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055B1 -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055B1 KR101588055B1 KR1020090066629A KR20090066629A KR101588055B1 KR 101588055 B1 KR101588055 B1 KR 101588055B1 KR 1020090066629 A KR1020090066629 A KR 1020090066629A KR 20090066629 A KR20090066629 A KR 20090066629A KR 101588055 B1 KR101588055 B1 KR 101588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image
- stereoscopic image
- stereoscopic
- refractive inde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용 스크린에 있어서 투과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과 층이 있는 입체 영상 투과 스크린으로서.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for transmission in an image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having a transmission layer.
스크린 기재의 구성은 유광면을 갖는 입사면과, 굴절율은 1.55미만이고, 투과율은 60%이상을 갖는 투과층과, 표면 입자도가 핫스팟이 없는 40-400매쉬로 구성한 결상면으로 구성 하되, 동 결상면은 영상이 투과하는 최종 면에 구성함으로서상기 제 구성요소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The constitution of the screen base material is composed of an incident surface having a luminous surface, a transmission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less than 1.55 and a transmittance of not less than 60%, and an image forming surface composed of 40-400 mesh having no surface spot, The surface is configured on the final surface through which the image is transmitted so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act on each other organically,
입체 영상의 편광도를 최대한 유지 하여 입체감도를 높이고, 투과율을 높여 입체 영상 및 일반영상을 종래보다 배 이상 선명하게 시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층이 있는 입체 영상 투과 스크린에 관한 것 이다. A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having a transmis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a stereoscopic image is maintained at a maximum degree of polarization to increase stereoscopic sensitivity and a stereoscopic image and a general stereoscopic image are viewed more clearly than before by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입사면, 투과층, 결상면, 투과율, 굴절율, 편광도 The incident surface, the transmissive layer, the imaging plane, the transmittance, the refractive index, the polarization degree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과형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투과층이 있고 동 투과층은 편광도를 유지한 채 투과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크린으로서 입체영상과 선명도가 증대된 일반영상겸용이 가능한 입체 투과스크린에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ve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screen which has a transmissive layer and transmits the transmissive layer while maintaining the degree of polarization, and is a stereoscopic screen capable of combining stereoscopic images and general images with increased clarity
관한 것 이다..
투과 스크린은 스크린후면에서 프로젝터를 투사하여 스크린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스크린이다.The transmissive screen is a screen for projecting the projector from the back of the screen and viewing the image from the front of the screen.
종래 투과층이 있는 투과스크린들은 주로 일반영상을 투과하는 투과스크린으로서 매질의 굴절율 또는 매질내부의 확산재, 또는 매질표면의 확산재등이 함유되여 있어서 영상이 투과하는 과정에서 영상을 확산 시킬뿐 아니라 편광된 영상의 편광도까지 확산 시키므로 해서 입체영상 시현이 불가하고 Transmissive screens with a conventional transmissive layer are predominantly transmissive screens that transmit a general image and contain a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or a diffusing material inside the medium or a diffus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medium so as to diffuse the image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d image is diffused so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not be displayed
투과층이 없는 필름과 같은 박막구조의 일부 스크린은 입체영상이 가능 하나 이러한 박막스크린은 통상 박막필름구조로서 별도 프레임을 보강하고 스프링 등으로 텐션을 주어야 스크린자체의 평탄도가 유지되였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기후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단점이 있으며 Some thin-film screens such as films without a transparent layer can be stereoscopic, but these thin-film screens are usually thin-film structures that require additional frame reinforcement and tension with a spring or the like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screen itself.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of climate change
특히 영상이 입사되는 스크린의 표면부터 영상이 확산되는 관계로 투과효율이 20% 미만으로 매우 나쁘고, 편광도의 편광각도도 동시에 확산되는만큼 입체시청범위가 협소해져 입체시청이 매우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image is diffused from the surface of the screen on which the image is inciden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very low, less than 20%, and the polarization angle of the polarization degree is also diffus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tereoscopic viewing range becomes narrower and stereoscopic viewing becomes inconvenient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박막형 필름구조의 스크린은 프레임과 텐션구조의 제한 때문에 대형스크린구조나 입체TV 구조에 적용이 어려웠다 For the above reason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hin film type screen structure to a large screen structure or a stereoscopic TV structure due to limitation of frame and tension structure
본 발명은 1mm 이상의 투과층을 갖는 투과 형 스크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입체형 TV구조나 대형입체스크린 등에 적합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ransmissive screen having a transmissive layer of 1 mm or more, and is suitable for a stereoscopic TV structure or a large stereoscopic screen.
도 1과 도2의(a)와 도2의(b)와 같이 입체 영상은 좌, 우 프로젝터(P1, P2)의 영상을 각기 대칭 각도의 편광도를 갖는 좌, 우 편광휠터(R1, L1)를 통과하여 좌 영상(R)은 편광안경(5)의 좌편광렌즈(5R)에만 투과하게 하고 우편광렌즈(5L)에서는 차단되며 같은 논리로 우영상(L)은 편광안경(5)의 우편광렌즈(5L)에만 투과하게 하고 좌편광렌즈(5R)에서는 차단함으로써 우영상(L)은 시청자의 우측눈 에만, 좌영상(R)은 시청자의 좌측 눈에 시청하게 작용하는 것은 공지되어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a) and 2 (b), the left and right polarizers R1 and L1 have left and right projectors P1 and P2, respectively, The left image R i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left polarizing
따라서 입체영상은 상기와 같이 좌,우 영상의 편광도를 유지 하지 않으면 시청이 불가능 하게 된다. Therefore, stereoscopic images can not be viewed unless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s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종래 투과스크린은 후레스넬형 확산재 첨가형, 산란형 등 여러 종류의 투과스크린이 있으나 영상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굴절율 및 투과율과 산란율에서 영상의 편광도를 확산하므로 입체영상시청이 불가 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screen has various kinds of transmission screens such as a fresnel type diffuser additive type and a scattering type, but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image is diffused in the refractive index, transmittance and egg production rate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과제는 다음과 같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as follows.
종래 투과스크린은 스크린 기능을 위해 스크린 내부에 확산재로 영상을 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투과스크린 내부에 함유된 실리카와 같은 확산재가 입사된 스크린은 영상이 통과할 때 편광도까지 확산되어 좌, 우 영상(R, L)에 편광도가 무 너져 두개의 복상으로만 보이게 되므로 입체영상시청이 불가능하게된다. In order to diffuse an image into a diffusion material inside a screen for a screen function, a screen having a diffusion material such as silica contained in a transmission screen diffuses to a degree of polarization when an image passes, R, and L), the stereoscopic image can not be viewed because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image is limited.
따라서 편광도가 유지된 상태로 영상이 결상되는 방법을 강구해야한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age the image with the polarization degree maintained.
첫째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의 표면 입자도가 적정해야 한다. First, the surface particle size of the
편광된 영상이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에서 가능한 편광도를 유지 한 채로 입사하여 투과층(4)을 통과하여야 한다. The polarized image should be incident on the
종래 투과형 스크린은 앞 뒷면의 산란율이 높아 광량의 입사량이 낮고, 따라서 투과량도 낮다. Conventional transmissive screen has a high egg production rate on the front and back sides, so that the incident amount of light amount is low, and therefore, the transmission amount is also low.
둘째, 투과층(4)소재 자체에 적정한 굴절율(p)이 되어야 한다. (이하 굴절율(p)의 기준은 파장 587.6m의 d선 즉 황색선 기준으로 한다.) Second, the refractive index (p) should be appropriate for the material of the transmissive layer (4) itself. (The reference of the refractive index (p)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 line of a wavelength of 587.6 m, that is, a yellow line.)
모든 투과 매체는 굴절율이 있다 All transmissive media have a refractive index.
도2의(b)처럼 좌편광휠터(R1)를 통과하여 좌,우 편향된 영상이 편광안경(5)의 우편광렌즈(5L)에 차단되는 각도 ∠A는 공기중의 굴절율 1을 기준으로 할시 불과 1-3도 각도 범위로 매우 작은 범위 이다. The angle ∠A at which the left and right deflected images passing through the left polarizing filter R1 are blocked by the postal
따라서, 스크린 기재(1)로 사용한 플라스틱 및 유리의 굴절율(s)이 상기 각도 이상이 되면 좌, 우 영상(R, L)의 편광도를 무너뜨려 입체영상 시청이 불가능하여 진다. Therefore, when the refractive index s of the plastic and glass used as the
셋째 상기와 같이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을 통과한 영상이 스크린 기재(1)의 투과층(4)을 투과할 때 그 투과율이 적정해야 한다. Third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또한 투과율(P)을 결정함에 있어서 영상은 밝기만 중요한게 아니고 컨트라스트 또한 중요하므로 암색계통의 안료를 혼합하여 컨트라스트를 제고할시 동 안료에 의한 투과손실도 고려해야 한다. Also, in determining the transmittance (P), the image is not only important in brightness but also important in contrast,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ransmission loss due to the pigments to improve the contrast by mixing the pigments of the dark color system.
넷째: 스크린 기재(1)의 투과층(4)을 투과한 영상은 산란면에서 부딪혀 산란되어야만 영상이 결상되어 비로서 스크린 기능이 완성된다. Fourth, the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따라서 스크린 기재(1)의 결상면(3)의 표면 입자도가 너무 거칠면 영상 자체의 해상도가 무너지고 그 입자도가 너무 미세하면 프로젝터의 광원 자체가 그대로 투과되어 일부분만 밝게 보이는 이른바 핫 스팟 현상이 발생된다. Therefore, if the surface particle size of the
따라서 결상면(3)의 적정한 표면 입자도가 결정되어야 하며 상기 결상면(3)의 구성되는 위치가 적정해야 한다. Therefore, an appropriate surface particle size of the image-forming
결상면(3)의 위치는 영상을 산란하는 부위이므로 영상의 편광도가 투과층(4)을 투과하기전에 먼저 산란하면 편광도가 깨져 입체영상 시청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image-forming
다섯째 ,상기와 같은 제요소가 모두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야 투과층이 있는 투과형스크린에서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 하게 되며 상기 요소중 1가지라도 결여되면 투과스크린에서 입체영상 시청이 불가능 하여 진다. Fifth, all of the above-mentioned elements need to be interacted with each other so that stereoscopic images can be viewed on a transmissive screen having a transmissive layer. If one of the above elements is missing, it is impossible to view stereoscopic images on a transmissive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스크린 기재(1)의 투과층(4)의 굴절율(s)은 1.55이하로 하고, 3, the refractive index s of the
투과율(p)은 60%이상으로 하고,The transmittance (p) is 60% or more,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은 유광면으로 하고.The
결상면(3)은 40-400매쉬의 입자도로 구성하되 The imaging plane (3) is composed of particles of 40-400 mesh
상기 결상면(3)의 위치는 영상이 투과되는 투과층(4)의 최종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image plane (3) is formed on the final surface of the transmissive layer (4) through which the image is transmitted
투과층(1)을 포함한 전체 스크린의 두께는 1mm이상으로 구성한다.The thickness of the entire screen including the
모든 투과매체는 굴절율이 있다. 따라서 투과층(1)이 1mm 이상될시 편광도가 투과 과정에서 굴절된다.All transmissive media have a refractive index. Therefore, when the
상기와 같이 투과층(4)의 굴절율(s)을 1.55미만으로 하는 이유는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refractive index (s) of the
도2의(b)와 같이 편광에 의한 차단각도인 ∠A의 범위는 공기중의 굴절율1.0을 기준으로 할시 2-3각도로 그 범위가 작아진다. 따라서 굴절율 1.5에서는 그 50% 수준인 0.5-1.0 각도로 그 범위가 더욱 줄어든다. As shown in FIG. 2 (b), the range of angle A, which is the blocking angle by the polarization, is reduced to 2-3 angles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1.0 in air. Therefore, at a refractive index of 1.5, the range is further reduced to 0.5 to 1.0, which is the 50% level.
굴절율(s)이 1.55 이상이 되면 ∠A의 범위가 2-3도 이상이 되어 편광도가 깨지게 된다. When the refractive index (s) is 1.55 or more, the range of ∠A becomes 2-3 degrees or more, and the polarization degree is broken.
따라서 따라서 편광에 의한 차단각도∠A의 범위를 2-3도 이내로 유지할수 있다 Therefore, the range of angle of cutoff ∠A by polarization can be kept within 2-3 degrees
상기 투과율(p)을 60%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The reason why the transmittance (p) is set to 60% or more
일반적인 종래 확산재 스크린의 투과효율은 20%미만이다.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diffuser screen is less than 20%.
컨트라스트를 올리기 위하여 청색이나 흑색 등의 암색톤 안료를 가첨 할 경우 그 만큼 투과율은 저하된다. When a dark tone pigment such as blue or black is added to increase the contrast, the transmittance is decreased accordingly.
또한 편광휠터는 광량을 최대 50%만 투과하므로 이를 감안하면 종래 투과스크린보다 밝기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투과율을 종래 스크린의 3배이상인 60%이상으로 하여 종래 투과스크린의 투과율 대비 3배이상의 밝기와 편광도를 얻기 위함이다. Also, in order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screen, the polarizing filter transmits a maximum of 50% of the light amount. Therefore, the transmittance is set to be 60% or more of the conventional screen, To get it.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을 유광면(有光面)으로 한 이유는 종래 투과 스크린의 입사면(2)은 입사면부터 산란작용을 함으로 광량의 입사량이 매우 낮다 . The reason why the
투사되는 영상을 투과층(4) 내부로 최대한 입사하기 위해서는 재질의 표면강도에 따라 다르나 그 표면 입자도를 800매쉬에서 4.000매쉬로 형성하여 유광면(有光面)으로 할 경우 그 입사량은 90% 이상이 된다 In order to allow the projected image to be incident on the
상기 결상면(3)은 그 표면 입자도가 40매쉬 이상 -400매쉬 이내에서 재질에 따라 가감하여 형성하되, 영상이 출사하는 위치 즉 시청자가 최종적으로 시청하는 스크린 기재(1)의 최종면에 구성한다. The
통상 상기 표면 입자도가 40매쉬 이하이면 영상의 해상도와 밝기가 급격히 저하되고 400매쉬 이상이면 빛의 산란층이 얇아 프로젝터의 광원자체가 보이는 이른바 핫-스팟 현상이 생긴다. Generally, when the surface particle size is 40 mesh or less, the resolution and brightness of the image are rapidly deteriorated. If the surface particle size is more than 400 mesh, the light scattering layer is thin, which causes a so-called hot spot phenomenon in which the light source of the projector itself is visible.
따라서 상기 40-400매쉬의 결상면의 입자도는 핫스팟 없이 영상을 결상한다 상기 매쉬 수치는 재질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핫스팟 없는 영상을 기준으로 재질에 따라 가감 하여 결정 한다 Accordingly, the particle size of the image plane of the 40-400 mesh images an image without a hot spot. The mesh value differs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refore,
또한 스크린 기재(1)의 최종면에 구성된 결상면(3)은 투과층(4)에서 편광도의 손실 없이 투과한 영상을 결상 함으로 입체감도를 배 이상 증대 할 수 있는 것 이다 Further, the image-forming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은 유광면의 입자도를 갖으며 동 입사면(2)에 입사한 영상은 굴절율(s) 1.55이내에서 60%이상으로 투과한 후 최종면인 결상면(3)에서 영상이 결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와같은 과정을 거치므로 편광된 편광영상이 편광도가 유지하는 상태로 투과 결상되므로 입체감도가 2배이상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는 서클라인 편광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한다.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polarized polarized image is transmitted and imaged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degree of polarization, so that the stereoscopic sensitivity is increased by two times or more.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s as above are also applied to the circular line polarizer.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유광면의 입사면(2)은 편광된 투사영상을 종래 보다 2배 이상으로 스크린 기재(1)내부로 입사하고 굴절율 1.55의 투과층(4)은 투사된 편광 영상이 편광도를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투과하고 투과층(4)의 60%이상의 투과율은 종래 20%미만의 투과스크린 대비 3배이상의 광량을 투과 시키므로 밝기와 선명도를 증대 시키며 40-400매쉬의 최종 결상면(3)은 핫스팟 없이 투과된 영상을 결상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또한 결상면(3)을 포함한 투과층(4)의 두께를 1mm이상 으로하여 The thickness of the
스크린 자체의 두께로 별도의 프레임과 텐션장치 없이도 스크린The thickness of the screen itself,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frame and tension device,
자체의 평탄성 및 지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Because of its flatness and supportability.
실시의예1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구성 요소를 표시한 단면 구성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a)는 상기 도 3의 작용을 설명한 설명도이고Fig. 4 (a)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Fig. 3
도 4의(b)는 본 발명에 의한 좌, 우 영상이 스크린에 결상된 설명도이다.4 (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eft-right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n a screen.
본 발명은 도 3의 스크린 기재(1)는 동 소재의 굴절율(s)이 1.49인 소재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동 매질자체의 투과율(p)은 90%~95%이나 스모그 색상을 갖는 안료를 1-4% 함유시켜 투과율(p) 85%로 구성하고 스크린 기재(1)의 전체 색상은 스모그 암색 색상을 띄게 하여 이면에서 투과되는 색상이 외광대비 선명함을 배가 시킨다. The transmittance (p) of the medium itself is 90% to 95%, but the transmittance (p) is 85% by containing 1-4% of pigments having a smog color. The overall color of the
스크린 기재(1)이면을 어둡게 할 시 그 선명도는 외광에 대해 배 이상 선명하다. When the back surface of the
또한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은 유광으로 하여 좌, 우 프로젝터(P1, P2)의 영상이 85%이상 스크린 기재(1)내부로 입사하게 한다. The
스크린 기재(1)의 결상면(3)은 스크린 기재(1)의 투과된 영상의 진행 방향 기준하여 최종면에 입자도 100매쉬로 구성한다. The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3과 도 4의(a)처럼 좌, 우 프로젝터의 좌, 우 영상(R.L)은 좌, 우측 편광휠터(F1, F2)에 의해 편광상태로 투사되어 스크린 기재(1)의 입사면(2)에 85%이상 입사되고 1.49의 굴절율(s)에 의해 편광도가 2-3도범위를 유지하면서 60%이상 투과된 후 3 and 4 (a), the left and right images RL of the left and right projectors are projected in the polarization state by the left and right polarization filters F1 and F2, Is incident on the
도 4의(b)처럼 스크린 기재(1)의 결상면(3)에 핫-스팟 현상 없이 좌, 우 편광영상(R3, L3)이 현출 되는 것이다. The left and right polarized light images R3 and L3 are developed on the
실시의 예 2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5,
스크린 기재(1)표면 즉 결상면(2)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칭각을 갖는 편광판(6)을 순차적으로 부착하고 그 전면에 곡면 형태의 곡면버티칼라인(7)을 구성 할 수 있다. A
이 경우 곡면버티칼라인(7)의 굴절율(s)과 투과율(p), 입사면(2)의 표면 입자도는 상기 본 발명의 스크린기재(1)의 구성과 같다. In this case, the refractive index (s), transmittance (p) and surface roughness of the incident surface (2) of the curved surface vertical line (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creen base materi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의 예 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투과층(4)에서 편광영상을 손실 없이 투과시키는 특징이 있으면서 동시에 일반 영상도 종래 보다 밝게 투사시키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즉, 도 1에서 좌, 우 프로젝터(p1,p2) 중 예컨대 좌 프로젝터(p1)를 선택하여 그 앞에 좌, 편광휠터(L1)를 상, 하로 이동하게 하여 일반 영상을 투사 하게 할 시는 상기 편광 휠터 없이 스크린에 투사하는 구조로 구비하면 일반 영상을 투사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일반 영상,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ft projector p1 is selected and the left and right polarizers L1 and L2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to select a left projector P1 and a right projector P2 in FIG. 1, If you have a structure to project on a screen without a filter, you can project a normal image, so you can selectively use general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if necessary.
이 경우 일반 영상은 종래 투과스크린보다 투과율2배, 입사광량 2배로 종래 일반영상보다 2배 이상의 선명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general image is twice as transmissive as the conventional transmissive screen, twice as large as the incident light, and is capable of viewing a clear image twice or more than the conventional general image.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스크린은 고선명도의 일반 영상 투과 스크린 Thus,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high-
기능과 3D입체영상의 투과 스크린으로 겸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Function and 3D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도 1은 입체 영상 시청 시의 기본 구조 설명도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structure of a stereoscopic image viewing
도 2는 편광판의 편광 작용에 관한 설명도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concerning the polarization a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한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relating to the constitution and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a)는 본 발명의 편광 투과 작용에 관한 설명도Fig. 4 (a) is an explanatory diagram concerning the polarization transmitting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b)는 스크린 기재에 결상된 편광 영상에 관한 설명도4 (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olarized image formed on a screen substrat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 2에 관한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relat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의 명칭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1. 스크린 기재 2. 입사면1.
3. 결상면 4. 투과층3.
5. 편광안경 6. 편광판 5. Polarizing
7. 곡면버티칼라인 7. Curved Vertical Line
S. 굴절율 P. 투과율S. Refractive index P. Transmittance
P1. 좌프로젝터 P2. 우프로젝터P1. Left projector P2. Woo Projector
R1. 좌편광휠터 L1. 우편광휠터R1. Left polarizing filter L1. Postal optical filter
R. 좌영상 L. 우영상R. Left image L. Right image
5R. 좌편광렌즈 5L. 우편광렌즈5R. Left
F1. 좌편광휠터 F2. 우편광휠터F1. Left polarization filter F2. Postal optical filt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0914578A GB2463552B (en) | 2008-09-23 | 2009-08-20 | Transmission screen for stereoscopic images |
US12/565,150 US8023185B2 (en) | 2008-09-23 | 2009-09-23 | Transmission screen for stereoscopic imag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3094 | 2008-09-23 | ||
KR20080093094 | 2008-09-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692A KR20100034692A (en) | 2010-04-01 |
KR101588055B1 true KR101588055B1 (en) | 2016-01-25 |
Family
ID=4221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6629A Active KR101588055B1 (en) | 2008-09-23 | 2009-07-22 |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80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1971B1 (en) * | 2021-12-29 | 2022-11-29 | 한국가스공사 | Unloading rock manipulation train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074B1 (en) * | 2003-09-16 | 2006-08-11 | 최해용 | Polyurethane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
KR20070109214A (en) * | 2006-05-10 | 2007-11-15 | 주식회사 한울 | Antireflective glass screen |
KR20080044370A (en) * | 2006-11-16 | 2008-05-21 | 최해용 | Stereoscopic screen |
-
2009
- 2009-07-22 KR KR1020090066629A patent/KR10158805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692A (en) | 201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3583B2 (en) | Screen and image projector using the screen | |
KR100652081B1 (en) | Rear projection screen with less speckle | |
US7408707B2 (en) | Multi-region light scattering element | |
US7581838B2 (en) | Optical project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20080239484A1 (en) |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screen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ing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screen | |
KR20040108816A (en) | Projection display system | |
JP200731037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JPH01140187A (en) | rear projection display | |
JP2010060912A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20080297897A1 (en) | Stereoscopic display and phase different plate | |
JP2000330210A (en) | Transmission type screen | |
KR101588055B1 (en) | Stereoscopic image transmission screen | |
JP2006337459A (en) | Lens array sheet and rear projection type projection screen | |
CN1996140B (en) | High definition thin film reflective screen | |
US10712650B2 (en) | Screen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system | |
JP2010134393A (en) | Stereoscopic display and polarizing glasses | |
JP2002006400A (en) | Transmission screen | |
US8023185B2 (en) | Transmission screen for stereoscopic images | |
CN116149078A (en) | Tiled display device for floating images and multi-lay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6124969A (en) | Rear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 |
JP2004287377A (en) | Reflection type screen and display system | |
JPH0460535A (en) | Screen for liquid crystal projector | |
JP3877704B2 (en) | 3D display device | |
JP4167670B2 (en) | Reflective projection system, reflective screen | |
JP4424792B2 (en) | Light diffusing sheet and transmissive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