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399B1 -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 Google Patents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6399B1 KR101586399B1 KR1020150149989A KR20150149989A KR101586399B1 KR 101586399 B1 KR101586399 B1 KR 101586399B1 KR 1020150149989 A KR1020150149989 A KR 1020150149989A KR 20150149989 A KR20150149989 A KR 20150149989A KR 101586399 B1 KR101586399 B1 KR 101586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window
- coupled
- louver
- ext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7—Guides for raisable lamellar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에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를 승강시키거나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루버가 외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여름이나 겨울에 창문이 가열되거나 냉각됨에 따라 실내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호의 방풍 및 방수, 방음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눈이 내리거나 우천시 창호를 개방해도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날씨와 관계없이 실내를 자유롭게 환기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provided on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provided on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a louver capable of raising or lowering the blade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lade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addition, as the windows are heated or cooled in the summer or win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room from being increased to increase the cooling and heating ratio, to improve the windshield and waterproofing and soundproofing of the window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provided with a new structure of a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ng louver which is capable of ventilating the interior of the room freely irrespective of the weather while preventing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room.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에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를 승강시키거나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루버가 외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여름이나 겨울에 창문이 가열되거나 냉각됨에 따라 실내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호의 방풍 및 방수, 방음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눈이 내리거나 우천시 창호를 개방해도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날씨와 관계없이 실내를 자유롭게 환기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provided on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provided on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a louver capable of raising or lowering the blade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lade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addition, as the windows are heated or cooled in the summer or win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room from being increased to increase the cooling and heating ratio, to improve the windshield and waterproofing and soundproofing of the window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provided with a new structure of a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ng louver which is capable of ventilating the interior of the room freely irrespective of the weather while preventing snow or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room.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구비된 창호는 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결합된 창문로 구성된다.Generally, a window provided on a building is composed of a window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window coupled to the window frame.
이때, 상기 창문은 사각형의 프레임에 유리패널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창틀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창문을 측방향으로 밀어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window is formed by joining a glass panel to a rectangular frame,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window frame in a later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 window by pushing the window in a lateral direction.
이러한 창호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such a window is a general on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런데, 이러한 창호 중에서, 건축물의 외벽면에 구비된 창호의 경우,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 여름에는 직사광산에 의해 창문이 가열되고, 겨울에는 차가운 바람에 의해 창문이 냉각되게 되며, 이와 같이, 가열되거나 냉각된 창호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영향을 받아서,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the case of a window provid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out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window is heated by direct sunlight in summer and the window is cooled by cold wind in winter, 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of the room is influenced by the heated or cooled window,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cooling and heating ratio is increased.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창호의 내측면이나, 상기 창문의 내부에 블라인드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이러한 블라인드는 창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은 조절할 수 있으나, 외부의 온도에 의해 창문이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blind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window or in the window, but the amount of sunlight flowing into the window through the window can be controll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solving the problem of cooling and cooling / heating ratio increas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여름이나 겨울에 창문이 가열되거나 냉각됨에 따라 실내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눈이 내리거나 우천시 창호를 개방해도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날씨와 관계없이 실내를 자유롭게 환기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rradiation amount of light irradiated into a room and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heating and cooling costs by heating or cooling the room as the windows are heated or cooled in summer or winter A window having a new structure of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ng louver that can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entering into the room even when the snow falls or raises the window,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은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어 창호의 방풍, 방수, 방음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for preventing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which can adjust the angle of the louver and move the louver up and down to improve windshield, waterproof and soundproof functions of the wind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된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결합된 창문(B)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B)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창틀(A)에 구비된 루버(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루버(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창틀(A)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스프라인축(20)과,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되어 스프라인축(2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수단(30)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유닛(40,5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40)와, 상기 블레이드(40)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프라인축(20)이 회전되면 상기 블레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각도조절기구(5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기구(50)는 관통공(5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승강블록(51)과, 상기 관통공(51a)의 내부에 상하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된 구동기어(52)와, 상기 승강블록(51)의 내부에 상기 구동기어(52)와 치합되도록 구비된 피동기어(53)와, 일단은 상기 피동기어(5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블록(5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축(5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52)에는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공(52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52a)에 결합된 스프라인축(20)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54)이 정역되면서 상기 블레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창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ndow frame comprising: a window frame A configur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window including a window (B)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 further comprising a louver (C)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A)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window (B) A pair of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40)의 선단부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블레이드(40)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하측에 구비된 블레이드(40)의 외측에 밀착되어 블레이드(4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밀폐부재(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창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가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상면에 접촉되어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차단부재(1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창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rame A includes a pair of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81)와 상기 경사부(81)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82)를 포함하는 차양(8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82)는 하단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었을 때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유닛(40,5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을 상승시키면, 상기 연장부(82)에 의해 블레이드유닛(40,50)이 가려져 외부에서 블레이드유닛(40,50)이 보이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창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rame A includes a pair of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4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각도조절기구(50)에 구비된 회전축(54)에 결합되는 지지관체(41)와, 상기 지지관체(41)의 둘레면에서 연장된 패널형상의 블레이드본체(42)와, 강도가 높으면서 단열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44)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널(44)은 강도가 높으면서 단열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창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된 감속기(37)와, 상기 감속기(37)에 연결된 구동모터(38)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은 상기 승강블록(51)을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간격조절와이어(61)와, 가장 하측에 위치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승강블록(51)에 고정된 권양와이어(62)와, 상기 상측 지지바(12)에 구비되며 상기 권양와이어(62)에 연결되어 권양와이어(62)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권양장치(63)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스위치(7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수단(30)과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이격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0)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의 블레이드(4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한 후, 상기 권양장치(63)를 구동시켜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창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rame A includes a pair of
본 발명에 따른 루버 창호는,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의 조절레버(31)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블레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창호의 외측을 개방하거나 창호의 외측을 막게 된다.The lou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rotates the
따라서, 상기 창호를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름이나 겨울에 상기 창호의 외측을 막음으로써, 뜨거운 빛에 의해 창문(B)이 가열되거나, 차가운 바람에 의해 창문(B)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 창문(B)에 의해 실내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ntrol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 but also to prevent the window (B) from being heated by the hot light by blocking the outside of the window in summer or winter, B) is prevented from being cooled and the room is heated or cooled by the heated or cooled window (B), whereby the cooling / heating ratio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그리고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하부로 회동되면 창호의 기밀이 유지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이물질,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풍 및 방수, 방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ade is pivoted downward, airtightness of the window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such as wind or foreign matter, rainwater, etc.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ereby providing wind, waterproof and soundproofing.
또한, 본 발명은 루버를 통해 눈이 내리거나 우천시 창호를 개방해도 눈이나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날씨와 관계없이 실내를 자유롭게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flow of snow or rainwater into the room even when snow falls through the louver or opening the window when rai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room can be freely ventilated regardless of the wea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회전구동수단과 승강구동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회전구동수단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블레이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회전구동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회로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제4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가 구비된 창호의 제4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on driving means and the elevation driving means of the window provided with the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on driving means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de unit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window provided with the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circuit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window provided with the lou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 창호를 도시한 것으로, 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된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결합된 창문(B)이 구비된 것은 종래의 창호와 동일하다.1 to 9 illustrate a lou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 window frame A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window B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 is provided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window.
이때,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로 구성된다.The window frame A includes a pair of
그리고, 창문(B)은 상하단이 상기 상, 하측 지지바(12,13)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창문(B)을 측방향으로 밀어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ndow B are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그리고, 본 발명의 루버 창호에 따르면, 상기 창틀(A)에는 상기 창문(B)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루버(C)가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louver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rame A is provided with a louver C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window B.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루버(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창틀(A)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스프라인축(20)과,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되어 스프라인축(2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수단(30)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유닛(40,5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60)과,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으로 구성된다.The louvers C extend vertically and include a pair of
상기 스프라인축(20)은 둘레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2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바(11)에 근접되도록 상하단이 상기 상, 하측 지지바(12,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이때, 상기 스프라인축(20)의 상하단은 상기 상, 하측 지지바(12,13)를 관통하여 상, 하측 지지바(12,13)의 상하측으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선단부는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실내측 면에 형성된 장공(12a)을 통해 실내측으로 연장된 조절레버(31)와,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양단이 베벨기어(33,34)를 통해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된 연동축(32)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조절레버(31)와 연동축(32)은 벨트(35)와 풀리(36)로 연결된다.3 and 4, the rotation driving means 30 is hinge-coupled to the inside of th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절레버(31)를 상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연동축(32)이 정역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라인축(20)이 정역회전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lever 31 up and down, the interlock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측 지지바(12)의 내부에 회전구동수단(30)이 구비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창호가 설치되는 위치와 창호의 크기에 따라 하측 지지바(13)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driving means 30 is provided inside the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은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40)와, 상기 블레이드(40)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프라인축(20)이 회전되면 상기 블레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각도조절기구(50)로 구성된다.The
상기 블레이드(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각도조절기구(50)에 구비된 회전축(54)에 결합되는 지지관체(41)와, 상기 지지관체(41)의 둘레면에서 연장된 패널형상의 블레이드본체(4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이때, 상기 지지관체(41)와 블레이드본체(42)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프로파일 기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40)의 선단부, 즉,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선단부에는 밀폐부재(43)가 구비된다.A sealing
상기 밀폐부재(43)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0)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하측에 구비된 블레이드(40)의 외측에 밀착되어 각 블레이드(4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8, when the leading end of the
이때,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이 있는 재질의 차단부재(12b)가 구비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차단부재(12b)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부가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상면에 접촉되어,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The blocking
상기 각도조절기구(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5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승강블록(51)과, 상기 관통공(51a)의 내부에 상하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된 구동기어(52)와, 상기 승강블록(51)의 내부에 상기 구동기어(52)와 치합되도록 구비된 피동기어(53)와, 일단은 상기 피동기어(5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블록(5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축(54)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상기 승강블록(51)은 합성수지재질의 사각 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51a)과 연결되는 공간부(51b)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40)를 향하는 쪽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51b)와 연통되는 연통공(51c)이 형성된다.The
상기 구동기어(52)는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공(52a)이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즉, 상기 결합공(52a)의 내주면에는 스프라인축(20)의 오목홈(21)에 대응되는 돌기(52b)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52)가 상기 스프라인축(2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스프라인축(20)이 정역회전되면, 상기 구동기어(52)가 함께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a
상기 피동기어(53)는 상기 공간부(51b)의 내부에 수평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이 상기 구동기어(52)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The driven
이때, 상기 구동기어(52)와 상기 피동기어(53)는 웜기어와 웜휠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기어(52)와 피동기어(53)의 회전중심축이 90°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회전축(54)은 상기 연통공(51c)을 통해 승강블록(5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지지관체(41) 양단에 결합된다.The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52)가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 전체가 상기 스프라인축(2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을 조작하여 상기 스프라인축(20)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52)가 스프라인축(20)과 함께 측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53)와 회전축(54)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블록(51)을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간격조절와이어(61)와, 가장 하측에 위치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승강블록(51)에 고정된 권양와이어(62)와, 상기 상측 지지바(12)에 구비되며 상기 권양와이어(62)에 연결되어 권양와이어(62)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권양장치(6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elevation driving means 60 includes a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승강블록(51)에는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1)가 관통하는 고정공(51d)과, 상기 권양와이어(62)가 관통하는 가이드공(51e)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1)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상측 지지바(12)에 고정되며 중간부는 상기 승강블록(51)에 형성된 고정공(51d)을 관통하도록 연장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1)의 중간부에는 상기 승강블록(51)의 하측면이 걸리는 스토퍼(61a)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51)이 상기 스토퍼(61a)에 걸림으로써, 각각의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한다.At this time, a
상기 권양와이어(62)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블록(51)에 형성된 가이드공(51e)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가 가장 하측에 위치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승강블록(51)에 고정된다.The hoist
상기 권양장치(63)는 상기 권양와이어(62)의 상단부가 둘레면에 감겨진 권취드럼(63a)과, 상기 권취드럼(63a)에 연결되어 권취드럼(63a)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3b)로 구성된다.The winding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1)에 의해 각각의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권양장치(63)를 구동시켜 권양와이어(62)를 감아 올리면, 가장 하측의 블레이드유닛(40,50)이 권양와이어(62)에 의해 상승되며, 권양와이어(62)를 더욱 감아 올리면 상승되는 블레이드유닛(40,50)에 의해 상측에 위치된 블레이드유닛(40,50)이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상하면이 밀착되도록 상승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제어유닛(7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스위치(7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권양장치(63)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도록 하강되거나, 상호 상하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창틀(A)의 수직바(11)에는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완전시 상승되거나 하강된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11a)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리미트스위치(11a)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완전히 상승되거나 하강되면 상기 권양장치(63)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루버 창호는, 블레이드(40)를 승강시키거나 블레이드(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루버(C)가 외측에 일체로 구비됨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을 상승시켜 창호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강시킨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기구(50)를 조절하여 상기 블레이드(4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0)에 의해 창호의 외측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louver window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with a louver C capable of raising or lowering the
따라서, 상기 창호를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름이나 겨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창호의 외측을 막음으로써, 뜨거운 빛에 의해 창문(B)이 가열되거나, 차가운 바람에 의해 창문(B)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 창문(B)에 의해 실내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난방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not only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 can be controlled, but also, in summer or winter, the
또한, 상기 블레이드(40)의 선단부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밀폐부재(43)가 구비되어, 블레이드(40)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밀폐부재(43)가 하측에 구비된 블레이드(40)의 외측에 밀착되어 블레이드(40)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탄성재질의 차단부재(12b)가 구비된다.A sealing
따라서,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블레이드(40) 사이의 틈이나,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창문(B)이 외부기온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wind blowing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특히, 상기 창문(B)의 외측에 강도가 높은 블레이드(40)가 구비됨으로, 태풍과 같이 강한 바람이 불 때 상기 블레이드(40)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회동시켜 창호의 외측을 막음으로써, 강한 바람에 의해 창문(B)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은 권양장치(63)를 이용하여 블레이드유닛(40,50)을 승강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블레이드유닛(40,5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vation driving means 60 exemplarily lifts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창틀(A)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의 상부를 가리는 차양(80)이 구비된다.10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frame A, an
상기 차양(80)은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81)와, 상기 경사부(81)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82)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연장부(82)는 하단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었을 때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유닛(40,5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차양(80)은 상측 지지바(12)에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로 조립 및 접착하여 실시할 수 있고, 상측 지지바(12)에서 일체로 연장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루버 창호는 상기 블레이드(40)를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상기 연장부(82)에 의해 블레이드유닛(40,50)이 가려져 외부에서 블레이드유닛(40,50)이 보이지 않게 된다.When the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었을 때, 외관이 깔끔하게 정리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에는 지지패널(44)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11 to 13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지지패널(44)은 강도가 높으면서 단열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블레이드본체(42)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이때,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과 상기 지지패널(44)의 사이에는 상호 대응되는 걸림고리(42a,44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42a,44a)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에 상기 지지패널(44)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mutually corresponding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43)는 상기 지지패널(44)의 선단부에 구비된다.The sealing
이와 같이 구성된 루버 창호는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에 별도의 지지패널(44)이 결합됨으로, 블레이드(40)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0)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패널(44)이 블레이드(40)의 후방을 막게 되어, 상기 창문(B)이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ouver window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된 감속기(37)와, 상기 감속기(37)에 연결된 구동모터(38)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구동모터(38)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유닛(70)의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38)를 구동시켜 상기 스프라인축(20)이 정역회전되도록 한다.14 to 16 illustrate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otation driving means 30 includes a
이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0)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을 제어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의 블레이드(4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한 후, 상기 권양장치(63)를 구동시켜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6, in a state where the
즉,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이격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0)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블레이드(40)의 단부가 하측에 위치된 다른 블레이드유닛(40,50)의 블레이드(40)에 밀착됨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이 작동되어 블레이드유닛(40,50)을 상승시키면, 각 블레이드유닛(40,50)에 구비된 블레이드(40)가 상호 간섭되어 손상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이격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0)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이 이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을 제어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유닛(40,50)의 블레이드(40)가 상측으로 적절한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한 후, 상기 권양장치(63)를 구동시켜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함으로, 블레이드유닛(40,50)의 블레이드(40)가 상호 간섭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 창틀 B. 창문
C. 루버 20. 스프라인축
30. 회전구동수단 40,50. 블레이드유닛
40. 블레이드 50. 각도조절기구
60. 승강구동수단 70. 제어유닛
80. 차양A. Window frame B. Window
30. Rotary drive means 40,50. Blade unit
40.
60. Elevation drive means 70. Control unit
80. Awnings
Claims (6)
상기 창틀(A)에 결합된 창문(B)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B)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창틀(A)에 구비된 루버(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루버(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창틀(A)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스프라인축(20)과,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되어 스프라인축(2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수단(30)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유닛(40,5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40)와,
상기 블레이드(40)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프라인축(20)이 회전되면 상기 블레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각도조절기구(5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기구(50)는
관통공(5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승강블록(51)과,
상기 관통공(51a)의 내부에 상하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된 구동기어(52)와,
상기 승강블록(51)의 내부에 상기 구동기어(52)와 치합되도록 구비된 피동기어(53)와,
일단은 상기 피동기어(5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블록(5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축(5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52)에는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공(52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52a)에 결합된 스프라인축(20)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54)이 정역되면서 상기 블레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A window frame A configur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In a window including a window (B)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
And a louver (C)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A) so as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window (B)
The louvers (C)
A pair of spline shafts 2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A,
A rotation driving means 30 connected to the spline shaft 20 to rotate the spline shaft 20,
A plurality of blade units (40, 5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thereof movably coupled to the spline shaft (20)
And an elevation driving means (60) connected to the blade units (40, 5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lade units (40, 50)
The blade unit (40, 50)
A blade 40 provided to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50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lade 40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pline shaft 20 to rotate the blade 40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pline shaft 20 is rotated ),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50)
A lift block 51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51a,
A driving gear 52 coupled to the through hole 51a so as to have a rotational center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A driven gear 53 meshing with the driving gear 52 in the elevating block 51,
And a rotary shaft (54) connected at one end to the driven gear (53) and at the other end to extend laterally of the lift block (51) to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blade (40)
The driving gear 5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52a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pindle shaft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blade 4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swing shaft 20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52a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indow.
상기 블레이드(40)의 선단부에는 블레이드(40)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하측에 구비된 블레이드(40)의 외측에 밀착되어 블레이드(4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밀폐부재(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member 43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blade 40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side of the blade 40 provided at the lower side when the distal end of the blade 40 is rotated downward to seal the gap between the blades 40 And a louver for preventing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가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상면에 접촉되어 가장 상측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40,50)과 상측 지지바(12)의 하측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차단부재(1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frame (A)
A pair of vertical bars (11)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mutually lateral direction,
And upper and lower support bars (12, 13)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opposite ends coup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ar (11)
The blade unit 40, 50,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units 40, 5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ar 12 and having the lower end on the uppermost sid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member (12b) for sealing the gap betwee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door (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12).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지지바(12)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81)와 상기 경사부(81)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82)를 포함하는 차양(8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82)는 하단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었을 때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유닛(40,5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을 상승시키면, 상기 연장부(82)에 의해 블레이드유닛(40,50)이 가려져 외부에서 블레이드유닛(40,50)이 보이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frame (A)
A pair of vertical bars (11)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mutually lateral direction,
And upper and lower support bars (12, 13)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opposite ends coup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ar (11)
An oblique portion 80 including an inclined portion 81 extending obliquely out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ar 12 and an extension portion 8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81 Respectively,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82 is configur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blade units 40 and 50 positioned at the lowest position when the blade units 40 and 50 are lifted,
Wherein when the blade unit (40, 50) is raised, the blade unit (40, 50) is covered by the extension part (82) so that the blade unit (40, 5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Window provided with inflow preventing louver.
상기 블레이드(4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각도조절기구(50)에 구비된 회전축(54)에 결합되는 지지관체(41)와,
상기 지지관체(41)의 둘레면에서 연장된 패널형상의 블레이드본체(42)와,
강도가 높으면서 단열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본체(42)의 하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44)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널(44)은 강도가 높으면서 단열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ade (40)
A support tube 41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opened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 rotation shaft 54 provided i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50,
A blade body 42 of a panel shape extending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tube 41,
And a support panel (44)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heat insula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lade main body (42)
Wherein the support panel (4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and a heat insulating property, and a window provided with a louver for preventing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상기 창틀(A)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1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11)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측 지지바(12,1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상기 스프라인축(20)에 연결된 감속기(37)와,
상기 감속기(37)에 연결된 구동모터(38)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60)은 상기 승강블록(51)을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간격조절와이어(61)와,
가장 하측에 위치된 블레이드유닛(40,50)의 승강블록(51)에 고정된 권양와이어(62)와,
상기 상측 지지바(12)에 구비되며 상기 권양와이어(62)에 연결되어 권양와이어(62)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권양장치(63)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스위치(7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수단(30)과 승강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호 이격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0)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7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유닛(40,50)의 블레이드(4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한 후, 상기 권양장치(63)를 구동시켜 블레이드유닛(40,50)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frame (A)
A pair of vertical bars (11)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mutually lateral direction,
And upper and lower support bars (12, 13)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opposite ends coup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ar (11)
The rotation drive means (30)
A decelerator 37 connected to the spline shaft 20,
And a driving motor 38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37. The elevating driving means 60 includes a gap adjusting wire 61 for connecting the elevating blocks 5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ifting wire 62 fixed to the lift block 51 of the blade unit 40, 50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nd a winding device 63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ing bar 12 and connected to the winding wire 62 to wind up or unwind the winding wire 62,
A control unit 7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30 and the elevation driving means 60 as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71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switch 71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
The blade units 40 and 50 are lower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blade 40 is rotated downward by the rotation driving means 30, When the operation switch 71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rotation driving means 30 to cause the blades 40 of the blade units 40 and 50 to rotate upward, (63) is driven to raise the blade units (40, 50). The window provided with a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ng lou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9989A KR101586399B1 (en) | 2015-10-28 | 2015-10-28 |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9989A KR101586399B1 (en) | 2015-10-28 | 2015-10-28 |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6399B1 true KR101586399B1 (en) | 2016-01-19 |
Family
ID=5530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9989A Active KR101586399B1 (en) | 2015-10-28 | 2015-10-28 |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6399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4967B1 (en) * | 2017-03-17 | 2018-04-03 | 주식회사 선우시스 | Change Type Blind Window |
KR101920255B1 (en) * | 2017-03-17 | 2019-02-08 | 주식회사 선우시스 | Blind Integrated Window |
KR102002110B1 (en) | 2019-03-14 | 2019-10-01 | 조원시스템창호주식회사 | Louver window with insulation tempered glass |
CN112761312A (en) * | 2021-01-21 | 2021-05-07 | 宁波漫道休闲用品有限公司 | Shutter sunshade |
WO2022025733A1 (en) * | 2020-07-31 | 2022-02-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Power conversion apparatus |
KR20230123279A (en) * | 2022-02-16 | 2023-08-23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Climate responsive PV dynamic facade system |
KR102725358B1 (en) * | 2024-05-16 | 2024-11-04 | 주식회사 원진알미늄 | a window with excellent watertightnes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2401A (en) | 2004-03-29 | 2004-11-03 | 민경옥 | Blind for window |
KR100973847B1 (en) * | 2009-12-08 | 2010-08-03 | 광주광역시 남구 | Blind apparatus |
KR101101362B1 (en) * | 2009-02-27 | 2012-01-02 | 김강현 | Electric blinds for laminated glass |
KR101133449B1 (en) * | 2009-09-28 | 2012-04-09 | 신동련 | Apparatus for shading installed at outside window |
KR200461973Y1 (en) * | 2010-02-09 | 2012-08-17 | 주식회사 잎성 | Louver |
KR101479124B1 (en) | 2013-02-04 | 2015-01-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Window With Photovoltaic Micro-Louver |
-
2015
- 2015-10-28 KR KR1020150149989A patent/KR1015863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2401A (en) | 2004-03-29 | 2004-11-03 | 민경옥 | Blind for window |
KR101101362B1 (en) * | 2009-02-27 | 2012-01-02 | 김강현 | Electric blinds for laminated glass |
KR101133449B1 (en) * | 2009-09-28 | 2012-04-09 | 신동련 | Apparatus for shading installed at outside window |
KR100973847B1 (en) * | 2009-12-08 | 2010-08-03 | 광주광역시 남구 | Blind apparatus |
KR200461973Y1 (en) * | 2010-02-09 | 2012-08-17 | 주식회사 잎성 | Louver |
KR101479124B1 (en) | 2013-02-04 | 2015-01-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Window With Photovoltaic Micro-Louve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4967B1 (en) * | 2017-03-17 | 2018-04-03 | 주식회사 선우시스 | Change Type Blind Window |
KR101920255B1 (en) * | 2017-03-17 | 2019-02-08 | 주식회사 선우시스 | Blind Integrated Window |
KR102002110B1 (en) | 2019-03-14 | 2019-10-01 | 조원시스템창호주식회사 | Louver window with insulation tempered glass |
WO2022025733A1 (en) * | 2020-07-31 | 2022-02-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Power conversion apparatus |
CN112761312A (en) * | 2021-01-21 | 2021-05-07 | 宁波漫道休闲用品有限公司 | Shutter sunshade |
KR20230123279A (en) * | 2022-02-16 | 2023-08-23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Climate responsive PV dynamic facade system |
KR102731059B1 (en) * | 2022-02-16 | 2024-11-18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Climate responsive PV dynamic facade system |
KR102725358B1 (en) * | 2024-05-16 | 2024-11-04 | 주식회사 원진알미늄 | a window with excellent watertightne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6399B1 (en) |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 |
KR100795851B1 (en) | Motorized blinds in laminated glass | |
KR101762067B1 (en) | Double window blind is built in one piece | |
EP2673445B1 (en) | Thermal shutter system | |
KR101693796B1 (en) | Apartment house door that natural lighting can achieve | |
CN208685875U (en) | A kind of Motorized blind curtain wall | |
KR20090121491A (en) | Domed Roof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8820384B2 (en) | Roller shutter for an opening in a building | |
KR101765013B1 (en) | sun shield apparatus for outside | |
CN200992940Y (en) | Multifunctional liftable safety anti-theft shutter | |
KR101564513B1 (en) | Control divice of reflecting plate | |
CN109915005B (en) | Hollow louver top operating system | |
KR101803536B1 (en) | The Multipurpose External Shading Device having Hinge Joint and Slat | |
US20110042017A1 (en) | Electrical control mechanism for built-in sunshade products for hollow glass | |
KR101612006B1 (en) | Double window system | |
KR20190094838A (en) | Louv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JP7023010B2 (en) | Vertical sliding windows for buildings | |
KR101375575B1 (en) | Auto control blinds for multi-layer window | |
CN201152128Y (en) | Multifunctional synchronous louvre window | |
KR20130004711U (en) | Electromotive ventilator | |
KR102032838B1 (en) | Blind Integrated Window | |
CN214091643U (en) | Multilayer hollow glass shutter | |
KR102129388B1 (en) | Solar Radiation Adjusting Device for Lighting Louver | |
CN204175125U (en) | The hanging sliding sash in a kind of limit | |
KR100874612B1 (en) | Fire Protection Sha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