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9047B1 -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047B1
KR101589047B1 KR1020140045224A KR20140045224A KR101589047B1 KR 101589047 B1 KR101589047 B1 KR 101589047B1 KR 1020140045224 A KR1020140045224 A KR 1020140045224A KR 20140045224 A KR20140045224 A KR 20140045224A KR 101589047 B1 KR101589047 B1 KR 10158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suction chamber
main body
adsorber
work t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629A (ko
Inventor
우완용
박동기
서성현
Original Assignee
우완용
박동기
서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완용, 박동기, 서성현 filed Critical 우완용
Priority to KR102014004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0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0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8Ironing boards  incorporating heating, steaming, or forced ventila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10Top board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문 세탁업소에서의 드라이 클리닝 만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이물질이나 얼룩은 물론 의류 표면의 보플 제거, 모피 털의 회생 등과 같은 다용도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품 및 스팀의 고압 분사에 의해 세탁물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로서, 상판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판부 일측에 연결관이 설치된 작업대와, 이 작업대의 통공 상에 얹혀진 세탁물의 오염부분으로 약품이나 스팀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과, 상기 작업대의 연결관이 끼워져 유지되는 유통관을 가짐과 동시에 상호 연통공을 통해 연이어지도록 흡인실 및 구동실로 분할 구성된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실에는 연통공에 밀착 고정되는 타공판 및 필터가 순차로 장착되고, 상기 구동실에는 연통공에 밀착 고정되는 하우징 및 임펠러를 포함하여 외부 배출관이 접속되는 배출구를 갖는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Multy Suction Device of Treatment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을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문 세탁업소에서의 드라이 클리닝(Dry Cleaning) 만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이물질이나 얼룩은 물론 의류 표면의 보플 제거, 모피 털의 회생 등과 같은 다용도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 세탁업소에서는 더렵혀진 세탁물를 유기용제(有機溶劑)를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에 의해 처리하게 되지만, 이 드라이 클리닝 만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이물질이나 얼룩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드라이 클리닝을 행하기 전이나 혹은 후에 별도의 처리작업을 행해야만 한다.
통상, 세탁업소에서는 스파팅 기구(Spotting Device)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다림질하기도 하고,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얼룩진 부분에 미리 약품을 묻힌 후에 혹은 약품과 스팀을 동시에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즉,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세탁업소용 스파팅 기구는 분사펌프 및 압력조절밸브 등을 내부에 구비한 본체(1)와, 상판의 일측 단부에 다공판(201)이 장착되고 직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을 확인하기 위한 베드(2)와, 상기 본체(1)의 일측에 부착됨과 동시에 횡방향 상단부에 권취기(301)를 구비한 지주(3)와, 상기 본체(1)에 내장된 분사펌프와 호스로 연결되어 약품이나 스팀을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4)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탁물에 이물질이나 얼룩이 묻어 있는 경우 오염 부분을 베드(2)에 장착된 다공판(201)의 위쪽에 배치한 후 분사기(4)를 이용하여 약품과 스팀을 고압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49390호 공보에는 분사되는 스팀의 양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세척수를 동시에 분사시킬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일원화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58209호 공보에는 작업대에 조명 및 강화유리판을 설치함에 따라 작업대의 상부에서 세탁물 표면을 오염시킨 이물질이나 얼룩 등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이들 오염물질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거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장치는 직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을 비교적 짧은 시간에 깨끗하게 제거할 수는 있지만, 다림질용 작업대가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세탁업소가 협소한 작업공간을 갖추고 있는 것임에 비해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고, 구조물 자체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품 가격이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더구나, 기존의 처리장치는 별도로 청소를 행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는 본체 내부로 직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에 의해 생성된 분진(粉塵)으로 인해 주변 환경을 해치게 되고, 또 지속적으로 미세 찌꺼기가 쌓여 기계적인 작동상의 결함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9390호(2004.04.26. 등록) 고안의 명칭: 직물표면 세척용 스파팅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8209호(2012.01.16. 등록) 고안의 명칭: 스포팅 머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이동은 물론 휴대가 가능하고, 또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작업대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작업대 상에 흡착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표면에 생기는 보플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흡착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모피류 등의 풀이 죽어 있는 털에 분사하여 회생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본체부의 흡인실 내에 생성된 미세 찌꺼기를 수시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공기 흡입과 불어내는 기능을 부여하여 세탁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 등의 기본적인 제거기능을 포함하여 보플 제거, 모피류의 털 살리기 기능을 행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판부 일측에 연결관이 설치된 작업대와, 이 작업대의 통공 상에 얹혀진 세탁물의 오염부분으로 약품이나 스팀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과, 상기 작업대의 연결관이 끼워져 유지되는 유통관을 갖는 본체부로 이루어져 세탁물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흡인실 및 구동실로 분할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호 마주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연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 내에는 연통공의 일측에 밀착 고정되는 타공판을 포함하여 이 타공판의 끝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편의 내측으로 필터를 개재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인실의 일측면에 오염물질로 인해 생성되는 미세 찌꺼기를 청소하기 위하여 탈착고리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실 내에는 연통공의 일측에 밀착 고정되는 하우징 및 임펠러를 포함하여 외부 배출관을 접속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모터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실의 상단부 외측에는 운반용 손잡이 및 모터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 모터 속도를 가감시키기 위한 조절스위치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흡인실의 상단부 일측에는 결속공이 형성되어 약액통이나 스팀장비로부터 연결된 튜브 및 노즐을 각각 걸어 유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에 의하면, 하나의 본체부 내에 흡인실과 구동실을 마련하여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 자체가 전반적으로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손잡이에 의한 운반 및 휴대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여러 형상으로 제작되는 작업대를 본체부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즉각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물에 묻은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작업을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파팅 처리는 물론 흡입기능을 이용한 보플 제거나 배출공기를 이용하여 털 살리기 등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본체부의 흡인실 내에 생성되는 미세 찌꺼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어 주변 환경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공기 흡입과 불어내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 등의 기본적인 제거기능을 포함하여 의류의 보플 제거, 모피류의 털 살리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파팅 기구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a는 본체부의 평면도,
도 4b는 본체부의 측면도,
도 5는 작업대와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도 6b는 도 5의 "A"부 및 "B"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구동실과 외부 배출관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a는 본체부의 평면도, 도 4b는 본체부의 측면도, 도 5는 작업대와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도 6b는 도 5의 "A"부 및 "B"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구동실과 외부 배출관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세탁물의 이물질이 묻은 부분이나 얼룩진 부분을 얹어 유지하기 위한 작업대(10)와, 약품이나 스팀, 고압 공기 등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20)과,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본체부(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본체부(30) 상에 손잡이(40)가 장착되어 자유롭게 운반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0)의 일측 상단부에는 노즐(20)을 걸어 유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41)가 장착되고 그 일측에 약액통(42)이 담긴 수납용기(43)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20)로부터 약품이나 스팀, 고압 공기를 분사시킴으로써 작업대(10) 상의 세탁물 표면에 묻은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어서 오염물질로 인해 생성된 미세 찌꺼기를 흡착하여 후속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업대(10)는 상판부(11a)의 일측에 작은 통공(12)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판부(11b)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연결관(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0)의 경우 세탁업소에서는 흔히 '우마'라고 불리고 있으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나 형상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20)은 수납용기(43)에 담긴 약액통(42)으로부터 튜브(44)를 개재하여 결속하거나 도시하지 않은 스팀장비나 혹은 콤프레셔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고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지지파이프(41) 상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노즐(20)은 액체나 공기 분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 구조의 것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파이프(41)의 경우, 하단부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본체부(30)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결속공(31)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액통(42)이나 도시하지 않은 스팀장비로부터 연결된 튜브(44) 및 노즐(20)을 각각 걸어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작업대(10)의 연결관(13)이 끼워져 유지되는 유통관(32)을 가짐과 동시에 이 유통관(32)이 장착되는 흡인실(33A) 및 구동실(33B)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흡인실(33A)과 구동실(33B)은 상호 연통공(34a,34b)을 통해 연이어져 있다.
상기 흡인실(33A)의 일측에는 연통공(34a)에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타공판(35) 및 이 타공판(35)의 상,하 끝단부에 형성된 돌출편(36) 사이에 필터(37)가 개재되어 순차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인실(33A)의 외측에는 세탁물의 오염물질로 인해 내부에 생성되는 미세 찌꺼기를 청소하기 위하여 한쌍의 탈착고리(38)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39)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실(33B)에는 연통공(34b)에 밀착 고정되는 하우징(51a) 및 이 하우징(51a) 내에 장착된 임펠러(51b)를 포함하여 배출구(52)를 갖는 모터(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실(33B)의 상단부 일측에는 외부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53)를 포함하여 모터(50)의 속도를 가감시키기 위한 조절스위치(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실(33B)의 일측 하단부에는 전원선(W)이 인입되는 체결구(55)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50)의 배출구(52) 측으로 외부 배출관(56)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절취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본체부(30)의 유통관(32)에 작업대(10)의 연결관(13)을 결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10)의 통공(12) 부분에 세탁물의 얼룩진 부분을 얹어 평편하게 펼쳐 배치한다.
그 후, 본체부(30) 상의 전원스위치(53)를 작동시켜 모터(50)를 가동시킴으로써 작업대(30)에 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 때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조절스위치(54)에 의해 모터(50)의 속도를 가감시킴으로써 작업대(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얼룩진 부분에 약액통(42)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이나 스팀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스팀, 고압 공기 등 노즐(20)에 의해 분사시킴으로써 스파팅 기능에 의한 세탁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세탁 과정에서 생성된 미세 찌꺼기는 작업대(10)의 통공(12)을 통해 본체부(30)의 흡인실(33B) 측으로 유입된다.
또, 상기 본체부(30)를 구성하는 흡인실(33A)과 구동실(33B) 사이에는 타공판(35) 및 이 타공판(35)의 상,하부에 형성된 돌출편(36) 사이에 필터(37)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 찌꺼기는 구동실(33B) 측으로 유입될 수 없고,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흡인실(33A) 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인실(33A)의 일측면에 형성된 커버(39)를 열어 내부 청소를 수시로 실시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흡인실(33A)을 거쳐 구동실(33B) 측으로 인입되는 고압 공기는 배출구(52)에 장착된 외부 배출관(56)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한편, 세탁물 표면에 보플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대(10) 상에 세탁물을 얹어 흡착시킨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커터 등을 이용하여 보플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0)를 구성하는 흡인실(33A)을 통해 구동실(33B)의 배출구(52)에 장착된 외부 배출관(36) 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므로 도시하지 않은 관로나 노즐을 장착시킴에 따라 상기 배출공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모피 의류와 같이 세탁 전에는 풀이 죽어 있던 털에 분사시켜 털을 생생하게 회생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는, 전반적인 구조 자체가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손잡이에 의한 운반 및 휴대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로부터 여러 형태의 작업대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즉각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물에 묻은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작업을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으며, 세탁 과정에서 오염물질로 인해 본체부의 흡인실 내에 생성되는 미세 찌꺼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어 주변 환경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파팅 처리는 물론 공기의 흡입기능을 이용한 보플 제거나 본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모피류의 털 살리기 등과 같은 작업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작업대 11a: 상판부
11b: 하판부 12: 통공
13: 연결관 20: 노즐
30: 본체부 31: 결속공
32: 유통관 33A: 흡인실
33B: 구동실 34a,34b: 연통공
35: 타공판 36: 돌출편
37: 필터 38: 탈착고리
39: 커버 40: 손잡이
41: 지지파이프 42: 약액통
43: 수납용기 44: 튜브
50: 모터 51a: 하우징
51b: 임펠러 52: 배출구
53: 전원스위치 54: 조절스위치
55: 체결구 56: 외부 배출관
57: 절취부

Claims (3)

  1. 상판부(11a) 일측에 통공(12)이 형성되고 하판부(11b) 일측에 연결관(13)이 설치된 작업대(10)와, 이 작업대의 통공 상에 얹혀진 세탁물의 오염부분으로 약품이나 스팀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20)과, 상기 작업대의 연결관이 끼워져 유지되도록 유통관(32)을 갖는 본체부(30)로 이루어져 세탁물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는 흡인실(33A) 및 구동실(33B)로 분할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호 마주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연통공(34a,34b)을 통해 연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33A) 내에는 연통공(34a)의 일측에 밀착 고정되는 타공판(35)을 포함하여 이 타공판의 끝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편(36)의 내측으로 필터(37)를 개재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인실의 일측면에 오염물질로 인해 생성되는 미세 찌꺼기를 청소하기 위하여 탈착고리(38)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39)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실(33B) 내에는 연통공(34b)의 일측에 밀착 고정되는 하우징(51a) 및 임펠러(51b)를 포함하여 외부 배출관(56)을 접속하기 위한 배출구(52)를 갖는 모터(50)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실의 상단부 외측에는 운반용 손잡이(40) 및 모터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53), 모터 속도를 가감시키기 위한 조절스위치(54)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실(33A)의 상단부 일측에는 결속공(31)이 형성되어 약액통이나 스팀장비로부터 연결된 튜브(44) 및 노즐(20)을 각각 걸어 유지하기 위한 지지파이프(41)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KR1020140045224A 2014-04-16 2014-04-16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58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24A KR101589047B1 (ko) 2014-04-16 2014-04-16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24A KR101589047B1 (ko) 2014-04-16 2014-04-16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29A KR20150119629A (ko) 2015-10-26
KR101589047B1 true KR101589047B1 (ko) 2016-01-27

Family

ID=5442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2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9047B1 (ko) 2014-04-16 2014-04-16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20034B1 (ko) * 2023-12-28 2025-06-16 주식회사 진우기술개발 피복제품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445Y2 (ja) * 1991-10-21 1996-06-05 ジューキ株式会社 バキュ―ム台排気装置
KR960011246U (ko) * 1994-09-30 1996-04-15 최창식 자동오염 세척기
KR100349390B1 (ko) 2000-11-08 2002-08-19 (주)영인테크 챔버내의 오염가스 배출 장치
KR100458209B1 (ko) 2004-05-27 2004-11-26 손해열 입력디바이스 실행명령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29A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7087B2 (ja) ガス噴射による攪拌を用いた衣類の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US8800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team in a commercial laundry machine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replacement of conventional dry cleaning or wet cleaning processes
KR101635705B1 (ko) 골프채 헤드 세척기
KR2010012005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65425A1 (en) Cleaning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KR101770103B1 (ko) 세척수 탱크 착탈형 범용 세척장치
KR20090102415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95448A (ja) 布類の洗浄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洗浄装置
KR101589047B1 (ko) 세탁물 처리용 멀티 흡착기
KR101306732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2966316B2 (ja) カーペットの洗浄装置
KR100435047B1 (ko) 금속 가공물의 세척장치
KR101086350B1 (ko) 재생용 오일필터 세척장치
CN109127625A (zh) 一种旋转式玻璃清洗干燥机
KR20140110195A (ko) 재활용 드럼통 세척 시스템 및 세척방법
KR20180096211A (ko) 세정 및 린스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세척기
CN210766045U (zh) 一种十级无尘衣服用烘干机
CN209346957U (zh) 一种洗碗机
KR200469194Y1 (ko) 부품 세척기
KR20090009403A (ko) 부분 세탁용 세탁기
KR100962293B1 (ko) 부품 세척기 및 세척 방법
CN218076951U (zh) 一种用于净化器滤网的清洁装置
CN105750251A (zh) 一种快速自动水洗清洁风干台
CN203768710U (zh) 纺织布料检测清洗装置
CN211311924U (zh) 一种带有衣物揉搓功能的去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