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419B1 -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 Google Patents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419B1 KR101588419B1 KR1020140157130A KR20140157130A KR101588419B1 KR 101588419 B1 KR101588419 B1 KR 101588419B1 KR 1020140157130 A KR1020140157130 A KR 1020140157130A KR 20140157130 A KR20140157130 A KR 20140157130A KR 101588419 B1 KR101588419 B1 KR 101588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ridge
- heating
- housing
- dental
- c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9000005548 dental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99 Gutta-Perch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342 Palaquium gut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88 gutta-percha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62 dental pulp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이 개방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치과용 매트리얼이 수용되고, 상기 치과용 매트리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니들부재가 결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감싸게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싱과; 상기 보호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치과용 매트리얼이 상기 니들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내부로 삽입되는 가열관과; 상기 가열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펠티어효과에 의해 상기 가열관으로 열을 가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heating device for a dental mat, the dental heat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distal end opened; a detachable coupling to an open end of the housing, the dental mat being received therein, A cartridge to which a needle member to be discharged is coupled; A protective casing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housing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A hea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casing and the cartridge, the heating unit heating the cartridge; And a cartridge driving part for pressing the rear end of the cartridge to discharge the dental mat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edle member, wherein the heating part includes: a heating tube into which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a Peltier element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tube and applying heat to the heating tube by a Peltier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치과용 매트리얼을 펠티어효과를 이용해 가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matheater heating inj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matheater heater injecto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heating a dental mat using a Peltier effect.
치과에서는 충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치아의 썩은 부위를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치수가 손상된 경우는 손상되거나 오염된 치수를 제거한 후 치료 부위인 근관에 치과용 매트리얼(근관충전용 시멘트 또는 씰러)을 채워 넣어 밀폐시킨 상태에서 보철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In dentistry, tooth decay is removed by using a perforator to remove cavities, and if the dimension is damaged, the damaged or contaminated dimension is removed, and then the dental mat (the cement or filler for filling the root canal) ) Is filled in a closed state and the prosthesis is used.
이렇게 근관을 충전할 때는 치과용 매트리얼이 근관에 침투하여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임시 충전물로서 구타페르카 콘을 이용하게 된다. 구타페르카 콘을 근관벽에 밀착시키기 위한 충전기로 공개실용 2008-0003483호와 공개특허 2008-0080470호에 개시된 치과용 충전기(옵츄레이터)가 사용된다. When filling the canal, the gutta percha cone will be used as a temporary filler to help the dental matte penetrate the canal and completely close it. As a charger for bringing gutta percha con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oot canal walls, there is used a dental charger (an observer)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08-0003483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80470.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치과용 충전기는 치과용 매트리얼을 니들을 이용해 치아로 공급할 때 고형의 충전재를 가열하여 액상으로 공급하기 위해 열선히터가 사용된다. 즉, 열선히터가 카트리지 외부에 권선되어 카트리지를 히팅함으로써 내부의 충전재을 가열시킨다. In a conventional dental charger as disclosed, a hot wire heater is used to supply a solid filler in liquid form when the dental mat is supplied to the teeth using a needle. That is, the hot wire heater is wound outside the cartridge to heat the filler inside by heating the cartridge.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치과용 충전기는 열선히터에서 발생되는 열량 중 외부로 손실되는 열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열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열선히터에 의해 카트리지만 가열되는 것이 아니고 외측에 위치한 외부케이싱도 가열되므로 치과용 충전기에 환자의 구순이 접촉되어 환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ntal charg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heat lost to the outside among the heat amount generated from the heat wire heater is relatively large, and the heat efficiency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cartridge is heated by the hot wire heater but the outer casing located outside is also heated, the patient's lips contact with the dental charger and the patient may suffer bur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용 매트리얼이 수용되는 카트리지만 가열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시료할 수 있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dental mat heating injector capable of heating only a cartridge in which a dental mat is accommodated to safely sample a patient.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는, 선단이 개방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치과용 매트리얼이 수용되고, 상기 치과용 매트리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니들부재가 결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감싸게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싱과; 상기 보호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치과용 매트리얼이 상기 니들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내부로 삽입되는 가열관과; 상기 가열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펠티어효과에 의해 상기 가열관으로 열을 가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dental matrile heating injector. A dental mat heating apparatus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distal end opened; a detachable detachable front end of the housing, the dental mat being received therein, A cartridge coupled to the needle member; A protective casing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housing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A hea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casing and the cartridge, the heating unit heating the cartridge; And a cartridge driving part for pressing the rear end of the cartridge to discharge the dental mat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edle member, wherein the heating part includes: a heating tube into which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a Peltier element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tube and applying heat to the heating tube by a Peltier eff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펠티어소자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펠티어소자와의 결합영역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펠티어소자와 면접촉되는 연결리브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tube to the Peltier element, and the connection region formed by the Peltier element ar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connection rib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eltier ele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케이싱은, 상기 펠티어소자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펠티어소자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금속소재의 방열케이싱과; 상기 방열케이싱의 외부를 커버하여 환자의 구순과 상기 방열케이싱의 접촉을 차단하는 외부케이싱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ective casing includes: a heat dissipation casing of a metal material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Peltier element to discharge heat discharged from the Peltier element to the outside; And an outer casing that covers the outside of the heat-dissipating casing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heat-dissipating casing and the patient's sl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펠티어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관은 상기 펠티어소자의 개수에 대응되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로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eltier element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nd the heating tube is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having sid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eltier elemen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후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손잡이하우징은 서로 결합되어 총의 형태로 구비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housing that houses the heating unit and the cartridge driving unit therein; And a handle housing which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upper housing to exten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s held by a user, wherein the upper housing and the handle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gu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며, 선단에 상기 보호케이싱이 결합되는 펜의 형태로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en that receives the heating portion and the cartridge therein and has a tip coupled to the protective casing.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는 펠티어효과를 이용해 치과용 매트리얼카트리지를 가열하게 되므로 외부 열손실이 적어 열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Since the dental mat heating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s the dental mat cartridge using the Peltier effect, the external heat loss is small and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치과용 매트리얼카트리지만 가열되고 외부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기가 배출되고, 치과용 매트리얼카트리지의 외곽을 보호케이싱으로 감싸고 있으므로 환자의 구순과 보호케이싱이 접촉되더라도 열이 전달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Also, since only the dental mat cartridges are heated,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utside of the dental mat cartridge is enclosed by the protective casing. Therefore, even if the patient's lips contact with the protective casing,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과용 매트리얼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과용 매트리얼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과용 매트리얼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과용 매트리얼의 가열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과용 매트리얼의 가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dental m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ntal ma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ntal m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ting unit of a dental m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ing unit of the dental ma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dental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ntal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의 구성을 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는 전체적으로 총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치과용 매트리얼(G)을 수용하고, 카트리지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G)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카트리지(130)와, 하우징(110)의 선단에 고정결합되어 치과용 매트리얼을 펠티어효과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160)와, 카트리지(13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내부의 치과용 매트리얼(G)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카트리지구동부(140)와, 카트리지구동부(140)와 가열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ntal
하우징(110)은 좌우측에서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면하우징(111)과 제2측면하우징(113)으로 구성된다. 제1측면하우징(111)과 제2측면하우징(113)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총형상을 갖는다. 제1측면하우징(111)은 내부에 카트리지(130)와 카트리지구동부(140) 및 가열부(160)를 수용하는 상부하우징(111a)과, 상부하우징(111a)의 후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시술 중에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하우징(111b)을 포함한다. The
제1측면하우징(111)과 제2측면하우징(113)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카트리지구동부(140) 및 가열부(16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측면하우징(111)과 제2측면하우징(113)의 결합시 상부하우징(111a)의 선단은 개방형성되어, 카트리지(1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손잡이하우징(111b)의 판면에는 표시창(115)이 형성된다. 표시창(115)은 시술시간, 시술온도 등을 표시한다. 손잡이하우징(111b)의 내부에는 배터리(149)와 기판(183) 등이 수용된다.
A
보호케이싱(120)은 하우징(11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케이싱(120)은 내부에 카트리지(130)와 가열부(160)를 수용한다. 보호케이싱(120)은 가열부(160)에서 발생된 열이 환자의 구순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케이싱(120)은 카트리지(130)의 교환시에 하우징(110)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카트리지(130)의 삽입 후에 하우징(110)에 재 결합된다.
The
보호케이싱(120)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케이싱(121)과, 외부케이싱(121)과 펠티어소자(163,165)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케이싱(123)을 포함한다. 외부케이싱(121)은 실리콘으로 구비되고, 방열케이싱(123)은 열전달효율이 좋은 금속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펠티어소자(163,165)는 발열면(163a)이 최대 200℃까지 발열되고, 반대편의 상면(163b)이 최대 130℃까지 발열된다. 이에 방열케이싱(123)과 외부케이싱(121)은 최대 130℃의 열에 견딜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Here, in the Peltier
방열케이싱(1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소자(163,165)의 상면(163b)과 직접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펠티어소자(163,165)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열기를 빠르게 배출하여야 하므로 방열케이싱(123)은 열전달효율이 좋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방열케이싱(123)은 방열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방열케이싱(123)의 내면에 방열핀(미도시)이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외부케이싱(121)은 방열케이싱(123)의 외부를 감싼다. 외부케이싱(121)은 치과용 매트리얼의 충전시 환자의 구순과 접촉될 수도 있다. 방열케이싱(123)과 구순이 직접 접촉될 경우 환자가 뜨거움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방열케이싱(123)을 커버하여 뜨거움을 줄여주게 된다. The
이 때, 방열케이싱(123)의 방열효율을 높여주기 위해 방열케이싱(123)과 외부케이싱(121) 사이에 히트싱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싱(123)과 외부케이싱(121)을 관통하여 통풍홀(미도시)이 구비되어 방열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heat sink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외부케이싱(121)은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케이싱(121)은 환자의 구순과 직접 접촉되므로 1회용으로 시술시마다 교체하여 사용된다.
The
카트리지(130)는 내부에 치과용 매트리얼(G)을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11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리지(130)는 치과용 매트리얼(G)이 수용되는 카트리지본체(131)와, 카트리지본체(131)의 선단에 결합되어 치과용 매트리얼(G)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니들(133)과, 니들(133)과 방열케이싱(123)의 결합영역에 결합되어 카트리지본체(131)를 방열케이싱(123)에 고정하는 허브(135)를 포함한다. The
카트리지본체(131)는 후단이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다. 카트리지본체(131)의 내부에는 고형의 구타페르카 또는 레진과 같은 고형 치과용 매트리얼(G)이 수용된다. 카트리지본체(131)의 후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본체(131)가 가열관(161) 내부로 삽입되면 치과용 매트리얼(G)이 가열관(161) 내부로 노출된다. 이 때, 치과용 매트리얼(G)을 피스톤(141)이 접촉하여 치과용 매트리얼(G)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The cartridge
카트리지본체(131)는 펠티어소자(163,165)로부터 인가되는 열을 치과용 매트리얼(G)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The cartridg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본체(131)의 선단(131a)에는 니들(133)이 결합된다. 카트리지본체(131)는 가열관(16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펠티어소자(163,165)로부터 열을 인가받는다. 펠티어소자(163,165)로부터 가해지는 열에 의해 고형 치과용 매트리얼(G)이 용융되어 겔 상태로 배출된다. 4, the
허브(135)는 카트리지본체(131)의 선단(131a)과 방열케이싱(123)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카트리지본체(13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사용자는 허브(135)를 외부로 분리하여 카트리지본체(131)를 외부로 분리하거나, 가열관(161)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The
카트리지구동부(140)는 입력버튼(181)의 가압여부에 따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카트리지(130)를 가압하여 치과용 매트리얼(G)이 니들(13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카트리지구동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의 후단에 배치되는 피스톤(141)과, 피스톤(141)의 후단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141)을 직선이동시키는 스크류(143)와, 스크류(14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45)와, 구동모터(145)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9)를 포함한다. The
피스톤(141)은 치과용 매트리얼(G)의 후단을 접촉가압한다. 카트리지본체(131)가 가열관(161) 내부로 삽입될 때 고형 치과용 매트리얼(G)의 후단이 피스톤(141) 내부로 삽입되어 피스톤(141)과 위치가 고정된다. 피스톤(141)의 후단 내부로 스크류(143)가 고정결합된다. 스크류(143)가 구동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면 피스톤(141)은 스크류(143)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한다. 피스톤(141)이 전진하면 치과용 매트리얼(G)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가열부(160)의 가열에 의해 액상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피스톤(141)은 하우징(142)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된다. The
구동모터(14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4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구동모터(145)의 구동축(미도시)에 스크류(143)가 결합되어 정역회전하며 피스톤(14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The
한편, 도면에 표시된 볼스토퍼(147)는 구동모터(145)가 아닌 수동으로 스크류(143)가 동작하는 경우 스크류(143)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ball stopper 147 shown in the figure serves to hold the
가열부(160)는 카트리지(130)로부터 니들(133)로 공급되는 치과용 매트리얼(G)을 가열하여 연화시킨다. 가열부(160)은 펠티어효과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을 가열한다. 도 4는 가열부(160)의 구성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가열부(160)는 카트리지(130)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열관(161)과, 가열관(16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가열관(161)을 가열하는 한 쌍의 펠티어소자(163,165)와, 가열관(161)과 펠티어소자(163,165)를 연결하는 연결리브(162)를 포함한다. 가열관(16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은 내부에 카트리지(130)를 수용하고, 후단은 내부에 피스톤부재(163)를 수용한다. 가열관(161)은 펠티어소자(163,165)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고, 이 열이 카트리지(130)로 전달되어 치과용 매트리얼(G)이 연화된다. The
가열관(161)은 원형관형태로 형성되나, 외주면에 펠티어소자(163,165)와 연결되는 연결리브(162)가 구비된다. 펠티어소자(163,165)는 가열면(163a)과 냉각면(163b)을 갖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원형관형태의 가열관(161)의 외주면에 펠티어소자(163,165)가 접선형태로 배치될 경우 접촉면적이 적어 가열효율이 적어진다. The
이에 가열관(161)의 상부와 하부에 펠티어소자(163,165)와의 접촉영영이 평평한 평판 형태로 구비된 연결리브(162)가 배치된다. 연결리브(1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소자(163,165)의 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펠티어소자(163,165)의 가열면(163a)이 연결리브(162)의 평평한 단부에 안착되어 접촉된다.A connecting
연결리브(162)와 펠티어소자(163,165)와의 결합면에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상호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펠티어소자(163,165)의 양측면에 펠티어소자(163,165)와 연결리브(162) 또는 가열관(161)을 고정시키는 물리적인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펠티어소자(163,16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An adhesive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coupling surface between the
펠티어소자(163,165)에 전원이 인가되고 가열면(163a)에 열이 발생되면 연결리브(162)를 통해 가열관(161)으로 전달된다. 펠티어소자(163,165)는 펠티어효과에 의해 가열면(163a)에는 열이 발생되고, 가열면(163a)과 대향되는 방향의 냉각면(163b)은 냉각된다. 펠티어소자(163,165)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소자 양단(163c)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냉각면(163b)은 흡열하여 냉각효과가 나타내고, 반대쪽 가열면(163a)은 발열하게 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본 발명에 따른 펠티어소자(163,165)는 가열면(163a)은 160℃~200℃ 범위로 발열하고, 냉각면(163b)은 가열면(163a)에 비해 70℃의 온도차이가 발생되어 90℃ ~ 130℃ 범위로 발열된다. 냉각면(163b)은 가열면(163a)에 비해서는 온도가 낮으나 90℃ ~ 130℃의 온도도 높은 온도이므로 방열케이싱(123)과 접촉하여 빠르게 열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The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카트리지구동부(140)와 가열부(16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손잡이하우징(111b)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입력버튼(181)의 입력신호에 따라 배터리(149)의 전원을 구동모터(145)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스크류(143)의 하부에 배치된 기판(183)의 형태로 구현된다. The
여기서, 펠티어소자(163,165)와 기판(183)은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부(180)에서 펠티어소자(163,165)의 온도를 감지하여 최대온도를 제한한다. 펠티어소자(163,165)의 현재온도는 표시창(115)을 통해 표시된다.
Here,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dental
작업자는 외부케이싱(121)을 상부하우징(111a)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한 후 치과용 매트리얼(G)가 충진된 새로운 카트리지(130)를 가열관(160) 내부로 삽입한다. 이 때, 가열관(160) 내부에는 피스톤(141)의 최대전진위치와 최대후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피스톤(141)이 최대전진위치에 도달하면 센서의 감지에 모터가 구동되어 자동으로 피스톤(141)이 후진된다. The operator removes the
카트리지본체(131)를 가열관(110) 내부에 결합시킨 후 허브(135)를 방열케이싱(123)과 카트리지본체(131)의 선단(131a) 사이로 삽입하여 카트리지본체(131)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방열케이싱(123) 외측에 외부케이싱(121)을 결합시킨다. The
입력버튼(181)을 가압하면 배터리(149)의 전원이 펠티어소자(163,165)로 전달된다. 전원의 공급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소자(163,165)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가열관(161)과 접촉되는 가열면(163a)이 발열하게 된다. When the
가열면(163a)과 접촉하는 연결리브(162)와 가열관(161)이 가열되고, 가열관(161) 내부에 수용된 카트리지본체(131)의 치과용 매트리얼(G)가 가열되며 연화된다. 이 때, 방열케이싱(123)과 접촉하는 펠티어소자(163,165)의 외측 냉각면(163b)은 냉각되고, 방열케이싱(123)은 열기를 외부로 전달한다. 외부케이싱(121)은 방열케이싱(123)을 감싸 열기가 환자의 구순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connecting
작업자가 입력버튼(181)를 가압하면 구동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43)와 피스톤(141)이 전진하면서 치과용 매트리얼(G)의 후단을 직접 가압하여 치과용 매트리얼(G)이 니들(133)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worker presses the
이 때, 치과용 매트리얼(G)은 펠티어소자(163,165)에 의해 가열되므로 연화되어 공급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dental mat G is heated by 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의 가열부(160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관(161)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리브(162)가 결합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160a)는 가열관(161')에 펠티어소자(163,165,166)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즉, 펠티어소자(163,165,166)는 치과용 매트리얼의 공급량과 공급속도 및 종류에 따라 가열관(161')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관(161)의 외주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배치되고, 그 다각형의 외주면에 펠티어소자(163,165,166)가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dental
이렇게 펠티어소자(163,165,166)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발열량이 증가되므로 보다 빠른 속도로 치과용 매트리얼(G)을 가열시킬 수 있다.
As the number of the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내부 사시도이다.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a dental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는 외부하우징(110)이 총의 형태로 구비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술할 때 손잡이하우징(111b)을 손으로 잡고 상부하우징(111a)의 선단이 환자의 구순을 향하도록 한 후 사용하였다. In the dental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a)는 외부하우징(110a)이 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직선 원통관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시술할 때 외부하우징(110a)의 후단을 잡고 시술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ntal
외부하우징(110a)의 외주면에 입력버튼(181a)가 구비되고, 표시창(1115a)이 구비된다. 외부하우징(110a)의 선단에 보호케이싱(120a)이 결합되고, 그 내부에 카트리지(130)가 구비된다. A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10a)의 내부를 가로질러 기판(183a)가 구비되고, 기판(183a)의 하부에 카트리지구동부(140)가 구비된다. A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와 다른 실시예의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100a)는 외관 형상은 총형태와 펜형태로 상이하나, 둘 다 카트리지(130)를 펠티어소자(163,165)에 의해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동메커니즘은 동일하다.
The dent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는 펠티어효과를 이용해 카트리지를 가열하게 되므로 외부 열손실이 적어 열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ntal mat heating injector heats the cartridge using the Peltier effect, therm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ue to low external heat loss.
또한, 카트리지만 가열되고 외부로 열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환자의 구순과 보호케이싱이 접촉되더라도 열이 전달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only the cartridge is heated and the heat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even when the patient's mouth and the protective casing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eat is not transmitted and can be safely used.
또한, 외부 조건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열이 발생되므로 치과용 매트리얼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ntal mat can be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since heat is generated constantly regardless of external conditions.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dental mat heating in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110 : 하우징
111 : 제1측면하우징 111a : 상부하우징
111b : 손잡이하우징 113 : 제2측면하우징
115 : 표시창 120 : 보호케이싱
121 : 외부케이싱 123 : 방열케이싱
130 : 카트리지 131 : 카트리지본체
133 : 니들 135 : 허브
140 : 카트리지구동부 141 : 피스톤
143 : 스크류 145 : 구동모터
147 : 볼스토퍼 148 : 탄성부재
149 : 배터리 160 : 가열부
161 : 가열관 162 : 연결리브
163 : 펠티어소자 163a : 가열면
163b : 냉각면 180 : 제어부
181 : 입력버튼 183 : 기판100: dental mattial heating injector 110: housing
111:
111b: handle housing 113: second side housing
115: display window 120: protective casing
121: outer casing 123: heat radiation casing
130: cartridge 131: cartridge body
133: Needle 135: Hub
140: Cartridge driving part 141: Piston
143: screw 145: drive motor
147: ball stopper 148: elastic member
149: Battery 160:
161: heating pipe 162: connecting rib
163:
163b: Cooling surface 180: Control part
181: input button 183:
Claims (6)
선단이 개방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치과용 매트리얼이 수용되고, 상기 치과용 매트리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니들부재가 결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감싸게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싱과;
상기 보호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치과용 매트리얼이 상기 니들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카트리지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내부로 삽입되는 가열관과;
상기 가열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펠티어효과에 의해 상기 가열관으로 열을 가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In a dental matrile heating injector,
A housing having a front end opened;
A cartridge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distal end of the housing and having a needle member accommodating the dental mat therein and discharging the dental mat to the outside;
A protective casing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housing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A hea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casing and the cartridge, the heating unit heating the cartridge;
And a cartridge driving unit for pressing the rear end of the cartridge to cause the dental ma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edle member,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tube into which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a Peltier element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tube and applying heat to the heating tube by a Peltier effect.
상기 가열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펠티어소자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펠티어소자와의 결합영역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펠티어소자와 면접촉되는 연결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on rib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tube to the Peltier element and having a horizontal connection area with the Peltier element and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eltier element.
상기 보호케이싱은,
상기 펠티어소자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펠티어소자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금속소재의 방열케이싱과;
상기 방열케이싱의 외부를 커버하여 환자의 구순과 상기 방열케이싱의 접촉을 차단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방열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열케이싱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casing comprises:
A heat dissipation casing of a metal material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Peltier element and discharging the heat discharged from the Peltier element to the outside;
An outer casing for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casing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asing and the slit of the patient;
And a heat sink provid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asing and the outer casing for discharging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on casing to the outside.
상기 펠티어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관은 상기 펠티어소자의 개수에 대응되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eltier element is formed in plurality,
Wherein the heating tube is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having sid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eltier elements.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후단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손잡이하우징은 서로 결합되어 총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housing housing the heating unit and the cartridge driving unit;
And a handle housing extended downward from a rear end of the upper housing to be held by a user,
Wherein the upper housing and the handle housing are coupled together to form a gun.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내부에 수용하며, 선단에 상기 보호케이싱이 결합되는 펜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en that receives the heating unit and the cartridge therein and has a tip to which the protective casing is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7130A KR101588419B1 (en) | 2014-11-12 | 2014-11-12 |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
US15/321,782 US20170128158A1 (en) | 2014-11-12 | 2015-11-12 | Dental material heating infuser for heating dental material by peltier element |
PCT/KR2015/012189 WO2016076650A1 (en) | 2014-11-12 | 2015-11-12 | Dental material heating and injecting equipment that heats dental material using pelti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7130A KR101588419B1 (en) | 2014-11-12 | 2014-11-12 |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8419B1 true KR101588419B1 (en) | 2016-01-25 |
Family
ID=5530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7130A Active KR101588419B1 (en) | 2014-11-12 | 2014-11-12 |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841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20943A (en) * | 2018-05-31 | 2018-11-02 | 广州泰莱医疗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ce heated gutta-percha pen |
KR101916405B1 (en) * | 2018-06-04 | 2018-11-07 | 문형주 | Dental impression material dispenser |
KR102064710B1 (en) * | 2019-06-07 | 2020-01-09 | 천성태 | Automatic dispenser for dental impression materia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2647B1 (en) * | 2008-07-23 | 2010-07-28 | (주)디엑스엠 | Dental charger |
KR100990956B1 (en) * | 2008-11-12 | 2010-10-29 | (주)디엑스엠 | Needle Assembly and Root Canal Charger with the Same |
KR101118599B1 (en) * | 2009-03-24 | 2012-02-20 | 주식회사 쎄타텍 | Endodontic treatment apparatus |
KR101209811B1 (en) * | 2012-03-20 | 2012-12-07 | (주)디엑스엠 | A charger for dental heating by induction coil type |
-
2014
- 2014-11-12 KR KR1020140157130A patent/KR1015884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2647B1 (en) * | 2008-07-23 | 2010-07-28 | (주)디엑스엠 | Dental charger |
KR100990956B1 (en) * | 2008-11-12 | 2010-10-29 | (주)디엑스엠 | Needle Assembly and Root Canal Charger with the Same |
KR101118599B1 (en) * | 2009-03-24 | 2012-02-20 | 주식회사 쎄타텍 | Endodontic treatment apparatus |
KR101209811B1 (en) * | 2012-03-20 | 2012-12-07 | (주)디엑스엠 | A charger for dental heating by induction coil typ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20943A (en) * | 2018-05-31 | 2018-11-02 | 广州泰莱医疗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ce heated gutta-percha pen |
KR101916405B1 (en) * | 2018-06-04 | 2018-11-07 | 문형주 | Dental impression material dispenser |
KR102064710B1 (en) * | 2019-06-07 | 2020-01-09 | 천성태 | Automatic dispenser for dental impression materi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8867B2 (en) | Medical treatment apparatus | |
US9730778B2 (en) | Curing light device | |
US9987110B2 (en) | Dental light device | |
US20130052607A1 (en) | Dental light device with identification means | |
US20170128158A1 (en) | Dental material heating infuser for heating dental material by peltier element | |
KR101588419B1 (en) |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 |
KR101209811B1 (en) | A charger for dental heating by induction coil type | |
US20090047619A1 (en) | Cordless Complex Root Canal Plugger for Dental Clinic | |
KR101586612B1 (en) | Dispenser device for dental material | |
EP2815719B1 (en) | Dental light curing device | |
JP7061999B2 (en) | A device for providing an endodontic material having a cartridge containing a conductive heating layer. | |
KR101118599B1 (en) | Endodontic treatment apparatus | |
JP2004344658A (en) | Heating device for dental material | |
KR101652763B1 (en) | Heating charger for dental material by thermoelectric module | |
JP7513640B2 (en) | Dental Instruments | |
US7008222B2 (en) | Root canal plugging apparatus for dental work | |
US9867442B1 (en) | Heated eyelash comb | |
KR200382194Y1 (en) | A endodontic treatment gutta percha cutter for dental | |
US20210145542A1 (en) | Dental Composite Capsule With Useful Life Indicator | |
CN119894464A (en) | Heating device and heating system for heating dental material | |
JP2016022244A (en) | toothbrush | |
KR20250092925A (en) | Cap for wax applicator | |
KR20130066105A (en) | Glue gun for sil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5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10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