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3404B1 -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 Google Patents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404B1
KR101583404B1 KR1020140024105A KR20140024105A KR101583404B1 KR 101583404 B1 KR101583404 B1 KR 101583404B1 KR 1020140024105 A KR1020140024105 A KR 1020140024105A KR 20140024105 A KR20140024105 A KR 20140024105A KR 101583404 B1 KR101583404 B1 KR 10158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fiber
conductive coating
coating layer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2805A (en
Inventor
박승한
이응장
김보람
목진명
김경석
이성호
안홍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04B1/en
Publication of KR2015010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0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08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 G02B6/021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characterised by the core or cladding or coating, e.g. materials, radial refractive index profiles, cladding shape
    • G02B6/02104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characterised by the core or cladding or coating, e.g. materials, radial refractive index profiles, cladding shap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external to the cladding, e.g. coating influences grat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0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re effective area or mode field radi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02B6/1201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characterised by the input or output waveguides, e.g. tapered waveguide ends, coupled together pairs of output wave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의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광섬유를 통한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코팅된 전도성 물질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자극과 검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fiber and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coated conductive material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ber.

Description

광신호와 전기신호의 동시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and stimulation of an optical signal and an electric signal,

본 발명은 광섬유의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광섬유를 통한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코팅된 전도성 물질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자극과 검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fiber and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coated conductive material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ber.

신경 네트워크는 워낙 복잡하게 얽혀있어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 네트워크만을 자극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는데, 광학적으로 접근하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The neural network is so complicated that it is difficult to stimulate only the neural network that is selectively functioning when it is electrically stimulated. Optical approach can overcome this disadvantage.

광유전학(optogenetics)은 빛을 사용해서 유전자 조작을 한 신경세포를 선택적으로 흥분 혹은 억제시키는 방법들을 통칭한다. 대부분 외래 유전자인 채널로돕신 자체 혹은 이를 개량한 유전자를 신경세포에 발현시킨 후, 빛을 받으면 흥분하거나 반대로 흥분하지 못하게 하는 기법을 이용한다. 신경세포가 빛에 의해 흥분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광수용체 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단백질을 원하는 신경세포에서 발현시킨다. 정밀한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정확한 부위에 로돕신 단백질 유전자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을 시키거나, 그 부위의 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활용하면, 아주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의 세포만을 감염시켜 빛에 반응하는 신경세포들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질 전환된 세포들을 빛으로 자극하기 위해, 광섬유 등을 활용하여 빛을 비춰줄 수 있다. 광학 기술들의 발전으로 레이저를 다양한 방식으로 정확한 부위에 비춰줄 수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신경세포 하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Optogenetics refers to methods of selectively exciting or inhibiting genetically engineered neurons using light. Most of the foreign genes, the channeled rhodopsin itself or its modified genes are expressed in neurons and then used to excite or not to excite when receiving light. In order for nerve cells to be excited by light, the photoreceptor cells' proteins are expressed in the desired neuron. By using precise surgical tools to infect viral infections that contain the rhodopsin protein gene at the correct site, or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lls in that area, they can be used to precisely infect only the cells of the desired region, . In order to stimulate the transformed cells with light, it is possible to use a fiber optic light to illuminate the light. With advances in optical technologies, the laser can be illuminated to the correct site in a variety of ways, eventually selectively stimulating each nerve cell.

이러한 광유전학은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혁신적인 기술로서, 이전에는 유사한 시험을 위해서는 뇌의 일부분에 손상을 주거나,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등의 침습적인(invasive) 방법들 밖에는 없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살아있는 개체에서 신경회로의 기능들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으며, 향후 난치성 신경질환의 치료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Such photogenetics is an innovative technology in the field of neuroscience, and previously there was only invasive methods such as damage to a part of the brain or electrical stimulation for a similar test. This method can clarify the functions of neural circuits in living organisms and may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neurological diseases in the future.

종래에는 광신호와 전기신호를 각기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자극 및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구와 장치 및 배선 등이 복잡하게 구성되고 작업이 불편하였다.
Conventionally, optical signals and electric signals are stimulated and measured using different mechanisms. Accordingly, devices, devices, wiring, and the like are complicated and work is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전기적 신호의 자극과 검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b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optical signal and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번들 및 광섬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ber bundle and an optical fiber module including the optical fiber.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섬유 물질을 함유하고,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코어층; 및 코어층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멀티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며,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전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e layer comprising a fiber materi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optical signal; And a conductive coating layer partially formed outside the core layer to form a multi-electrode patter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는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전기신호의 자극과 검출이 동시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timulate and detect an optical signal, stimulate and detect an electrical signal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 멀티 전극 패턴 중 일부의 패턴은 전기신호로 자극을 가하고, 다른 일부의 패턴은 전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atterns of the multi-electrode patterns are stimulated by electrical signals, while other patterns are capable of detecting electrical signals.

본 발명에서 섬유 물질은 유리,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전도성 물질은 금속,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rous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and polymers,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metal, conductive polymer, carbon nanotube, and graphene.

본 발명에서 코어층의 직경, 전도성 코팅층의 두께, 전도성 코팅층의 폭은 각각 독립적으로 1 nm 내지 1 mm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core layer,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the width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may independently be 1 nm to 1 mm.

본 발명에서 멀티 전극 패턴은 코어층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전극 패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electrode patter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layer, and each electrode pattern may have a different length.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절연재료를 함유하는 절연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containing an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코어층 및 전도성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는 클래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클래드층은 유리,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ad layer formed between the core layer an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the clad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and polymer.

본 발명에서 광섬유의 말단부는 테이퍼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테이퍼 구조의 길이는 1 ㎛ 내지 100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may have a tapered structure, and the length of the tapered structure may be 1 to 100 cm.

본 발명에서 광섬유의 말단부에서 클래드층, 전도성 코팅층,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코어층, 클래드층 또는 전도성 코팅층이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 부위의 길이는 1 nm 내지 10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clad layer,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s not formed at the end of the optical fiber, so that the core layer, the clad layer, or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may be exposed, and the exposed portion may have a length of 1 nm to 10 cm .

본 발명에서 코어층, 클래드층, 전도성 코팅층,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의 직경은 1 nm 내지 1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layer of the core layer, the clad layer,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1 nm to 1 탆.

본 발명에서 광섬유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optical fiber may be circular, oval or polygonal.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외부 노이즈를 차폐하는 실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실드층은 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layer formed outsid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shielding external noise, and the shield layer may include a conductor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중공부; 및 외부 중공부를 둘러싸는 유리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중공부를 통해 약물, 이온성 물질, 액체성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전달 가능하다.An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hollow portion formed on an outer side of a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a glass tube surrounding the outer hollow portion,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drug, an ionic material, and a liquid material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outer hollow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코어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중공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중공부를 통해 약물, 이온성 물질, 액체성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전달 가능하다.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core layer, and may transmit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drug, an ionic material, and a liquid material through the inner hollow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섬유 물질을 함유하고,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며,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전도성 코팅층; 제1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절연재료를 함유하는 제1절연층; 제1절연층 외부에 형성되는 제2전도성 코팅층; 및 제2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절연층을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core layer containing a fiber materi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optical signal; A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core layer, the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containing an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ductive coating lay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도성 코팅층 및 절연층이 추가로 반복 형성되고,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에 의해 멀티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도성 코팅층은 전면에 걸쳐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are additionally repeatedly formed, and a multi-electrode pattern can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wherei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can be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r partially formed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는 코어층 및 제1전도성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는 클래드층; 절연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외부 노이즈를 차폐하는 실드층; 절연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중공부; 외부 중공부를 둘러싸는 유리관; 및 코어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중공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fiber comprising: a clad layer formed between a core layer and a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A shield layer formed outside the insulating layer and shielding external noise; An outer hollow portion formed outside the insulating layer; A glass tube surrounding the outer hollow portion; And an inner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core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를 복수 개로 포함하는 광섬유 번들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tical fiber bundl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having the above-described multi-electrode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번들은 복수의 광섬유가 서로 꼬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twisted togeth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는 커플링 모듈; 광섬유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 및 외부와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광섬유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optical fi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multi-electrode pattern; A coupling modu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A light source module for supplying light to the optical fib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ly with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모듈에서 광원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modul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모듈은 전원 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일 수 있다.The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모듈은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의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광섬유를 통한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코팅된 전도성 물질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자극과 검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an optical fiber,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fiber and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coated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광섬유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패터닝화하여 코팅함으로써 멀티 전극을 구성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더불어 광섬유에 입사되는 광 소스를 작은 패키지 형태로 모듈화하고, 또한 무선 기능을 추가하여 외부에서 광신호의 파장 및 온 오프(on & off)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it has been devised to construct a multi-electrode by patterning and coating the surface of an optical fiber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incident on the optical fiber is modularized into a small package, and a wireless function is added to control the wavelength and on / off of the optical signal from the outside.

최근 옵토제네틱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광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동시에 멀티로 전기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으므로, 상당한 관심을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더불어 작은 광 소스 패키지를 구성하여 무선으로 컨트롤 가능하므로, 쥐와 같은 작은 실험 대상에게 부하가 적게 가해짐으로써 실험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addition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optoelectronic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receive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it can transmit or receive an optical signal while receiving and receiving optical signal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addition, a small light source package can be constructed and controlled wirelessly, so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experiment will be increased by applying less load to a small experimental object such as a m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절연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전극 패턴의 길이가 다른 광섬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클래드층을 포함하고, 말단부에 뾰족한 테이퍼 구조를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클래드층을 포함하고, 말단부가 뭉툭한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신호의 자극과 검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홀이 형성된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광섬유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3층의 전도성 코팅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클래드층 및 부분적으로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클래드층이 추가로 형성된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서 클래드층이 추가로 형성된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서 클래드층이 추가로 형성된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광섬유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번들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광섬유 모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실드층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중공부 및 유리관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중공부를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fiber having different lengths of electrode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la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ing a tapered structure at a distal end thereof.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la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a blunt en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electrica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a hole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and an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and an insulating layer partial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three layers of a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that are partially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lad layer and a partially formed conductive co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a clad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i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a clad layer is further formed i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a clad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in Fig.
19 is a plan view of an optical fiber having a plate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2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FIG. 22. FIG.
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shiel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n outer hollow portion and a glass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n inner hollow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광섬유의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는 코어층(10) 및 전도성 코팅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1, wherein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 ).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는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전기신호의 자극과 검출이 동시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timulate and detect an optical signal, stimulate and detect an electrical signal at the same time.

광섬유의 형상은 단면을 기준으로 원형이 일반적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도 가능하며, 특히 얇은 플레이트(박판) 형상도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optical fiber is generally circular based on the cross section, but an elliptical or polygonal (triangular, square, etc.) shape is also possible, in particular a thin plate (thin plate) shape is also possible.

광섬유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 내지 100 m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optical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from 1 cm to 100 m.

코어층(10)은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광신호로 신체(뇌 등)에 광학적 자극을 주거나, 신체로부터의 광학적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re layer 10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optical signals. Specifically, an optical stimulus can be given to the body (brain or the like) with an optical signal, or an optical signal from the body can be detected.

코어층(10)은 섬유 물질을 함유하며, 섬유 물질로는 유리,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폴리에스터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아크릴계 섬유(PMM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 폴리이미드계 섬유 등과 같은 고분자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re layer 10 contains a fibrous material, and the fibrous material may be a mixtur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and polymer. For example, glass fibers can be used, and polymer fibers such as polyester fibers, nylon fibers, polyolefin fibers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the like), acrylic fibers (PMMA, polyacrylonitrile and the like) Can be used.

코어층(10)의 직경(단면이 다각형일 경우 평균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 mm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core layer 10 (average diameter when the cross section is a polygonal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nm to 1 mm.

전도성 코팅층(20)은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도성 코팅층(20)은 전극으로 작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신호로 신체(뇌 등)에 전기적 자극을 주거나, 신체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 signals.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cts as an electrode and serves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Specifically, an electric stimulus can be given to the body (brain or the like) with an electric signal, or an electric signal from the body can be detected.

전도성 코팅층(20)은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며, 전도성 물질로는 금속,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금, 은, 동, 백금, 텅스텐, 티타늄, 주석, 니켈, 크롬, 코발트, 아연, 이리듐 등 모든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거나,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티오펜계,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폴리피롤계, 폴리아닐린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p-페닐렌비닐렌)계 수지, 도프된 폴리에틸렌 등 모든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contains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mixtur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metal, conductive polymer, carbon nanotube, and graphene. As the metal, all met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platinum, tungsten, titanium, tin, nickel, chromium, cobalt, zinc and iridium can be used. In addition, a metal oxide may be used, or an alloy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polymer, any conductive polymer such as polythiophe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yrrole, polyaniline, polyacetylene, poly (p-phenylenevinylene) resin, and doped polyethylene can be used.

전도성 코팅층(20)은 코어층(10)의 외부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멀티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4개의 전극 패턴이 코어층(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전극 패턴의 수와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partial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layer 10 to form a multi-electrode pattern. Although four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layer 10, the number and the interval of the electrode patter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s required.

전도성 코팅층(20)의 두께 및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각각 독립적으로 1 nm 내지 1 mm일 수 있다. 또한, 각 전극 패턴의 두께 및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dependently from 1 nm to 1 mm. Further, the thickness and width of each electrode patter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전도성 코팅층(20)은 예를 들어 코팅, 증착,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빔(Electron beam), 감마선(γ-ray)과 같은 높은 에너지를 갖는 빛을 재료 표면에 조사하여 코팅하거나,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그래프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적 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과 스퍼터링, 전자 빔 증착(Electron-beam Evaporation),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등의 물리적 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증착할 수 있다. 또한, 전해 도금 또는 무전해 도금 등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coating, vapor deposition, plating, or the lik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at the surface of the material with high-energy light such as an electron beam or a gamma ray to coat the material or use a grafting method through plasma treatment. In addition, it can be deposited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such a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sputtering, electron-beam evaporation, and thermal evaporation. It may also be formed by electrolytic plating or electroless plating or the like.

코어층(10)이 굵을 경우 전도성 코팅층(20)은 코어층(10)에 비해 좁거나 얇은 전극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코어층(10)이 가늘 경우에는 광섬유가 뇌 등의 신체 내부를 지나가다 휘어질 수 있으나, 전도성 코팅층(20)에 의해 지지되어 휘어질 염려가 없다. 또한, 전도성 코팅층(20)을 패턴으로 형성하면, 멀티 혹은 다양한 모양 및 길이를 가진 전극 구성이 가능하다.
When the core layer 10 is thick,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can be formed in a narrow or thin electrode pattern as compared with the core layer 10. When the core layer 10 is thin, the optical fiber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such as the brain, but may be supported by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so as to be bent. In addition, whe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formed in a pattern, it is possible to form an electrode having multiple or various shapes and lengths.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절연층(3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광섬유의 횡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서 절연층(30)이 추가된 실시형태이다.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3,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30 is added in FIGS. 1 and 2 .

절연층(30)은 전도성 코팅층(2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절연층(30)은 광섬유의 말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전도성 코팅층(20)이 코어층(10)의 외부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경우, 전도성 코팅층(20)은 코어층(10)에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광섬유가 전체적으로 울퉁불퉁해질 수 있는데, 절연층(30)으로 각 전극 패턴 사이를 메우면서 전도성 코팅층(20)을 완전히 둘러쌈으로써, 광섬유를 원형으로 매끄럽게 만들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Referring to FIG. 3, the insulating layer 30 may not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4, whe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part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layer 10, sinc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protruded from the core layer 10, The optical fiber can be made entirely uneven. By completely surrounding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with the insulating layer 30, the optical fiber can be made smooth in a circular shape.

절연층(30)은 절연재료를 함유하는 절연재료로는 무기질 재료, 자기계 재료, 유리계 재료, 섬유질계 재료, 수지계 재료, 고무계 재료, 니스계 재료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질 재료로는 마이카, 석면, 대리석, 황 등이 있다. 자기계 재료로는 자기, 스테아타이트, 유리 도자기 등이 있다. 유리계 재료로는 석영유리, 소다유리, 납유리 등이 있다. 섬유질 재료로는 목재, 종이, 면사, 견직물, 마사,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섬유가 있다. 수지계 재료로는 파릴렌(parylene: 파라크실렌 중합으로 얻어지는 플라스틱),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페놀 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스테롤 등이 있다. 고무계 재료로는 천연고무, 에보나이트, 부틸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실리콘고무 등이 있다. 니스(varnish)계 재료로는 니스크로스, 니스페이퍼, 합성수지계 니스로서 에폭시수지니스, 포말린수지니스, 실리콘니스 등이 있다.The insulating layer 30 may be formed by using one or more kinds of insulating materials containing an insulating material in combina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a magnetic material, a glass material, a fibrous material, a resin material, a rubber material, . The inorganic materials include mica, asbestos, marble, and sulfur. Examples of magnetic materials include porcelain, stearate, and glass ceramics. Glass-based materials include quartz glass, soda glass, and lead glass. The fibrous material includes synthetic fibers such as wood, paper, cotton, silk, martha, polyester, and polyethylene. Examples of the resin material include parylene (plastic obtained by para-xylene polymerization),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nylon, phenol resin, polyester, and polycosterol. Examples of the rubber-based material include natural rubber, ebonite, butyl rubber, chloroprene rubber, and silicone rubber. Examples of varnish-based materials include varnish crosstalk, varnish paper, synthetic resin varnishes, epoxy resin varnishes, formalin resin varnishes, silicone varnishes, and the like.

절연층(30)은 예를 들어 코팅, 증착,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3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 mm일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30 may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coating, vapor deposition, plating,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nm to 1 mm.

절연층(30)에 흑색 및 이와 유사한 색상의 안료를 투입하는 방법 등을 통해, 절연층(30)은 광차단층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전도성 코팅층(20)이 부분적으로 형성될 경우, 코어층(10)을 통과하는 빛이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으므로, 절연층(30)을 절연기능과 동시에 광차단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insulating layer 30 can also function as a light blocking layer, for example, through a method of putting black and similar color pigments into the insulating layer 30 and the like. Whe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partly formed, light passing through the core layer 10 can leak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not formed. Therefore,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전극 패턴의 길이가 다른 광섬유의 사시도로서, 전도성 코팅층(20)의 멀티 전극 패턴은 코어층(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전극 패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각 전극 패턴의 길이 및 위치를 독립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fiber having different lengths of electrode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electrode pattern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layer 10, . In this manner, the length and position of each electrode pattern can be independently and variously adjusted as need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클래드층(40)을 포함하고, 말단부에 뾰족한 테이퍼 구조를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클래드층을 포함하고, 말단부가 뭉툭한 광섬유의 종단면도이다.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lad lay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ing a pointed tapered structure at a distal end thereof,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la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클래드(clad)층(40)은 코어층(10) 및 전도성 코팅층(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코팅층(20)은 클래드층(4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A clad layer 40 may be formed between the core layer 10 an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Thu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ad layer 40.

클래드층(40)은 빛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차단층 역할을 한다. 클래드층(40)의 굴절률은 코어층(10)보다 낮다. 즉, 빛이 통과하는 핵심 부분인 코어층(10)의 굴절률보다 클래드층(40)의 굴절률을 약간 작게 하여 코어층(10)에 입사된 빛이 굴절률이 다른 코어층(10)와 클래드층(40)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전파할 수 있다.The clad layer 40 serves as a blocking layer that prevents light from escaping ou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ladding layer 40 is lower than that of the core layer 10. That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ladding layer 40 is made slightly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re layer 10, which is a core part through which light passes, so that the light incident on the core layer 10 is diffused into the core layer 10 and the cladding layer 40, the total reflection can be propagated.

클래드층(40)은 코어층(10)과 마찬가지로 유리섬유나 각종 고분자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클래드층(4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 mm일 수 있다.Like the core layer 10, the clad layer 40 may be composed of glass fiber or various kinds of polymer fibers. The thickness of the clad laye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nm to 1 mm.

도 6을 참고하면, 광섬유의 말단부는 테이퍼(taper)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테이퍼 구조로 인해 광섬유가 신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may have a tapered structure. Due to the tapered structure, the optical fib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ody.

테이퍼 구조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 내지 100 ㎝일 수 있다. 테이퍼의 경사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5 내지 45도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tapered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to 100 c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p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 to 45 degrees.

도 7을 참고하면, 광섬유의 말단부는 테이퍼 없이 뭉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can be blunt without taper.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전도성 코팅층(20)에는 다수의 와이어(W)가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전기신호 검출장치(D)가 연결될 수 있다.6 and 7, a plurality of wires W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an electric signal detecting device D may be connected.

또한, 광섬유의 말단부에서 클래드층(40), 전도성 코팅층(20), 절연층(3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코어층(10), 클래드층(40) 또는 전도성 코팅층(20)이 노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광섬유의 말단부에서 절연층(30)이 형성되지 않아서, 전도성 코팅층(20)이 노출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노출 부위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0 ㎝일 수 있다. 노출 부위의 길이는 짧을 경우 수 nm에서 수 ㎛일 수 있으며, 길 경우 수 mm에서 수 ㎝일 수 있다.The cladding layer 40 or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formed without forming at least one layer of the cladding layer 40,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the insulating layer 30 at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Lt; / RTI > In the figure, the insulating layer 30 is not formed at the end of the optical fiber, an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exposed. The length of the exposed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nm to 10 cm. The length of the exposed region can be from a few nm to a few microns if it is short, and from a few millimeters to a few centimeters if it is long.

한편, 광섬유가 신체에 삽입될 때 삽입 깊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mm 내지 1 m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depth when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into the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 mm to 1 m.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신호의 자극과 검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로서, 멀티 전극 패턴 중 일부의 패턴은 전기신호로 신체에 자극을 가할 수 있고, 다른 일부의 패턴은 신체로부터의 전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짐으로써, 전기신호 자극을 가하면서, 동시에 전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좌측 와이어(W)를 통해 전기적 자극을 가할 수 있고, 동시에 복수의 검출장치(D)를 통해 전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stimulation and detection of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atterns of the multi-electrode patterns can stimulate the body with an electric signal, A signal can be detected.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electrode pattern so that electrical signals can be simultaneously detected while applying electrical sign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gure,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applied via the left wire W, and an electric signal can be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detection devices D at the same time.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홀(H)이 형성된 광섬유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광섬유의 정면도로서, 코어층(10), 클래드층(40), 전도성 코팅층(20), 절연층(3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홀(H)은 바람직하게는 광섬유의 말단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홀(H)은 바람직하게는 코어층(10)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H)을 통해 빛이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전파되어 측면상으로 광신호의 자극 및 검출이 가능하다. 홀(H)의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 ㎛일 수 있다.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having a hole H form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9 showing a core layer 10, a cladding layer 40,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 hole (H)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layers (30). The hole (H) is preferably formed on the distal side of the optical fiber.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holes H are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core layer 10 is exposed. Light can be propagated through the side of the optical fiber through the hole H to stimulate and detect the optical signal on the side surface. The diameter of the hole (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nm to 1 탆.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는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을 포함할 수 있다.1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30).

도 11을 참고하면, 광섬유는 중앙의 코어층(10), 코어층(1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전도성 코팅층(20), 제1전도성 코팅층(2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절연층(30), 제1절연층(30)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전도성 코팅층(20), 및 제2전도성 코팅층(2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절연층(30)을 포함한다.11, the optical fiber has a central core layer 10, a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layer 10, a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 second conductive layer 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coating layer 20 .

각 전도성 코팅층(20)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각 절연층(30)의 길이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도면에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이 예시되어 있다.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lengths of the insulating layers 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formed in a step shape are illustrated.

전도성 코팅층(20) 및 절연층(30)은 도 11에 예시된 2층 이외에, 추가로 반복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에 의해 멀티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the insulating layer 30 may be repeatedly formed in addition to the two layers illustrated in FIG. 11, so that the multi-electrode pattern can be formed b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로서,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이 광섬유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교대로 반복 형성됨으로써 멀티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 등과 달리 전도성 코팅층(2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멀티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각 전도성 코팅층(20)을 전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are formed on the outside Electrode pattern can be formed by alternately repeating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the formation of the multi-electrode pattern. In this case, unlike FIG. 2 and the like, the multi-electrode pattern can be formed without partially forming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로서, 도 12와 달리 전도성 코팅층(20)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도 2 등과 같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20 and an insulating layer 30 partially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FIG. 12,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not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And the like are partially formed.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3층의 전도성 코팅층(20)과 절연층(3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4의 3층 구조를 넘어 4층 이상의 반복 패턴 구조의 형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three layers of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insulating layer 30 partial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a repeating pattern structure of four or more layers beyond the three-layer structure of FIG.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클래드층(40) 및 부분적으로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2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클래드층(40)이 추가로 형성된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서 클래드층(40)이 추가로 형성된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서 클래드층(40)이 추가로 형성된 광섬유의 횡단면도이다. 코어층(10)과 클래드층(40)의 위치는 바뀔 수도 있으며, 클래드층(40)은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외곽 절연층(3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외부 노이즈를 차폐하는 실드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외곽 절연층(30)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중공부, 및 이 외부 중공부를 둘러싸는 유리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층(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중공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cladding layer 40 and a partially formed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the cladding layer 40 is further formed i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the clad layer 40 is additionally formed i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 which the clad layer 40 is additionally formed in Fig. The positions of the core layer 10 and the clad layer 40 may be changed, and the clad layer 40 may be selectively formed or not. Further, a shield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insulating layer 30 and shielding external noise may be additionally formed. Further, an outer hollow portion formed outside the outermost insulating layer 30, and a glass tube surrounding the outer hollow portion may be additionally formed. Further, an inner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core layer 10 may be additionally formed.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광섬유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따른 광섬유의 횡단면도서, 얇은 플레이트(박판) 형태의 광섬유를 예시한 것이다. 코어층(10)이 평판 형태로 구성되다 보니, 다른 층들도 동일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절연층(30)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클래드층(40)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면에는 전도성 코팅층(20)이 상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면이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상하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극 패턴의 수와 간격 그리고 길이와 폭 및 형상 등도 도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FIG. 19 is a plan view of an optical fiber having a plate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llustrates an optical fiber in the form of a thin plate (thin plate) in cross section of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FIG. As the core layer 10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ther layers have the same shape. The insulating layer 30 is preferably formed, but the clad layer 40 can be omitted if necessary. Although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ly,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electrode patterns, and the length, width, shape,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번들의 종단면도로서,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를 복수 개로 포함하는 광섬유 번들(bundle)의 형태로도 적용 가능하다. 도면에는 3개의 광섬유가 번들을 이루는데, 광섬유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각 광섬유가 평행하게 붙어 있으나, 이와 달리 각 광섬유가 서로 꼬인(twisted)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2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lso applicable to a form of an optical fiber bundl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In the figure, three optical fibers are bundled. The number of optical fib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In addition, although each optical fiber is shown parallel to the drawing, the optical fibers may be twisted with each other.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따른 광섬유 모듈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2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state of use of the optical fiber module according to FIG.

광섬유 모듈은 코어층(10), 전도성 코팅층(20), 절연층(30) 및/또는 클래드층(40) 등으로 구성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전원 공급부(51), 무선통신 모듈(52), 제어 모듈(53), 광원 모듈(54), 커플링 모듈(5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tical fiber module includes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composed of a core layer 10,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 insulating layer 30 and / or a clad layer 40, a power supply unit 51,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2 A control module 53, a light source module 54, a coupling module 55,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부(51), 무선통신 모듈(52), 제어 모듈(53), 광원 모듈(54), 커플링 모듈(55)은 하나의 소형 콤팩트 박스 형태로 일체화하여 통합 모듈(50)로 구성할 수 있다. 각 모듈은 통합 모듈(50) 내에서 하나의 기판에 소형 칩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ower supply unit 5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2, the control module 53, the light source module 54, and the coupling module 55 are integrated into one compact compact box, Can be configured. Each module can be mounted on a single substrate in the form of a small chip within the integration module 50.

전원 공급부(51)는 각 모듈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51)는 건전지, 충전지와 같은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51)를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광섬유 모듈 내에 전원을 자체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1 serves to supply power to each module. The power supply unit 51 may be a battery, such as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By configuring the power supply unit 51 as a battery,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ptical fiber module itself. However,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as needed.

무선통신 모듈(52)은 외부와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장치로서, 이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무선으로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빛의 파장(색깔)을 바꾸거나, 빛을 켜거나 끌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2 is a devic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ly with the outside, and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it. For example, you can control the light source from the outside wirelessly, specifically changing the wavelength (color) of the light, turning the light on or off.

제어 모듈(53)은 각 모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각종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The control module 53 controls each module and may process various signals.

광원 모듈(54)은 광섬유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 모듈(54)은 예를 들어 RGB(Red, Green, Blue)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odule 54 serves to supply light to the optical fiber. The light source module 54 may include, for example, an RGB (Red, Green, Blue) light emitting diode (LED).

커플링 모듈(55)은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어 통합 모듈(50)과 광섬유를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커플링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upling module 5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and serves to connect the optical fiber with the integration module 50. Conventional coupling members may be used.

도 23을 참고하면, 쥐(M) 머리에 올려진 광섬유 모듈은 작고 가벼워 쥐(M)가 움직이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부하를 주게 된다. 도 23에서는 광섬유 모듈에 별도의 금속 와이어(W)를 연결하여 전기적 자극을 주거나 검출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별도의 와이어(W)를 연결하지 않고 광신호처럼 전기신호도 내장된 배터리(51), 무선통신 모듈(52), 제어 모듈(53) 등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3, the optical fiber module mounted on the head of the mouse (M) is small and light so that the mouse (M) moves relatively little load. In FIG. 23, a separate metal wire W is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module to provide or detect an electrical stimulus. However, a battery 51 having an electric signal, such as an optical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2, the control module 53, and the like.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실드층(6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로서, 전도성 코팅층(20) 또는 절연층(30)의 외부 표면에 실드층(60) 및 선택적으로 필요에 따라 보호층(7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2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shield laye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hield layer 60 and optionally a protective layer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or the insulating layer 30 70 may be additionally formed.

실드층(60)은 외부 노이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코팅층(20)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외부 전기적 노이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shield layer 60 serves to shield external noise. Specifically, it plays a role of protecting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rom external electrical noises.

실드층(60)은 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체 재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금속, 금속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hield layer 60 may comprise a conductor material. As the conductor material, various metals, metal oxides, conductive polymer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보호층(70)은 피복층 또는 재킷(jacket)층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층(7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고분자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70 is a coating layer or a jacket layer and serves to protect the optical fiber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layer 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preferably be composed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실드층(60) 및 보호층(70)은 예를 들어 코팅, 증착,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드층(60) 및 보호층(7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nm 내지 1 mm일 수 있다.
The shield layer 60 and the protective layer 70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coating, vapor deposition, plating,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shield layer 60 and the protective layer 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nm to 1 mm.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유리관(80) 및 외부 중공부(90)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로서, 광 패치 클램프(patch clamp)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2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 glass tube 80 and an outer hollow portion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n optical patch clamp structure.

유리관(80)은 외부 중공부(90)를 둘러싸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유리 피펫(glass pipette)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관(8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 내지 1 ㎝일 수 있다.The glass tube 80 surrounds the outer hollow portion 90, and a glass pipette, for example, can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glass tube 8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m to 1 cm.

외부 중공부(90)는 전도성 코팅층(20) 또는 절연층(30)의 외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다. 외부 중공부(90)를 통해 약물, 이온성 물질, 액체성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전달할 수 있다.
The outer hollow portion 90 is an empty space formed outsid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or the insulating layer 30. Ionic material, or liquid material through the outer hollow portion 90. [0064]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중공부(110)를 포함하는 광섬유의 종단면도로서, 코어층(110)의 내부에 내부 중공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중공부(110)를 통해 약물, 이온성 물질, 액체성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전달할 수 있다.
FIG. 2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ber including an inner hollow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ner hollow portion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core layer 110. Ionic material, or liquid material through the inner hollow part 110. [0064]

10: 코어층
20: 전도성 코팅층
30: 절연층
40: 클래드층
50: 통합 모듈
51: 전원 공급부
52: 무선통신 모듈
53: 제어 모듈
54: 광원 모듈
55: 커플링 모듈
60: 실드층
70: 보호층
80: 유리관
90: 외부 중공부
110: 내부 중공부
10: core layer
20: Conductive coating layer
30: Insulation layer
40: cladding layer
50: Integration module
51: Power supply
52: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3: Control module
54: Light source module
55: Coupling module
60: shield layer
70: Protective layer
80: Glass tube
90: outer hollow portion
110: inner hollow portion

Claims (34)

섬유 물질을 함유하고,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멀티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며,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전도성 코팅층;
코어층 및 전도성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고 유리와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클래드층;
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외부 노이즈를 차폐하는 실드층; 및
측면에 코어층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A core layer containing a fibrous materi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optical signal;
A conductive coating layer partially formed outside the core layer to form a multi-electrode patter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A clad layer formed between the core layer and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and a polymer;
A shield layer formed outsid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shielding external noise; And
And a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to penetrate to the core layer.
제1항에 있어서,
광신호의 자극과 검출 및 전기신호의 자극과 검출이 동시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imultaneously detect and detect an optical signal, and stimulate and detect an electric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멀티 전극 패턴 중 일부의 패턴은 전기신호로 자극을 가하고, 다른 일부의 패턴은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ttern of a part of the multi-electrode pattern applies a stimulus to an electric signal, and a part of the pattern detects an electric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섬유 물질은 유리,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fiber material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and 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물질은 금속,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material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al, a conductive polymer, a carbon nanotube, and a graphene.
제1항에 있어서,
코어층의 직경, 전도성 코팅층의 두께, 전도성 코팅층의 폭은 각각 독립적으로 1 nm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meter of the core layer,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the width o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re independently 1 nm to 1 mm.
제1항에 있어서,
멀티 전극 패턴은 코어층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전극 패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electrode patter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layer, and each electrode pattern has a different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절연재료를 함유하는 절연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containing an insulating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의 말단부는 테이퍼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has a tapered structure.
제11항에 있어서,
테이퍼 구조의 길이는 1 ㎛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ength of the tapered structure is 1 占 퐉 to 10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의 말단부에서 클래드층, 전도성 코팅층,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코어층, 클래드층 또는 전도성 코팅층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a clad layer, a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is not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ptical fiber, and the core layer, the clad layer, or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is exposed.
제13항에 있어서,
노출 부위의 길이는 1 nm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xposed portion has a length of 1 nm to 10 c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홀의 직경은 1 nm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is 1 nm to 1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optical fiber is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실드층은 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eld layer comprises a conductor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중공부; 및
외부 중공부를 둘러싸는 유리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hollow portion formed outsid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Further comprising a glass tube surrounding the outer hollow portion.
제20항에 있어서,
외부 중공부를 통해 약물, 이온성 물질, 액체성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전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drug, an ionic material, and a liquid material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external hollow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코어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중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ner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core layer.
제22항에 있어서,
내부 중공부를 통해 약물, 이온성 물질, 액체성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전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drug, an ionic material, and a liquid material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inner hollow portion.
섬유 물질을 함유하고,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코어층;
코어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며,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전도성 코팅층;
제1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절연재료를 함유하는 제1절연층;
제1절연층 외부에 형성되는 제2전도성 코팅층;
제2전도성 코팅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절연층
코어층 및 제1전도성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고 유리와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클래드층;
제2절연층의 외부에 형성되고, 외부 노이즈를 차폐하는 실드층; 및
측면에 코어층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A core layer containing a fibrous materi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optical signal;
A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core layer, the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containing an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first insulat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med outside the second conductive coating layer,
A clad layer formed between the cor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lass and a polymer;
A shield layer formed outsid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shielding external noise; And
And a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to penetrate to the core layer.
제24항에 있어서,
전도성 코팅층 및 절연층이 추가로 반복 형성되고, 복수의 전도성 코팅층에 의해 멀티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are repeatedly formed, and a multi-electrode pattern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layers.
제25항에 있어서,
전도성 코팅층은 전면에 걸쳐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r is partially formed.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절연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중공부;
외부 중공부를 둘러싸는 유리관; 및
코어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중공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or 25,
An outer hollow portion formed outside the insulating layer;
A glass tube surrounding the outer hollow portion; And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inner hollows formed inside the core layer.
제1항 또는 제24항에 따른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를 복수 개로 포함하는 광섬유 번들.
An optical fiber bundle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claim 1 or 24.
제28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섬유가 서로 꼬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번들.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plurality of optical fibers have a twisted shape.
제1항 또는 제24항에 따른 멀티 전극 패턴을 가지는 광섬유;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는 커플링 모듈;
광섬유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 및
외부와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광섬유 모듈.
An optical fiber having a multi-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claim 1 or 24;
A coupling modu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A light source module for supplying light to the optical fiber; And
An optical fiber module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ly with the outside.
제30항에 있어서,
광원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듈.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light source module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제30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섬유 모듈.
31. The method of claim 30,
A fiber optic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제32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듈.
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a battery.
제30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섬유 모듈.
31. The method of claim 30,
A fiber optic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KR1020140024105A 2014-02-28 2014-02-28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Expired - Fee Related KR101583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105A KR101583404B1 (en) 2014-02-28 2014-02-28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105A KR101583404B1 (en) 2014-02-28 2014-02-28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05A KR20150102805A (en) 2015-09-08
KR101583404B1 true KR101583404B1 (en) 2016-01-08

Family

ID=5424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1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3404B1 (en) 2014-02-28 2014-02-28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4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092B1 (en) * 2018-08-06 2020-06-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Deep brain stimulation transparent electrodes array and neural signal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1659793A (en) * 2020-06-23 2020-09-15 湖南菁益医疗科技有限公司 Electrosurgical electrode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reof
CN115105027A (en) * 2022-06-30 2022-09-27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Fluorescence microscope lens and fluorescence microsco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693A (en) * 2001-06-01 2004-10-28 バイオフィシカ, エルエルシー Device for promoting wound healing
JP2005234361A (en) * 2004-02-20 2005-09-02 Fujikura Ltd Optical fiber unit, optical fiber cabl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1183098A (en) * 2010-03-11 2011-09-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type electrode
JP2013036876A (en) * 2011-08-09 2013-02-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strain of submarine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693A (en) * 2001-06-01 2004-10-28 バイオフィシカ, エルエルシー Device for promoting wound healing
JP2005234361A (en) * 2004-02-20 2005-09-02 Fujikura Ltd Optical fiber unit, optical fiber cabl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1183098A (en) * 2010-03-11 2011-09-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type electrode
JP2013036876A (en) * 2011-08-09 2013-02-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strain of submarin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05A (en)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9095B2 (en) Combined stimulation with controlled light distribution for electro-optical cochlear implants
US7603153B2 (en) Multi-element probe array
KR101583404B1 (en) Optical fiber with multi-electrode pattern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im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signals
US6501991B1 (en) Electrically-isolated multiple conductor lead body
US20160073887A1 (en) Optoelectronic device to write-in and read-out activity in brain circuits
US6615483B2 (en) Method for coating a tip region of a multipolar electrode lead
CN101244311B (en) Medical electrode
US9247889B2 (en) Neural probe with optical stimulation capability
KR101559236B1 (en) Optical fiber cable that has optical fiber coated with conductive material which surrounded by a tubular conducting shield
US20220099258A1 (en) Led lighting system and methods
CN101332120A (en) Ablation catheter with optically transparent electricity conductive tip
US9662229B2 (en) Array of microelectrodes for interfacing to neurons within fascicles
KR101580386B1 (en) Hollow core optical fiber coated with conductive material
CN105025944B (en) There is the Pacing lead of structuring coating
Wang et al. An artefact-resist optrode with internal shielding structure for low-noise neural modulation
KR101619582B1 (en) Optical patch clamp using optical fiber coated with conductive material
Chen et al. Potential of photoelectric stimulation with ultrasmall carbon electrode on neural tissue: New directions in neurostimu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lmasri et al. Emerging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flexible optrode arrays for electrophysiology
KR102252113B1 (en) Neural probe structure for measuring multiple fluorescence sign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7794109U (en) Microneedle with light-emitting unit
KR20070064638A (en) Fiber or filament
CN213150397U (en) An optoelectronic hybrid cable
JP2009069378A (en) Optical fiber cord
CN107567316A (en) Laser applicator with electrode
EP1802795B1 (en) Elongated electro-op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