 관련 구조물들은 백커버(130)에 고정되고, 래크 기어들(510, 511)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 또는 모듈 커버(210)에 고정될 수 있다.
백커버(130)에 고정된 모터(520)의 회전에 따라, 제1 래크 기어(510)이 상하로 이동하고, 벨트(550)의 회전에 의해 제2 래크 기어(511)도 제1 래크 기어(510)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래크 기어들(510, 511)에 고정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 장치(500)가 와이어(540) 또는 벨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구동 장치(5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슬림화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동 장치(50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기어들의 형태, 위치 및 종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형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제1 기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백커버 및
    상기 백커버에 고정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를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켜 상기 입출력 모듈을 전면에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영상에 대한 채널 정보, 방송 정보 및 자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외부 입력, 시간, 날짜, 날씨, 주식, 온도,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정보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메모리 카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동기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동작 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동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켜 상기 입출력 모듈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된 후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이 표시되기까지의 구간동안,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기설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는 래크 기어(rack gea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pinion) 기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제1 래크 기어 및 제2 래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래크 기어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2 래크 기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서포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일단이 상기 피니언 기어 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래크 기어 측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스퍼(spur) 기어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래크 기어 측의 제2 스퍼 기어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퍼 기어 및 상기 제2 래크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연결하는 벨트(belt)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66326A 2009-07-21 2009-07-21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159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26A KR101590640B1 (ko) 2009-07-21 2009-07-2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26A KR101590640B1 (ko) 2009-07-21 2009-07-2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99A KR20110008799A (ko) 2011-01-27
KR101590640B1 true KR101590640B1 (ko) 2016-02-01

Family

ID=4361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326A Active KR101590640B1 (ko) 2009-07-21 2009-07-2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3074A1 (zh) * 2020-05-06 2021-11-1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交互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159A (ko) * 1999-12-18 2001-07-04 구자홍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부가정보표시 티브이
KR100747539B1 (ko) * 2005-09-13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99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192B2 (ja) 携帯端末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392715B2 (en) Display device
US8416361B2 (en) Display apparatus
JP5201964B2 (ja) 画像表示装置
KR20080088241A (ko) 다양한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디스플레이 장치
KR1010059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1176019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2570844A2 (en) Display apparatus
KR20170013540A (ko) 전자 디바이스
EP3144785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nput function
EP2728574B1 (en) Display device and home network system comprising display device
KR1015906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30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12908163B (zh) 电子设备
WO2013047463A1 (ja) 表示装置
JP2001078120A (ja) 画像表示装置
KR20140005453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N210573825U (zh) 一种指纹识别组件、光学指纹显示模组及电子装置
CN101388160B (zh) 显示器装置及具有该显示器装置的多显示器装置
KR100257714B1 (ko)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구동장치
TWI420441B (zh) 顯示裝置
KR100643771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US20080129820A1 (en) TV system capable of recording multimedia audiovisual program
KR200314479Y1 (ko) Tv 수신보드의 탈착이 용이한 액정표시장치
TW202105005A (zh) 在彼此相向之玻璃及透明板之間插入雙面液晶模組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