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8737B1 -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37B1
KR101588737B1 KR1020150087558A KR20150087558A KR101588737B1 KR 101588737 B1 KR101588737 B1 KR 101588737B1 KR 1020150087558 A KR1020150087558 A KR 1020150087558A KR 20150087558 A KR20150087558 A KR 20150087558A KR 101588737 B1 KR101588737 B1 KR 10158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essure
magnitude
grip
grip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050A (ko
Inventor
이종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0W205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립 상태를 감지하는 그립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그립 상태를 기초로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가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일 때, 상기 한 영역에 따른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며,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제어 단계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VEHICLE DRIVING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 Driver Information System)은 차량 내에서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휠, 도어, 윈도우, 미러 등 각종 장치를 제어하고, 각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한편, 운전자 정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는 운전석 주변에 배치되고, 8방향 또는 4방향의 조이스틱, 다이얼 및 버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운전자는 조이스틱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다이얼을 회전시키거나, 버튼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는 등의 동작으로 조작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조작 스위치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운전자가 주행 중에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조작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에서 벗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조작 스위치 대신 핸들의 그립(grip) 상태에 따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용 운전 장치는, 차량의 핸들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립 상태를 감지하는 그립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그립 상태를 기초로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가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일 때, 상기 한 영역에 따른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며,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제어 단계를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의 바깥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동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운전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를 전달받고, 상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경고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차량용 운전 조작 방법은 차량의 핸들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핸들의 그립 상태가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일 때, 상기 한 영역에 따른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제어 단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운전 조작 방법은, 상기 핸들의 바깥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동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시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운전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경고 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들에 그립 센서를 배치하고, 그립 센서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직관적인 버튼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에 적외선 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직관적인 버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직관적인 버튼으로 운전자 정보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다이얼 등과 같은 조작 장치를 대체할 수 있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IS 조작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DIS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1)는 그립 감지부(100), 모션 감지부(200), 제어부(300) 및 통신부(400)를 포함한다. 그립 감지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는 그립 감지 신호(GSD)를 생성한다.
여기서, 그립 감지부(100)는 차량 내에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 예컨대 압전 센서 또는 피에조(Piezo)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 감지부(100)는 핸들의 바깥 테두리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압전 센서 또는 피에조 센서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센서 또는 피에조 센서가 핸들의 테두리 영역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그립 감지부(100)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위치 별로 그립 감지 신호(GSD)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200)는 사용자의 모션(motion)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MSD)를 생성한다. 여기서, 모션 감지부(200)는 차량 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션 감지부(200)는 핸들의 안쪽 테두리 영역 또는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200)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으로 동작하는 경우 해당 모션을 판단하여 모션 감지 신호(MSD)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모션은 방향 제스처에 대응하는 손가락의 회전 또는 터치 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그립 감지 신호(GSD) 및 모션 감지 신호(MSD)를 전달받아 그립 상태 및 모션 상태를 판단하고, 그립 상태 및 모션 상태에 대응하는 장치 제어 신호(CONT)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그립 감지 신호(GSD)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 및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압력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그립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미리 저장된 모션 정보로부터 모션 감지 신호(MSD)에 대응하는 모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과 통신한다. 통신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생성된 제어 신호(CONT)를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에 송신하거나,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으로부터 현재 차량의 상태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1)를 이용한 조작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DIS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핸들(2)을 잡고, 핸들(2)의 상측 영역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 그립 감지부(100)는 해당 위치 및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그립 감지 신호(GSD)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가 핸들(2)을 잡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00)는 좌측 방향 버튼에 대응하는 그립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좌측 방향 지시등을 턴 온 시키는 장치 제어 신호(CONT)를 생성하고, 통신부(400)를 통해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은 좌측 방향 지시등을 턴 온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핸들(2)을 잡은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00)는 우측 방향 버튼에 대응하는 그립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핸들(2)의 상/하/좌/우 영역 각각을 상/하/좌/우 방향 버튼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2)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를 복수의 제어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약 1N의 힘을 핸들(2)의 상측 영역에 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볼륨, 온도 등을 1단계 상승시키는 그립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약 2N의 힘을 핸들(2)의 상측 영역에 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볼륨, 온도 등을 2단계 상승시키는 그립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으로 핸들(2)을 잡고, 핸들(2)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경고 버튼에 대응하는 그립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경고 버튼에 대응하는 그립 상태인 경우 브레이크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으로부터 통신부(400)를 통해 브레이크의 압력 상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300)는 브레이크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브레이크가 급 제동될 수 있는 경고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음을 발생시키는 장치 제어 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대응하는 메뉴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장치 제어 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을 다 펼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흔들면 오디오 장치를 선택하는 장치 제어 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핸들(2)을 잡고 일정 크기의 압력을 가하면 메뉴 시작 버튼으로 판단하고, 메뉴 시작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그립 감지부
200: 모션 감지부
300: 제어부
400: 통신부

Claims (4)

  1. 차량의 핸들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립 상태를 감지하는 그립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그립 상태를 기초로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가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일 때, 상기 한 영역에 따른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며,
    상기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제어 단계를 설정하고,
    상기 핸들의 바깥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동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운전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를 전달받고, 상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경고 음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2. 삭제
  3. 차량의 핸들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핸들의 그립 상태가 복수의 영역 중 한 영역일 때, 상기 한 영역에 따른 방향 버튼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핸들의 그립 상태에서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제어 단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핸들의 바깥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동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시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운전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의 압력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경고 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운전 조작 방법.
  4. 삭제
KR1020150087558A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Active KR10158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58A KR101588737B1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58A KR101588737B1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861A Division KR101550602B1 (ko) 2013-06-21 2013-06-21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50A KR20150083050A (ko) 2015-07-16
KR101588737B1 true KR101588737B1 (ko) 2016-01-26

Family

ID=5388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558A Active KR101588737B1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82360B (zh) * 2024-05-16 2024-08-06 宁波赛宝信息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内音量大小调节方法、系统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343A (ja) * 2010-03-31 2011-10-27 Tk Holdings Inc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15U (ko) * 1998-10-08 2000-05-06 홍종만 자동차의 방향지시램프 자동제어장치
KR101237035B1 (ko) * 2009-11-30 2013-02-25 홍석기 방향지시 표시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343A (ja) * 2010-03-31 2011-10-27 Tk Holdings Inc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50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061B2 (en) Multi-dimensional trackpad
CN108068828B (zh) 用于驾驶系统控制的触觉反馈
JP5842157B2 (ja) 車両用入力装置及び車両用入力方法
US9170729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surface control device and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EP2264564B1 (en) Vehicle commander control switch and method
WO2013080774A1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665554B1 (ko)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EP3202623B1 (en) Vehicle and steering unit
US20150253950A1 (en) Manipulating device
JP2009248629A (ja) 車載機器の入力装置及び車載機器の入力方法
JP2003167668A (ja) 回転式入力装置
KR101550602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JP2016168960A (ja) 車両用操作システム
KR101588737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1237035B1 (ko) 방향지시 표시 제어장치
JP7028118B2 (ja) 車両制御装置
JP4847029B2 (ja) 入力装置
KR102428266B1 (ko) 차량 조향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20057540A (ja) 操作装置及び操作制御方法
KR101714517B1 (ko)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20170010576A (ko) 카본마이크로코일(cmc)의 통합센서를 가진 로봇 및 그의 제어 장치
JP6824129B2 (ja) 操作装置
JP5850722B2 (ja) タッチ式センサ
JP2008290633A (ja) 操舵装置
KR20170109459A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306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07186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