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7357B1 -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357B1
KR101587357B1 KR1020140115270A KR20140115270A KR101587357B1 KR 101587357 B1 KR101587357 B1 KR 101587357B1 KR 1020140115270 A KR1020140115270 A KR 1020140115270A KR 20140115270 A KR20140115270 A KR 20140115270A KR 101587357 B1 KR101587357 B1 KR 10158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mperature
vehicle
ccid
g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357B1/ko
Priority to US14/738,605 priority patent/US20160059719A1/en
Priority to EP15172724.5A priority patent/EP2990255A1/en
Priority to JP2015136888A priority patent/JP6126170B2/ja
Priority to CN201510463325.8A priority patent/CN10539110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장치는, 차량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상기 그리드 플러그에 연결되는 그리드 케이블과, 상기 그리드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 충전의 제어를 위한 릴레이 회로를 포함하는 CCID와, 상기 차량에 접속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CCID를 연결하는 커플러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 플러그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와 제 2 온도 센서는 접지가 되는 그라운드 라인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Recharging device and recharging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환경에 따라 CCID에 연결되는 풀러그 또는 커플러를 교체할 수 있는 차량용 충전 장치에 대한 것이다.
EV(Electric Vehicle)이나 PHV(Plug in Hybrid Vehicle) 등의 차량에는, 해당 차량의 원동기가 되는 전동기(모터)에의 공급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축전지의 충전에는 전력 공급원에 접속하게 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차량의 급전구에 접속하는 플러그(커플러)를 포함하는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충전 장치는, 전력 공급원에 접속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차량의 급전구에 접속하는 커플러가 CCID 본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최대 전류 허용치가 상이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충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충전 장치들은 미리 설계된 최대 전류 허용치가 동일한 환경에서만 사용되어야 하고, 만약, 사용자가 충전 환경이 상이한 지역에서 해당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 충전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전시에 플러그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온도 센서가 고장 또는 오작동하는 경우에는 차량 충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충전시에 플러그 주변 온도가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온도 센서의 고장으로 과열로 판단하여 충전을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2014-0096866 A (2014년08월06일 공개)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정적인 충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를 복수개 마련하고,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되는 온도값으로부터 보다 효율적인 차량 충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전력 공급원에 접속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차량에 접속하는 커플러가 CCID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충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CCID 본체에 연결되는 커플러 또는 그리드 플러그에 따라, 최대 전류 허용치를 판단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환된 커플러 또는 그리드 플러그에 따라 최대 전류 허용치를 스스로 가변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차량 충전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충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온도 센서가 플러그 단자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충전시 과도 전압 또는 스파이크 전압에 의하여 CCID 내부 회로가 파손되거나 오동작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장치는, 차량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상기 그리드 플러그에 연결되는 그리드 케이블과, 상기 그리드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 충전의 제어를 위한 릴레이 회로를 포함하는 CCID와, 상기 차량에 접속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CCID를 연결하는 커플러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 플러그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와 제 2 온도 센서는 접지가 되는 그라운드 라인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의 차량 충전 방법은, 차량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원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CCID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러그 내에는 상기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온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와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이 수행되는 때에, 상기 CCID가 상기 플러그 내에 마련된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독출하고, 독출된 측정 온도값들 중 큰 값을 현재 온도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들의 차이가 제 1 설정 온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들의 차이가 제 1 설정 온도보다 큰 경우에, 상기 차량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차량 충전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온도 센서들에 의해서 측정되는 온도값을 보다 정확히 이용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온도 센서들이 갖는 오차들에 의하여, 과열을 센싱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충전 케이블을 필요에 따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충전용 핀의 위치와, 충전 케이블 식별용 핀을 통하여 충전 케이블의 식별 및 최대 전류 허용치 등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CCID를 이용하여,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허용하는 차량 충전 규제에 대응한 충전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어, 별도의 CCID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플러그 내에 온도 센서가 단자와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온도 센서에 의한 과전압 및 스파이크 전압이 차량 또는 CCID 회로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충전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CCID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그리드 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들이 장착된 플러그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들의 센서 연결 라인과 상기 센서 연결 라인을 보호하는 센서 피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핀 구성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핀과 상기 핀이 접속되는 접촉단자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메일 커넥터에 연결가능한 서로 다른 종류의 충전 케이블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충전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차량 충전 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 충전 장치는 차량(10)과 주택(20)의 전원 콘센트 사이에 충전 케이블을 접속시킴으로써, 차량(10)에 탑재된 축전 장치를 차량 외부의 사용 전원(예를 들면, 계통 전원)에 의해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 외부의 전원을 '전력 공급원' 또는 '외부 전원'이라 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원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한 차량의 충전을 '외부 충전'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는, 릴레이 회로와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는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120)와,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그리드 플러그(140)와, 상기 그리드 플러그(140)와 CCID(120)를 연결하는 그리드 케이블(130)과, 차량(10)에 접속되는 커플러(110)와, 상기 커플러(110)와 CCID(120)를 연결하는 커플러 케이블(11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플러 케이블(111)과 그리드 케이블(130)은 상기 CCID(12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를 위해 상기 CCID(120)에도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차량(10)은 상기 커플러(110)가 접속되는 충전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케이블(111) 및 커플러(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량(10)에는 CCID(120)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장치가 마련되고, CCID(120)와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10) 상태를 CCID(120)로 전달하거나, CCID(120)의 충전과 관련되는 제어 명령에 따를 수 있다.
또한, CCID(12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한 차량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CCID 릴레이와, 차량 또는 외부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파일럿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CID 릴레이는 파일럿 회로에 의하여 온/오프될 수 있으며, 파일럿 회로는 차량(10)의 충전 ECU에 파일럿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파일럿 신호는, 충전 케이블(그리드 케이블, 커넥터 케이블)의 전류 허용값(정격 전류)을 차량(10)의 충전 ECU에 통지하는 것과 함께, 충전 ECU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신호의 전위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리고, 파일럿 회로는 파일럿 신호의 전위 변화에 기초하여 CCID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CCID는 일반적으로 전류 허용값, 즉, 최대 전류 허용치가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CCID 릴레이 및 파일러 회로가 설계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특정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CCID를 타 국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국가별 상이한 전류 허용값으로 인하여, 차량(10)의 충전이 불완전해지거나, 과충전되어 위험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CCID 본체로부터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연결되는 케이블에 따라 CCID에서 최대 전류 허용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차량 충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는, CCID 릴레이와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는 CCID 본체(121)와, 상기 CCID 본체(121)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플러(110) 및 그리드 케이블(130)을 포함한다.
상기 그리드 케이블(130)은 상기 CCID 본체(121)의 그리드 커넥터(123)에 접속될 수 있는 그리드 단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 케이블(130)의 타측 단부에는 외부 전원(전력 공급원)에 연결가능한 그리드 플러그(140)가 마련된다.
또한, 차량의 충전구에 연결되는 커플러(110)는 상기 CCID 본체(121)의 커플러 커넥터(122)에 연결되는 커플러 단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110)와 커플러 단부(112) 사이가 커플러 케이블(111)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충전 케이블이라고 함은, 상기 그리드 케이블(130)과 커플러 케이블(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CID 본체(121)의 일측에는 커플러측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커넥터(122)가 형성되고, CCID 본체(121)의 타측에는 전력 공급원에 연결되기 위한 그리드 플러그측과 연결되는 그리드 커넥터(123)가 마련된다. 그리고, 커플러 케이블(111)과 그리드 케이블(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CCID 본체(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CCID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그리드 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는 그리드 플러그와 연결되는 그리드 케이블이 CCID 본체(121)로부터 착탈가능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커플러 및 커플러 케이블 역시 유사한 구조로 CCID 본체(12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드 플러그(140)와 그리드 케이블(130)이 CCID 본체(121)로부터 착탈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그리드 케이블(130)의 일측 단부에는 그리드 단부(131)가 마련되고, 타측 단부에는 그리드 플러그(1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단부(131)는 CCID 본체(121) 내부에 마련된 그리드 커넥터(123a)에 접속되는 CCID 연결부(131b)와, 상기 CCID 연결부(131b)와 그리드 케이블(130)을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부(131a)를 포함한다.
상기 CCID 본체(121) 내부에 그리드 커넥터(123a)가 형성되는 경우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CCID 본체(121) 일측에서 노출되는 형상으로 그리드 커넥터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리드 커넥터(123a)는 8개의 핀이 돌출된 구조의 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리드 커넥터(123a)에 연결되는 CCID 연결부(131b)는 8개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피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가 반대로 구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커넥터의 핀 구성이 8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핀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진 상기 그리드 커넥터(123a)가 CCID 본체(121)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그리드 플러그 측의 CCID 연결부(131b)를 상기 CCID 본체(121)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가압함으로써, 그리드 플러그측을 CCID에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CCID 본체(121)에서는 연결되는 그리드 케이블 또는 커플러 케이블에 따라 최대 전류 허용치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CCID 본체의 커플러 커넥터 또는 그리드 커넥터에 연결되는 핀의 위치를 통하여, CCID 본체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CCID 본체의 그리드 커넥터(또는 커플러 커넥터)(123a)에 구성된 핀들 중 일부의 핀에 대해서는 충전을 위한 핀과, 연결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핀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들이 장착된 플러그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들의 센서 연결 라인과 상기 센서 연결 라인을 보호하는 센서 피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예의 온도 센서는, 그리드 플러그(140) 또는 커플러(11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리드 플러그(140) 내에 온도 센서가 두 개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본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온도 센서(145a,145b)는 주변 온도를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실시예의 온도 센서들(145a,145b)은 차량 또는 전력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141a) 및 제 2 단자(141b)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플러그 내에 마련된다. 즉, 온도 센서들은 플러그 내에서 제 1 단자(141a)와 제 2 단자(141b) 사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온도 센서가 전력이 전달되는 단자에 직접 접촉하도록 장착되는 경우라면, 온도 센서에 의한 과전압 또는 스파이크 전압이 단자를 경유하여 회로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리드 플러그(140)와 연결된 그리드 케이블(130)에는 상기 제 1 단자(141a) 및 제 2 단자(141b)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단자 연결 케이블 및 제 2 단자 연결 케이블(148a,148b)이 수용된다. 다만, 이들 단자 연결 케이블들은 절연을 위하여 각각 단자 연결 피복(548a,548b)에 의하여 그리드 케이블(130)내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케이블(130) 내에는 온도 센서들과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센서 연결 라인(146a, 146b, 146c)도 통과하는데, 이들 센서 연결 라인들은 절연을 위하여 각각의 센서 연결 라인을 감싸는 센서 피복들(546a,546b,546c)이 상기 그리드 케이블(130) 내부를 통과한다.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온도 센서(145a,145b)들은 각각 전력이 전달되는 단자들(141a,141b)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 1 단자(141a)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온도 센서(145a)와, 상기 제 2 단자(141b)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온도 센서(145b)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145a,145b) 모두 각각의 단자들(141a,141b)와는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145a,145b)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그라운드 라인은 단일의 그라운드 라인(146c)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온도 센서가 플러그 내에 마련되는 경우라도, 온도 센서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라인은 3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온도 센서와, 온도 센서에 연결되는 센서 연결 라인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온도 센서(145a,145b)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라인(146c)은 공통으로 사용되고, 각각의 온도 센서(145a,145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센서 연결 라인(146a)과, 제 2 센서 연결 라인(146b) 각각은 제 1 센서 피복(546a)과 제 2 센서 피복(546b)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그리드 케이블(130)내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들(145a,145b)의 그라운드 라인(146c)은 제 2 센서 피복(546c)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그리드 케이블(130) 내부를 통과한다. 따라서, 그리드 케이블(130) 내부를 통과하는 피복은 3개가 되며, 이것은 온도 센서들에 연결되어야 하는 그라운드 라인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들(145a,145b)은 플러그 내에서 센서 하우징(500)에 의하여 보호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500) 및 상기 센서 하우징(500) 내에 수용된 온도 센서들(145a, 145b)이 플러그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하우징(500)에는 착탈가능한 후크부(51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는 상기 센서 하우징(500) 내에서도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수용된다.
상기 후크부(510)는 상기 센서 하우징(5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500)이 플러그 내에 삽입될 때에 플러그 내벽의 홈 또는 홀에 상기 후크부(510)가 결합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들(145a,145b)은 상기 센서 하우징(500) 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야 하며, 온도 센서들 사이의 쇼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차량의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전력이 전달되는 라인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에 의한 온도가 측정된다. 예를 들면, 플러그 내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들에 의한 온도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들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값을 비교한다(S101).
그리고, 그 비교결과의 온도값들 중에서, 더 높은 온도로 센싱한 값을 차량 충전을 위한 CCID 또는 차량 내의 충전 ECU에서 현재 온도로 판단한다(S102). 왜냐하면, 차량 충전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과열을 미리 판단하기 위한 관점에서, 온도 센서마다 발생되는 오차를 감안하여 보다 높게 측정된 온도값을 현재 온도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CCID에서는 현재 온도로 판단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거나, 해당 온도 센서들 사이의 측정된 온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그리고, CCID는 현재 온도로 판단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해당 온도 센서들 사이의 측정된 온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차량 충전을 중단시킨다(S104).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값은 차량 충전을 중단시킬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충전 중단 기준온도값으로서, 이하, 편의를 위해 충전 중단 기준온도값을 제 1 설정 온도로 칭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차량 충전의 중단의 명령은 CCID 외에 차량의 충전 ECU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온도로 판단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최대온도 80℃를 초과하는 경우와, 현재 온도로 판단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최저온도 -40℃보다 작은 경우는 기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값이 현재 온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온도 센서가 오동작 또는 고장난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내 마련된 온도 센서들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준값(예를 들면, 7℃)(제 1 설정온도 또는 제 1 설정값이라 할 수 있음)보다 큰 경우에도, 온도 센서 모두에 오차가 발생하였거나, 온도 센서를 통하여 온도값을 독출하는 회로(예를 들면, CCID)가 불량인 경우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모두에 대해서 차량 충전이 중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현재 온도로 사용된 측정 온도값이 기설정된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벗어나는 경우와, 온도 센서들의 측정값의 오차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차량 충전의 중단 명령이 내려지면, CCID 내의 릴레이 회로가 오프(S105)된다. 그리고, 충전 중단을 위하여 해당 릴레이 회로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6)를 더 거칠 수 있다. 왜냐하면, 릴레이 회로의 L상 라인과, N상 라인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는데, 릴레이 융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회로를 오프시키는 제어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릴레이 회로가 정상적으로 오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릴레이 회로의 오프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차량측의 상태(충전 여부, 충전 전류)를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차량 충전의 중단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CCID는 안전 모드로 진입하고, 사용자가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S107).
한편, 단계 S103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기준 범위(상한치 및 하한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각의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의 현재 온도로 설정된 온도값이 PWM 듀티비 변경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예를 들면, 70℃) 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참고로, PWM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차량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 전류의 값을 증가시키게 되며, PWM 듀티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차량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 전류의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PWM 듀티비 변경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은 차량 충전의 제어를 위한 PWM의 듀티비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차량 충전을 중단할 정도로 과열되지는 않았지만, 과열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PWM 듀티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일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를 제 2 설정 온도로 칭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속하면서, 온도 센서들의 측정 온도값의 차이가 제 1 설정 온도 이내이지만, 제 2 설정 온도(예를 들면, 70℃)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 충전 제어를 위한 PWM의 듀티비를 감소시킴으로써(S109), 차량 충전 속도를 낮추도록 한다. 또한, 온도 센서들의 측정 온도값의 차이가 제 1 설정 온도 이내이지만, 제 2 설정 온도보다 컸기 때문에, PWM 듀티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충전 전류를 감소시킨 경우에, 온도 센서에 의하여 추가로 측정되는 측정 온도값이 상기 제 2 설정 온도보다 작아지게 되면, 상기 PWM 듀티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고, 이로부터 차량 충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반면에,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제 2 설정 온도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 속도에 대응되는 PWM 듀티비로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10). 즉, 차량의 정상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PWM 듀티비 또는 충전 전류값에 따라 차량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차량 충전 방법을 통해서, 복수의 온도 센서에 의한 보다 정확한 차량 충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전시 과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른 차량 충전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핀 구성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CCID 본체(121)에 마련되는 메일(male)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해당 메일 커넥터는 그리드 커넥터 또는 커플러 커넥터가 될 수 있다. 도 5의 커넥터가 그리드 커넥터(123a)일 경우에는, 상기 그리드 커넥터(123a)에 그리드 단부(131)가 결합되고, 상기 그리드 단부(131)는 전력 공급원 측에 연결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다.
서로 다른 종류의 충전 케이블이 단일의 CCID 본체(121)에 연결될 수 있는 경우에도, 차량의 충전과,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하여, 충전 케이블측의 커넥터의 핀 개수와, CCID측의 커넥터의 핀 개수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케이블은 전력 공급원 측에 연결되는 그리드 케이블(130)이 되거나, 차량에 연결되는 커플러 케이블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CCID 본체(121)를 이용해서, 다양한 환경(예를 들면, 서로 다른 최대 전류 허용치가 적용되는 국가들)에서 충전 케이블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차량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충전 케이블 역시 본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의 핀이 구성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 즉, 그리드 플러그 측의 케이블 또는 차량에 연결하는 커플러측 케이블에 구성되는 피메일 커넥터와, CCID 본체의 메일 커넥터 사이에는 동일한 개수의 핀이 구성된다. 보다 정확히, 메일 커넥터의 핀들이 삽입 연결될 수 있는 접촉단자홀이 피메일 커넥터에 형성된다. 다만, 메일 커넥터의 모든 핀이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충전을 위한 전력 전달을 위한 핀과,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핀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CCID 본체의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8개의 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8개의 핀 중에서 3개의 핀은 차량 충전을 위하여 케이블과 연결되는 핀으로서 충전 케이블 역시 메일 커넥터의 충전용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접촉단자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CCID 본체(121)에 마련되는 메일 커넥터에는, 2행 4열로 소정 간격을 두고 8개의 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3개의 핀은 차량 충전을 위한 전력 전달용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제1행 제4열의 제 4 핀(304), 제2행 제3열의 제 7 핀(307), 및 제2행 제4열의 제 8핀(308)이 충전용 핀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들 충전용 핀 중 제 4 핀(304)은 L상 연결용으로, 제 8 핀(308)은 N상 연결용으로 구성되고, 제 7 핀(307)은 그라운드 연결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핀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메일 커넥터의 복수의 핀들 중에서 3개의 핀에 대해서 충전용 핀으로 할당된 경우에, 상기 메일 커넥터에 연결되는 피메일 커넥터(커플러측 케이블과, 그리드측 케이블의 커넥터)에 형성되는 접촉단자홀들 중에서도 해당 위치의 접촉단자홀은 충전을 위한 케이블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메일 커넥터의 핀이 8개로 구성되고, 3개의 핀이 차량 충전을 위한 전력 전송용(충전용)으로 사용된다면, 나머지의 핀(예를 들면, 5개의 핀)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충전 케이블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나머지 핀을 이용하여 CCID에 접속된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고, 그로부터 미리 저정된 최대 전류 허용치에 따라 차량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결되는 피메일 커넥터(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할당된 핀을 충전 케이블 식별용 핀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그리드 플러그 내에 마련되는 온도 센서의 접속 핀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과충전, 스파이크성 전류 등에 의하여 플러그 단자 주위가 고온이 되는지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2개 구성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핀과 상기 핀이 접속되는 접촉단자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시된 도면에서의 좌측은 피메일 커넥터(600)이고, 도면에서의 우측은 메일 커넥터(700)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700)는 CCID 본체에 마련되는 커플러측 커넥터 또는 그리드측 커넥터가 될 수 있으며, 피메일 커넥터(600)는 커플러 케이블 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 또는 그리드 케이블 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가 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도, 피메일 커넥터(600)와 메일 커넥터(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8개의 핀이 사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메일 커넥터(700)의 3개의 핀(760,770,780)은 차량 충전을 위한 전력 공급 라인인 충전용 핀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충전용 핀과 대응되는 위치의 피메일 커넥터(600)에는 충전용 접촉단자홀들(660,670,680)이 마련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700)에 서로 다른 종류의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라도, 각각의 피메일 커넥터에서 충전용 접촉단자홀은 상기 메일 커넥터의 충전용 핀(760,770,780)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메일 커넥터(700)의 나머지 핀들은 연결되는 피메일 커넥터(600)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메일 커넥터(700) 나머지 5개의 핀을 충전 케이블 확인용 핀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피메일 커넥터(600)의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3 접촉단자홀(610,620,630)에 제 1 온도 센서(NTC1)와 제 2 온도 센서(NTC2)가 연결되고, 제 6 내지 제 8 접촉단자홀(660,670,680)이 충전용 핀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피메일 커넥터(600)가 메일 커넥터(700)에 접속되는 경우에, 메일 커넥터(700)의 핀 들중에서 제 1 내지 제 3 핀(710,720,730)에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일 커넥터(700)가 피메일 커넥터의 접촉단자홀을 통하여 온도 센서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읽어들일 수 있으면서, 온도 센서가 연결된 핀이 제 1 핀, 제 2 핀, 및 제 3 핀인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CCID에서는 제 1 내지 제 5 핀 중에서 제 1 내지 제 3 핀을 통하여 온도 센서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온도 센서의 연결과 함께,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ID에서는 제 1 내지 제 3핀을 통하여 온도 센서가 연결되는 경우라도 판단하는 경우에는, 차량 충전을 위한 최대 전류 허용치를 10A로 설정하고, 설정된 전류값 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차량 충전을 중단시키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일 커넥터(700)의 핀들에 대해서는 특정 핀에 대해서는 그 길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 연결된 라인 중 그라운드 라인에 연결되는 핀의 사이즈(A)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거나, 충전용 핀 중 L상 라인과 N상 라인을 제외한 그라운드 라인(780)에 해당하는 핀의 사이즈(C)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내지 도 16은 메일 커넥터에 연결가능한 서로 다른 종류의 충전 케이블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3은 도 12에서 예시한 경우와 동일하게, 충전 케이블 확인용 핀들(710~750) 중에서 제 1 내지 제 3 핀(710~730)에 플러그 내의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라인이 접속되는 경우이다.
한편, 도 14는 메일 커넥터(700)에 접속되는 피메일 커넥터(600)의 접촉단자홀 중에서 제 1, 제 2 및 제 4 접촉단자홀(610,620,640)이 두 개의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피메일 커넥터(600)가 메일 커넥터(700)에 연결되면, 메일 커텍터(700) 측에서는 복수의 충전 케이블 확인용 핀들 중에서 제 1, 제 2 및 제 4 핀에 온도 센서가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2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CID에 의하여 최대 전류 허용치가 12A로 설정될 수 있으며, CCID에 의한 충전 제어시에 최대 전류값이 다르게 적용된다. 각 지역별 또는 각 국가별로 차량 충전에 허용하는 최대 전류 허용치를 법적으로 다르게 규정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해당 지역 또는 국가에서 충전 케이블 교환하여 연결하는 것만으로 CCID에 의한 차량 충전 제어가 규정이나 법규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메일 커넥터(700)의 핀은 해당 피메일 커넥터(600)가 연결되었을 때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메일 커넥터의 핀이 온도 센서의 연결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5에는 피메일 커넥터(600)의 제 1 접촉단자홀(610)은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의 그라운드 라인을 연결하도록 할당되고, 제 1 온도 센서(NTC1)가 제 2 접촉단자홀(620)에 연결되고, 제 2 온도 센서(NTC2)가 제 5 접촉단자홀(650)에 연결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이러한 접촉단자홀 구성을 갖는 피메일 커넥터가 메일 커넥터(700)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700)의 제 1 핀, 제 2 핀 및 제 5 핀에 온도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CID는 제 3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CCID는 최대 전류 허용치를 13A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일 커넥터의 제 1 핀과, 피메일 커넥터의 제 1 접촉단자홀이 온도 센서의 그라운드 라인이 연결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제 4 충전 케이블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접촉단자홀에 바이패스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온도 센서(NTC1)는 제 2 접촉단자홀(620)에 연결되고, 제 2 온도 센서(NTC2)는 제 4 및 제 5 접촉단자홀(640,650) 모두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이러한 피메일 커넥터(600)와 접속되는 메일 커텍터(700) 측에서는 제 1 핀, 제 2 핀, 제 4 핀 및 제 5 핀이 온도 센서와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고, 제 4의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라면, CCID는 최대 전류 허용치를 16A로 판단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제 4 및 제 5 접촉단자홀이 단일의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접촉단자홀이 동일한 온도 센서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서, 하나의 CCID와, CCID에 마련된 커넥터를 통하여, 복수의 충전 케이블들이 연결가능하게 되고, 또한, 연결된 각각의 충전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허용치에 따라 차량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CCID는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한 다음에는, 현재의 최대 전류 허용치의 변화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110 : 커플러 120 : CCID
130 : 그리드 케이블 140 : 그리드 플러그

Claims (19)

  1. 삭제
  2. 차량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그리드 플러그와,
    상기 그리드 플러그에 연결되는 그리드 케이블과,
    상기 그리드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 충전의 제어를 위한 릴레이 회로를 포함하는 CCID와,
    상기 차량에 접속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CCID를 연결하는 커플러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 플러그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와 제 2 온도 센서는 접지가 되는 그라운드 라인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연결되는 제 1 센서 연결 라인과,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연결되는 제 2 센서 연결 라인과, 상기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라인이 상기 그리드 케이블 내부를 통과하는 차량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연결 라인과, 그라운드 라인 각각은 피복을 개재하여 상기 그리드 케이블 내부를 통과하는 차량 충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케이블은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차량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는 상기 그리드 케이블과 연결되는 때에 접속되는 핀으로부터 상기 그리드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차량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에는 상기 그리드 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 개의 핀을 갖는 메일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그리드 케이블의 단부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의 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접촉단자홀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차량 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의 핀 중에서 3개의 핀은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차량으로 전달하기 위한 충전용 핀으로 할당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의 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은 연결되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식별용 핀으로 할당되는 차량 충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는 연결된 그리드 케이블의 종류를 식별한 다음, 식별 결과에 따라 차량 충전시 사용되는 최대 전류 허용치를 가변시키는 차량 충전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센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그리드 플러그 내에 장착되는 차량 충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는 상기 센서 하우징 내에서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용되는 차량 충전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측에는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후크부가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그리드 플러그 내벽에 마련된 홈 또는 홀에 결합되는 차량 충전 장치.
  12. 차량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원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러그 내에는 상기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온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와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이 수행되는 때에,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가 상기 플러그 내에 마련된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독출하고, 독출된 측정 온도값들 중 큰 값을 현재 온도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들의 차이가 충전 중단 기준온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들의 차이가 상기 충전 중단 기준온도값 보다 큰 경우에, 상기 차량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 내의 릴레이 회로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릴레이 회로의 오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회로의 오프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릴레이 회로의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상기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에 구성된 LED를 동작시키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차량 충전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들의 차이가 충전 중단 기준온도값 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기설정된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충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기설정된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들의 차이가 충전 중단 기준온도값 보다 작으면서, 상기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기설정된 상한치와 하한치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인 차량 충전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상기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충전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를 감소시킨 이후에, 상기 측정 온도값이 상기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 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를 다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충전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로 설정된 측정 온도값이 상기 충전 감소 기준온도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충전 방법.
KR1020140115270A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8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270A KR101587357B1 (ko)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14/738,605 US20160059719A1 (en) 2014-09-01 2015-06-12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EP15172724.5A EP2990255A1 (en) 2014-09-01 2015-06-18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JP2015136888A JP6126170B2 (ja) 2014-09-01 2015-07-08 車両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201510463325.8A CN105391102B (zh) 2014-09-01 2015-07-31 车辆充电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270A KR101587357B1 (ko)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357B1 true KR101587357B1 (ko) 2016-01-20

Family

ID=5343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2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7357B1 (ko)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59719A1 (ko)
EP (1) EP2990255A1 (ko)
JP (1) JP6126170B2 (ko)
KR (1) KR101587357B1 (ko)
CN (1) CN10539110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2875A (zh) * 2016-04-11 2016-07-13 广东奥美格传导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系统及充电时的温度保护方法
KR101996603B1 (ko) * 2018-12-19 2019-07-04 중앙제어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 전기차 충전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6658B2 (en) 2013-08-01 2018-08-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DE102014201764A1 (de) * 2014-01-31 2015-08-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und Ladekabel für ein Elektrofahrzeug
DE102014016825B4 (de) * 2014-11-13 2023-06-29 Audi Ag Kraftfahrzeug-Ladedose mit Überhitzungsschutz
DE102015107161A1 (de) * 2015-05-07 2016-11-10 Rwe Effizienz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ofahrzeug und einer Ladestation
CN107112781B (zh) * 2015-08-31 2020-06-05 尼吉康株式会社 供电装置
WO2017138939A1 (en) * 2016-02-11 2017-08-17 Lear Corporation Vehicle charge-cord system
US9634435B1 (en) * 2016-05-19 2017-04-25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equipment with interchangeable power supply cords conforming to different technical standards
US20170334300A1 (en) * 2016-05-20 2017-11-23 Faraday&Future Inc. Charg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or
CN207265713U (zh) * 2017-07-28 2018-04-20 特斯拉公司 具有热保护的充电系统
CN107478347B (zh) * 2017-08-25 2023-08-01 深圳奥特迅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充电枪及其接触点的温度测量方法、装置
TWI637567B (zh) * 2017-11-13 2018-10-0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US10882415B2 (en) * 2017-12-04 2021-01-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pre-charge testing to prevent misuse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JP7091943B2 (ja) * 2018-08-28 202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EP3696011B1 (en) * 2019-02-12 2023-08-30 Massimo Ferrari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JP7227844B2 (ja) * 2019-05-10 2023-02-22 株式会社Subaru バッテリ監視装置及び電動車両の制御装置
JP2020202072A (ja) * 2019-06-10 2020-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外部接続構造
CN110481358B (zh) * 2019-09-16 2024-06-04 浙江致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枪总成及充电方法
DE102019125736A1 (de) * 2019-09-25 2021-03-25 Audi Ag Kalibrieren einer Ladeeinrichtung eines Elektrofahrzeugs
EP3798045A1 (de) * 2019-09-26 2021-03-31 EnBW Energie Baden-Württemberg AG Anpassen einer ladeleistung
FR3108070B1 (fr) * 2020-03-12 2022-03-18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à contrôle des recharges d’une batterie en fonction des états de capteurs de prises de recharge
FR3108069B1 (fr) * 2020-03-12 2022-03-18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à contrôle des recharges d’une batterie en fonction des états de capteurs d’une prise de recharge en courant continu
DE102020209581A1 (de) * 2020-07-30 2022-02-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agnose eines Zustands einer Ladeschnittstelle
US20220089046A1 (en) * 2020-09-21 2022-03-24 Phihong Technology Co., Ltd. Electric Vehicle Charger with Interchangable AC Power Plug
CN213705226U (zh) * 2020-11-06 2021-07-1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
NO346426B1 (en) 2021-01-15 2022-08-08 Defa As A charger assembly
RO137162A2 (ro) * 2021-06-25 2022-12-30 Universitatea " Ştefan Cel Mare " Din Suceava Dispozitiv prelungitor pentru diagnoza sistemelor de încărcare conductivă
US11685273B2 (en) * 2021-08-18 2023-06-27 Beta Air, Llc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11926228B2 (en) * 2021-08-18 2024-03-12 Beta Air, Llc Electric vehicle port and methods of us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N115236561A (zh) * 2022-06-13 2022-10-2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连接器测试的方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5104A (ja) * 2010-12-21 2012-07-12 Toyota Motor Corp 充電接続装置
JP2013094005A (ja) * 2011-10-27 2013-05-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線通信装置、車両用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充電制御プログラム
KR20130103760A (ko) * 2010-11-25 2013-09-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KR20140096866A (ko) 2013-01-29 2014-08-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352A (en) * 1993-04-26 1994-11-29 Ford Motor Company Universal electric vehicle charging adapter
US6210036B1 (en) * 1996-09-06 2001-04-03 Gerald P. Eberle Connector thermal sensor
JP2000171309A (ja) * 1998-12-08 2000-06-23 Toyota Motor Corp 温度検出器及び温度検出器の異常検出装置
CN101801708B (zh) * 2007-09-10 2013-01-1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20090167537A1 (en) * 2007-12-28 2009-07-02 Feliss Norbert A Minimizing electrical outlet safety failures due to over temperature condition
US20090184829A1 (en) * 2008-01-22 2009-07-23 Rivers Jr Cecil Temperature sensor
US7944667B2 (en) * 2008-06-18 2011-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hermal security for hybrid vehicle recharging cable plugs device and method
KR20110043731A (ko) * 2008-08-26 2011-04-27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용 코드 세트
US8736226B2 (en) * 2008-10-28 2014-05-27 Panasonic Corporation Charging cable, charging cable unit, an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8405402B2 (en) * 2009-05-20 2013-03-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signaling properties based on cable attributes
DE102009034886A1 (de) * 2009-07-27 2011-02-03 Rwe Ag Ladekabelstecker zur Verbindung eines Elektrofahrzeuges mit einer Ladestation
CN102474108A (zh) * 2009-11-26 2012-05-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装置
JP2011124165A (ja) * 2009-12-14 2011-06-2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5576675B2 (ja) * 2010-02-23 2014-08-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WO2011127446A2 (en) * 2010-04-09 2011-10-13 Aerovironment, Inc. Portable charging cable with in-line controller
CN103249590B (zh) * 2010-12-10 2016-08-10 通用电气公司 充电装置和用于控制充电装置的方法
US9308825B2 (en) * 2011-01-19 2016-04-12 Aerovironment, Inc. Electric vehicle docking connector with embedded EVSE controller
US8729856B2 (en) * 2011-02-23 2014-05-20 Lear Corporation Thermal wall plug sensing and control
JP5934905B2 (ja) * 2011-03-03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推進車両用充電ケーブル
GB2489988B (en) * 2011-04-15 2014-06-25 Nissan Motor Mfg Uk Ltd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nections
JP5853225B2 (ja) * 2011-05-06 2016-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DE102011084527A1 (de) * 2011-10-14 2013-04-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deinfrastruktur für Elektrofahrzeuge
JP2013099167A (ja) * 2011-11-02 2013-05-20 Toyota Motor Corp 蓄電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08821B2 (ja) * 2011-11-21 2015-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予約方法
JP5770649B2 (ja) * 2012-01-27 2015-08-2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ハイブリッド自動車および異常検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515498B2 (en) * 2012-03-08 2016-1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harging cable
JP2014096866A (ja) * 2012-11-07 2014-05-22 Toshiba Corp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6497602B2 (ja) * 2012-09-11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コード
US9437381B2 (en) * 2013-03-14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support equipment having a smart plug with a relay control circuit
US10286800B2 (en) * 2013-10-09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pilot latch-out mechanism to reduce off-board energy consumption
US20160107530A1 (en) * 2014-10-21 2016-04-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e current
TWI595722B (zh) * 2016-05-18 2017-08-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充電槍與電動車充電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760A (ko) * 2010-11-25 2013-09-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JP2012135104A (ja) * 2010-12-21 2012-07-12 Toyota Motor Corp 充電接続装置
JP2013094005A (ja) * 2011-10-27 2013-05-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線通信装置、車両用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充電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96866A (ko) 2013-01-29 2014-08-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2875A (zh) * 2016-04-11 2016-07-13 广东奥美格传导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系统及充电时的温度保护方法
KR101996603B1 (ko) * 2018-12-19 2019-07-04 중앙제어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 전기차 충전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6170B2 (ja) 2017-05-10
CN105391102B (zh) 2018-01-16
EP2990255A1 (en) 2016-03-02
JP2016052245A (ja) 2016-04-11
US20160059719A1 (en) 2016-03-03
CN105391102A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357B1 (ko)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1587356B1 (ko)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11117479B2 (en) Temperature-monitored charging system for transmitting electric charge currents
AU2022201338B2 (en) Portable vehicle battery jump start apparatus with safety protection
US10682916B2 (en) Thermal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 coupler contacts
US9634435B1 (e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equipment with interchangeable power supply cords conforming to different technical standards
KR102329913B1 (ko) 배터리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고 조절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배터리 시스템
EP2765664B1 (en) Electric-vehiclar charge and discharge device
US20170279288A1 (en) Power-supply apparatus
CA2957510C (en) Electric leakage protection device and feed control device
EP3026772B1 (en)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KR20160109410A (ko) 차량 충전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내부 회로 보호 방법
EP3139461B1 (en)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US10840562B2 (en) Energy storage system, monitoring unit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energy storage device
EP2711236A2 (en)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6956782B2 (ja) 監視デバイスおよび保護導体のインピーダンスを監視する方法、ならびに充電制御ユニット
CN113978275A (zh) 具有位置检测的便携式车辆充电系统
KR20160109529A (ko) 차량 충전 장치
CN216526791U (zh) 双控制器检测互锁状态的控制电路和新能源汽车
CN215375729U (zh) 采样线束检测工装及应用于汽车的电池系统
JP7268515B2 (ja) 給電システム
KR20240138418A (ko)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
KR20170099243A (ko) 충전 아답터 및 그를 갖는 충전장치
JP2015082867A (ja) 高電圧電源回路の制御装置
US20180118042A1 (e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 state of a contactor 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