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58B1 - Curved-shap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rved-shap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7858B1 KR101587858B1 KR1020130091237A KR20130091237A KR101587858B1 KR 101587858 B1 KR101587858 B1 KR 101587858B1 KR 1020130091237 A KR1020130091237 A KR 1020130091237A KR 20130091237 A KR20130091237 A KR 20130091237A KR 101587858 B1 KR101587858 B1 KR 101587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eparator
- anode
- cathode
-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양극들, 하나 이상의 음극들, 및 하나 이상의 분리막들을 포함하고,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되어 있으며, 양극과 음극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적층면은 곡면(curved surface)을 포함하고 있으며, 음극은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같거나 긴 길이를 가지고, 분리막은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re stacked such that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and one end of each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 other ends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lamination surfaces of the anode, the cathode and the separator include a curved surface, and the cathode has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arc length of the bent anode, And a battery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lamin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휘어진 형상의 전극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의 확산이 이뤄짐으로써, 21세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고품질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사회'로 발전되고 있다.
As information technology (IT) technology has developed remarkably, various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spreading, so that the 21st century is being developed into a "ubiquitous society" capable of providing high quality information servic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이러한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발전 기반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 적층체와 전해질을 내장하고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을 열융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As a development base for such a ubiquitous societ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by incorporating an electrode stack body and an electrolyte in a housing portion of a battery case and thermally fus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상기 전극 적층체는, 소정의 크기의 양극판, 분리막판, 음극판을,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분리막판이 개재되도록 하나씩 순서대로 반복하여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소정의 크기의 양극 시트, 분리막 시트, 음극 시트를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의 사이에 분리막 시트가 개재되도록 적층한 후, 분리막 시트를 일방향으로 권취한 권취형(젤리-롤형), 소정의 갯수의 스택형 전극 적층체들을 분리막 시트 상에 배열한 후, 분리막 시트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소정의 개수의 전극 적층체들을 적층시킨 스택 앤 폴딩형(Stack & Folding)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e electrode laminate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of a predetermined size stacked in a stacked manner (one on top of the other) so that the separator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Jelly-roll type) in which a separator sheet is wound in one direction after stacking a separator sheet between the anode sheet and the cathode shee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stacked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on the separator sheet A stack and a folding type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de stacks are laminated by winding the separator sheet in one direction, and the like.
도 1에는, 양극(1), 분리막(2), 음극(3)을 포함하고, 양극(1)과 음극(3)의 사이에 분리막(2)이 개재되어 있으며, 양극(1), 음극(2)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 구조의 전극 적층체의 벤딩(bending) 전후의 상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양극(1), 하나의 분리막(2), 하나의 음극(3)이 적층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전극 적층체는, 복수개의 양극, 복수개의 분리막, 복수개의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적층체의 벤딩 전에는, 분리막(2)과 음극(3)의 길이가 양극(1)에 비해 더 길지만(A, A'), 벤딩 후에는, 안쪽의 양극(1)의 양단이 각각 분리막(2)과 음극(3)의 양단을 벗어나게 된다(A, A'). 이로 인해, 충전 시, 리튬 석출이 발생하게 되어, 휘어진 전극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휘어지지 않은 상태의 전극 적층체에 사용되던 종래의 양극, 분리막, 음극을 휘어진 전극 적층체에 그대로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1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도 2에는, 휘어진 형상의 젤리-롤형 전극 적층체(2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젤리-롤형 전극 적층체(20)의 경우, 평면 상에서, 전극단자의 돌출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선분(X'-X'')을 따라서, 젤리-롤형 전극 적층체(20)를 구부리는 경우, 절곡된 양단(A', A'')는, 응력(stress)이 집중되어 전극이 부서지는 문제가 있다. 2 is a schematic view of a jelly-roll
본 발명은, 휘어진 상태에서도 양극의 양단이 분리막과 음극으로 감싸지도록 설계된 전극 적층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laminate which is designed so that both ends of a positive electrode are surrounded by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in a bent state, thereb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ing a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른 전극 적층체는, 하나 이상의 양극들, 하나 이상의 음극들, 및 하나 이상의 분리막들을 포함하고,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되어 있으며, 양극과 음극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적층면은 곡면(curved surface)을 포함하고 있으며, 음극은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같거나 긴 길이를 가지고, 분리막은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ode stack according to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nodes, one or more anodes, and one or more separators, and the anodes, cath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such that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s and the cathodes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do not intersect each other, and the laminated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cludes a curved surfac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arc length of the arc- And the separator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sector of the bent anode.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권취되어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교차하는 젤리-롤형 전극 적층체와 달리, 양극과 음극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laminat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the negative electrode sheet are wound in a laminated stat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the negative electrode sheet cross each other, Each end and the other end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상기 음극은,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은, 양극의 길이 대비 1.1 배 이상 내지 1.3 배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부러진 음극의 양단은, 구부러진 양극의 양단과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대면할 수 있다. 구부러진 음극의 양단이 구부러진 양극의 양단과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 시 리튬이 석출되어 안전성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양극은, 양극 탭을 제외한 부분에 양극재가 코팅된 구조일 수 있고, 상기 음극은, 음극 탭을 제외한 부분에 음극재가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may have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sector of the bent anode. Specifically, the cathode may have a length of 1.1 to 1.3 times the length of the anode. Both ends of the bent negative electrode can face each other with both ends of the bent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If both ends of the bent negative electrode are not faced with both ends of the bent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ing film therebetween, safety may arise due to precipitation of lithium upon charging. In this specification, the anod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athode material is coated on a portion excluding the cathode tab, and the cathod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node material is coated on a portion excluding the anode tab.
상기 양극재는,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서 공지된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yMn2-yO4 (여기서, y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y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yMy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y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일 수 있다.
The cathode material may include a lithium metal oxide or the like known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xamples of the lithium metal oxide include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lithium nickel oxide (LiNiO 2 ) and the like Or a compound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Lithium manganese oxides such as Li 1 + y Mn 2-y O 4 (where y is 0 to 0.33), LiMnO 3 , LiMn 2 O 3 and LiMnO 2 ; Lithium copper oxide (Li 2 CuO 2 ); Vanadium oxides such as LiV 3 O 8 , LiFe 3 O 4 , V 2 O 5 and Cu 2 V 2 O 7 ; Formula LiNi 1-y M y O 2 ( where, the M = Co, Mn, Al, Cu, Fe, Mg, B or Ga, y = 0.01 ~ 0.3 Im) Ni site type lithium nickel oxide which is represented by; Formula LiMn 2-y M y O 2 ( where, M = Co, Ni, Fe , Cr, and Zn, or Ta, y = 0.01 ~ 0.1 Im) or Li 2 Mn 3 MO 8 (where, M = Fe, Co, Ni, Cu, or Zn); LiMn 2 O 4 in which a part of Li in the formula is substituted with an alkaline earth metal ion; Disulfide compounds; Fe 2 (MoO 4 ) 3 , and the like.
상기 음극재는, 음극 활물질로서, 천연흑연, 인조흑연, 난흑연화 탄소, 이흑연화 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산화/환원 전위가 Li/Li+의 전위에 대해 0.1V 정도로 낮기 때문에, 충전 시 리튬 석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의 로딩량을 높여서 양극과 음극의 밸런스(balance)를 확보하거나, 벤딩(bending) 시 양극의 슬립(slip) 계산 값을 기준으로 음극의 길이를 설계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ay include a carbonaceous material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non-graphitized carbon, graphitized carbon and the like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ince the oxidation / reduction potential of the carbon-based material is as low as about 0.1 V relative to the potential of Li / Li +, lithium precipitation may occur during charging. Therefore, the balance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can be ensured by increas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cathode, or the length of the cathode can be designed based on the slip calculation value of the anode at the time of bending.
즉, 휘어진 형상의 전극 적층체를 설계하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음극이,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같거나 긴 길이를 가지고, 분리막이 구부러진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음극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양극의 길이 대비 1.1 배 이상 내지 1.3 배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designing the bent electrode lamin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arc length of the circular arc of the bent anode, and that the separator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arc length of the circular arc of the bent anode Can be designed. The separator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cathode to prevent shorting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may have a length of 1.1 to 1.3 times the length of the anode.
상기 전극 적층체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적층면이 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은 35 mm 이상 내지 900 mm 이하의 범위의 곡률반경(R)을 가질 수 있다.
In the electrode laminate, the laminated surface of the anode, the cathode, and the separator includes a curved surface. Specifically, the curved surface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R ranging from 35 mm to 900 mm.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극 적층체는, 스택형(적층형) 전극 적층체일 수 있다.
In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anode, cathode, and separator may not cross each other. At this time, the electrode laminate may be a stacked (laminate) electrode laminate.
한편, 상기 전극 적층체는, 일면 또는 양면에 분리막이 접합(laminate)되어 있는 개량된 전극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개량된 전극은, 예를 들어, 분리막이 양극 또는 음극의 일면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분리막이 양극의 양면 또는 음극의 양면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구현예를 전극군으로 정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de stack body may include one or more modified electrodes lamin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The improved electrode can be realized, for example, by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ion membrane is bonded to one surface of a cathode or anode. Further, the separato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or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anode or both surfaces of the cathode. The anode, the separator, and the cathode may be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n this specifica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anode, the separator, and the cathode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may be defined as an electrode group.
상기 전극군은 최외측 전극들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최외측 전극들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 S형 전극군이라 칭할 수 있고, 최외측 전극군들의 극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 D형 전극군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최외측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분리막들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분리막들과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When the polariti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polariti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are the same, they may be referred to as an S-type electrode group. When the polariti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Group. At least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may be bonded to the separators interposed between the separators.
또한, 상기 개량된 전극은,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와 분리막을 포함하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와 분리막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전극소자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전극소자는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가 분리막들 사이에 개재되고,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가 분리막과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proved electrode may include any one of an anode and a cathode and a separator, and any one of an anode and a cathode and a separator may be bonded to each other. It can be defined as an electrode element. In the electrode device, either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parators, and either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bonded to the separator.
상기 전극, 개량된 전극, 분리막, 전극군, 전극소자 등이 조합되어,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 적층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electrode laminate having such a structure that the electrode, the improved electrode, the separator, the electrode group, the electrode element, and the like are combined and the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상기 양극과 음극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분리막들은 제 1 분리막과 제 2 분리막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분리막은 일단과 타단이 서로 교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 2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전극의 전극단자 비형성 부위인 측면을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분리막은 일단과 타단이 서로 교차하는 점에서 제 1 분리막과 차이가 있다.
Meanwhile, in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one or more separating membranes may include a first separating membrane and a second separating membrane.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is sandwich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in a state where one end and the other end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is sandwich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surrounds the side of the electrode, Can be.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t a point where one end and the other end cross each other.
상기 전극 적층체은, 1개 이상의 비곡면(non-curv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곡면은, 적층면, 또는 상기 적층면에 평행하지 않은 전극 적층체의 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적층면에 수직일 수 있다. 상기 비곡면에는,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양극 탭과 음극 탭이 모두 하나의 비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비곡면에 양극 탭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비곡면에 음극 탭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리드와 연결되고,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가 연결된 구조의 전극단자는, 보호회로모듈(PCM)에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ode stack may include one or more non-curved surfaces. The non-curved surface may exist on the side of the laminated surface or the electrode laminate which is not parallel to the laminated surface. The side surface may be perpendicular to the lamination surface. The non-curved surface may have electrode tabs, and both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formed on one non-curved surface. On one non-curved surface, a positive electrode tab is formed. On the other non- A tab may be formed. Th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erminal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are connected can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상기 비곡면은, 상기 적층면에 평행하지 않은 전극 적층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은 1개 이상의 비곡면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측면 중 하나에는 양극 탭과 음극 탭이 모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laminate that is not parallel to the laminat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non-curved surface. One of the side surfaces may have both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 적층체가 전해질과 함께 전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는 금속 캔 또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일 수 있고, 상기 전지 케이스는 전극 적층체의 휘어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의 공지의 구조 및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battery cell in which the electrode laminate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The battery case may be a pouch-shaped battery case of a laminated sheet including a metal can or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and the battery cas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curved shape of the electrode stacked body. The battery cell may be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or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Known structures and components of a lithium ion battery,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nd a lithium polymer battery are incorporated herein.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전지셀 및 보호회로모듈(PCM)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전지셀의 전극 단자에 연결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상기한 전지팩은 휘어진 형상의 스마트폰, 휘어진 형상의 휴대폰, 휘어진 형상의 노트북, 휘어진 형상의 테블릿 PC, 휘어진 형상의 시계, 휘어진 형상의 텔레비젼, 휘어진 형상의 안경 등의 전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bent smartphone, a bent mobile phone, a bent notebook, a bent tablet PC, a warped clock, a curved television, or a bent glass.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양극, 음극과 분리막이 모두 휘어진 상태에서,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길이를 가지는 음극 및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향상된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arc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having the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anode in a state where the anode, the cathode and the separator are bent Since the electrode laminate is included, improved safety can be exhibited.
도 1은, 스택형 전극 적층체의 벤딩(bending) 전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휘어진 형상의 젤리-롤형 전극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양극, 음극과 분리막이 모두 휘어진 상태에서 양극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에 비해 긴 길이의 분리막과 음극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도 3의 전극 적층체의 구조의 다양한 구현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의 전극 적층체를 구성하는 개량된 전극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bending of a stacked electrode laminate;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elly-roll type electrode laminate in a warped shape; Fig.
FIG. 3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de laminate body including a separator and a cathode each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a circular arc of an anode in a state where the anode, the cathode, and the separator are bent, according to a non-limi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stacked body of Fig. 3; Fig.
Figs. 6 to 10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improved electrode constituting the electrode laminate of Fig. 4. Fig.
이하,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 non-limi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에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양극(101), 분리막(102), 음극(103)을 포함하고, 양극(101)과 음극(103) 사이에, 분리막(102)이 개재되어 있는 전극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양극(101), 하나의 분리막(102), 하나의 음극(103)이 적층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전극 적층체는, 복수개의 양극, 복수개의 분리막, 복수개의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양극(101), 분리막(102), 음극(103)이 모두 휘어진 상태에서, 분리막(102)과 음극(103)의 양단이 양극(101)의 양단을 감싸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도 4 및 도 5에는, 도 3의 전극 적층체의 구조가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양극(101), 분리막(102) 및 음극(103)을 포함하고, 양극(101)과 음극(103)의 사이에는 분리막(102)가 개재되어 있으며, 양극(101)에는 양극재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양극 탭(101a)이 형성되어 있고, 음극(103)에는 음극재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음극 탭(103a)가 형성되어 있는 전극 적층체(100)이 도시되어 있다. 양극(101), 분리막(102) 및 음극(103)의 각각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Figs. 4 and 5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laminate of Fig. 3 is implemented. A
전극 적층체(100)은 양극(101), 분리막(102), 음극(103)의 적층면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적층면에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측면에는, 비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측면들 중에서, 하나에는, 양극 탭(101a)와 음극 탭(103a)이 형성되어 있고, 양극 탭(101a)와 음극 탭(103a)는 각각 양극리드(도시하지 않음), 음극리드(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되어 양극단자, 음극단자를 형성한다.
In the electrode stacked
도 3과 도 4를 함께 참고하면, 도 4의 전극 적층체(100)을 양극 탭(101a)과 음극 탭(103a)의 돌출 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선분(X'-X'')을 따라서 구부릴 때, 도 3에서와 같이, 분리막(102)과 음극(103)의 양단은, 양극(101)의 양단을 감쌀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분리막(102)과 음극(103)은, 휘어진 양극(101)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고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도 5는, 양극(101), 분리막(102) 및 음극(103)을 포함하고, 양극(101)과 음극(103)의 사이에 분리막(102)가 개재되어 있는 도 4의 전극 적층체(100)을 분리막 시트(107) 상에 배열하고, 분리막 시트(107)을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분리막 시트(107)이 전극 탭들(101a, 103a)의 비형성 부위인 전극들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구조의 전극 적층체(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분리막 시트(107)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교차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stack 100 (FIG. 4) in which the
도 3과 도 5를 함께 참고하면, 도 5의 전극 적층체(200)을 양극 탭들(101a)과 음극 탭들(103a)의 돌출 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선분(X'-X'')을 따라서 구부릴 때, 도 3에서와 같이, 분리막(102)과 음극(103)의 양단은, 양극(101)의 양단을 감쌀 수 있다. 분리막(102)는 전술한 제 1 분리막으로 이해할 수 있고, 분리막 시트(107)은 전술한 제 2 분리막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and 5, the
도 4에서, 전극 적층체(100)은, 스택형 전극 적층체일 수 있다. 한편, 전극 적층체(100)은, 전극(101, 103)의 일면 또는 양면이 분리막(102)과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개량된 전극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의 전극의 일면 또는 양면이 분리막과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개량된 전극은,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Fig. 4, the
도 6에는, 양극(101)의 일면에 분리막(102)이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구현예(110)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양극(101)의 양면에 분리막(102)이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2 구현예(120)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양극(101)과 음극(103)의 사이에 분리막(102)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101), 분리막(102), 음극(103)이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3 구현예(130)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8의 제 3 구현예(130)의 최외측 전극들(101, 103)중 하나의 전극(102)가 분리막들(10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분리막들(102)과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4 구현예(140)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8의 제 3 구현예(130)의 최외측 전극들(101, 103)이 분리막들(10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분리막들(102)과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5 구현예(150)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제 2 구현예(120)은 전극소자로 대체하여 칭할 수 있고, 제 3 구현예(130)은, 전극군으로 대체하여 칭할 수 있다.
6 schematically shows a
전극 적층체(100)은, 복수의 양극들(101), 복수의 분리막들(102), 복수의 음극들(103)과, 제 1 구현예(110), 제 2 구현예(120), 제 3 구현예(130), 제 4 구현예(140), 제 5 구현예(15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21)
상기 하나 이상의 분리막들은 제 1 분리막과 제 2 분리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2 분리막은 전극의 전극단자 비형성 부위인 측면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적층체.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stacked such that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ross each other The laminated surface of the anode, the cathode and the separator includes a curved surface and the cathode has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sector of the bent anode and the separato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arc of the sector of the bent anode Length,
Wherein the at least one separation membrane comprises a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surrounds a side of the electrode which is not formed with an electrod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237A KR101587858B1 (en) | 2013-07-31 | 2013-07-31 | Curved-shap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
PCT/KR2014/004098 WO2015016465A1 (en) | 2013-07-31 | 2014-05-08 |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EP14832182.1A EP2988362B1 (en) | 2013-07-31 | 2014-05-08 |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JP2016515258A JP6169789B2 (en) | 2013-07-31 | 2014-05-08 | Curved electrode laminat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CN201480029954.3A CN105247726B (en) | 2013-07-31 | 2014-05-08 | The battery pack of the electrode stack of bending and electrode stack including the bending |
US14/893,362 US9972868B2 (en) | 2013-07-31 | 2014-05-08 |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237A KR101587858B1 (en) | 2013-07-31 | 2013-07-31 | Curved-shap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320A KR20150015320A (en) | 2015-02-10 |
KR101587858B1 true KR101587858B1 (en) | 2016-01-22 |
Family
ID=5257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237A Active KR101587858B1 (en) | 2013-07-31 | 2013-07-31 | Curved-shap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78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71457A1 (en) * | 2016-03-31 | 2017-10-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gh-flexibility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881B1 (en) * | 2015-10-02 | 2019-09-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with improved safety and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KR102065733B1 (en) * | 2015-10-21 | 2020-0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composite, secondary battery and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KR102094463B1 (en) * | 2016-03-24 | 2020-03-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
KR102347981B1 (en) | 2018-04-23 | 2022-01-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73709A (en) * | 1998-01-05 | 1999-10-08 | Haibaru:Kk | Battery |
CN1316645C (en) * | 2001-08-24 | 2007-05-16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battery, a lithium battery and an electrical appliance |
KR101049841B1 (en) * | 2008-03-12 | 2011-07-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urved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2013
- 2013-07-31 KR KR1020130091237A patent/KR101587858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71457A1 (en) * | 2016-03-31 | 2017-10-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gh-flexibility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
US10784539B2 (en) | 2016-03-31 | 2020-09-22 | Lg Chem, Ltd. | Electrode assembly having high flexibilit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320A (en) | 2015-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69789B2 (en) | Curved electrode laminat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JP4293247B2 (en) | Multilaye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3548196B (en) | bipolar all-solid-state battery | |
KR102508381B1 (en) |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587858B1 (en) | Curved-shap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 |
US9865897B2 (en) | Stacked electrochemical cell with increased energy density | |
US10622615B2 (en) | Electrochemical device | |
KR101590259B1 (en) | Electrode assembly, battery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EP3316349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 |
WO2020256023A1 (en) | Secondary battery | |
WO2020218214A1 (en) | Secondary battery | |
JP4720384B2 (en) | Bipolar battery | |
CN113711406B (en) | Secondary battery | |
CN115516704A (en) | Secondary battery | |
JP2005310577A (en) | Coin type secondary battery | |
JP7647458B2 (en) | All-solid-state battery | |
CN114824336A (en) | Solid-state battery and solid-state battery cell | |
KR102403673B1 (en) |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 |
JP2007123009A (en) | Wound type battery | |
KR101634759B1 (en) | Electrode Stack of Enhanced Rate Performance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102083296B1 (en) | Method of Preparing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Having Hole | |
KR101598854B1 (en) | Electrode Stack of Enhanced Rate Performance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101631123B1 (en) | Electrode Stack of Enhanced Rate Performance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101746790B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Curved-shaped Protection Circuit Module | |
KR102666729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