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367B1 -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 Google Patents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3367B1 KR101583367B1 KR1020150027984A KR20150027984A KR101583367B1 KR 101583367 B1 KR101583367 B1 KR 101583367B1 KR 1020150027984 A KR1020150027984 A KR 1020150027984A KR 20150027984 A KR20150027984 A KR 20150027984A KR 101583367 B1 KR101583367 B1 KR 101583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duct
- duct body
- fixture
- predetermi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91 wire dr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배선 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닥트 몸체부에 닥트 덮개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닥트 몸체부에 결합된 닥트 덮개가 닥트 몸체부를 따라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배선 닥트 내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에 소정 케이블만을 선별하여 별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케이블 별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배선 닥트 내에 통신 케이블과 고전압 전원 케이블이 함께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전원 케이블을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선닥트 내에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상기 고전압 전원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따른 상기 통신 케이블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는, 하측에는 하부 플레이트(1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측벽(12)이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고정구 삽입홈(14)이 마련되는 고정구 삽입부(13)가 상기 측벽(12) 상부의 내측면에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에는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상부 결합돌기(15)가 외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닥트 몸체부(10);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케이블 중 선별된 소정 케이블을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고정구(20, 20'); 좌, 우 양측의 하측면에는 각각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덮개 결합돌기(3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단부에는 지지리브(32)가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내측면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15)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지지리브(32)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닥트 몸체부(10)의 좌, 우 측벽(12)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duct for wiring various cables installed in a factory, a home, an office,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 duct cover to a duct body, The duct cover coupled to the duct body is prevented from flowing along the duct body, and when various kinds of cables are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only the predetermined cable can be selected and fixedly suppor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wiring work for each cable When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 noise foot of the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cable That relates to the wiring duct is provided with a cable clamp which minimizes,
A wiring duct 1 having a cab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plate 11 on the lower side and a side wall 12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late 11 integrally formed A fastener inserting portion 13 having a fastener inserting groove 14 therein is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fastener inserting portion 13 so as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12, (10) having an upper coupling protrusion (15)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its upper side and having its outer sid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Cable fixing holes 20 and 20 'which ar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sertion groove 14 and fixedly support a predetermined cable among a plurality of cables accommodated in the duct body 10; A cover engagement protrusion 31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inward. A support rib 3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engagement protrusion 31 The inner surface of the lid-engaging projection 31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gaging projection 1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rib 32 is in contact with the fixture insertion portion And a cover plate 30 closely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uct body portion 13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2 of the duct body portion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배선 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닥트 몸체부에 닥트 덮개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닥트 몸체부에 결합된 닥트 덮개가 닥트 몸체부를 따라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배선 닥트 내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에 소정 케이블만을 선별하여 별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케이블 별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BACKGROUND OF THE
또한, 배선 닥트 내에 통신 케이블과 고전압 전원 케이블이 함께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전원 케이블을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선닥트 내에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상기 고전압 전원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따른 상기 통신 케이블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can b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a wiring duct having a cable fixing hole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noise in the communication cable.
통상적으로 공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는 각종 공작기계, 생산설비, 전자기기, 컴퓨터, 가전제품, 전화선 등의 전원 연결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케이블이 어지럽게 배선되어 미관상 미려하지 않고,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며, 이와 같이 어지럽게 흩어진 배선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보호하면서 각종 배선들을 내부로 정리정돈하기 위해 배선 닥트가 사용된다.Generally, cables for power connection and data input / output of various machine tools, production equipment, electronic devices, computers, household appliances, telephone lines, etc. are wired in factory, home, office, etc., And a wiring duct is used to arrange the various wirings inside while protecting the wirless wirings from exposure to the outside.
종래 배선 닥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평판부의 좌, 우 양측에 측벽(110)이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측벽(110) 상단부의 걸림부(111)가 상부 덮개부(130)의 걸림턱(131)에 서로 맞물려서 상부 덮개부(130)와 케이스(120)가 결합되며, 전선의 인출을 위해서 측벽(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벽구멍(112)을 보유하며, 나사에 의해 닥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나사구멍(113)이 형성된다.1,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배선 닥트는, 케이스(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덮개부(130)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배선 닥트 내에 여러 종류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에, 각 종류별 케이블의 구별이 어려워 배선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 전원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배선 닥트 내에 함께 뭉쳐 수용되는 경우에는, 고압 전원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의 영향으로 통신 케이블에 노이즈 발생 및 데이터 전송 오류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wiring duc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덮개 플레이트와 측벽간의 결합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덮개 플레이트가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배선 닥트 내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에 소정 케이블만을 선별하여 별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케이블 별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ing board in which a cover plate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along a side wall,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support the cables separately so that the operator can facilitate the wiring work for each cable,
또한, 배선 닥트 내에 통신 케이블과 고전압 전원 케이블이 함께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전원 케이블을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선닥트 내에 함께 수용하여 상기 고전압 전원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따른 상기 통신 케이블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the noise of the communication cable.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하측에는 하부 플레이트(1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측벽(12)이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고정구 삽입홈(14)이 마련되는 고정구 삽입부(13)가 상기 측벽(12) 상부의 내측면에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에는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상부 결합돌기(15)가 외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닥트 몸체부(10);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케이블 중 선별된 소정 케이블(50)을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고정구(20, 20'); 좌, 우 양측의 하측면에는 각각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덮개 결합돌기(3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단부에는 지지리브(32)가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내측면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15)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지지리브(32)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닥트 몸체부(10)의 좌, 우 측벽(12)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부(23)을 통해 소정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 삽입돌기(21)가 구비되며, 하부 타측단부에는, 소정길이로 수직되게 고정리브(24)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In the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구는,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 삽입돌기(2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소정 케이블을 묶어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2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able fixing hole has a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는, 덮개 플레이트와 측벽간의 결합 접촉 면적이 넓어 덮개 플레이트가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고, 배선 닥트 내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에 소정 케이블만을 선별하여 별도 고정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케이블 별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The wiring duct provided with the cabl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low down along the side wall due to the wide contact area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side wall so that the cable is accommodated in the wiring duc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wiring work for each cable,
또한, 배선 닥트 내에 통신 케이블과 고전압 전원 케이블이 함께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케이블과 상기 고전압 전원 케이블을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선닥트 내에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상기 고전압 전원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따른 상기 통신 케이블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 when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high-voltage power cable can b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wiring duc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hig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of the communication cable.
도 1은 종래 배선 닥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ing duct;
FIGs.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ing duct having a cabl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are front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ing duct in which a cabl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IG.
FIGS. 4A and 4B are front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ring duct in which a cabl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IG. And
5A and 5B are front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ring duct having the cabl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20, 20')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20, 20')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20, 20')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20'')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FIGS.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11)의 좌, 우 양측에 측벽(12)이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닥트 몸체부(10)와, 상기 닥트 몸체부(10)의 상부 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고정구(20, 20', 20'') 및, 상기 닥트 몸체부(10) 좌, 우 양측 측벽(12)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상기 닥트 몸체부(10)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소정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1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의 좌, 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벽(12)이 직립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12) 상부의 내측면에는 내부에 고정구 삽입홈(14)이 마련되는 고정구 삽입부(13)가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구(20, 20')가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에는 상부 결합돌기(15)가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에 소정각도 외측으로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30)의 덮개 결합돌기(31)와 밀착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상기 케이블 고정구(20, 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에 수용되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50)들 중 선별된 소정의 케이블(50)을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고정구(20)의 일 실시예로, 도 2a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단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방부(23)를 마련하고, 상부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 삽입돌기(21)를 형성시키며, 하측 타측단부에는 고정리브(24)를 소정길이로 수직하게 돌출형성시켜, 상기 케이블 고정구(20)의 개방부(23)를 통해 선별된 소정 케이블(50')들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 삽입돌기(21)를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들 중 소정 케이블(50')만을 따로 선별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고정리브(24)의 외측면이 상기 측벽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구(20) 내에 별도 수용된 소정 케이블(5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상기 케이블 고정구(2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2b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 삽입돌기(21)를 형성시키고 , 타측에는 소정 케이블(50')을 묶어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25)를 마련하여 상기 케이블 타이(25)를 통해 선별된 소정 케이블(50')들을 묶어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 삽입돌기(21)를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들 중 소정 케이블(50')만을 따로 선별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2B and 3B, at one end of the cable fixture 20 ',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케이블 고정구(20, 20')를 통해 좌, 우 측벽 중 일측벽에 소정 케이블(50')을 고정 지지할 수도 있으나,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양측 측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구 삽입홈(14)을 통해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케이블 고정구를 구비시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50', 50'')들을 구별하여 고정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A predetermined cable 50 'may be fixedly supported on one side wall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hrough the
상기 케이블 고정구(20'')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대칭으로 상기 케이블 고정구(20)를 구비시키고, 좌, 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케이블 고정구(20)의 이격 공간은 연결바(26)로 일체 결합시켜 케이블 고정구(20'')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바(26)의 중앙에는 팁 고정공(22)을 통공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팁 고정공(22)에는 덮개 지지팁(40)을 관통 결합시킨다. 상기 덮개 지지팁(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바(26)의 팁 고정공(2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화살촉 모양의 고정촉(41)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좌, 우 한 쌍의 측벽(12)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덮개 플레이트(30)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덮개 플레이트(30)를 지지하는 머리부(42)가 구비되어, 여러 종류의 케이블(50', 50'')들을 구별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덮개 플레이트(30) 내측면과 상기 덮개 지지팁(40)의 머리부(42)와의 마찰력을 통해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측벽(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덮개 지지팁(40)이 상기 덮개 플레이트(30)의 내측면에 닿아 지지함으로써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닥트(1) 내측으로 휘어져 모양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able fixture 20 '',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상기 덮개 플레이트(30)는 소정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덮개 결합돌기(3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단부에는 지지리브(32)가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내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져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상부 결합돌기(15)의 외측면이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 결합되고, 밀착 결합된 면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측벽(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32)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과 밀착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측벽(12)에 결합되며, 닥트(1)가 수직한 벽면에 부착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닥트 몸체부(10)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2)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통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전선 인출공(16)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마련하여 상기 전선 인출공(16)을 통해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전선 인출공(16)들 사이 간격에는 가림대(17)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대(17)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소정깊이의 따기홈(18)을 마련하여, 다량의 전선이나 상기 전선 인출공(16)의 폭보다 두꺼운 케이블(50)을 인출할 경우, 상기 따기홈(18)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가림대(17)를 측벽(12)에서 분리 제거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가림대(17)의 제거로 더 확정된 전선 인출공(16)을 통해 다량의 전선이나 두꺼운 케이블(50) 등을 간편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는, 덮개 플레이트(30)와 측벽간의 넓은 밀착 면적과, 덮개 플레이트(3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덮개 지지팁(40)을 통해 덮개 플레이트(30)가 측벽(12)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선 닥트(1) 내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경우에 소정 케이블(50', 50'')만을 선별하여 별도 고정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케이블(50) 별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배선 닥트(1) 내에 통신 케이블(50')과 고전압 전원 케이블(50)이 함께 수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통신 케이블(50')과 상기 고전압 전원 케이블(50)을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선닥트(1) 내에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상기 고전압 전원 케이블(5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따른 상기 통신 케이블(50')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Even when the communication cable 50 'and the high-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of th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
10 : 닥트 몸체부 11 : 하부 플레이트
12 : 측벽 13 : 고정구 삽입부
14 : 고정구 삽입홈 15 : 상부 결합돌기
16 : 전선 인출공 17 : 가림대
18 : 따기홈
20, 20', 20'' : 케이블 고정구 21 : 고정구 삽입돌기
22 : 팁 고정공 23 : 개방부
24 : 고정리브 25 : 케이블 타이
26 : 연결바
30 : 덮개 플레이트 31 : 덮개 결합돌기
32 : 지지리브
40 : 덮개 지지팁 41 : 고정촉
42 : 머리부
50, 50', 50'' : 케이블1: A wiring duct with a cable fixture
10: duct body part 11: lower plate
12: side wall 13: fastener insertion portion
14: Fixture insertion slot 15: Upper coupling projection
16: wire drawing hole 17:
18: picking home
20, 20 ', 20'': Cable clamp 21: Fixture insertion projection
22: a tip fixing hole 23: an opening
24: Fixed rib 25: Cable tie
26: Connection bar
30: cover plate 31: cover cover projection
32: Support rib
40: lid supporting tip 41:
42: Head
50, 50 ', 50'': Cable
Claims (3)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케이블 중 선별된 소정 케이블을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고정구(20);
좌, 우 양측의 하측면에는 각각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덮개 결합돌기(3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단부에는 지지리브(32)가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내측면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15)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지지리브(32)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닥트 몸체부(10)의 좌, 우 측벽(12)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구(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부(23)을 통해 소정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 삽입돌기(21)가 구비되며, 하부 타측단부에는, 소정길이로 수직되게 고정리브(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구(20)가 좌, 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좌, 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케이블 고정구(20)는 연결바(26)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26)의 중앙에는 팁 고정공(22)이 통공되게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바(20)의 팁 고정공(2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촉(41)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좌, 우 측벽(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덮개 플레이트(30)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덮개 플레이트(30)를 지지하는 머리부(42)가, 형성되는 덮개 지지팁(40)을; 더 포함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
A lower plate 1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11 and a side wall 12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late 11 in an upright manner, (1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12), and an upper engaging projection (15)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serting portion A duct body 10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body 10;
A cable fixture 20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xture insertion groove 14 and fixedly supporting a predetermined cable among a plurality of cables accommodated in the duct body 10;
A cover engagement protrusion 31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inward. A support rib 3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engagement protrusion 31 The inner surface of the lid-engaging projection 31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gaging projection 1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rib 32 is in contact with the fixture insertion portion And a cover plate (30) closely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uct body (1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eft side walls (12) of the duct body (10)
The cable fixture (20)
A fixed cable insertion protrusion 2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so as to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sertion groove 14, And a fixed rib 24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portion,
The cable fixture 20 is provided in a pair of symmetrical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cable fixture 20 provided as a pair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bar 26, A tip fixing hole 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bar 26 so as to communicate therewit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 20 is provided with a fixing needle 41 fixed through the tip fixing hole 22 of the connecting bar 20 and the upper end of the lid plate 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2 A lid support tip 40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lid plate 30 to define a head 42 that supports the lid plate 30; The cable duct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able fastener.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상기 닥트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케이블 중 선별된 소정 케이블을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고정구(20');
좌, 우 양측의 하측면에는 각각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덮개 결합돌기(3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단부에는 지지리브(32)가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내측면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15)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지지리브(32)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구 삽입부(13)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닥트 몸체부(10)의 좌, 우 측벽(12)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구(20')는,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구 삽입홈(1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 삽입돌기(2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소정 케이블을 묶어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 닥트(1).A lower plate 1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11 and a side wall 12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late 11 in an upright manner, (1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12), and an upper engaging projection (15)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serting portion A duct body 10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body 10;
A cable fixture 20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xture insertion groove 14 and fixedly supports a predetermined cable among a plurality of cables accommodated in the duct body 10;
A cover engagement protrusion 31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inward. A support rib 3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engagement protrusion 31 The inner surface of the lid-engaging projection 31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gaging projection 1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rib 32 is in contact with the fixture insertion portion And a cover plate (30) closely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uct body (1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eft side walls (12) of the duct body (10)
The cable fixture 20 '
And a cable tie (25) for fastening and fixing a predetermined cable to the other sid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fixing hole (21), and the fixing hole insertion protrusion (21) is remov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sertion groove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7984A KR101583367B1 (en) | 2015-02-27 | 2015-02-27 |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7984A KR101583367B1 (en) | 2015-02-27 | 2015-02-27 |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3367B1 true KR101583367B1 (en) | 2016-01-08 |
Family
ID=5517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7984A Active KR101583367B1 (en) | 2015-02-27 | 2015-02-27 |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336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982B1 (en) * | 2020-01-30 | 2020-10-12 | 가온전선 주식회사 | Clamp for flexible tube wrapping cab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4431A (en) * | 1992-07-31 | 1994-02-25 | Hazama Gumi Ltd | Indoor floor construction |
JP2001044662A (en) * | 1999-08-04 | 2001-02-16 | Fuji Electric Co Ltd | Cable storage type rail |
JP2003503000A (en) * | 1999-06-23 | 2003-01-21 | マーク、タロ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conduit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KR20100003745U (en) * | 2008-09-30 | 2010-04-08 | 박성진 | Wiring Protection Duct |
-
2015
- 2015-02-27 KR KR1020150027984A patent/KR1015833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4431A (en) * | 1992-07-31 | 1994-02-25 | Hazama Gumi Ltd | Indoor floor construction |
JP2003503000A (en) * | 1999-06-23 | 2003-01-21 | マーク、タロ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conduit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JP2001044662A (en) * | 1999-08-04 | 2001-02-16 | Fuji Electric Co Ltd | Cable storage type rail |
KR20100003745U (en) * | 2008-09-30 | 2010-04-08 | 박성진 | Wiring Protection Duc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982B1 (en) * | 2020-01-30 | 2020-10-12 | 가온전선 주식회사 | Clamp for flexible tube wrapping c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54032B2 (en) | Electrical box with multi-mount features | |
KR100969193B1 (en) | Device for floor distributing wires | |
US8629349B2 (en) | Electrical assembly and adapter for wiring device | |
CN103795015B (en) | A kind of reason line box | |
JP5653967B2 (en) | Cable holder | |
KR101509714B1 (en) | Prefabricated Cable Duct | |
KR101553026B1 (en) | Cable Duct | |
KR101509710B1 (en) | Prefabricated Cable Duct | |
KR101583367B1 (en) |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 |
US7538270B2 (en) | Commercial plastic electrical boxes with metal sections | |
US9490618B2 (en) | Electrical splice box | |
KR101558521B1 (en) | Cable Duct With Transparent Label Window | |
KR101676845B1 (en) | Cable Duct With Transparent Label Window Holder | |
KR20190055909A (en) | Prefabricated Cable Duct | |
KR101594125B1 (en) | Folded Cable Duct | |
KR101689756B1 (en) | Assembling holder for arrangement cable | |
KR101690756B1 (en) | The Cable Seperater for Cable Duct | |
KR101633090B1 (en) | Cable Duct With Cable Labelling Tap | |
CN107078484A (en) | Adapters for use in cable channels and cable distribution systems | |
KR200476183Y1 (en) | Separable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 |
KR200282491Y1 (en) | A wiring duct having division plate | |
JP4917682B1 (en) | Cable branch wiring connector | |
KR101165035B1 (en) | Device for Guiding the Distributing Wires in a Desk | |
EP3767767B1 (en) | Corner box assembly | |
KR101644163B1 (en) | Cable Duct With Cable Labell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