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7124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24B1
KR101587124B1 KR1020090090259A KR20090090259A KR101587124B1 KR 101587124 B1 KR101587124 B1 KR 101587124B1 KR 1020090090259 A KR1020090090259 A KR 1020090090259A KR 20090090259 A KR20090090259 A KR 20090090259A KR 101587124 B1 KR101587124 B1 KR 10158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ower electrode
cholesteric liquid
electrode
upper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656A (ko
Inventor
김종성
노남석
김상일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24B1/ko
Priority to US12/767,388 priority patent/US8953126B2/en
Publication of KR2011003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하부 기판, 상기 제1 하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전극, 상기 제1 하부 기판과 대향하고 있는 제1 상부 기판, 상기 제1 상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전극, 상기 제1 하부 전극 및 제1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제1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전극은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지 않고 제1 하부 전극을 탄소 나노 튜브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 콜레스테릭 액정, CNT, 탄소나노튜브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평판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trophoretic display device)등이 있다.
이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모니터와 텔레비전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플라스마 표시 장치는 대형 텔레비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휴대폰 창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중대형 표시 장치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타 전계 효과 표시 장치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도 모니터, 텔레비전 또는 전자 종이(E-paper)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 종이에 적용되는 표시 장치로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콜레스테릭(cholesteric LC) 액정 표시 장치가 대표적이다. 이 중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컬러 구현에 어려움이 있으나,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는 나선 피치(helical pitch)가 다른 적색, 녹색 및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을 적층하고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거나 투과시켜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색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는 쌍안정(bistability)을 이용하므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다는 장점이 있으나, 블랙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지 않고 제1 하부 전극을 탄소 나노 튜브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낮춘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하부 기판, 상기 제1 하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전극, 상기 제1 하부 기판과 대향하고 있는 제1 상부 기판, 상기 제1 상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전극, 상기 제1 하부 전극 및 제1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제1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전극은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전극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전극의 투과율은 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패널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제2 패널, 상기 제2 패널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제3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콜레스테릭 액정, 제2 콜레스테릭 액정 및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 피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은 적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적색 콜레스테릭 액정이고, 상기 제2 콜레스테릭 액정은 녹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녹색 콜레스테릭 액정이며, 상기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전극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상부 전극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 상기 하부 기판과 마주하고 있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전극, 제2 상부 전극 및 제3 상부 전극, 상기 제1 하부 전극과 상기 제1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 상기 제2 하부 전극과 상기 제2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2 콜레스테릭 액정, 상기 제3 하부 전극과 상기 제3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의 투과율은 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은 적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적색 콜레스테릭 액정이고, 상기 제2 콜레스테릭 액정은 녹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녹색 콜레스테릭 액정이며, 상기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상부 전극, 제2 상부 전극 및 제3 상부 전극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지 않고 제1 하부 전극을 탄소 나노 튜브로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전극을 블랙 탄소 나노 튜브로 형성하여 면저항을 낮출 수 있으므 로 구동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유연한 카본 나노 튜브로 제1 하부 전극을 형성하므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인 전자 종이에 적용하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블랙 상태를 구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적색 패널(10R), 녹색 패널(20G) 및 청색 패널(30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적색 패널(10R)은 서로 마주하는 제1 하부 기판(11)과 제1 상부 기판(12) 및 이들 두 기판(11, 19) 사이에 들어 있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을 포함한다.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은 제1 밀봉재(17)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1 하부 기판(11) 위에는 제1 하부 전극(12)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상부 기판(19) 위에는 제1 상부 전극(18)이 형성되어 있어 제1 하부 전극(12)과 제1 상부 전극(18) 사이에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기판(11) 및 제1 상부 기판(12)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기판으로 만들어진다.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1)은 적색 파장인 590nm 내지 75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적색 콜레스테릭 액정이다.
제1 하부 전극(12)은 카본 나노 튜브(Carbone Nano Tube, CNT)를 포함하며, 외부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층의 역할을 한다. 제1 상부 전극(18)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며, 외부 광이 투과할 수 있다.
적색 패널(10R) 위에 위치하고 있는 녹색 패널(20G)은 서로 마주하는 제2 하부 기판(21)과 제2 상부 기판(29) 및 이들 두 기판(21, 29) 사이에 들어 있는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을 포함한다.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은 제2 밀봉재(27)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2 하부 기판(21) 위에는 제2 하부 전극(2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상부 기판(29) 위에는 제2 상부 전극(28)이 형성되어 있어 제2 하부 전극(22)과 제2 상부 전극(28) 사이에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에 포함되어 있는 제2 콜레스테릭 액정(2)은 녹색 파장인 500nm 내지 56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녹색 콜레스테릭 액정이다.
제2 하부 전극(22) 및 제2 상부 전극(28)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며, 투명 전극이므로 외부광이 투과할 수 있다.
녹색 패널(20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청색 패널(30B)은 서로 마주하는 제3 하부 기판(31)과 제3 상부 기판(39) 및 이들 두 기판(31, 39) 사이에 들어 있는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을 포함한다.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은 제3 밀봉재(37)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3 하부 기판(31) 위에는 제3 하부 전극(32)이 형성되어 있고, 제3 상부 기판(39) 위에는 제3 상부 전극(38)이 형성되어 있어 제3 하부 전극(32)과 제3 상부 전극(38) 사이에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에 포함되어 있는 제3 콜레스테릭 액정(3)은 청색 파장인 400nm 내지 48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이다.
제3 하부 전극(32) 및 제3 상부 전극(38)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며, 투명 전극이므로 외부 광이 투과할 수 있다.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 및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은 플라나 상태(planar state)와 포컬 코닉 상태(focal conic state)의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가지며 외부에서 일정 전압을 인가해 주지 않아도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라나 상태에서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1), 제2 콜레스테릭 액정(2) 및 제3 콜레스테릭 액정(3)은 나선 구조(helical structure)를 가지고 나선 피치(helical pitch)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며, 포컬 코닉 상태에서는 나선 축(helical axis)이 전극(12, 18, 22, 28, 32, 38)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광을 투과시킨다.
이하에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블랙 상태를 구현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전극(12)과 제1 상부 전극(18) 사이에 저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콜레스테릭 액정(1)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2 하부 전극(22)과 제2 상부 전극(28) 사이에 저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제2 콜레스테릭 액정(2)도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3 하부 전극(32)과 제3 상부 전극(38) 사이에 저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제3 콜레스테릭 액정(3)도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광은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 및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을 차례로 투과하게 된다.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을 통과한 광은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전극(12)에 흡수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는 블랙 상태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블랙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제1 하부 전극(12)을 카본 나노 튜브로 형성하여 광 흡수층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카본 나노 튜브의 투과율과 면저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본 나노 튜브의 투과율과 면저항은 서로 비례하 는 관계에 있다. 즉, 카본 나노 튜브의 투과율이 낮아져 어두워질수록 면저항은 작아지게 된다. 특히, 카본 나노 튜브의 면저항이 100 ohm/sq 이하인 경우 블랙 상태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 흡수층을 사용하기 위해 제1 하부 전극(12)의 투과율은 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하부 전극(12)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 전극(12)의 면저항이100 ohm/sq 이상인 경우에는 블랙 상태를 구현하기 어렵고 면저항이 높아 화소 전극으로서 사용하기도 어렵다.
표 1은 면저항이100 ohm/sq이하인 블랙 카본 나노 튜브와 면저항이 100 ohm/sq이상인 투명 카본 나노 튜브의 면저항과 투과율의 관계가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9058576330-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하부 전극(12)으로 사용되는 블랙 카본 나노 튜브는 투명 카본 나노 튜브에 비해 현저히 낮은 면저항을 가지므로 구동적인 이점이 있다. 이러한 면저항 수치는 일반적인 화소 전극의 재질인 IZO 또는 ITO 보다 낮은 값이다.
또한, 구부리는 경우 쉽게 크랙(crack)이 발생하는 IZO 또는 ITO와 달리, 카본 나노 튜브로 형성된 제1 하부 전극(12)은 유연하여 구부리기 쉬우므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인 전자 종이에 적용하기 쉽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컬러를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적색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녹색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전극(12)과 제1 상부 전극(18)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은 플라나 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제2 하부 전극(22)과 제2 상부 전극(28) 사이에는 저전압을 인가하여 제2 콜레스테릭 액정(2)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3 하부 전극(32)과 제3 상부 전극(38) 사이에는 저전압을 인가하여 제3 콜레스테릭 액정(3)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광은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 및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을 차례로 투과하게 된다. 그러나,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에서는 590nm 내지 750 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해 590nm 내지 750 nm 파장의 광이 반사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는 적색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전극(12)과 제1 상부 전극(18) 사이에는 저전압을 인가하여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제2 하부 전극(22)과 제2 상부 전극(28) 사이에는 고전압을 인가하여 제2 콜레스테릭 액정(2)은 플라나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3 하부 전극(32)과 제3 상부 전극(38) 사이에는 저전압을 인가하여 제3 콜레스테릭 액정(3)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광은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을 투과하고,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15)에서는 500nm 내지 56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해 500nm 내지 560nm 파장의 광이 반사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는 녹색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에서는 적색 패널, 녹색 패널 및 청색 패널을 적층하여 컬러를 구현하였으나, 나선 피치가 서로 다른 적색, 녹색 및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을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여 컬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을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210) 및 이들 두 기판(110, 210) 사이에 들어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층(15, 25, 35)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10) 위에는 제1 하부 전극(12),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부 기판(210) 위에는 제1 상부 전극(18), 제2 상부 전극(28) 및 제3 상부 전극(38)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 제1 하부 전극(12)과 제1 상부 전극(18) 사이, 제2 하부 전극(22)과 제2 상부 전극(28) 사이 및 제3 하부 전극(32)과 제3 상부 전극(38) 사이에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기판(110) 및 상부 기판(21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기판으로 만들어진다.
콜레스테릭 액정층(15, 25, 35)은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 및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을 포함하며, 밀봉재(31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은 적색 파장인 590nm 내지 75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적색 콜레스테릭 액정(1)을 포함하고,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은 녹색 파장인 500nm 내지 56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녹색 콜레스테릭 액정(2)을 포함하고,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은 청색 파장인 400nm 내지 48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3)을 포함한다.
제1 하부 전극(12),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은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며, 외부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층의 역할을 한다. 광 흡수층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1 하부 전극(12),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의 투과율은 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하부 전극(12),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 전극(12),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의 면저항이 100 ohm/sq 이상인 경우에는 광 흡수층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면저항이 높아 화소 전극으로서 사용하기도 어렵다.
제1 상부 전극(18), 제2 상부 전극(28) 및 제3 상부 전극(38)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며, 외부 광이 투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제1 하부 전극(12),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을 카본 나노 튜브로 형성하여 광 흡수층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적색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전극(12)과 제1 상부 전극(18)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콜레스테릭 액정(1)은 플라나 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제2 하부 전극(22)과 제2 상부 전극(28) 사이에는 저전압을 인가하여 제2 콜레스테릭 액정(2)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3 하부 전극(32)과 제3 상부 전극(38) 사이에는 저전압을 인가하여 제3 콜레스테릭 액정(3)은 포컬 코닉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광은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25) 및 제3 콜레스테릭 액정층(35)을 투과하여 각각 제2 하부 전극(22) 및 제3 하부 전극(32)에 의해 흡수되나,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15)에서는 590nm 내지 750nm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1)에 의해 590nm 내지 750nm 파장의 광이 반사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는 적색을 나타내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블랙 상태를 구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카본 나노 튜브의 투과율과 면저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적색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녹색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2: 제1 하부 전극 15: 제1 콜레스테릭 액정층
18: 제1 상부 전극 22: 제2 하부 전극
25: 제2 콜레스테릭 액정 28: 제2 상부 전극
32: 제3 하부 전극 35: 제3 콜레스테릭 액정
38: 제3 상부 전극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
    상기 하부 기판과 마주하고 있는 상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전극, 제2 상부 전극 및 제3 상부 전극,
    상기 제1 하부 전극과 상기 제1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1 콜레스테릭 액정,
    상기 제2 하부 전극과 상기 제2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2 콜레스테릭 액정,
    상기 제3 하부 전극과 상기 제3 상부 전극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의 투과율은 1% 내지 60%인 액정 표시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제1 콜레스테릭 액정은 적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적색 콜레스테릭 액정이고, 상기 제2 콜레스테릭 액정은 녹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녹색 콜레스테릭 액정이며, 상기 제3 콜레스테릭 액정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나선 피치를 가지는 청색 콜레스테릭 액정인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하부 전극, 제2 하부 전극 및 제3 하부 전극의 면저항은 10 ohm/sq 내지 100 ohm/sq인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상부 전극, 제2 상부 전극 및 제3 상부 전극은 IZO 또는 ITO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90090259A 2009-09-23 2009-09-23 액정 표시 장치 Active KR10158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59A KR101587124B1 (ko) 2009-09-23 2009-09-23 액정 표시 장치
US12/767,388 US8953126B2 (en) 2009-09-23 2010-04-26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59A KR101587124B1 (ko) 2009-09-23 2009-09-23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656A KR20110032656A (ko) 2011-03-30
KR101587124B1 true KR101587124B1 (ko) 2016-01-21

Family

ID=4375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259A Active KR101587124B1 (ko) 2009-09-23 2009-09-23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53126B2 (ko)
KR (1) KR101587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4159A1 (en) 2011-08-31 2013-02-28 E. Strode Pennebaker Wireless tank level monitoring system
CN108037625B (zh) * 2018-01-31 2023-08-15 浙江东方科脉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三层叠加结构的彩色电子纸显示装置
KR102664156B1 (ko) 2018-08-14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618753B1 (ko) * 2018-12-04 202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143A (ja) * 2007-09-18 2009-04-30 Fujifilm Corp 液晶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786A (en) * 1968-02-23 1974-06-11 Ncr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rofusion of naked droplets of cholesteric liquid crystal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polymeric matrix
JPH0968717A (ja) 1995-09-01 1997-03-11 Sharp Corp 反射型カラー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68702A (ja) 1995-09-01 1997-03-11 Sharp Corp 反射型カラー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88008A (ja) * 1998-04-01 1999-10-19 Minolta Co Ltd 液晶表示素子
US6885409B2 (en) * 2002-09-27 2005-04-26 Eastman Kodak Company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JP4445701B2 (ja) * 2002-12-12 2010-04-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多色光学素子の製造方法、多色光学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7236151B2 (en) * 2004-01-28 2007-06-26 Kent Displays Incorporated Liquid crystal display
US7382424B2 (en) * 2003-11-21 2008-06-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eflective chiral-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broadband reflection
CN100513158C (zh) * 2004-01-28 2009-07-15 肯特显示器公司 液晶显示膜
JP2005324995A (ja) 2004-05-17 2005-11-24 Showa Denko Kk 炭素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US7630029B2 (en) * 2005-02-16 2009-12-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ductive absorption layer for flexible displays
KR100941402B1 (ko) * 2005-06-02 2010-02-10 (주)엔디스 풀 컬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1551A (ko) 2005-06-16 2006-12-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극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7351506B2 (en) 2005-07-27 2008-04-01 Kent Displays, Incorporated Polymerization-encapsulated cholesteric liquid crystal for bistable reflective displays
KR20070032461A (ko) 2005-09-16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광전기 변색 소자
KR20070058149A (ko) * 2005-12-01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하는 반사형 컬러표시장치 및 그제조방법
US7642035B2 (en) * 2006-04-13 2010-01-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nsitized photochemical switching for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s
JP2008047450A (ja) 2006-08-18 2008-02-28 Sony Corp 電気化学発光素子、及び電気化学発光装置
US20080074383A1 (en) * 2006-09-27 2008-03-27 Dean Kenne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ppearance customizable housing
KR101308557B1 (ko) * 2007-01-15 2013-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82811A (ko) 2007-03-09 2008-09-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카본나노튜브 함유 투명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TWI487125B (zh) * 2007-04-20 2015-06-01 Cambrios Technologies Corp 複合透明導體及形成其之方法
KR100829841B1 (ko) 2007-08-10 2008-05-16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이용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US8310630B2 (en) * 2008-05-16 2012-11-13 Manning Ventures, Inc. Electronic skin having uniform gray scale reflectiv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143A (ja) * 2007-09-18 2009-04-30 Fujifilm Corp 液晶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53126B2 (en) 2015-02-10
KR20110032656A (ko) 2011-03-30
US20110069262A1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78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423647B2 (en) Display device with mirror function
US20140022465A1 (en) Color filter substrate,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00063983A (ko) 플렉시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22208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touch display panel using same
KR101587124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90410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ntistatic polarizing layer
US100128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0421013C (zh) 液晶显示器
KR102443844B1 (ko) 액정표시장치
CN103091898B (zh) 液晶显示屏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I486675B (zh) 具有觸控功能的液晶模組的製備方法
US10108043B2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20120019451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using same
TWI486682B (zh) 具有觸控功能的液晶模組
CN102749778B (zh) 一种阵列基板和液晶显示装置
JP534644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9037098A5 (ko)
CN106154616A (zh) 液晶膜拼接结构及应用其的调光玻璃、装置
JP4787186B2 (ja) 表示装置
KR20070071798A (ko) 액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CN212675325U (zh) 液晶显示装置
CN214335400U (zh) 一种显示装置
CN203444202U (zh) 液晶显示装置
TWI242095B (en) A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