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262B1 -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0262B1 KR101590262B1 KR1020140098779A KR20140098779A KR101590262B1 KR 101590262 B1 KR101590262 B1 KR 101590262B1 KR 1020140098779 A KR1020140098779 A KR 1020140098779A KR 20140098779 A KR20140098779 A KR 20140098779A KR 101590262 B1 KR101590262 B1 KR 101590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pinion
- moving block
- main body
- hinge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면 힌지축의 회전력으로 힌지아세이를 구성하는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래크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동시에 도어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열리게 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도어가 180도로 열리더라도 일측에 위치한 가구의 도어 사이에서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2)의 본체(4);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하단부에 힌지축(8)을 결합하는 도어(6);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14); 상기 이동블록(14)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후미를 본체(4)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inge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in which, when a door of a refrigerator is opened, a pinion constituting a hinge axis is moved along a rack by a rotational force of a hinge shaft, So that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at 180 degrees,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s of the furniture located at one side,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To achie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4) of a refrigerator (2); A door 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engaging the hinge shafts 8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 pinion 1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A moving block 14 including a pinion 12 therein while vertically coupling the hinge shaft 8; And a guide rail 18 horizontally penetratingly connecting the moving block 14 and fixing the rear end to the main body 4 while engaging the pinion 12 with the rack 16 formed on the side surface thereof.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면 힌지축의 회전력으로 힌지아세이를 구성하는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래크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동시에 도어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열리게 함으로써, 도어가 180도로 열리더라도 일측에 위치한 가구의 도어 사이에서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inge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hinge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hinge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So that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at 180 degrees,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s of the furniture located at one side.
또한, 도어의 힌지축에 접철식 작용링크를 설치하여, 도어가 열리면서 피니언이 래크를 따라 전진할 때 작용링크가 펼쳐지면서 힌지축을 도어와 함께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 하게 함으로써, 도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 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In addition, a folding type action link is provided on the hinge axis of the door so that when the pinion is advanced along the rack, the action link is unfolded and the hinge axis is moved along the door with the curve to the right, , To be closed.
또한, 도어에 접철식 작용링크와 힌지축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도어를 열면 힌지축의 회전력으로 피니언이 래크를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90도 회전한 후, 작용링크가 펼쳐지면서 도어가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열리게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기능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한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pinion rotates 90 degrees while the pinion moves linearly along the rack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Then, as the action link is unfolded, the door is curved to the right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the door can be remarkably improve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inge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등에는 빌트인 방식으로 냉장고와 주방가구 및 세탁기 등이 설치 되면서 일직선상에 전면이 일치 되도록 배치 하는데, 이러한 냉장고와 주방가구에는 도어가 전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섭이 일어나게 됨으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게 된다. Generally, in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a refrigerator, a kitchen furniture and a washing machine are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and the front is aligned with a straight line. In such a refrigerator and kitchen furniture, doors are installed on the front, Mutual interference occurs, which leads to inconvenience in use.
따라서, 냉장고의 도어가 180도 열리더라도 가구의 도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tructural improvement measure that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door of the furniture even i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180 degrees.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10-2010-0070853 A 2010.06.28. "삽입식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도 1a, 1b에서 살펴보면, 먼저 냉장고 본체를 구성하는 제빙실(150)에는 제빙실도어(161)가 개,폐 가능하게 전면에 설치 되는데, 상기 제빙실도어(161)는 제1,2힌지부재(180,200)로 제빙실(150)에 일측부가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rt, KR 10-2010-0070853 A Jun. 28, 2010. Referring to FIGS. 1A and 1B, an ice-
상기 제1힌지부재(180)에는 제빙실(150)의 바디(20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84)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84)에는 일체로 된 연결부(187)와 마운트부(182)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마운트부(182)는 제빙실도어(161)에 나사로 고정 결합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빙실도어(161)를 열게 되면, 상기 마운트부(182)와 연결부(187)와 샤프트(184)가 함께 바디(201)에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빙실도어(161)는 열리게 된다. When the ice making
이때, 상기 제빙실도어(161)의 일단부가 바디(201)의 스토퍼(207)에 걸리게 됨으로, 상기 제빙실도어(161)의 열림각도는 보통 90도∼120도 정도가 되며, 상기 제빙실도어(161)를 더욱 열게 되면 일측에 위치한 붙박이 가구에 걸리게 됨으로 열림각도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At this time, since the one end of the ice-making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제빙실도어(161)의 열림각도가 제한적인 관계로 인해, 큰 사이즈의 식품이나 음료수를 넣거나 빼어낼 때 제빙실도어(161)에 걸리게 됨으로, 제빙실도어(161)가 180도 회전할 수 없는 구조의 냉장고를 붙박이용으로 사용할 때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지닌다.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art, the opening angle of the ice-ma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as follows.
첫째, 냉장고의 도어를 열면 힌지축의 회전력으로 힌지아세이를 구성하는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래크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동시에 도어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열리게 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도어가 180도로 열리더라도 일측에 위치한 가구의 도어 사이에서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First,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the pinion constituting the hinge axis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axis to move along the rack,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 is open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between the doors of the furniture in the room.
둘째, 도어의 힌지축에 접철식 작용링크를 설치하여, 도어가 열리면서 피니언이 래크를 따라 전진할 때 작용링크가 펼쳐지면서 힌지축을 도어와 함께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 하게 함으로써, 도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Second, a folding action link is provided on the hinge axis of the door so that when the pinion advances along the rack as the door is opened, the action link is unfolded and the hinge axis moves along the door with the curve to the right. I am in desperate need.
셋째, 도어에 접철식 작용링크와 힌지축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도어를 열면 힌지축의 회전력으로 피니언이 래크를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90도 회전한 후, 작용링크가 펼쳐지면서 도어가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열리게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기능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pinion is rotated 90 degrees while the pinion moves linearly along the rack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inge shaft, and then the door is curved to the right as the working link is unfold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s of the door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본 발명은, 냉장고(2)의 본체(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4) of a refrigerator (2);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하단부에 힌지축(8)을 결합하는 도어(6); A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A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14); A moving
상기 이동블록(14)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후미를 본체(4)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또한, 냉장고(2)의 본체(4); Further, the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하단부에 힌지축(8)을 결합하는 도어(6); A
상기 힌지축(8)의 중간부를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일부를 본체(4)에 고정하고, 동시에 이동하는 힌지축(8)에 의해 접철되는 작용링크(58); An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A
상기 힌지축(8) 하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60); A moving
상기 이동블록(60)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 A
상기 이동블록(60)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가이드레일(18)을 관통 결합하고, 동시에 이동블록(60)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6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또한, 냉장고(2)의 본체(4); Further, the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6); A
상기 도어(6)의 하부 내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접철되는 작용링크(86); An
상기 작용링크(86)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8); A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2); A pinion (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상기 힌지축(8) 하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88); A moving
상기 이동블록(88)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 A
상기 이동블록(88)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90)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고, 이동블록(88)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9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냉장고(2)의 도어(6)를 열면 힌지축(8)의 회전력으로 힌지아세이(10)를 구성하는 피니언(12)이 회전하면서 래크(16)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도어(6)가 본체(6)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따라서 도어(6)가 180도로 열리더라도 일측에 위치한 가구의 도어 사이에서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 사용상 편리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irst, when the
둘째, 도어(6)의 힌지축(8)에 접철식으로 작용하는 작용링크(58)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도어(6)가 열리면서 피니언(12)이 래크(16)를 따라 전진할때, 작용링크(58)는 펼쳐지면서 힌지축(8)을 도어(6)와 함께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 하도록 안내 하는데, 따라서 도어(6)를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셋째, 도어(6)에 접철식 작용링크(58)와 힌지축(8)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도어(6)를 열면 힌지축(8)의 회전력으로 피니언(12)이 래크(16)를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90도 회전하여 열리게 되고, 이후로 작용링크(58)가 펼쳐지면서 도어(6)가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열리게 되는데, 따라서 도어(6)의 개,폐 기능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irdly, since the
도 1a, 1b 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냉장고 도어의 힌지 설치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가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5a, 5b, 5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폐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의 결합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의 결합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의 분리 사시도.
도 10a.10b,10c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의 작용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도.
도 12a, 12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힌지 아세이의 분리 사시도.
도 13a 내지 13d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힌지 아세시의 작용 상태도. FIGS.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hinge structure of a refrigerator do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axis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xis,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5A, 5B and 5C are views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inge assembly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hinge axis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in which a hinge axis, which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axis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10B and 10C are operational views of a hinge axis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nge axis, which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12A and 1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inge axis a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D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hinge axis as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5 에서 살펴 보면, 먼저 붙박이 용도로 냉장고(2)(도2참조)를 주방에 설치하게 되면 보통 붙박이 가구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냉장고(2)는 일반적인 구조로 된 것으로 식품과 음료수 수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4)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본체(4)의 전면에는 도어(6)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2 to 5, when the refrigerator 2 (see FIG. 2) is installed in a kitchen for a built-in use, the refrigerator is usually located between the built-in furniture. 2 has a general structure, and a food and beverage storage space constitutes a
상기 도어(6)의 상,하단부 일측에는 힌지축(8)이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8) 각각에는 힌지아세이(hinge ass'y)(10)가 결합 되면서 본체(4)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A
이때, 상기 힌지아세이(10)는 냉장고(2)의 도어(6) 뿐만 아니라 싱크대 도어, 옷장 도어, 출입문 도어 등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힌지아세이(10)(도3참조)는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과,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14)과, 상기 이동블록(14)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후미를 본체(4)에 고정하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이동블록(14)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20)으로 구성된다. 3) includes a
이때, 상기 커버블록(20)은 가이드레일(18)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내홈(22)이 형성 되는데, 상기 안내홈(22)의 길이는 이동블록(14)이 전,후진할 때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상기 냉장고(2)(도2참조)가 붙박이로 설치되면 주방 가구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냉장고(2)의 도어(6)와 주방 가구의 도어는 보통 서로 일치하는 선상에 있게 된다. First, when the refrigerator 2 (see FIG. 2)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냉장고(2)의 도어(6)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를 당겨서 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6)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힌지축(8)은 이동블록(14)에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힌지축(8)에 결합된 피니언(12)은 회전하면서 가이드레일(18)에 형성된 래크(1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따라서, 상기 이동블록(14)은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12)과 힌지축(8)에 의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본체(4) 외부로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블록(14)에 결합된 커버블록(20)이 함께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상기 커버블록(20)에 형성된 안내홈(22)은 가이드레일(18)로부터 부분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The moving
동시에, 상기 도어(6)는 힌지축(8)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At the same time, the
계속하여, 상기 도어(6)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로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피니언(12)은 래크(16)를 따라 더욱 전진하여 있게 되고, 상기 피니언(12)을 결합한 힌지축(8)은 이동블록(14)과 커버블록(20)을 함께 더욱 전진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으로 부터 더욱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기 냉장고(2) 일측에 위치한 붙박이 가구의 도어 전면에 밀착하면서 평행한 상태로 있게 된다. 5C, the
따라서, 상기 도어(6)가 완전히 열리는 과정에서 일측에 위치한 붙박이 가구의 도어 사이에서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또한 냉장고(2)의 도어(6)를 완전히 개방하는 상태가 됨으로 식품과 음료수를 편리하게 냉장고(2)의 본체(4)에 넣거나 빼어낼 수 있게 된다. Therefore, no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doors of the built-in furniture located at one side and the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6)를 닫게 되면 피니언(12)(도3참조)은 정회전 하면서 래크(16)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힌지축(8)과 함께 이동블록(14)과 커버블록(20)은 가이드레일(18)을 따라 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When the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일부는 커버블록(20)의 안내홈(22) 내부로 진입하여 끝단부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도어(6)는 본체(4)에 밀착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a part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아세이(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2)의 본체(4) 전면에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6)의 힌지축(8)에 설치된다. 6,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힌지아세이(24)는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과;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26)과; 상기 이동블록(26)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측면에 래크(16)를 형성하고, 래크(16)는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며, 동시에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이동블록(2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피니언(12)에 치차 결합되는 아이들기어(28)와; 상기 이동블록(2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아이들기어(28)에 치차 결합되고, 일부는 래크(16)에 치차 결합되는 작용기어(30)와; 상기 이동블록(26)의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32)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이동블록(26)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34)으로 구성된다. The hinge axis (2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pinion (1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A moving
이때, 상기 이동블록(26)은 아이들기어(28)와 작용기어(30)를 조립하기에 용이하도록 제1,2,3블록(36,38,40)으로 분리 구성 되면서 나사로 조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12)과 아이들기어(28)와 작용기어(30)는 동일한 피치원 지름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In this case, the mov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도어(6)를 당겨서 열게 되면 힌지축(8)(도6참조)은 이동블록(26)에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힌지축(8)에 결합된 피니언(12)은 회전하면서 가이드레일(18)에 형성된 래크(16)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블록(26)은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12)과 힌지축(8)에 의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본체(4) 외부로 전진하게 된다. 6) is rotated by the moving
이때, 상기 이동블록(26)에 결합된 커버블록(34)이 함께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상기 커버블록(34)에 형성된 안내홈(32)은 가이드레일(18)로부터 부분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At this time, the
동시에, 역회전하는 피니언(12)에 치차 결합된 아이들기어(28)는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아이들기어(28)에 치차 결합된 작용기어(30)는 역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용기어(30)는 피니언(12)과 아이들기어(28)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래크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따라서, 상기 피니언(12)과 작용기어(30)는 래크(16)에 치차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어(6)는 피니언(12)을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8)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The
상기와 같이 도어(6)가 계속하여 열리면 피니언(12)은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다가 이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니언(12)의 회전력은 치차 결합된 아이들기어(28)를 통하여 작용기어(30)에 계속 전달되는 관계로, 상기 래크(16)를 따라 계속 이동하는 작용기어(30)에 의해 이동블록(26)은 계속 전진하게 되며, 또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으로부터 더욱 이격 되면서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상기와 같이 피니언(12)이 래크(16)로부터 이탈 되어도 회전작용은 아이들기어(28)를 통하여 작용기어(30)에 도달하게 됨으로, 상기 래크(16)의 길이를 짧게 설계하여 힌지아세이(24)를 만들어도 무방하다. Even if the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6)를 닫게 되면 힌지축(8)은 정회전하게 되지만, 상기 피니언(12)은 래크(16)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관계로 공회전하면서 아이들기어(28)를 통하여 작용기어(30)에 회전작용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작용기어(30)는 래크(16)에 치차 결합된 상태에서 정회전하며 후진하게 된다. When the
상기 이후로, 피니언(12)은 래크(16)에 치차 결합되면서 작용기어(30)와 함께 래크(16)를 따라 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일부는 커버블록(34)의 안내홈(32) 내부로 진입하여 끝단부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도어(6)는 본체(4)에 밀착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아세이(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2)의 본체(4) 전면에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6)의 힌지축(8)에 설치된다.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힌지아세이(42)는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과;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44)과; 상기 이동블록(44)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측면에 래크(16)를 형성하며, 래크(16)는 피니언(12)과 분리되고, 동시에 후미를 본체(4)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이동블록(4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래크(16)에 치차 결합되고, 일부는 피니언(12)에 치차 결합되는 작용기어(46)와; 상기 이동블록(44)의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48)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이동블록(44)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50)으로 구성된다. The
이때, 상기 이동블록(44)은 작용기어(46)를 조립하기에 용이하도록 제1,2블록(52,54)으로 분리되어 구성 되면서 나사로 조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12)과 작용기어(46)는 동일한 피치원 지름으로 만들거나 다르게 만들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ing
그리고, 상기 힌지축(8)은 제1,2실시예와는 달리 가이드레일(18)의 일측에 위치하여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힌지축(8)이 회전하면서 피니언(12)을 역회전시킬 경우 래크(16)를 따라 후진하게 됨으로, 상기 피니언(12)에 작용기어(46)를 치차 결합시키고, 작용기어(46)는 래크(16)에 치차 결합시키면, 상기 작용기어(46)는 피니언(12)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면서 래크(16)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도어(6)를 당겨서 열게 되면 힌지축(8)(도7참조)은 이동블록(44)에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힌지축(8)에 결합된 피니언(12)은 역회전 하면서 회전작용을 치차 결합된 작용기어(46)에 전달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동시에 상기 작용기어(46)는 래크(1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7) is rotated by the moving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44)은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는 작용기어(46)와 힌지축(8)에 의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본체(4) 외부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도어(6)는 피니언(12)을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8)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The moving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6)를 닫게 되면 힌지축(8)은 피니언(12)과 함께 정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12)에 치차 결합된 작용기어(46)는 역회전하면서 래크(16)를 따라 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도어(6)는 본체(4)에 밀착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아세이(56)를 도 8 내지 도 10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먼저, 상기 힌지아세이(56)는 냉장고(2)의 본체(4) 전면에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6)의 힌지축(8)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아세이(56)(도9참조)는 힌지축(8)의 중간부를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일부를 본체(4)에 고정하고, 동시에 이동하는 힌지축(8)에 의해 접철되는 작용링크(58)와;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과; 상기 힌지축(8) 하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60)과; 상기 이동블록(60)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이동블록(60)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가이드레일(18)을 관통 결합하고, 동시에 이동블록(60)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62);으로 구성된다. The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후미를 회전핀(64)으로 브래킷(66)에 결합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브래킷(66)은 본체(4)에 고정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작용링크(58)에는 본체(4)에 나사로 고정되는 바디(68)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68)의 앞측에는 제1,2축(70,72)이 간격을 두면서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2축(70,72) 각각에는 제1,2링크(74,76)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링크(74,76) 선단부 각각에는 제3,4축(78,8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4축(78,80)은 작용프레임(82)의 후미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작용프레임(82)의 앞측에는 힌지축(8)이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The operating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작용프레임(82)은 힌지축(8)에 의해 제1,2축(70,72)을 지지점으로 하여 바디(68)로부터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가 닫힌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를 당겨서 열게 되면 힌지축(8)은 관통하여 결합되는 작용프레임(82)과 이동블록(60)에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힌지축(8)에 결합된 피니언(1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레일(18)에 형성된 래크(16)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블록(60)은 커버블록(62)과 함께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12)과 힌지축(8)에 의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본체(4) 외부로 전진하게 된다. 10A, when the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힌지축(8)이 작용프레임(82)의 선단부를 당기면, 상기 작용프레임(82)은 바디(68)에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당겨짐으로써 펼쳐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와 같이 펼쳐지는 작용프레임(82)에 의해 제3,4(78,80)축에 결합된 제1,2링크(74,76) 선단부가 당겨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제1,2링크(74,76)는 제1,2축(70,72)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moving
따라서, 상기 작용프레임(82)의 선단부는 힌지축(8)에 의해 이동블록(60)의 전진방향으로 끌려가게 되고, 상기 작용프레임(82)의 후단부는 제1,2링크(74,76)에 의해 당겨지게 됨으로 힌지축(8)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distal end of the working
동시에,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전진하는 힌지축(8)은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상기 힌지축(8)은 작용프레임(82)의 선단부에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제1,2링크(74,76)와 작용프레임(82)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피니언(12)은 래크(16)를 따라 여전히 전진하게 됨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8)은 회전핀(6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앞측이 우측으로 젖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레일(18)은 피니언(12)이 래크(16)를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힌지축(8)은 초기에 직선으로 이동하다가 우측으로 곡선 모양을 그리며 전진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8)을 결합한 이동블록(60)도 함께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결국, 상기 도어(6)는 열리면서 힌지축(8)과 함께 본체(4)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As a result, the
계속하여, 상기 도어(6)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로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피니언(12)은 래크(16)를 따라 더욱 전진하여 있게 되고, 상기 피니언(12)을 결합한 힌지축(8)은 이동블록(60)과 커버블록(62)을 함께 더욱 전진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으로 부터 더욱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기 냉장고(2) 일측에 위치한 붙박이 가구의 도어 전면에 밀착하면서 평행한 상태로 있게 된다. When the
동싱에, 상기와 같이 전진한 힌지축(8)에 의해 작용프레임(82)의 선단부는 더욱 당겨지면서 펼쳐지게 되고, 상기 작용프레임(82)의 후미는 제1,2링크(74,76)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힌지축(8)을 중심으로 더욱 좌회전하여 있게 되며, 상기 제1,2링크(74,76)는 제1,2축(70,72)에서 더욱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8)은 우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는 힌지축(8)과 이동블록(60)에 의해 회전핀(64)을 중심으로 더욱 우측으로 젖혀지게 된다. The distal end of the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6)를 닫게 되면 피니언(12)(도9참조)은 정회전 하면서 래크(16)를 따라 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동시에 힌지축(8)과 함께 이동블록(60)과 커버블록(62)은 가이드레일(18)을 따라 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작용프레임(82)과 제1,2링크(74,76)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작용하면서 바디(68)에 접혀지는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도어(6)는 본체(4)에 밀착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아세이(84)를 도 11 내지 도 13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먼저, 상기 힌지아세이(84)는 냉장고(2)의 본체(4) 전면에서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6)의 힌지축(8)(도12a참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아세이(84)는 도어(6)의 하부 내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접철되는 작용링크(86)와; 상기 작용링크(86)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8)과;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과; 상기 힌지축(8) 하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88)과; 상기 이동블록(88)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이동블록(88)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90)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고, 이동블록(88)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92);으로 구성된다. The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8) 선단부에 스토퍼(94)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블록(92)의 안내홈(90) 입구에는 스토퍼(94)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96)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작용링크(86)(도12b참조)에는 힌지축(8)을 수직으로 관통시켜 결합하면서 용접하여 고정하는 바디(98)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98)의 앞측에는 제1,2축(102,104)이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며, 상기 제1,2축(102,104)에는 제1,2링크(106,108)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링크(106,108) 선단부 각각에는 제3,4축(110,1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4축(110,112)은 작용프레임(114)의 후미에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고, 상기 작용프레임(114)은 도어(6)의 내면에 형성한 결합홈(116)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축(102)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118)이 결합되면서 타측 탄지편을 제2축(104)에 배치하고 일측 탄지편은 제3축(110)에 배치한다. The
이때, 상기 작용프레임(114)은 제1,2축(102,104)을 지지점으로 하면서 개,폐되는 도어(6)에 의해 바디(98)로부터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가 닫힌 상태에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를 당겨서 열게 되면, 상기 도어(6)는 작용링크(86)와 함께 힌지축(8)을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상기 힌지축(8)의 하부에 결합된 피니언(12)은 회전하면서 가이드레일(18)에 형성된 래크(16)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이동블록(88)은 커버블록(92)과 함께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12)과 힌지축(8)에 의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본체(4) 외부로 전진하게 된다. 13A, when the
이때, 상기 커버블록(92)의 안내홈(90)은 가이드레일(18)로부터 일부가 빠져나가게 된다.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90) of the cover block (92) partly escapes from the guide rail (18).
계속하여, 상기 도어(6)가 열리면서 개방 각도가 90도에 도달하면, 상기 커버블록(92)의 안내홈(90)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96)에 가이드레일(18)의 스토퍼(94)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래크(16)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12)은 정지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8)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The
상기 이후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가 계속하여 열리게 되면, 상기 도어(6)의 결합홈(116)에 삽입되어 고정된 작용프레임(114)이 당겨지면서 바디(98)로부터 펼쳐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바디(98)는 힌지축(8)에 용접되어 고정된 관계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13C, when the
동시에, 상기 작용프레임(114)에 의해 제3,4축(110,112)에 결합된 제1,2링크(106,108)의 선단부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제1,2링크(106,108)는 제1,2축(102,104)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도어(6)는 우측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부분적으로 열리는 상태가 된다. At the same time, the tip of the first and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118)의 탄성력은 탄지편을 통하여 제3축(110)에 전달됨으로, 상기 작용프레임(114)을 결합하고 있는 도어(6)는 탄력감을 가지면서 열리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계속하여, 상기 도어(6)를 당기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링크(86)에 의해 추가적으로 90도 열리는 상태가 됨으로, 상기 도어(6)는 힌지아세이(84)에서 90도 회전하고 작용링크(86)에서 추가적으로 90도 회전하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도어(6)는 본체(4)의 전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에 도달하면 180도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6)를 닫게 되면 작용프레임(114)과 제1,2링크(106,108)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작용하면서 바디(98) 측으로 접혀지게 되고, 이후로 상기 도어(6)와 작용링크(86)는 힌지축(8)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이동블록(88)과 커버블록(92)을 후진시켜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Whe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냉장고 4:본체
6:도어 8:힌지축
10,24,42,56,84:힌지아세이 12:피니언
14,26,44,60,88:이동블록 16:래크
18:가이드레일 20,34,50,62,92:커버블록
22,32,48,90:안내홈 28:아이들기어
30,46:작용기어 36,52:제1블록
38,54:제2블록 40:제3블록
58,86:작용링크 64:회전핀
66:브래킷 68,98:바디
70,102:제1축 72,104:제2축
74,106:제1링크 76,108:제2링크
78,110:제3축 80,112:제4축
82,114:작용프레임 94:스토퍼
96:컬림턱 116:결합홈
118:토션스프링 2: Refrigerator 4: Body
6: Door 8: Hinge shaft
10, 24, 42, 56, 84: Hinge pin 12: Pinion
14, 26, 44, 60, 88: Moving block 16:
18:
22, 32, 48, 90: guide groove 28: idle gear
30, 46: Actuation gears 36, 52: First block
38, 54: second block 40: third block
58, 86: action link 64:
66:
70, 102:
74, 106:
78,110: Third axis 80,112: Fourth axis
82, 114: Action frame 94: Stopper
96: curl rim 116: engaging groove
118: Torsion spring
Claims (10)
상기 각각의 힌지축(8) 끝단부에 피니언(12)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8)은 이동블록(14)에 수직으로 결합 되면서 피니언(12)을 이동블록(14) 내부에 포함시키며,
상기 이동블록(14)에는 래크(16)를 일면에 형성한 가이드레일(18)이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면서 래크(16)에 피니언(12)이 치차 결합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8)은 냉장고(2)의 본체(4)에 후미를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A door 6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 of the refrigerator 2. A hinge shaft 8 is coup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6, The door hinge device for a refrigerator as set forth in claim 1,
A pinion 12 is coupled to an end of each of the hinge shafts 8,
The hinge shaft 8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4 to include the pinion 12 within the moving block 14,
A guide rail 18 formed on one side of the rack 16 is horizontally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4 so that the pinion 12 is engaged with the rack 16,
Wherein the guide rails (18)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4) of the refrigerator (2).
상기 이동블록(14) 전면에 커버블록(20)이 나사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블록(20) 내부에는 안내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22)에는 가이드레일(18)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블록(14)과 커버블록(20)은 함께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block 20 is screwed to the front of the moving block 14 and a guide groove 22 is formed in the cover block 20 and a part of the guide rail 18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2 And the movable block (14) and the cover block (20)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18).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하단부에 힌지축(8)을 결합하는 도어(6);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26);
상기 이동블록(26)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측면에 래크(16)를 형성하고, 래크(16)는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며, 동시에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
상기 이동블록(2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피니언(12)에 치차 결합되는 아이들기어(28);
상기 이동블록(2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아이들기어(28)에 치차 결합되고, 일부는 래크(16)에 치차 결합되는 작용기어(30);
상기 이동블록(26)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32)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고, 이동블록(26)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34);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A main body 4 of the refrigerator 2;
A door 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engaging the hinge shafts 8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 pinion 1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A moving block 26 including the pinion 12 therein while vertically coupling the hinge shaft 8;
A rack 16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block 26 while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rack block 16. A rack 16 meshes with the pinion 12 and a guide rail 18 );
An idle gear (28)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26) and meshing with the pinion (12);
A working gear 30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lock 26 and gear-coupled to the idle gear 28 and partly engaged with the rack 16;
A cover block 34 which is screw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lock 26 to form a guide groove 32 therein and inserts a part of the guide rail 18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26 And the door hinge device for a refrigerator.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하단부에 힌지축(8)을 결합하는 도어(6);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상기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44);
상기 이동블록(44)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측면에 래크(16)를 형성하며, 래크(16)는 피니언(12)과 분리되고, 동시에 후미를 본체(4)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과;
상기 이동블록(4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래크(16)에 치차 결합되고, 일부는 피니언(12)에 치차 결합되는 작용기어(46);
상기 이동블록(44)의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48)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고, 이동블록(44)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50);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A main body 4 of the refrigerator 2;
A door 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engaging the hinge shafts 8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 pinion 1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A moving block 44 including the pinion 12 therein while vertically coupling the hinge shaft 8;
A rack 16 is formed on a side surface while horizontally penetratingly connecting the moving block 44. The rack 16 is separated from the pinion 12 and at the same time a guide rail 18 for fixing the rear end to the main body 4, and;
A working gear 46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lock 44 and meshingly engaged with the rack 16 and partly engaged with the pinion 12;
A cover block 50 screw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4 to form a guide groove 48 therein to insert a part of the guide rail 18 an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44; And a door hinge unit for the refrigerator.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하단부에 힌지축(8)을 결합하는 도어(6);
상기 힌지축(8)의 중간부를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일부를 본체(4)에 고정하고, 동시에 이동하는 힌지축(8)에 의해 접철되는 작용링크(58);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상기 힌지축(8) 하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60);
상기 이동블록(60)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
상기 이동블록(60)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가이드레일(18)을 관통 결합하고, 동시에 이동블록(60)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6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A main body 4 of the refrigerator 2;
A door 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engaging the hinge shafts 8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 action link 58 fixed by a hinge shaft 8 vertically penetrating the hinge shaft 8 and partially fixed to the main body 4 and folded by a moving hinge shaft 8;
A pinion 1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A moving block 60 including a pinion 12 therein while vertically coupling a low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8;
A guide rail 18 horizontally penetratingly connecting the moving block 60 and gearing the pinion 12 to the rack 16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fixing the tail to the main body 4;
And a cover block (62) which is screw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lock (60) and penetrates the guide rail (18) and simultaneous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60) .
상기 가이드레일(18)의 후미를 회전핀(64)으로 브래킷(66)에 결합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브래킷(66)은 본체(4)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ar end of the guide rail 18 is coupled to the bracket 66 by a rotation pin 64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and the bracket 66 is fixed to the main body 4. [ A door hinge device.
상기 작용링크(58)는
본체(4)에 고정되는 바디(68)와,
상기 바디(68) 앞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제1,2축(70,72)과,
상기 제1,2축(70,7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링크(74,76)와,
상기 제1,2링크(74,76) 선단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4축(78,80)과,
상기 제3,4축(78,80)을 후미에 수직 결합하고 앞측은 힌지축(8)을 수직으로 결합하는 작용프레임(8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ction link (58)
A body 68 fixed to the main body 4,
First and second shafts 70 and 72 vertically installed at intervals in front of the body 68,
First and second links (74, 76)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afts (70, 72)
Third and fourth shafts 78 and 80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ks 74 and 76, respectively,
And an operation frame (82) vertically coupling the third and fourth shafts (78, 80) to the rear and vertically coupling the hinge shaft (8) at the front side.
상기 본체(4)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6);
상기 도어(6)의 하부 내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접철되는 작용링크(86);
상기 작용링크(86)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8);
상기 힌지축(8) 끝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12);
상기 힌지축(8) 하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면서 피니언(12)을 내부에 포함하는 이동블록(88);
상기 이동블록(88)을 수평으로 관통 결합하고, 측면에 형성한 래크(16)에 피니언(12)을 치차 결합하면서 본체(4)에 후미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18);
상기 이동블록(88) 전면에 나사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안내홈(90)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8)의 일부를 삽입하고, 이동블록(88)과 함께 전,후진하는 커버블록(9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A main body 4 of the refrigerator 2;
A door 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 action link 86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6 and folded back;
A hinge shaft 8 vertically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action link 86;
A pinion 12 coupl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8;
A moving block 88 including the pinion 12 therein while vertically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8;
A guide rail 18 horizontally penetratingly connecting the moving block 88 and engaging a pinion 12 with a rack 16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fixing the rear end thereof to the main body 4;
A cover block 92 which is screw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lock 88 to form a guide groove 90 therein to insert a part of the guide rail 18 an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88 And the door hinge device for a refrigerator.
상기 가이드레일(18) 선단부에 스토퍼(94)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블록(92)의 안내홈(90) 입구에는 스토퍼(94)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9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stopper 94 is coupled to the tip end of the guide rail 18,
Wherein a stopping protrusion (96) for preventing the stopper (94) from being released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guide groove (90) of the cover block (92).
상기 작용링크(86)는
힌지축(8)을 수직으로 관통시켜 결합하는 바디(98)와,
상기 바디(98) 앞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제1,2축(102,104)과,
상기 제1,2축(102,10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링크(106,108)와,
상기 제1,2링크(106,108) 선단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4축(110,112)과,
상기 제3,4축(110,112)을 후미에 수직 결합하면서 도어(6)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작용프레임(114)과,
상기 제1축(102)에 결합되면서 타측 탄지편은 제2축(104)으로 배치하고 일측 탄지편은 제3축(110)으로 배치함으로써 작용프레임(11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118),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힌지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ction link 86
A body 98 for vertically penetrating the hinge shaft 8 to be coupled therewith,
First and second shafts 102 and 104 vertically installed at a space in front of the body 98,
First and second links 106 and 108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02 and 104,
A third and fourth shafts 110 and 112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106 and 108,
An operation frame 114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6 while vertically coupling the third and fourth shafts 110 and 112 to the rear,
A torsion spring 118 (see FIG. 1)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on frame 114 by disposing the other side resilient piece on the second shaft 104 and the one side resilient piece on the third axis 1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first shaft 102; The door hinge device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8779A KR101590262B1 (en) | 2014-08-01 | 2014-08-01 |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8779A KR101590262B1 (en) | 2014-08-01 | 2014-08-01 |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0262B1 true KR101590262B1 (en) | 2016-01-29 |
Family
ID=5531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87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0262B1 (en) | 2014-08-01 | 2014-08-01 |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026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44938A (en) * | 2021-12-31 | 2022-03-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equipment |
CN115538883A (en) * | 2021-06-29 | 2022-12-30 |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 Linkage mechanism for refrigeration equipment and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same |
CN116817520A (en) * | 2023-05-29 | 2023-09-29 | 海信冰箱有限公司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4168Y1 (en) * | 1995-05-02 | 1998-10-15 | 조희문 |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 door |
KR20080094353A (en) * | 2007-04-20 | 2008-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2014
- 2014-08-01 KR KR1020140098779A patent/KR1015902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4168Y1 (en) * | 1995-05-02 | 1998-10-15 | 조희문 |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 door |
KR20080094353A (en) * | 2007-04-20 | 2008-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38883A (en) * | 2021-06-29 | 2022-12-30 |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 Linkage mechanism for refrigeration equipment and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same |
CN114244938A (en) * | 2021-12-31 | 2022-03-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equipment |
CN114244938B (en) * | 2021-12-31 | 2024-05-1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equipment |
CN116817520A (en) * | 2023-05-29 | 2023-09-29 | 海信冰箱有限公司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0157B1 (en) | Slider device for vehicle door | |
CA2856339C (en) | Double-pivot syncronisati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wo leaves | |
US9475368B2 (en) |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 |
US9051766B2 (en) | Double-action door | |
CN106016927B (en) | Cross opening door mechanism and refrigerator | |
RU2015124148A (en)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LIDING DOOR | |
JP6416583B2 (en) | Locking device and joinery | |
KR101590262B1 (en) |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 |
TWM447418U (en) | Two-way door | |
WO2014127846A1 (en) | Cooling device hinge mechanism | |
CN111593961B (en) | Automatic lock body with reversible lock tongue | |
CN114059873B (en) | Hinge assembly and furniture with same | |
CN102561874A (en) | Mechanical Buffer and Its Applied Shower Room Sliding Door | |
CA3146630C (en) | Side-open left-right-door arbitrary-open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 |
CN202483328U (en) | Mechanical Buffer and Its Applied Shower Room Sliding Door | |
KR101559422B1 (en) | Door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 |
CN203024527U (en) | Refrigerator lock bracket device and refrigerator | |
RU121849U1 (en) | HINGE OPENING MECHANISM | |
KR102037216B1 (en) | an account book mirror | |
JP7474535B1 (en) | Door opening actuator | |
KR20190000565U (en) | a low roller of pocket sliding door | |
KR20120010728A (en) | Manual Interlocking Door Device | |
CN210169439U (en) | Drawer slide rail | |
CN109041486A (en) | A kind of shield cable architecture for switch gate | |
KR20110026546A (en) | Swing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