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8738B1 -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38B1
KR101588738B1 KR1020090086374A KR20090086374A KR101588738B1 KR 101588738 B1 KR101588738 B1 KR 101588738B1 KR 1020090086374 A KR1020090086374 A KR 1020090086374A KR 20090086374 A KR20090086374 A KR 20090086374A KR 101588738 B1 KR101588738 B1 KR 10158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video data
decoded
video
deco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782A (ko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15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demultiplex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에러 정정하는 채널 디코더; 상기 에러 정정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1 비디오 디코더;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버퍼로부터 수신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2 비디오 디코더; 상기 각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를 맞추어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수신 모드를 전환하여 적응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모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청 끊김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며, 수신 모드에 따른 처리 과정에서 모드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서로 공유하여 시스템 구성의 간단화 및 소형화를 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함께 시스템 효율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86374
디지털 방송 신호, ISDB-T, 1seg, 12seg, 수신 감도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A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와 같이 촬영 및 송출 기능을 가진 디지털 기기에 의해 피사체는 다양한 모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송신단에서 다양한 모드로 전송하는 것은 수신 환경 등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다만, 종래 수신기는 특정 모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해당 모드 이외의 다른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는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특정 모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에러 비율이 높아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화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시청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전송 모드에 대응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방법에 제안되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신기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고, 그로 인한 비용의 부담이 커질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신기가 각 전송 모드에 대응되는 구성을 모두 구비하였다고 하더라도 시청자가 화면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여 모드 전환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모드를 전환하여야 하는바 수신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공백으로 인해 화면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시청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 환경에 따라 전송 모드에 대응되는 수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적응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 모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청 끊김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 모드에 따른 처리 과정에서 이용되는 구성들 중 일부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의 간단화 및 소형화를 기하고, 그로 인한 비용 절감과 함께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에러 정정하는 채널 디코더; 상기 에러 정정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 는 제1 비디오 디코더;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버퍼로부터 수신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2 비디오 디코더; 상기 각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를 맞추어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와 제2 비디오 디코더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다시 임계치 이내이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시 저장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2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되도록 FIFO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에는 동시에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에는 상기 버퍼에서 일시 저장한 후 출력되는 제2 스 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2 비디오 디코더로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2 세그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 세크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너와 채널 디코더는,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특정 스트림의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각 스트림의 에러 비율을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채널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채널 디코딩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을 중단하고 상기 일시 저장된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는 동시에 디코딩되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다시 임계치 이내이면,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입력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FIFO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2 세그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 세크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첫째, 다양한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신기 자체적으로 수신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수신 모드를 전환하여 방송 신호를 적응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신 모드 전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청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수신 모드에 따른 처리 과정에서 이용되는 구성들 중 일부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의 간단화 및 소형화를 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 절감과 함께 다양한 수신 모드의 구성에 따른 소모 전력 등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 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방송 신호는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에 의해 송, 수신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
ISDB 의 개념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ISDB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에 의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multimedia service)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ISDB는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 6MHz의 대역을 가 지는 1개 채널을 13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하여 영상이나 데이터, 음성 등을 송출한다. 여기서, 13개의 세그먼트 중 12 세그먼트(12seg)를 이용하여 고정 수신용 방송을 제공하고, 나머지 1 세그먼트(1seg)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용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후자를 특히 원세그(One seg)라고도 한다.
이러한 ISDB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방송으로,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사운드(sound), 그래픽스(graphics), 텍스트(text) 등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예1은 고정 수신용으로 12 세그먼트(12seg)를 이용하여 고화질의 HDTV 방송과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4개의 세그먼트로 이용 가능한 보통 화질의 SDTV 프로그램 3개와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고, 모바일 수신용으로 1 세그먼트(1seg)를 이용하여 오디오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이다. 예 1에서 후자의 경우에는 1개의 채널로 서로 다른 프로그램 3개가 동시에 방송될 수 있다.
예2는 고정 수신용으로 12 세그먼트(12seg)를 이용하여 1개의 SDTV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고, 모바일 수신용으로 1 세그먼트(1seg)를 이용하여 1개의 SDTV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이다.
마지막으로, 예3은 모바일 수신용으로 1 세그먼트(1seg)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still picture)과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예이다.
ISD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는바 시스템의 입출력과 관련하여 MPEG-2 TS 규격을 따른다. 그리고 ISDB 스트림에 통합된 디지털 컨텐츠는 각각 적절한 변조 기법과 데이터 율을 가지고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에 다중화와 변조 기법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사용한다. 또한, ISDB는 부분 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이는 송신측에서 세그먼트의 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사용 목적과 주파수 여건에 맞는 여러 가지 시스템의 조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ISDB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101), 오디오(102) 및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103)는 각각 해당 코더(104,105,106)에서 MPEG-2 방식으로 코딩되어 다중화기(multiplexer)(107)에 의해 다중화되어 MPEG-2 TS가 된다.
코딩된 MPEG-2 TS는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 후 변조(modulation)되어 각 전달 매체(medium)를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위성 방송의 경우, 코딩된 MPEG-2 TS는 에러 정정부(108)에서 (204,188)의 RS 코드(Reed Solomon code)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된 후 변조부(109)에서 TC-8PSK 방식으로 변조되어 위성(110)을 통해 전송된다.
케이블 방송의 경우, 코딩된 MPEG-2 TS는 에러 정정부(111)에서 (204,188)의 RS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된 후 변조부(112)에서 64 QAM 방식으로 변조되어 케이블(113)을 통해 전송된다.
지상파 방송의 경우, 코딩된 MPEG-2 TS는 에러 정정부(114)에서 (204,188)의 RS 코드와 길쌈 부호화 코드(convolutional code)(1/2,2/3,3/4,5/6,7/8)를 이용하 여 에러 정정된 후 변조부(115)에서 세그먼트된 OFDM(Segment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으로 변조되어 안테나(116)를 통해 전송된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SDB 방식 중 특히 지상파 방송을 위한 ISDB-T(errestrial)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고, 위성 방송과 케이블 방송의 경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SDB-T 방송 시스템은, 신호의 강건함(Robustness)을 위한 SFN(Single Frequency Networks)을 구축하기 위해 변조 방식으로 OFDM 방식을 사용하며, 확장성(extensible)과 부분 수신이 가능하도록 세그먼트 구조를 이용한다. 또한, 휴대용 또는 모바일 수신을 위해 시간 인터리빙(time interleaving) 기술을 차용하며, 유연함(flexible)과 다양성(versatile)을 보장하기 위해 TMCC(Transmission and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ISDB -T의 기본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ISDB-T의 다중화와 스펙트럼을 통해 계층 전송과 부분 수신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ISDB-T의 변조 스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ISDB 방식의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ISDB-T 방식에 따라 방송 신호가 송수신 되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ISDB-T는 전송할 디지털 방송 신호를 위해 소스 코딩으로 MPEG-2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RF 전송 채널은 OFDM 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서, 전송 대역폭은 6MHz 채널에 전송에 적합한 5.6MHz이다.
다른 전송 파라미터(transmission parameter)들을 가진 세 개의 다른 서비스들은 하나의 전송 채널을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계층 전송(hierarchical transmission)이라 한다. 즉, ISDB-T는 각각의 계층 레이어에 대해 상호 독립적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수신 여건에 따라 다중화된 프로그램을 유연하게 편집하여 수신할 수 있다.
ISDB-T는 전송하고자 하는 각 데이터 예를 들어, 오디오 프로그램, HDTV 프로그램, SDTV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등을 다중화하고 OFDM 스펙트럼 형태로 수신측으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SDB-T는 OFDM에 기초한 BST(band segmented transmission)-OFDM이라는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바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채널은 6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상기 하나의 OFDM 스트림 내 OFDM 세그먼트들의 수는 와이드밴드(wide band) ISDB-T의 경우에는 13 개이고, 내로우밴드(narrow band) ISDB-T의 경우에는 1 또는 3개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OFDM 세그먼트의 대역폭은 6/14 MHz 즉, 429 kHz가 된다. 이때, 상기 각 OFDM 세그먼트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3과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SDB-T의 다중화와 스펙트럼을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ISDB-T 방식은 크게 와이드밴드 ISDB-T 방식과 내로우밴드 ISDB-T 방식이 있다. 그리고 각각은 와이드밴드 수신기(310)와 내로우밴드 수신기(320)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먼저, 와이드밴드 ISDB-T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스펙트럼은 다중화되는 오디오 프로그램과 HDTV 프로그램이 5.6 MHz의 대역(330)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이때, 스펙트럼은 총 13개의 OFDM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와이드밴드 수신기(310)로 전송된다. 상기 스펙트럼의 중앙에 위치한 1개의 OFDM 세그먼트(331)는 내로우밴드 수신기(320)로 전송된다.
두번째 스펙트럼은 다중화되는 오디오 프로그램, 모바일 수신을 위한 SDTV 프로그램과 고정 수신을 위한 SDTV 프로그램이 5.6 MHz의 대역(340)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이때, 스펙트럼은 총 13개의 OFDM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와이드밴드 수신기로
다음으로, 내로우밴드 ISDB-T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스펙트럼은 1개의 오디오 프로그램만 429kHz의 대역(350)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이때, 스펙트럼은 1개의 OFDM 세그먼트만으로 구성되어 내로우밴드 수신기(320)로 전송된다.
두번째 스펙트럼은 다중화되는 오디오 프로그램과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가 1.3MHz의 대역(360)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이때, 스펙트럼은 총 3개의 OFDM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내로우밴드 수신기(320)로 전송된다.
다만, 내로운밴드 ISDB-T 방식에 의해 형성된 OFDM 세그먼트들은 와이드밴드 수신기(310)로도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도 3은 부분 수신의 개념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와이드 밴드 ISDB-T의 스펙트럼 내 OFDM 세그먼트들은 모두 하나의 세트로 와이드밴드 수신기(310)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일부는 내로우밴드 수신기(320)로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방송 스펙트럼의 부분 수신은 계층 전송의 특별한 케이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OFDM 스펙트럼은 13개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만약 전송 파라미터들의 영향 범위가 하나의 OFDM 세그먼트에 제한된다면, 해당 세그먼트는 다른 12세그먼트들과 독립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특히, 내로우밴드 수신기(320)는 상기와 같은 1개의 OFDM 세그먼트를 완전한 신호의 형태로 수신 가능하다.
부분 수신과 관련하여, 전송되는 신호 상에서 주파수 인터리빙(frequency interleaving)의 범위를 한 세그먼트 내로 제한하면 해당 세그먼트를 다른 세그먼트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한 개의 OFDM 세그먼트 대역폭을 가진 내로우밴드 수신기(narrow band receiver)(320)로 전송 채널 내에 포함된 서비스의 부분 수신이 가능하다. 한 개의 세그먼트만이 부분 수신에 할당되고, 이것은 반드시 OFDM 세그먼트들의 중간에 위치해야 한다.
ISDB-T 시스템에서의 다중화는 MPEG-2 시스템의 규격을 따른다. ISDB-T에서의 계층적 다중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단일 TS는 계층 전송의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정해진 대역폭의 전송 채널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TS의 분리와 결합 이 필요하며, 이러한 처리는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에서 이루어진다. 부분 수신을 위한 신호는 한 채널 전체 신호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TS의 일부분만이 부분 수신에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채널 코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채널 코딩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한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채널 코딩은 계층 코딩과 관련하여, 3개의 경로들로 제공된다.
재다중화기(remultiplexer)(501)는, 전송 스트림(TS)을 OFDM 프레이밍 이전에 재다중화(remultiplexing)하여 데이터 세그먼트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우터 코더(502)(outer coder)는, 매 전송 스트림 패킷에 적용되는 RS 코드를 포함하여, 수신기에서 전송 스트림 패킷 내 8개의 잘못된 바이트들에 대한 오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플리터(splitter)(5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 코더(502)를 거친 전송 스트림 패킷을 각 경로로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각 경로에 따른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 공통적으로 설명한다. 에너지 분산부(energy dispersal)(504)는, 데이터 스트림에 PRBS(pseudo random binary sequence)를 부가하여 바이너리 변화들의 충분한 수를 보장한다.
지연 조정부(delay adjustment)(505)와 바이트-와이즈 인터리버(506)은 변조와 코드율이라는 두 가지 전송 파라미터에 의존할 때, 세 가지 경로들 중 데이터 스트림들이 다른 딜레이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송신기에서 바이트-와이즈 인터리 빙(byte-wise interleaving)과 수신기에서 역인터리빙(deinterleaving)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지연 조정은 수신기의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코더(coder)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트-와이즈 인터리버(byte-wise interleaver)(506)는 시퀀스(sequence)를 재배열함으로써 인접 데이터를 분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 스트림(TS)은 OFDM 프레이밍 이전에 재다중화(remultiplexing)되어 데이터 세그먼트(data segment)로 정렬되어 채널 부호화 (channel coding) 된다. 채널 부호화 이후, 데이터에 파일럿 신호(pilot signal)가 삽입되어 OFDM 세그먼트(OFDM segment)가 만들어진다.
ISDB-T에서는 각각의 데이터 세그먼트에 대해, OFDM 반송파의 변조 방법에 대한 전송 파라미터와 시간 인터리빙(time interlaeving)의 길이를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ISDB-T의 계층 전송은 한 채널 상에서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가진 OFDM 세그먼트 그룹을 전송함으로써 가능하다. 한 채널에서 최대 3개 층(서로 다른 세그먼트 그룹)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수신은 한 개의 계층 레이어로 간주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채널 코딩 이후 변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의 일 예이다.
변조는 비트 역인터리버(bit deinterleaver)(601)와 맵퍼(mapper)(60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변조는 비트-와이즈 인터리빙에 의한 지연 조정과 변조의 컨스텔레이션 다이어그램(constellation diagram) 매핑이 포함된다. ISDB-T에서의 가능한 컨스텔레이션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64QAM이 포함된다.
이렇게 계층화된 데이터 스트림은 동기화되고 시간 인터리빙(603)과 주파수 인터리빙(604)을 거쳐 OFDM 프레임(606)이 형성된다. OFDM 프레임부(606)은 주파수 인터리빙까지 마친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프레이밍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파일럿과 제어 신호(605)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형성된 OFDM 프레임은 IFFT(607)를 거쳐 보호 구간(guard interval)이 삽입되어(608) OFDM 방식으로 전송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MPEG-2 TS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제1 실시예 ( ISDB -T 12seg 수신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ISDB-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12seg TS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튜너부(701), 채널 디코더(702), 역다중화부(705), 12seg A/V 디코더(709/706) 및 출력부(708/710)로 구성할 수 있다.
튜너부(701)는, 수신기가 켜지고(turn on), 사용자 등에 의한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채널을 튜닝한다. 관련하여, 사용자 등이 리모컨을 통해 채널 변경 등의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감지부(IR)(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해당 코드를 시스템 제어부(711)로 전달된다. 시스템 제어부(711)는 입력되는 키 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코드에 따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 신호를 각 구성 요소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튜너부(701)는 변경된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공조하여, 설정된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포함된 반송파를 수신하고, 이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채널 디코더(702)로 전달한다.
채널 디코더(702)는 복조부(703)와 에러 정정부(7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달받은 신호를 채널 디코딩한다.
복조부(703)는, 전달받은 중간 주파수에 포함된 신호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한다.
에러 정정부(704)는, 복조된 신호가 전달 과정에서 방해물과 반사파에 의한 에러가 발생된 경우 해당 에러를 정정한다. 상기 에러 정정부(704)는, 상기 에러 정정된 신호에 포함된 실제 방송 내용이 포함된 스트림을 역다중화부(705)로 전달한다.
역다중화부(705)는, 에러 정정부(704)에서 에러 정정되어 수신된 신호로부터 12seg TS의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비디오 디코더(706)는, 역다중화된 12seg TS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비디오 처리부(707)는, 비디오 디코더(706)에서 디코딩된 12seg TS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화면(708)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포맷 즉, 화면의 특성에 맞추 어서 표시될 수 있도록 변환, 처리한다.
오디오 디코더(709)는, 역다중화된 12seg TS의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이때, 오디오 디코더(709)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706)에서 처리되어 비디오 처리부(707)를 거쳐 화면(708)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가 맞도록 처리되고 스피커(710)를 통해 출력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수신기에서 사용자 등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출력까지의 소요 시간은 예를 들어, 약 1초가 소요된다.
제2 실시예 ( ISDB -T 1 seg 수신기)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ISDB-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1seg TS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튜너부(801), 채널 디코더(802), 역다중화부(806), 1seg A/V 디코더(810/807) 및 출력부(809/811)로 구성할 수 있다.
튜너부(801)는, 수신기가 켜지고(turn on), 사용자 등에 의한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채널을 튜닝한다. 관련하여, 사용자 등이 리모컨을 통해 채널 변경 등의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감지부(IR)(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해당 코드를 시스템 제어부(812)로 전달된다. 시스템 제어부(812)는 입력되는 키 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코드에 따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 신호를 각 구성 요소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튜너부(801)는 변경된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공조하여, 설정된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포함된 반송파를 수신하고, 이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채널 디코더(802)로 전달한다.
채널 디코더(802)는 복조부(803), 시간 역인터리버(804) 및 에러 정정부(80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달받은 신호를 채널 디코딩한다.
복조부(803)는, 전달받은 중간 주파수에 포함된 신호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한다.
시간 역인터리버(804)는, 복조부(803)에서 복조된 OFDM 신호 내 반복적 순차적인 시간 간격으로 실려오는 특정 방송 내용물을, 반복적 순차적으로 꺼내어 조립한다.
에러 정정부(805)는, 복조된 후 시간 역인터리버(805)에서 조립된 신호가 전달 과정에서 방해물과 반사파에 의한 에러가 발생된 경우 해당 에러를 정정한다. 상기 에러 정정부(805)는, 상기 에러 정정된 신호에 포함된 실제 방송 내용이 포함된 스트림을 역다중화부(806)로 전달한다.
역다중화부(806)는, 에러 정정부(805)에서 에러 정정되어 수신된 신호로부터 1seg TS의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비디오 디코더(807)는, 역다중화된 1seg TS의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비디오 처리부(808)는, 비디오 디코더(807)에서 디코딩된 1seg TS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화면(809)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포맷 즉, 화면의 특성에 맞추어서 표시될 수 있도록 변환, 처리한다.
오디오 디코더(810)는, 역다중화된 1seg TS의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이때, 오디오 디코더(810)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807)에서 처리되어 비디오 처리부(808)를 거쳐 화면(809)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가 맞도록 처리되고 스피커(811)를 통해 출력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수신기에서 사용자 등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출력까지의 소요 시간은 예를 들어, 약 4초가 소요된다.
제3 실시예 ( ISDB -T 1 seg /12 seg 수신기)
상기 제1 실시 예에서는 ISDB-T 12seg TS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상기 제2 실시 예에서는 ISDB-T 1seg TS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는 각 TS에 대한 전용 수신기를 예시하고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1seg TS와 12seg TS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서는, 해당 튜너 및 디코더들을 2쌍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최종 영상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전술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 구성의 2배에 해당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필요하고,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1seg TS와 12seg TS를 동시에 수신하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고화질 방송이 가능한 12seg 방송을 청취하면서, 수신 환경에 따른 수신 감도 등의 저하로 인해 12seg 방송의 화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하여 1seg 방송이 끊김 없이 방송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자 한다. 또한, 중복되는 구성 요소는 서로 공유하여 수신기 구성의 소형화, 단순화하고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ISDB-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1seg TS/12seg TS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수신기에서 상기 1seg TS/12seg TS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크게 튜너부(901), 채널 디코더(902), 역다중화부(906/907), 비디오 디코더(909/910) 및 출력부(912/914)로 구성할 수 있다.
튜너부(901)는, 수신기가 켜지고(turn on), 사용자 등에 의한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채널을 튜닝한다. 상기에서 튜너부(901)는 변경된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공조하여, 설정된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포함된 반송파를 수신하고, 이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채널 디코더(902)로 전달한다. 관련하여, 사용자 등이 리모컨을 통해 채널 변경 등의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감지부(IR)(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해당 코드를 시스템 제어부(915)로 전달된다. 시스템 제어부(915)는 입력되는 키 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코드에 따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 신호를 각 구성 요소로 전달한다.
채널 디코더(902)는 복조부(903), 시간 역인터리버(904) 및 에러 정정 부(90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튜너부(901)를 거쳐 전달되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채널 디코딩한다. 여기서, 채널 디코더(902)는 12seg TS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복조부(903)를 거쳐 상기 시간 역인터리버(904)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에러 정정부(905)로 입력될 수 있다.
채널 디코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조부(903)는, 전달받은 중간 주파수에 포함된 신호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한다. 시간 역인터리버(904)는, 특히 1seg TS의 경우에 복조부(903)에서 복조된 OFDM 신호 내 반복적 순차적인 시간 간격으로 실려오는 특정 방송 내용물을, 반복적 순차적으로 꺼내어 조립한다. 에러 정정부(905)는, 복조부(903)를 거쳐 복조된 12seg TS 또는 복조된 후 시간 역인터리버(904)에서 조립된 1seg TS가 전달 과정에서 방해물과 반사파에 의한 에러가 발생된 경우 해당 에러를 정정한다. 상기 에러 정정부(905)는, 상기 에러 정정된 신호에 포함된 실제 방송 내용이 포함된 스트림 즉, 1seg와 12seg를 포함한 13seg 방송 내용이 전부 포함된 스트림을 1seg 역다중화부(906)과 12seg 역다중화부(907)로 동시에 전달한다.
1seg TS 역다중화부(906)는, 에러 정정부(905)에서 에러 정정되어 수신된 1seg TS를 수신하여, 수신된 1seg TS로부터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12seg TS 역다중화부(907)는, 에러 정정부(905)에서 에러 정정되어 수신된 12seg TS를 수신하여, 수신된 12seg TS로부터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1seg 비디오 버퍼(908)는, 1seg TS 역다중화부(906)에서 역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일시 저장한다. 이때, 상기 1seg 비디오 버퍼(908)는 예를 들어, 3초 분량의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1seg 비디오 버퍼(908)는, 비디오 스트림을 FIFO(first input first output) 처리한다.
1seg 비디오 디코더(909)는, 1seg 비디오 버퍼(909)에서 일시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12seg 비디오 디코더(910)는, 12seg TS 역다중화부(907)에서 역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1seg 비디오 디코더(909)와 12seg 비디오 디코더(910)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처리부(911)에서 화면(91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포맷 즉, 화면의 특성에 맞추어서 표시될 수 있도록 변환, 처리한다.
오디오 디코더(913)는, 1seg TS 역다중화부(906)와 12seg TS 역다중화부(907)에서 역다중화된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스피커(914)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디코더(913)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909/910)에서 처리되어 비디오 처리부(911)를 거쳐 화면(912)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가 맞도록 처리된다.
1seg TS 역다중화부(906)로 입력되는 1seg 스트림은 1seg 비디오 스트림과 1seg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 된다. 상기 역다중화된 1seg 비디오 스트림은 상술한 바와 같이, 1seg 비디오 버퍼(908)에 저장된다. 여기서, 만약 시청자가 1seg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라면, 1seg 비디오 버퍼(908)에 저장되는 스트림은 바로 1seg 비디오 디코더(909)로 전달되고, 1seg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디코더(913)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다만, 이때 만약 시청자가 12seg 영상을 시청하는 상태이더라도, 1seg 비디오 버퍼(908)에는 동시에 또는 계속하여 1seg 스트림이 저장된다. 이렇게 동시에 저장하는 이유는, 12seg 시청 상태에서 1seg 시청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짧은 시간 내에 1seg TS를 1seg 비디오 디코더(909)로 전달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환에 따른 화면 끊김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913)의 경우에는, 1seg/12seg 처리 과정에서 서로 공유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 저하를 방지한다. 이는 오디오 스트림의 경우 디코딩 착수 시간이 매우 짧아 1seg와 12seg의 수신의 전환이 일어나는 시점에서, 1seg 오디오로 사용할 것인지 또는 12seg 오디오로 사용할 것인지 용도를 결정하더라도 전체 디코딩 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12seg TS 역다중화부(907)로 입력되는 12seg 스트림은, 12seg 비디오 스트림과 12seg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된다. 여기서, 만약 시청자가 12seg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라면, 12seg 비디오 스트림은 12seg 비디오 디코더(910)로 전달되고, 12seg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디코더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선택된 비디오 디코더는 유입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송신된 방송 내용과 동일한 비디오 프레임들을 생성하게 된다.
시스템 제어부(915)는, 튜너(901) 및 채널 디코더(902)를 통해서 수신 환경에 따른 수신 감도를 체크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915)는 에러 정정되는 TS의 에 러 비율로부터 해당 TS의 수신 감도를 판단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915)는, TS의 에러 비율이 기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수신 감도가 저하되었으므로 1seg TS가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1seg 버퍼(908)와 1seg 비디오 디코더(909)를 제어하여 1seg TS가 디코딩되어 화면(9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시스템 제어부(915)는 TS의 에러 비율이 기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수신 감도가 저하되지 않았으므로, 현재 상태가 유지되거나 고품질의 12seg 시청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즉, 현재 12seg 시청 상태라면 계속하여 12seg TS가 처리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현재 1seg 시청 상태라면 12seg 시청 상태로 전환하여 12seg TS가 처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임계치는 에러 비율이 10%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전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915)는, 에러 정정되는 TS의 수신 감도에 따라 수신 감도가 좋으면 12seg 시청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1seg 시청상태에서 12seg 시청 상태로 전환하여 시청자에게 고품질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 감도가 좋지 않으면 1seg 시청 상태로 전환하여 수신 감도 저하에 따른 화질의 방송보다는 보통 화질이지만 수신 능력이 좋은 1seg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는 TS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수신 감도를 체크하여 체크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되어 처리된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에게 화면이 끊기지 않으면서 계속하여 방송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신 감도가 나빠 12seg 시청 상태에서 1seg 시청 상태로 1차 전환한 경우에도 다시 수신 감도가 좋아지면 다시 12seg 시청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ISDB-T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도 7 내지 9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ISDB-T 방식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튜너(901)를 통해 ISDB-T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채널을 튜닝한다(S1001).
채널 디코더(902)는, 상기 S1001 과정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채널 디코딩한다(S1002). 여기서, 채널 디코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조, 시간 역인터리빙, 에러 정정 등의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S1002 과정을 통해 채널 디코딩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1seg TS와 12seg TS로 역다중화한다(S1003).
역다중화된 12seg TS를 디코딩하고, 역다중화된 1seg TS는 버퍼(908)에 일시 저장한다(S1004). 상기 12seg TS는 비디오 프레임 부분은 비디오 디코더(910)에서 디코딩되고, 오디오 프레임 부분은 오디오 디코더(913)에서 디코딩된다. 여기서, 상기 12seg TS에 대한 디코딩 과정과 1seg TS에 대한 저장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S1004 과정을 통해 디코딩된 12seg 비디오 프레임과 오디오 프레임을 동기를 맞추어 출력한다(S1005).
수신기는 상기 S1003 과정 이후에 12seg TS의 에러 비율을 체크한다. 즉, 수신기는 12seg TS의 에러 비율이 기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한다(S1006). 상기 S1006 과정은 상술한 S1004 또는 S1005 과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해진 임계치는 예를 들어, 에러 비율이 10%인 경우를 들 수 있다.
S1006 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만약 12seg TS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면, 계속하여 상술한 S1004와 S1005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S1006 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만약 12seg TS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라면, 상술한 S1004 과정에서 계속하여 일시 저장되고 있는 1seg TS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S1007). 이는 12seg TS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 되면 수신 환경에 따른 수신 감도 저하로 인해 출력되는 화면의 질이 저하되어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S1004 과정에서 버퍼(908)는 1seg TS를 일시 저장한 후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FIFO(first input first output) 한다. 따라서, S1006 과정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버퍼(908)로부터 해당 1seg TS를 바로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12seg TS 모드에서 1seg TS 모드 전환에 따른 화면의 끊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2seg TS와 1seg TS 특히, 비디오 프레임은 동시에 처리되지 않는다. 즉, 도 9에서 1seg 비디오 디코더(909)와 12seg 비디오 디코더(910)는 동시에 동작하지 않는다. 다만, 오디오 디코더(913)는 그 데이터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1seg TS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와 12seg TS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서로 공유하고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1개만 구비하여도 충분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신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시청 상태를 전환하여 적응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시청자는 화면의 끊김 없이 방송을 계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ISDB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전송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SDB-T의 다중화와 스펙트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ISDB-T의 변조 스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채널 코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변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ISDB-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ISDB-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ISDB-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ISDB-T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5)

  1.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이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에러 정정하는 채널 디코더;
    상기 에러 정정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1 비디오 디코더;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버퍼로부터 수신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2 비디오 디코더;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되는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를 맞추어 디코딩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되는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를 맞추어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와 제2 비디오 디코더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다시 임계치 이내이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시 저장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2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되도록 FIFO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에는 동시에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더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동안에는 상기 버퍼에서 일시 저장한 후 출력되는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2 비디오 디코더로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7. 제1항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2 세그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
  8. 제1항에서,
    상기 제2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 세크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와 채널 디코더는,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특정 스트림의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각 스트림의 에러 비율을 체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0.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채널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채널 디코딩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을 중단하고 상기 일시 저장된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하나의 오디오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되는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를 맞추어 디코딩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트림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되는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를 맞추어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는 동시에 디코딩되어 출력되지 않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다시 임계치 이내이면, 상기 제1 스트림의 비디오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림의 에러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2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FIFO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4. 제10항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2 세그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5. 제10항에서,
    상기 제2 스트림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1 세크먼트로 처리된 스트림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20090086374A 2009-09-14 2009-09-14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Active KR10158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74A KR101588738B1 (ko) 2009-09-14 2009-09-14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74A KR101588738B1 (ko) 2009-09-14 2009-09-14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82A KR20110028782A (ko) 2011-03-22
KR101588738B1 true KR101588738B1 (ko) 2016-01-26

Family

ID=4393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374A Active KR101588738B1 (ko) 2009-09-14 2009-09-14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497A (ja) * 2006-01-13 2007-07-26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受信装置、階層切り替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52821A (ja) * 2007-12-20 2009-07-09 Sharp Corp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497A (ja) * 2006-01-13 2007-07-26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受信装置、階層切り替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52821A (ja) * 2007-12-20 2009-07-09 Sharp Corp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82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4419A (en) Transmodulated broadcast delivery system for use in multiple dwelling units
US6483553B1 (en) TV receiver for digital/analog combined use
JP4141952B2 (ja) 信号の受信を改善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受信機
EP2540002A2 (en) Encoder and encoding method providing incremental redundancy
KR101414472B1 (ko) 멀티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송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301289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s
JP3731379B2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4662447B2 (ja) 地上波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階層切り替え方法
US8423874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JP4920004B2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244424B2 (ja) テレビ放送用送受信システム
KR101588738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CA2723861C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s thereof
WO2007037424A1 (ja) 受信装置
KR100862307B1 (ko) 디엠비 및 브이에스비 튜너 모듈
US20070143822A1 (en) Receiver and tuner
JPH1188789A (ja) ディ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と関連情報の送信装置
JP7590937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7644675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838265B2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3972952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6418564B2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783704B2 (ja) 受信装置
JP4029894B2 (ja) 送信方法
KR100710990B1 (ko) 위성 방송 시스템에서의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