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411B1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5411B1 KR101585411B1 KR1020150003184A KR20150003184A KR101585411B1 KR 101585411 B1 KR101585411 B1 KR 101585411B1 KR 1020150003184 A KR1020150003184 A KR 1020150003184A KR 20150003184 A KR20150003184 A KR 20150003184A KR 101585411 B1 KR101585411 B1 KR 101585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ortable electronic
- mounting
- electronic devic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상면에 거치구를 구성하되, 상기 거치구가 소정 공간의 수용공간부에 은폐되도록 수용하여, 거치구를 사용할 시 거치구를 출연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면체의 케이스 정면에는 내부에 구성된 축전지의 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 표현하는 표시부을 구성하고, 측면에는 USB단자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단자부와, 전기적 구동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며, 배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통신을 하는 메인접속단자부를 구성하며, 상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환형의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구성되어 본체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한 회전받침구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고정편과 결합하는 하부에 힌지축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의 거치하는 거치공간을 형성하여,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서 본체의 상면으로 출몰하는 거치구를 포함하여 구성해 거치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성이 향상되고, 본체의 저면에 구성된 회전받침구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시청에 유리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고, 거치구의 거치공간을 조절하도록 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해 범용적으로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확장되며, 본체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 내장된 축전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조전원장치로 활용할 수 있고, USB단자와 데이터통신제어부에 의해 메인컴퓨터와 휴대용 전자기기간의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통신 허브 기능을 발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mounting hole on an upper surface of a main body so that the mounting hole is concealed in a hous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pace, Specifically, the front face of the hexahedr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for expressing colo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uilt-in battery, a USB terminal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USB terminal on the side, The main body has a main body formed with a housing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its upper surface and a main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communicating data for data exchange with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guide groov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main body, A hinge shaf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formed hinge fixing piece and a mounting space to which a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x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inge fixing portion,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n be rotated at an angle favorable to the viewing by the rotation receiving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llowing various kind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be accommodated by adjusting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place, the compatibility with which the present device can be used in general can be extended.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harg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utdoors, the battery inside the body portable Be used as the auxiliary power device and the magnetic group, there is provided a USB terminal and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can emit a data communication hub to the main computer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period to occur by the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의 상면에 거치구를 구성하되, 상기 거치구가 소정 공간의 수용공간부에 은폐되도록 수용하여, 거치구를 사용할 시 거치구를 출연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면체의 케이스 정면에는 내부에 구성된 축전지의 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 표현하는 표시부을 구성하고, 측면에는 USB단자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단자부와, 전기적 구동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며, 배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통신을 하는 메인접속단자부를 구성하며, 상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환형의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구성되어 본체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한 회전받침구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고정편과 결합하는 하부에 힌지축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의 거치하는 거치공간을 형성하여,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서 본체의 상면으로 출몰하는 거치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mounting hole on an upper surface of a main body so that the mounting hole is concealed in a hous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pace, Specifically, the front face of the hexahedr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for expressing colo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uilt-in battery, a USB terminal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USB terminal on the side, The main body has a main body formed with a housing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its upper surface and a main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communicating data for data exchange with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guide groov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main body, A hinge shaf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formed hinge fixing piece and a mounting space to which a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x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inge fix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들의 재생을 위한 기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영상 및 음성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핸드폰, 스마트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테블릿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Generally, as the technology of multimedia develops, the demand for devices for reproducing these devices is increasing. Recently, various multimedia data have been stored so that various images and voice can be easily view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tablet PCs are being launched.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사운드 기능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출시되어 내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수단과 스피커를 통해서 영상과 음성을 각각 출력한다.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basically equipped with a sound function as well as a display function, and process video data stored therein to output video and audio through a display means and a speaker, respectively.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동영상의 감상을 위하여 지면에 설치할 경우 디스플레이수단이 사용자의 정면을 향하도록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수단을 일정 각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uld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ecure a viewing angle so that the display means faces the front of the use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ground for the viewing of moving images.
이때, 종래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의 보호를 위해 착용되는 파우치 후면에 지지대를 마련하여 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At this time, in most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 support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uch for protecting the main body so as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the groun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파우치가 부피의 증가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파우치를 장착하지 아니하는 경우 거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because the pouch increases in volume, and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pouch when the pouch is not mounted.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도 있으나, 본체에 클램프 등과 같은 별도의 지지수단을 설치할 경우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제작단가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However, if a separate supporting means such as a clamp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many parts are required,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causes the deterioration of the assemblability .
또한, 본체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거치장치를 사용자의 정면에만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영상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를 가로방향으로 놓은 상태로 영상을 보거나, 휴대용 단말장치를 세로방향으로 세워둔 상태에서 영상을 보게 구성되어져 있고, 종래의 거치장치는 규정된 단일 전자기기만 거치하도록 해 기기별 거치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많았다.In order to secure a viewing angle of the main bod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mounting device should be placed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view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mage data, And the conventional mount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only a single prescribed electronic apparatus to be mounted and the apparatus-specific mounting apparatus must be separately purchased and used.
또한, 상기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동영상과 사운드를 장시간 출력할 시에는 전원소모가 많아 그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기 또는 충전거치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거치장치의 본체에 필히 외부전원이 인가되어야만 그 충전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없는 야외에서는 전자기기를 거치만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n a moving picture and a sound are output for a long time, a power source is consumed so that a charger or a charge and store device is used to charge a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charging function can be used only when it is authoriz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nic equipment must be placed in the outdoors where external power can not be suppli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장치의 본체에서 거치구 은폐하여 필요에 따라 거치구를 출몰하도록 구성해 거치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성이 증대하는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mount, There is a purpose in the increase of sex.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시청에 유리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 편의성이 향상되고,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공간을 조절하도록 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확장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rotated at an angle favorable to the viewing,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on a variet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또한,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조전원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unting device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charg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ven in an outdoor environment where no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면체의 케이스 정면에는 내부에 구성된 축전지의 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 표현하는 표시부을 구성하고, 측면에는 USB단자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단자부와, 전기적 구동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며, 배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통신을 하는 메인접속단자부를 구성하며, 상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환형의 가이드홈을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구성되어 본체를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받침구를 구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고정편과 결합하는 하부에 힌지축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의 거치하는 거치공간을 형성하여,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서 본체의 상면으로 출몰하는 거치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lor differently according to a capacity of a built-in battery in a case front surface of a hexahedron, a USB terminal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apparatus with a USB terminal,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electric power, a main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communicating data for data exchange, and a main body having a hous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reof And a hinge shaf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hich is engaged with the hinge fixing piece form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ormed with a stationary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nfigured by comprising a sphere mounted for retract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haft inside the hole.
그리고, 상기 거치구의 거치공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후를 받치는 거치판부재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결합구성하되, 상기 거치판부재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하부에 구성하는데, 상기 연결부에는 연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의 내면에는 둥근치차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둥근치차와 상응하는 치차를 가진 길이조절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A mounting plate member for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mouth, The fixing member ha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a round gear is form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he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bar having a gear corresponding to a round gear.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거치구가 스프링의 강성(剛性)에 의해 힌지축을 축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 거치구가 수용공간부에 출몰하도록, 상기 거치구의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And a torsion spring provided on the hinge axis of the mounting opening so that the mounting open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automatically rotates on the axis of the hinge axis by the rigidity of the spring and the mounting opening projects into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의 강성(剛性)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여 수용공간부에 출몰하지 못하게 단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전방측에 단속구를 구성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되는 거치구의 회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힌지축에 완속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At this time, an intermittent por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ng and spacing portion so as to automatically rotate by the stiffness of the torsion spring so as not to appear or disappear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and a rotation speed of the mounting port rotated by the torsion spring And further comprises a slow speed port on the hinge shaft so as to adjust the speed.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접속단자부를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 내부에 구성된 각각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승압하여 하단부로 승압된 전원을 인가하는 승압부를 구성하며, 상기 승압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접속단자부와 USB단자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통신제어부를 구성하며, 상기 축전지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해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로 인가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each device configured in the main body by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connection terminal unit into the constant voltage and a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stitute a battery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voltage up unit and to control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connection terminal unit and the USB terminal unit,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and compa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ource applied by the battery and applying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치장치의 본체 상면에 형성된 수용공간부에 은폐된 거치구가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함에 따라 출몰하도록 구성해 거치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성이 향상되고, 본체의 저면에 구성된 회전받침구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시청에 유리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using spac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device, the concealed access port is configured to protrude and retract as the hinge shaft rotates about its axis,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mounting device, ,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rotated at an angle favorable to viewing by the rotation receiving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그리고, 거치구의 거치공간을 조절하도록 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해 범용적으로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확장되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invention having an effect of expanding the compatibility with which the present apparatus can be used universally by allowing a variet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be mounted by adjusting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축전지와 축전지의 출력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를 구성하여, 본체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 내장된 축전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조전원장치로 활용할 수 있고, USB단자와 데이터통신제어부에 의해 메인컴퓨터와 휴대용 전자기기간의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통신 허브 기능을 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oster for boosting the output voltage of a battery and a storage battery in a main body,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harged even in an outdoor environment where no external power is applied, A built-in battery in the main body can be used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 USB terminal and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unit can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hub function that enabl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mputer and a portable electromagnetic period. Lt; / RTI >
도 1은 본 발명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정면을 보인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배면을 보인 배면도.
도 2c는 본 발명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좌측면을 보인 좌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우측면을 보인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거치구의 거치공간 조절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성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left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d)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right sid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djusting a mounting space of a stationary obj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스마트폰, 타블렛PC, PMP, MP3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constru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and an MP3,
육면체의 케이스 정면에는 내부에 구성된 축전지의 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 표현하는 표시부(101)을 구성하고, 측면에는 USB단자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단자부(102)와, 전기적 구동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103)를 구성하며, 배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통신을 하는 메인접속단자부(104)를 구성하며, 상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부(110)를 형성한 본체(100)와;The front surface of the hexahedron forms a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환형의 가이드홈(105)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05)에 결합구성되어 본체(100)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한 회전받침구(120)와;A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고정편(111)과 결합하는 하부에 힌지축(311)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일측의 거치하는 거치공간을 형성하여,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수용공간부(110) 내부에서 본체(100)의 상면으로 출몰하는 거치구(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
이때, 상기 거치구(300)는 거치공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휴대용 전자기기(A)의 배후를 받치는 거치판부재(310)와, 상기 거치판부재(310)와 이격되어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A)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0)로 구성되되, 상기 거치판부재(310)는,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312)와, 상기 연결부(312)의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거치판부재 하부(316)와, 상기 연결부(312)와 거치판부재 하부(316)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공(313)와,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 형성된 둥근치차(314)와, 단부에 구비되어 단속돌기(414)와 상응하게 형성된 단속홈(3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둥근치차(314)와 상응하는 치차를 가진 길이조절바(322)와, 상기 길이조절바(322)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부재 하부(315)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321)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수용된 거치구(300)가 스프링의 강성에 의해 힌지축(311)을 축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 거치구(300)가 수용공간부(110)에 출몰하도록, 상기 거치구(300)의 힌지축(311)에 토션스프링(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강성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여 수용공간부(110)에 출몰하지 못하게 단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전방측에 단속구(410)를 구성하고, 상기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회동되는 거치구(300)의 회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힌지축(311)에 연결된 완속구(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를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100) 내부에 구성된 각각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A
상기 전원부(10)의 전원을 승압하여 하단부로 승압된 전원을 인가하는 승압부(20)와;A
상기 승압부(20)에서 인가된 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30)와;A battery (30)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voltage up unit (20);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와 USB단자부(102)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통신제어부(40)와;A data communication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connection terminal unit (104) and the USB terminal unit (102);
상기 축전지(30)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해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101)로 인가하는 검출부(50)와;A detector (50) for detecting and compa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ource applied by the battery (30) and applying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to the display unit (101) according to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와;A
상기 온도센서(60)에의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전원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의 큰 특징으로는 본체(100)의 상면에 거치구(300)를 구성하되, 상기 거치구(300)가 소정 공간의 수용공간부(110)에 은폐되도록 수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A)를 거치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부(110)에서 거치구(300)를 출연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A major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ounting
이러한 본 발명의 본체(100)는 사각형의 육면체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원형, 오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본체(100)를 구성할 수 있다.The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를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o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PCB보드가 수용되는데, 상기 PCB보드에는 메인접속단자부(104)를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를 구성하고, 상기 전원부(10)의 출력전원을 승압하여 하단으로 인가하는 승압부(20)를 구성한다. A PCB board is accommodated in th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0)에서 인가된 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30)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와 USB단자부(102)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통신제어부(40)를 구성한다.7, a
또한, 상기 축전지(30)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해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표시부(101)로 인가하는 검출부(50)를 구성한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를 구성하고, 상기 온도센서(60)에의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전원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성한다.A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전원부(10)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종래에는 메인컴퓨터인 퍼스널컴퓨터에서 100[㎃] 이내의 전원을 공급받았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를 통해 허브기능이 지원되어 이를 활용해 50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축전지(30)로 리튬폴리머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terna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승압부(20)를 통해 상기 전원부(10)에서 인가된 전원을 승압하여 축전지(30)로 인가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종래에는 3.7[V]의 배터리를 5[V]로 승압하여 후단에 공급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배터리의 내부전압이 떨어져 충전효율이 최하 55%까지 떨어지고, 1000[mA] 이하로 제한적이였으나, 본 발명에서의 축전지(30)는 리튬폴리머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7.4[V]의 출력전압을 갖도록 해 상기 축전지(3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메인컴퓨터인 퍼스널컴퓨터에서 5[V]의 전원을 스텝업(승압)하여 8.1[V]의 전원으로 축전지(30)를 충전한다.Conventionally, a 3.7 [V] battery was boosted to 5 [V] and supplied to the following stage. However, this was due to the internal voltage of the battery falling and the charging efficiency was lowered to at least 55% and less than 1000 [mA] When the
그리고, 상기 축전지(30)로 거치장치에 거치된 아이패드, 갤럭시탭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A)룰 충전하는데, 상기 축전지(30)는 전용포트를 통해 2[A]의 전류인 충전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A)로 인가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A)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축전지(30)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용포트를 통해 2[A]의 전류를 인가하기에 축전지의 전원소모에 따른 전압강하에도 충전 효율은 99%에 달한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상기 데이터통신제어부(40)에 의해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와 USB단자부(102)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The data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는 메인컴퓨터인 퍼스널컴퓨터의 USB단자부와 통신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상기 퍼스널컴퓨터와 휴대용 전자기기(A)가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또한, Y형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퍼스널컴퓨터 전원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기기(A)인 아이패드, 갤럭시탭 전용 어댑터를 연결해 아이패드, 갤럭시탭의 배터리와 다른 외부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Y-type USB cable can be used to charge the iPad, the battery of the Galaxy Tab, and other external devices by connecting not only the personal computer but als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such as the iPad and the Galaxy Tab adapter.
이러한 기능은 통상의 실시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Such a func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 typical embodiment.
또한, 검출부(50)를 통해 검출된 값에 따라 축전지(30)의 축전용량을 검출하여 표시부(101)로 인가하여, 상기 표시부(101)에서는 축전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표시한다.The storage capacity of the
그리고, 온도센서(6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상기 온도센서(60)에의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70)로 인가해 상기 제어부(70)에서는 미리 설정된 온도와 측정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전원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The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는 내부에 구성된 축전지(30)의 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 표현하는 표시부(101)을 구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의 정면에 표시부가 구성된다고 명시하나 필요에 따라 본체(100)의 테두리 또는 상면, 좌,우측면에도 구성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전원스위치(103)는 축전지(30)의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A)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ON/OFF하는데, 상기 전원스위치(103)를 누르는 패턴 또는 누르는 클릭시간, 클릭횟수에 따라 충전기능 ON/OFF 또는 데이터통신구동 ON/OFF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USB단자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단자부(102)와, 전기적 구동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103)를 구성하며, 배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통신을 하는 메인접속단자부(104)를 구성하며,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부(110)를 형성한다.A
이때,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환형의 가이드홈(105)을 구성하는데, 상기 가이드홈(105)에는 본체(100)를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받침구(120)를 결합구성한다.At this time, an
상기 회전받침구(120)는 환형의 가이드홈(105)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이탈방지편(121)을 주연을 따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회전받침구(120)와 결합한 본체가 용이하게 회전 가능하게 마찰계수를 줄이도록 상기 회전받침구(120)의 상면에 베어링(122)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구(120)의 저면에 실리콘, 고무와 같은 미끄럼방지부재(123)를 구비하여, 본체(100)가 회전할 시 상기 회전받침구(120)의 마찰력을 증대되어 본체(100)를 따라 회전받침구(12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A
따라서, 상기 회전받침구(120)를 저면에 구성한 본체(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본체(100)를 회전받침구(12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시켜 사용한다.Therefore, the user rotates the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10)을 형성하는데,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내부에는 힌지축(311)이 결합하는 한쌍의 힌지고정편(111)을 구성하고, 상기 힌지고정편(111)에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하는 거치구(300)를 구성하여,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수용공간부(110) 내부에서 본체(100)의 상면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한다.3, the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전방측에는 단턱(112)을 형성하여, 상기 거치구가 수용공간부(110) 내부로 더 이상 회동 못하도록 방지한다.A
상기 거치구(300)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배후를 받치는 거치판부재(310)와, 휴대용 전자기기(A)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0)로 구성하는데, 상기 거치판부재(310)는 판상의 몸체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힌지축(311)을 구성하고,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부(312)를 구성한다.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거치판부재(310)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부(312)의 외면까지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301)를 구성하여, 상기 거치구(300)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A)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An elastic member 301 such as silicone or rub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상기 거치판부재(310)가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100)와 수평을 이룰시 거치판부재(310)이 수용공간부(110)의 덮개가 되어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부(110) 개구부를 폐쇄함은 수용공간부(110)에서 거치구(300)가 은폐된다.When the mounting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연결부(312)에 결합되는 결합부(321)를 하부에 구성하는데, 상기 연결부(312)에는 연결공(313)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313)의 내면에는 둥근치차(314)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321)에는 둥근치차(314)와 상응하는 치차를 가진 길이조절바(322)를 구성하여, 상기 거치구(300)의 거치공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해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A)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지닌다.4, the fix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구(300)는 힌지축(311)에 토션스프링(400)을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수용된 거치구(300)가 스프링의 강성에 의해 힌지축(311)을 축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 거치구(300)가 수용공간부(110)에 출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6, the mounting
따라서,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비틀었을 때 강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이용한 스프링으로, 토션스프링(400)의 일측단은 본체(100)에 고정하고, 대향측단은 본체(100)와 수직으로 위치한 거치구(300)에 고정하여, 상기 거치구(300)가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항시 본체(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하기에 거치구(300)를 본체(100)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인 즉 다시 말해 거치구(300)를 수용공간부(110)에 은폐한 상태에서 거치구(300)의 단속을 해제하면,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강성에 의해 본체(100)와 수직을 이루기 위해 출연한다. One end of the
이때, 상기 거치구(300)가 토션스프링(400)의 강성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여 수용공간부(110)에 출몰하지 못하게 단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전방측에 단속구(410)를 구성하는데, 상기 단속구(410)는 상면에 널링을 형성한 몸체의 좌,우측에 가이드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편(411)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스프링수용홈(412)을 형성하여, 스프링수용홈(412)에 스프링(413)을 수용하여 탄성을 부여받도록 하며, 후방에는 단속돌기(414)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interposer (300)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rigidity of the torsion spring (400) so as to interrupt the inflow space (110) A
상기 단속구(410)는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전방측인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구성하는데, 널링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100) 내부에 구성되어 가이드편(41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단속돌기(414)가 수용공간부(110)의 단턱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한다.The
그리고, 상기 거치구(300)의 거치판부재(310) 단부에는 상기 단속돌기(414)와 상응하는 단속홈(315)을 구성하여, 상기 거치구(300)가 본체(100)와 수평은 이루는 상태인 상기 거치구(300)가 수용공간부(110)에 은폐될 시 단속구(410)의 단속돌기(414)가 거치판부재(310)의 단속홈(315)에 안착되어 상기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상기 거치구(300)가 본체(100)와 수직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단속한다.An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회동되는 거치구(300)의 회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힌지축(311)에 완속구(420)를 구성하는데, 상기 완속구(420)는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하는 거치구(300)가 회동할 시 회동 속도를 마찰로 완화하는 것으로, 상기 완속구(420)의 구성은 상기 거치판부재(310) 하부와 연결된 로드(421)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421)의 종단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마찰롤러(422)를 구성하며,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마찰롤러(422)가 마찰을 일으키면서 안내되는 가이드부(430)를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내측면에 형성한다.The
따라서, 상기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회동되는 거치구(300)가 단속이 해제되어 회동을 하게 되면 상기 완속구(420)를 이루는 마찰롤러(422)가 가이드부(430)를 따라 마찰을 일으켜 거치구(300)가 완속으로 회동되어 출연한다.Therefore, when 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로드(421)에 인장력을 갖도록 스프링을 구성하여 마찰롤러(422)가 거치구(300)측으로 잡아 당겨져 가이드부(430)를 따라 마찰롤러(422)가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상기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01: 표시부 102: USB단자부
103: 전원스위치 104: 메인접속단자부
105: 가이드홈 110: 수용공간부 111: 힌지고정편
120: 회전받침구 300: 거치구 310: 거치판부재
311: 힌지축 312:연결부 313: 연결공
314: 둥근치차 320: 고정부재 321: 결합부
322: 길이조절바 400: 토션스프링 410: 단속구
420: 완속구 100: main body 101: display portion 102: USB terminal portion
103: Power switch 104: Main connection terminal part
105: guide groove 110: accommodation space part 111: hinge fixing piece
120: rotation support member 300: mounting member 310: mounting plate member
311: Hinge shaft 312: Connecting part 313: Connecting hole
314: Round gear 320: Fixing member 321:
322: length adjusting bar 400: torsion spring 410: stopper
420:
Claims (5)
육면체의 케이스 정면에는 내부에 구성된 축전지의 용량에 따라 색을 달리 표현하는 표시부(101)을 구성하고, 측면에는 USB단자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단자부(102)와, 전기적 구동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103)를 구성하며, 배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통신을 하는 메인접속단자부(104)를 구성하며, 상면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전방측에 단턱(112)이 형성되어 거치구(300)가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환형의 가이드홈(105)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05)에 결합구성되어 본체(100)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한 회전받침구(120);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고정편(111)과 결합하는 하부에 힌지축(311)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일측의 거치하는 거치공간을 형성하여,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수용공간부(110) 내부에서 본체(100)의 상면으로 출몰하고, 힌지축(311)을 축으로 회동해 상기 본체(100)와 수평을 이룰시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덮개가 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0) 개구부를 폐쇄하여 은폐되는 거치구(300); 및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수용된 거치구(300)가 스프링의 강성에 의해 힌지축(311)을 축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 거치구(300)가 수용공간부(110)에 출몰하도록 상기 거치구(300)의 힌지축(311)에 토션스프링(4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구(300)는, 거치공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휴대용 전자기기(A)의 배후를 받치는 거치판부재(310)와, 상기 거치판부재(310)와 이격되어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A)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0)로 구성되되, 상기 거치판부재(310)는,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312)와, 상기 연결부(312)의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거치판부재 하부(316)와, 상기 연결부(312)와 거치판부재 하부(316)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공(313)와,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 형성된 둥근치차(314)와, 단부에 구비되어 단속돌기(414)와 상응하게 형성된 단속홈(3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둥근치차(314)와 상응하는 치차를 가진 길이조절바(322)와, 상기 길이조절바(322)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부재 하부(316)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강성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출몰하지 못하게 단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전방측에 형성된 단속구(410)와, 상기 거치구(300)의 회동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힌지축(311)에 연결되되 상기 거치판부재(3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스프링이 구비되어 인장력을 갖는 로드(421)와 상기 로드의 종단에 형성된 탄성재 재질의 마찰롤러(422)로 이루어진 완속구(420)와,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롤러(422)가 마찰을 일으키면서 안내되는 가이드부(43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constru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and an MP3,
The front surface of the hexahedron forms a display unit 101 that displays colo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uilt-in battery, a USB terminal unit 102 that electrically connects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USB terminal, And a power supply switch 103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switch 103. The main power supply switch 103 constitutes a main connection terminal unit 104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communicating data for exchanging data, A main body 100 formed with a step 112 on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to prevent the attachment 300 from rotating inside;
A rotation receiving hole 12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n annular guide groove 105 and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05 to rotate the main body 100;
A hinge shaft 31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o be coupled with a hinge fixing piece 111 form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0 and a mounting space for a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When the hinge shaft 311 is pivoted about the axis of the hinge shaft 311 and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main body 100 when the hinge shaft 311 is pivoted about the main body 100 in the housing space 110, (300) which becomes a cov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and closes the opening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and is concealed; And
The mounting hole 3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is automatically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hinge shaft 311 by the rigidity of the spring so that the mounting hole 300 is projected into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a torsion spring (400) on a hinge axis (311) of the hinge (300)
The mounting unit 300 includes a mounting board member 310 that supports the rea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mounting space and a mounting board 310 that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oard member 310, The fixing plate member 31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312 protruding forwar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late member 310 and a fixing plate 3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12, A connecting hole 313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312 and the lower plate 316 and a round gear 3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14, Wherein the fixing member 320 includes a length adjusting bar 322 having a gear corresponding to the round gear 314 and a length adjusting bar 322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djusting bar 322. [ (321)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member (322) and coupled to the lower plate member member (316)
The torsion spring 400 includes an intermittent port 410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so as to be automatically turned by rigidity and to be interlocked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so as not to projec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421)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311)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rod (300)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member (310) And a guide part 430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0 and guided by the frictional roller 422 while causing frictional contact with the frictional roller 422,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를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100) 내부에 구성된 각각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 상기 전원부(10)의 전원을 승압하여 하단부로 승압된 전원을 인가하는 승압부(20); 상기 승압부(20)에서 인가된 전원을 축전하는 축전지(30); 상기 메인접속단자부(104)와 USB단자부(102)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통신제어부(40); 상기 축전지(30)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해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101)로 인가하는 검출부(5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 및 상기 온도센서(60)에의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전원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 that receives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connection terminal unit 104 and converts the power to a constant voltage to supply power to each device formed in the main body 100; A boosting unit 20 for boosting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10 and applying a power source boos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 battery (30)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boosting unit (20);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connection terminal unit (104) and the USB terminal unit (102); A detecting unit 50 for detecting and compa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battery 30 and applying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to the display unit 101 according to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A temperature sensor 6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a control unit 70 for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6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0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when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ensed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184A KR101585411B1 (en) | 2015-01-09 | 2015-01-09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184A KR101585411B1 (en) | 2015-01-09 | 2015-01-09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5411B1 true KR101585411B1 (en) | 2016-01-25 |
Family
ID=5530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31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5411B1 (en) | 2015-01-09 | 2015-01-09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541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9550A (en) * | 2017-03-28 | 2018-10-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ol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JP7277854B1 (en) | 2022-12-23 | 2023-05-19 |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housing |
KR20250015686A (en) | 2023-07-24 | 2025-02-03 | 윤여신 | Apparatus for supporting portable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6580A (en) * | 2010-11-25 | 2012-06-04 | 유성정밀 주식회사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KR101391547B1 (en) * | 2013-08-29 | 2014-05-27 | 임영철 |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
-
2015
- 2015-01-09 KR KR1020150003184A patent/KR1015854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6580A (en) * | 2010-11-25 | 2012-06-04 | 유성정밀 주식회사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KR101391547B1 (en) * | 2013-08-29 | 2014-05-27 | 임영철 |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네이버블로그1* * |
네이버블로그3* *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9550A (en) * | 2017-03-28 | 2018-10-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ol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377279B1 (en) | 2017-03-28 | 2022-03-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ol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11990786B2 (en) | 2017-03-28 | 2024-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func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
JP7277854B1 (en) | 2022-12-23 | 2023-05-19 |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housing |
JP2024090735A (en) * | 2022-12-23 | 2024-07-04 |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 Display device arrangement in housing |
KR20250015686A (en) | 2023-07-24 | 2025-02-03 | 윤여신 | Apparatus for supporting portab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202030955A (en) | Exchangeable interface charging dock | |
US11418234B2 (en) | Bi-stable display tag | |
US1084073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 |
US2009030421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portable media unit | |
JP5206406B2 (en) | Desktop charger holder | |
KR101391547B1 (en) |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 |
EP4092872B1 (en) | Charging base | |
US20130002049A1 (en) | Battery booster for an electronic device | |
KR101585411B1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device | |
US9276628B1 (en) | Photovoltaic cell and E-ink display on the front side of a cell phone case | |
JP2013516957A (en) | Universal battery charger | |
US11294430B1 (en) |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 |
TWM568551U (en) | Accessory case with multiple-device recharging capabilities | |
US20220117104A1 (en) |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 |
TWI554865B (en) | Audio docking | |
CN109347171A (en) | Split type electronic device, charg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
CN204705936U (en) | For the demonstration stationary installation of portable electric appts | |
US10122900B2 (en) | Camera mounting device | |
US9807483B1 (en) |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 |
KR20150047095A (en) | Charging equipment of mobile phone | |
WO2020216021A1 (en) | Mobile phone shell | |
TW201927106A (en) | Terminal device and protective shell thereof | |
JP2007213933A (en) |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10096514A (en) | Battery pack device of solar cell charge type for mobile terminal | |
KR101627460B1 (en) | Rotatable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