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3278B1 - A hiking stick - Google Patents

A hiking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278B1
KR101583278B1 KR1020140048941A KR20140048941A KR101583278B1 KR 101583278 B1 KR101583278 B1 KR 101583278B1 KR 1020140048941 A KR1020140048941 A KR 1020140048941A KR 20140048941 A KR20140048941 A KR 20140048941A KR 101583278 B1 KR101583278 B1 KR 10158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shaft
support rod
spiral
gr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2537A (en
Inventor
김경도
김명건
Original Assignee
김경도
김명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도, 김명건 filed Critical 김경도
Priority to KR102014004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278B1/en
Publication of KR2015012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5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27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산행시 위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촉의 교체와 함께 스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촉을 은폐 및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겨울용 보온장갑을 손에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로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 때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휴대 및 보관하고 벽면에 스틱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유사시 2개의 스틱을 연결하여 구명 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스틱 각각의 슬리브 외측면 및 그립과 샤프트에 야광띠를 부착하고, 상기 촉은 촉은폐부에 의해 노출되거나 은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촉 은폐부는 말단지지봉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스켓이 체결되는 바스켓 체결부에 1개 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촉을 갖는 촉 고정몸체를 몸체 체결부에 의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 체결부는 바스켓 체결부 하측 중앙부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촉 고정몸체의 상측에 상기 나선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에 나선부를 갖는 체결돌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촉 고정몸체의 외측나선부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나선부를 포함하고 하부측에는 복수개의 촉 관통홀을 갖는 캡 하부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윙촉캡과, 상기 촉 고정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크너트로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osition at night when hiking, and to cover and expose the fuselage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removing the stick from the stick together with the replacement of the fuselage. In addition, When you remove your hand from the stick, you can keep the warm glove attached to the grip of the stick as it is, and you can carry and store two sticks together, detach the stick to the wall, and connect two stic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stick which can be utilized as a mechanism, which comprises attaching a luminous band to an outer surface of a sleeve and a grip and a shaft of each of the sticks so that the stalk can be exposed or concealed by the closure; Wherein the needle concealment par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so as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basket fastening part to which the basket is fastened by the body fastening part with one or at least three or more fingers, And a fastening protrusion part having a spiral part on the outer sid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groov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out fixing body and the spiral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piral part of the spout fixing body The swing cap includes a swing cap including an inner spiral portion and a cap bottom cover rotat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wing cap, and a lock nut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p fixing body.

Description

등산용 스틱{A hiking stick}A staking stick {A hiking stick}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산행시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위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개수를 달리하는 촉의 교체와 함께 스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촉을 은폐 및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겨울용 보온장갑을 손에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로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 때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휴대 및 보관하고 벽면에 스틱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유사시 2개의 스틱을 연결하여 구명 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st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mbing stick capable of enhanc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a companion or a nearby person at night during a mountain climb, And to be able to expose, and to be able to keep the warming glove attached to the grip of the stick when pulling out from the warming glove while taking a winter warming glove in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 for mountain climbing, which enables a stick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all, and to connect two sticks in case of need to serve as a life-saving device.

주지된 바와 같이 등산용 스틱은 등산객이 산행을 할 때 지면을 짚음으로써 체중을 분산시켜 장시간의 산행에 따른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손잡이의 형태에 따라 티이(T)자형과 일자(I)자형이 있고, 주로 산행시 일자형을 선호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여러 단, 보통 3단으로 지지봉이 손잡이에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As is well known, the climbing sticks function to reduce the fatigue caused by long hiking by dispersing the weight by climbing the ground when the hiker is hiking. There are T (T) and I (I)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andle, preferring a straight shape when walking,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rods are integrated into the handle in various stages, usually three stages, have.

도 8은 일반적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산용 스틱(stick)(100)은 샤프트(112)의 상단부에 그립(Grip)(111)이 형성되고, 샤프트(112)의 내부에 중간지지봉(114) 및 말단지지봉(115)가 다단으로 구비되어 샤프트(112) 안에 넣고 빼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절된 길이는 샤프트(112)와 중간지지봉(114)의 사이와 중간지지봉(114)와 말단지지봉(115)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113)를 조여 고정하거나 풀어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말단지지봉(115)의 하단부에 촉(tip)(116)이 구비되며, 촉(116) 위의 말단지지봉(115) 상에 바스켓(117)이 탈부착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어 있으며, 촉(116)의 외부에 끼워지는 촉 캡(118)이 구비된다.
8 is a front view showing a general climbing stick. As shown in FIG. 8, a mountain climbing stick 100 has a grip 111 formed at an upper end of a shaft 112, The intermediate support rods 114 and the distal support rods 115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shaft 112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adjusted between the shaft 112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rods 114, A tip 11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and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A basket 117 is removably and spirally coupled to the distal support rod 115 on the distal end 116 and a tactile cap 118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tact 116.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야간 산행시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야간 산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untain climbing stick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cope with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a night walk because the means for allowing a companion or surrounding people to identify their current position at night is not provided.

또한,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스틱의 하단부에 구비된 촉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촉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캡을 끼우고 다시 캡을 빼내 사용하고 있어 캡 보관 및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for safety accident caused by exposure of the stick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ick, the conventional stick for climbing has a separate cap fitted on the outside of the stick and removes the cap again, .

또한,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겨울용 보온장갑을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를 보기 위해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때, 스틱을 놓고 다시 한쪽 손으로 다른 쪽 손의 보온장갑을 빼내야만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이 있고, 부주의로 보온장갑의 분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untain climbing stick has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out the warm gloves of the other hand with one hand after putting the stick when pulling the hand off the warm glove to see the work while hiking the winter warm glov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aused the loss of the insulated glove by carelessness.

또한,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서로 분리된 2개의 스틱을 베낭에 끼워 보관할 때, 하나씩 2번에 걸쳐 끼우고 다시 사용할 때 하나씩 빼내어 2번에 걸쳐 빼내어 사용해야하므로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었고, 통상 보관시에는 세우면 쓰러지므로 실내외 한 쪽 구석에 내려 놓고 보관하게 되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일일이 허리를 굽혀 스틱을 집어 사용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과 미관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untain climbing sticks have two stick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ch are inserted into the backpack two times one at a time, and when they are used again, they are taken out one by one and taken out twice, When it is stored, it collapses, so it is stored in the corner of the indoor and outdoor, so that the elderly person having inconvenience in the behavior bends his / her waist every time and picks up the stick to use, and it causes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또한,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길이의 제한성으로 경사가 가파른 길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나 겨울철 얼음이 깨져 호수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구명기구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the climbing stick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used as a life-saving device when an accident that slips on a steep slope due to a limitation of length or an accident that ice in winter is broken and falls into a lake occu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야간 산행시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위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개수를 달리하는 촉의 교체와 함께 스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촉을 은폐 및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겨울용 보온장갑을 손에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로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 때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휴대 및 보관하고 벽면에 스틱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유사시 2개의 스틱을 연결하여 구명 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nhanc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a location, So that it can be concealed and exposed only by simple operation without separating it from the grip, and it is possible to keep the warming glove attached to the grip of the stick as it is when the hand warming glove is hung in winter and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warming gl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ick for mountain climbing in which two sticks can be bundled to carry and store, and a stick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a wall, and two sticks can be connected in case of need to serve as a life-saving device.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등산용 스틱의 한 형태는, 샤프트의 상단부에 그립이 형성되고, 샤프트의 내부에 중간지지봉 및 말단지지봉가 다단으로 구비되어 샤프트 안에 넣고 빼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절된 길이는 샤프트와 중간지지봉의 사이와 중간지지봉와 말단지지봉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를 조여 고정하거나 풀어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말단지지봉의 하단부에 촉이 구비되며, 촉 위의 말단지지봉 상에 바스켓이 탈부착 가능하게 나선 결합된 등산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리브 외측면 및 그립과 샤프트에 야광띠를 부착하고, 상기 촉은 촉은폐부에 의해 노출되거나 은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촉 은폐부는 말단지지봉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스켓이 체결되는 바스켓 체결부에 1개 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촉을 갖는 촉 고정몸체를 몸체 체결부에 의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 체결부는 바스켓 체결부 하측 중앙부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촉 고정몸체의 상측에 상기 나선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에 나선부를 갖는 체결돌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촉 고정몸체의 외측나선부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나선부를 포함하고 하부측에는 복수개의 촉 관통홀을 갖는 캡 하부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윙촉캡과, 상기 촉 고정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크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grip is form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a shaft and an intermediate support rod and a distal end support rod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in a shaft, And the adjusted length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ighten or loosen the sleeve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bar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bar and the distal support bar, CLAIMS 1. A climbing stick, wherein a basket is detachably and spirally connected to a support bar, wherein a cling strip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sleeves and the grip and the shaft, the clam cap being exposed or concealed by the closure; Wherein the needle concealment par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so as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basket fastening part to which the basket is fastened by the body fastening part with one or at least three or more fingers, And a fastening protrusion part having a spiral part on the outer sid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groov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out fixing body and the spiral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piral part of the spout fixing body The swing cap includes a swing cap including an inner spiral portion and a cap bottom cover rotat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swing cap includes a lock nut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p fixing body.

또한, 상기 스틱의 그립과 겨울용 보온장갑의 바닥에 각각 벨크로테이프A와 벨크로테이프B를 부착하여 상기 벨크로테이프A와 벨크로테이프B에 의해서 서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Velcro tape A and the Velcro tape B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grip of the stick and the bottom of the winter protective glove, respectively, so that the Velcro tape A and the Velcro tape B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스틱에 고리 또는 링 형태로 장착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착탈되는 스틱 고정밴드A 및 스틱 고정밴드B를 구비한 것과; 상기 스틱 고정밴드A 및 스틱 고정밴드B의 일측에 각각 돌출부A 및 돌출부B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A는 선단부에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삽입홈부의 내측에 자석A가 구비되며, 돌출부B는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되어 삽입돌부의 내측에 자석B가 구비된 것과; 상기 스틱의 그립에 스틱 고정자석을 구비하고, 뒷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의 접착으로 벽체에 구비되는 벽체 고정자석에 의해 스틱을 벽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tick fixing band A and a stick fixing band B which are mounted on the stick in a ring or ring form and are detached and removed from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 protrusion A and a protrusion B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stick fixing band A and the stick fixing band B, respectively. The protrusion A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at a tip end thereof, and a magnet A is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 magnet B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 stick fixing magnet provided on the grip of the stick, the stick being provided on a sheet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the stick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ll by a wall fixing magnet provided on the wall by adhesion of the sheet .

또한, 상기 그립의 하단부 샤프트를 2분할하여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로 분리 구성하여 커플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것과; 상기 커플링의 내측을 구획벽을 중심으로 상하로 제1 나선홈 및 제2 나선홈을 형성하고,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에는 각각 제1 나선홈 및 제2 나선홈에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돌부A 및 샤프트 체결돌부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end shaft of the grip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is separated into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and detachably connected by a coupling. And a first screw groove and a second screw groove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the first screw groove and the second screw groove being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A and a shaft fastening protrusion B ar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틱에 야광띠를 붙여 야간 산행시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위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산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luminous band to a stick,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a companion or a nearby person at night during a mountaineer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oneself from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a night walking.

또한, 본 발명은 춘추절에는 1개의 촉을 사용하고 겨울철 동절기에는 3개 이상의 촉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촉이 은폐되거나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촉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존에 일일이 촉에 캡을 탈부착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과 캡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crown in the spring and fall season, and can be used with three or more crown in winter season, as well as allowing the user to easily hide or expose the crown by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beforehan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of use and the loss of the cap in advance due to detachment of the cap to and from the cap.

또한, 본 발명은 겨울용 보온장갑을 손에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로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 때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용무를 본 후 다시 그대로 보온장갑에 손을 넣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실의 염려가 없고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hen a warm-up glove is hung in a hand and a hand is pulled out from the warm-up glove while the warm-glove is in operation, and the warm-up glove remains attached to the grip of the stick as it is. There is no fear of loss and there is no need to store them separately, so that the simplification of use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베낭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현관의 벽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틱 보관 및 휴대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sticks constituting a pair can be bundled and stored in a bag by using magnets, and the sticks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all of the porch so that sticking and simplification of carrying can be ensured .

또한, 본 발명은 유사시 간단한 조작만으로 2개의 스틱을 일자형으로 연결하여 스틱의 길이를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명 기구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 범위의 확대 및 활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stick by connecting the two sticks in a straight shape by simple operation in case of emergenc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stick as a life-saving devic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use range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스틱의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촉이 은폐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b는 촉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겨울철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장갑 탈부착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스틱 연결부가 적용된 등산용 스틱의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스틱 연결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7c는 스틱 연결부를 이용해 한 쌍의 스틱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9는 일반적인 등산용 스틱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stick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ct is concealed; FIG.
FIG. 2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own is exposed; FIG.
3 and 4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ter warming glove is attached to a grip of a stick;
Fig. 4 (a) and Fig. 4 (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love attaching / deta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show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front view of a climbing stick to which a stick connection is applied;
FIG. 7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ick connection portion of FIG. 7A. FIG.
7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sticks are connected using a stick connecting por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climbing sti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통상적으로 등산용 스틱(stick)(100)은 샤프트(112)의 상단부에 그립(111)(Grip)이 형성되고, 샤프트(112)의 내부에 중간지지봉(114) 및 말단지지봉(115)가 다단으로 구비되어 샤프트(112) 안에 넣고 빼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절된 길이는 샤프트(112)와 중간지지봉(114)의 사이와 중간지지봉(114)와 말단지지봉(115)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113)를 조여 고정하거나 풀어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말단지지봉(115)의 하단부에 촉(tip)(116)이 구비되며, 촉(116) 위의 말단지지봉(115) 상에 바스켓(117)이 탈부착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어 있다.
A grip 100 is generally formed with a grip 111 at an upper end of a shaft 112 and a middle support rod 114 and a distal end support rod 115 are provided in a multi- And the length of the sleeve 112 is adjusted between the shaft 112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rod 114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rod 114 and the end support rod 115. [ A tip 116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and a basket 116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on the tip 116, 117 are detachably and spirally coupled.

이러한 등산용 스틱에 있어, 본 발명은 야간 산행시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위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제1 실시예와, 개수를 달리하는 촉의 교체와 함께 스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촉을 은폐 및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실시예와, 겨울용 보온장갑을 손에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로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 때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실시예와,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휴대 및 보관하고 벽면에 스틱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유사시 2개의 스틱을 연결하여 구명 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6 실시예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limbing stick,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limbing stick in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 companion or a nearby person can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a position at the time of night trekking, A third embodiment for allowing the insulated glove to remain attached to the grip of the stick as it is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insulated glove while the insulated glove is hovered by the hand while walking on the hand for the third time Fourth embodiment and fifth embodiment in which two sticks are bundled together and carried and stored, and a stick is detachably attached to a wall surface, and a sixth embodiment in which two sticks are connected in case of emergency so as to be utilized as a life- The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슬리브(113) 외측면 또는 그립(111)에 인접한 샤프트(112)의 상단부, 슬리브(113)에 인접한 샤프트(112)의 하단부 등에 야광띠()를 부착한 것이다. 야광띠(10)는 바깥면에 야광물질이 도포되고 안쪽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띠 형태의 스티커로 각각의 슬리브(113) 등의 둘레에 감아 부착되어 야간에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현재 위치를 빛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 산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uminous band ()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sleeve 113 or the upper end of the shaft 112 adjacent to the grip 111, the lower end of the shaft 112 adjacent to the sleeve 113, Respectively. The luminous band 10 is wound around a periphery of each sleeve 113 with a luminous material coat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ticker in the form of a band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y can be protected from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night.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틱의 하단부에 부착된 촉은 계절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하여 교체 사용하고 있다. 즉 춘추용의 경우에는 한 개의 촉(tip)이 사용되고, 동절기 빙판이나 단단한 지반에서는 3개의 삼각 스틱 촉이나 4개의 사각 스틱 촉을 사용하여 동절기 한 개의 촉을 사용함에 따른 미끄러짐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100)의 하단부에 촉 은폐부(1)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교체 가능한 촉(116)을 노출시키거나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itche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tick are used in different numbers depending on the season. In other words, one tip is used for spring and autumn, and three triangular sticks or four square sticks are used for ice sheets and hard ground in the winter seas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ick shielding unit 1 at a lower end of a stick 100 to expose a replaceable stick 116 by a user's simple operation Or conceal it.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촉 은폐부(1)는 말단지지봉(115)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스켓(117)이 체결되는 바스켓 체결부()에 1개 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촉(116)을 갖는 촉 고정몸체(11)를 몸체 체결부(12)에 의해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 체결부(12)는 고정턱(115b)을 갖는 바스켓 체결구(115a) 하측 중앙부에 나선홈(12a)을 형성하고 상기 촉 고정몸체(11)의 상측에 상기 나선홈(12a)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에 나선부(12b)를 갖는 체결돌부(12c)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needle concealment unit 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and has one or more than three tines 116 And the body fastening part 12 has a basket fastening part 115a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115b at a lower central part of the basket fastening part 115a, And a fastening protrusion 12c having a spiral portion 12b on the outer sid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groove 12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ick fixing body 11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촉 고정몸체(11)의 외측에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촉 고정몸체(11)의 촉(116)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거나 은폐시키는 스윙촉캡(13)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스윙촉캡(13)은 촉 고정몸체(11)의 외측나선부(11a)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나선부(13a)를 포함하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복수개의 촉 관통홀(13b)을 갖는 캡 하부커버(13c)가 구비되어 촉(116)만 촉 관통홀(13b)을 통해 출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캡 하부커버(13c)는 스윙촉캡(13)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헛돌게 결합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윙촉캡(13)의 내측에 커버 고정홈부(13d)를 형성하고, 캡 하부커버(13c)의 외측에 상기 커버 고정홈부(13d)에 삽입 및 결합되는 커버 고정돌부(13e)가 일체로 형성된다.
A swing cap 13 for externally exposing or concealing the tip 116 of the needle-point fixing body 1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needlepoint fixing body 11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user. The cap 13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including an inner spiral portion 13a so as to be spirally engaged with the outer spiral portion 11a of the fixed contact body 11 and has a cap And a lower cover 13c is provided to allow the tent 116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through-hole 13b. The cap lower cover 13c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wing cap 13 and is loosely coupled. For this purpose, a cover fixing groove 13d is formed inside the swing cap 13, And a cover fixing protruding portion 13e which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cover fixing groove portion 13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13c.

그리고, 스윙촉캡(13)의 상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촉 고정몸체(11)의 외측에 로크너트(14)도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서, 스윙촉캡(13)의 위치가 결정되면 로크너트(14)를 스윙촉캡(13) 측으로 회전 및 이동시켜 스윙촉캡(13)을 조여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position of the swing cap 13 is determined, the lock nut 14 is also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tact fixing body 11 so as to fix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wing cap 13, The swing cap 13 can be fixed by being rotated and moved to the swing cap 13 sid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지지봉(115)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바스켓 체결구(115a)에 바스켓(117)을 체결 및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촉 고정몸체(11)의 체결돌부(12c)를 바스켓 체결구(115a)의 나선홈(12a)에 체결 및 결합시킨 후, 촉 고정몸체(11)의 외측나선부(11a)에 로크너트(14)를 체결시키고, 다시 상기 촉 고정몸체(11)의 외측나선부(11a)에 스윙촉캡(13)의 내측나선부(13a)를 촉 고정몸체(11)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촉 고정몸체(11)의 촉(116)이 촉 관통홀(13b)에 일치되게 체결하게 된다. 이때, 촉 고정몸체(11)는 봄과 가을에는 한 개의 촉(116)를 갖는 촉 고정몸체(11)를 결합시켜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3개 또는 4개의 촉(116)을 갖는 촉 고정몸체(11)로 교체 사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A, the basket 117 is fastened to the basket fastener 115a, which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As shown in FIG. Then,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12c of the fastener fixing body 11 is fastened and coupled to the spiral groove 12a of the basket fastener 115a, the lock nut 11a is fastened to the outer spiral portion 11a of the fastener body 11, The inner spiral portion 13a of the swing cap 13 is fastened to the upper spiral portion 11a of the spout fixing body 11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spout fixing body 11, The needle 116 of the needle 11 is fastened to the needle through-hole 13b. In this case, the spout-fixing body 11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pout-fixing body 11 having one spout 116 in spring and autumn, and the spout-fixing body 11 having three or four spout 116 in winter 11).

이러한 상태에서 촉(116)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먼저, 로크너트(14)를 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촉캡(13)을 촉(11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 및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때 캡 하부커버(13c)는 촉(116)이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렇게 스윙촉캡(13)에 의해 촉 고정몸체(11)의 촉(116)이 은폐되면, 로크너트(14)를 다시 스윙촉캡(13)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윙촉캡(13)을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촉(116)을 사용할 때에는 다시 로크너트(14)를 풀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촉캡(13)을 촉(116)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및 상승킨 후 로크너트(14)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촉(116)이 노출된 스윙촉캡(13)의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needle 116 is not used in this state, the lock nut 14 is first loosened and the swing cap 13 is rotated clockwise until the needle 116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2A At this time, the cap bottom cover 13c does not rotate in a state where the tip 116 is fitted. When the tip 116 of the stick fixing body 11 is concealed by the swing cap 13, the lock nut 14 is moved back to the swing cap 13 and the swing cap 13 is tightened . When the back needle 116 is used, the lock nut 14 is loosened again and the swing cap 13 is rotated and raised counterclockwise until the needle 116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2B The position of the swing cap 13 exposed to the stalk 116 can be maintained by fastening and fastening with the Kinkle locknut 14.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평상시 촉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일일이 촉에 캡을 탈부착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과 캡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ordinary hand in advance, and also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the cap is detached and attached to one hand, .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겨울 산행중 잠시 휴식 등 다른 용무시 등산 자켓 주머니에 넣어 보관해야 되는데, 겨울용 장갑은 보온용으로 두꺼워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기 어려워 주변에 아무렇게나 놓고 용무를 보게 되므로 종종 분실되어 찾아야만 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100)의 그립(111)에 겨울용 장갑(110)이 부착된 상태로 겨울용 보온장갑(110)으로부터 손을 빼어 용무를 본 후 다시 겨울용 보온장갑(110)에 손을 넣어 끼울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며, 이로써 분실의 염려도 없고 별도로 겨울용 장갑을 보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하다.
Winter gloves should be stored in a jacket pocket for other occasions such as resting during the winter, but winter gloves are thick for warmth, so it is difficult to store them in their pockets.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 shown in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winter gloves 110 are attached to the grips 111 of the sticks 100, the hands are pulled out from the winter warming gloves 110,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tore the winter gloves separately, and it is easy to us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용 보온장갑(110)을 손에 낀 상태로 스틱의 그립을 잡았을 때 그립(111)에 접촉하는 겨울용 보온장갑(110)의 손바닥이 그립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수단, 즉 장갑 탈착부(2)를 마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상기 장갑 탈착부(2)는 암수 벨크로테이프A(2a) 및 벨크로테이프B(2b)를 각각 보온장갑(110)의 바닥 부분과 스틱의 그립(111)에 부착하여서 된 것이나, 반드시 벨크로테이프가 아니더라도 똑딱단추 등과 같이 서로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4 (a) and 4 (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ter warming glove (not shown) contacting a grip 111 when gripping a grip of a stick in a state in which a winter warming glove 110 is in a hand The glove detachable portion 2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and of the male Velcro tape A 2a and the Velcro tape B (2b)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arming glove (110) and the grip (111) of the stick, but not necessarily a Velcro tape,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like a tick button.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여기서, 특징은 서로 분리된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근래에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몸체의 양측에 고리가 형성된 스틱 연결구가 시판되고 있으나, 스틱을 끼워 보관한 후 빼내어 사용할 때 스틱과 분리되어 있어 별도로 보관해야만 되는 불편함과 분실의 소지가 다분하여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틱(100)에 각각 자석A(3c) 및 자석B(4c)를 부착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하나로 고정되고 다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고, 이를 위해 스틱(100)에 고리 또는 링 형태로 고정되는 스틱 고정밴드A(3) 및 스틱 고정밴드B(4)를 구비한 것이다.
Here, the feature is that two sticks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bundled and stored. In recent years, a stick connector having a ring formed on both sides of a body made of a plastic injection molded article is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when a stick is inserted and stored, The magnet A (3c) and the magnet B (4c) are attached to the two sticks (100) as shown in FIG. 5, And a stick fixing band A (3) and a stick fixing band B (4) fixed to the stick 100 in a ring or ring form are provided .

상기 스틱 고정밴드A(3) 및 스틱 고정밴드B(4)의 일측에는 각각 돌출부A(3a) 및 돌출부B(4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A(3a)는 선단부에 삽입홈부(3b)가 형성되어 삽입홈부(3b)의 내측에 자석A(3c)가 구비된 것이며, 돌출부B(4a)는 상기 삽입홈부(3b)에 삽입되는 삽입돌부(4b)가 형성되어 삽입돌부(4b)의 내측에 자석B(4c)가 구비됨으로써 자석A(3c) 및 자석B(4c)에 자력에 의해 2개의 스틱(100)에 각각 장착된 스틱 고정밴드A(3) 및 스틱 고정밴드B(4)가 서로 붙어 2개의 스틱(100)을 하나로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스틱의 휴대 및 보관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otruding portion A 3a and the protruding portion B 4a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ick fixing band A 3 and the stick fixing band B 4 respectively and the protruding portion A 3a has an insertion groove portion 3b And the protruding portion B 4a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4b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3b and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protrusion 4b The stick fixing band A 3 and the stick fixing band B 4 mounted on the two sticks 100 by the magnetic force are provided on the magnets A 3c and B 4c, So that the two sticks 100 can be bundled and fixed together so that the stick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통상적으로 스틱은 세워 보관하면 쓰러지므로 보통 눕혀서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일일이 허리를 굽혀 스틱을 집어 사용해야만 되므로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고, 스틱을 방치함에 따른 미관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 고정부(5)에 의해 스틱(100)을 벽체나 수납장 도어 내측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벽체 고정자석(5b)과 스틱 고정자석(5c)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벽체 고정자석(5b)은 뒷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5a) 상에 구비되어 시트(5a)를 벽체에 부착함으로써 설치되고 스틱 고정자석(5c) 역시 접착제로 스틱(100)의 그립(111)에 접착 고정할 수 있다.
Normally, the stick will fall down when stored upright, so it is usually kept lying down. Therefore, i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who is inconvenient in his / her behavior, he / she must bend his / her back and use a stick to use it,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resulting in a bad appearance due to neglect of the stick.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ck 100 can be simply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all or a storage door by the stick fixing part 5 as shown in FIG. 6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used. To this end, a wall fixing magnet 5b and a stick fixing magnet 5c are provided. The wall fixing magnet 5b is provided on a sheet 5a to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on the back surface, thereby attaching the sheet 5a to the wall And the stick fixing magnet 5c can be adhesively fixed to the grip 111 of the stick 100 with an adhesive.

(제6 실시예)(Sixth Embodiment)

통상, 산행은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특히 경사가 가파른 길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나 겨울철 얼음이 깨져 호수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고자가 팔이나 스틱으로도 닿지 않는 거리에 있을 때 주변에서 급히 길이가 긴 나무를 찾기가 쉽지 않아 구명에 제한성을 가져올 수 밖에 없어 본 발명은 2개의 스틱을 일자형으로 연결하여 구명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유사시 구명 기구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In general, mountain traverses are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accidents such as slipping on steep slopes or falling ice in winter are often caused. In this case, when the accidenter is in a distance not reachable by an arm or a stick, it is difficult to find a tree with a long length in the vicinity, so that it is difficult to limit the life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sticks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it can be suitably used as a life-saving apparatus in case of emergenc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11)의 하단부 샤프트(112)를 2분할하여 제1 샤프트(61)와 제2 샤프트(62)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제1 샤프트(61)와 제2 샤프트(62)의 사이를 커플링(63)으로 연결하여 스틱 연결부(6)를 구성한 것이다.7A, the lower end shaft 112 of the grip 111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a first shaft 61 and a second shaft 62, and the first shaft 61 And the second shaft 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63 to constitute a stick connecting portion 6. [

즉, 상기 스틱 연결부(6)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63)의 내측을 구획벽(63a)을 중심으로 상하로 제1 나선홈(63b) 및 제2 나선홈(63c)을 형성하고, 제1 샤프트(61) 및 제2 샤프트(62)에는 각각 제1 나선홈(63b) 및 제2 나선홈(63c)에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돌부A(61a) 및 샤프트 체결돌부B(62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7B,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63 is divided into a first spiral groove 63b and a second spiral groove 63c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63a The first shaft 61 and the second shaft 62 are provided with a shaft fastening portion A 61a and a shaft fastening portion B 62b which are fastened to the first helical groove 63b and the second helical groove 63c,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경사가 가파른 길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나 겨울철 얼음이 깨져 호수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틱(100)에서 각각 그립(111)을 갖는 제1 샤프트(61)는 커플링(63)으로부터 분리한 후, 한 쪽 스틱(100)의 제2 샤프트(62)에 형성된 샤프트 체결돌부B(62b)를 커플링(63)에 나선 결합함으로써 2개의 스틱을 일자형으로 연결하여 길이 늘려 구명용 기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 slipping accident occurs on a steep slope or an accident that a winter ice is broken and falls into a lake occurs, the two sticks 100, 1 shaft 61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63 and then the shaft fastening protrusion B 62b formed on the second shaft 62 of one stick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63 to form two By connecting the sticks in a straight line, the length can be increased and utilized as a life-saving devic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목끈(111a)를 갖는 스틱(100)의 그립(111) 전방측에 상향으로 절곡 형성된 클립(111b)을 형성하여 겨울산행시 상기 클립(111b)에 의해 보온장갑을 그립(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산행시 스틱(100)으로 땅을 짚을 때,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ip 111b bent upward on the front side of a grip 111 of a stick 100 having a wrist strap 111a So that the warming glove can be fixed to the grip 111 by the clip 111b during the winter hiking, and the force can be dispersed when the ground is stuck with the stick 100 during the hiking.

이같이 본 발명은 스틱에 야광띠를 붙여 야간 산행시 동행인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위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산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luminous band to the stick,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companion or neighboring people at night during the nighttime trekking, thereby protecting themselves from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nighttime trekking.

또한, 본 발명은 춘추절에는 1개의 촉을 사용하고 겨울철 동절기에는 3개 이상의 촉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촉이 은폐되거나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촉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존에 일일이 촉에 캡을 탈부착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과 캡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crown in the spring and fall season, and can be used with three or more crown in winter season, as well as allowing the user to easily hide or expose the crown by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beforehan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use and the loss of the cap in advance due to detachment of the cap to and from the cap.

그리고, 본 발명은 겨울용 보온장갑을 손에 끼고 산행하다가 용무로 보온장갑으로부터 손을 뺄 때 보온장갑이 스틱의 그립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용무를 본 후 다시 그대로 보온장갑에 손을 넣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실의 염려가 없고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rm-up glove is covered with the hand and the hand is pulled out from the warm-up glove, the warm-up glove remains attached to the grip of the stick as it is, There is no fear of loss and there is no need to store them separately, so that the simplicity of use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스틱을 하나로 묶어 베낭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현관의 벽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틱 보관 및 휴대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사시 간단한 조작만으로 2개의 스틱을 일자형으로 연결하여 스틱의 길이를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명 기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sticks constituting a pair can be bundled and stored in a bag by using magnets, and the stick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all of a porch so as to ensure simplicity of storing and carrying a stick,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two sticks as a life-saving device by connecting the two sticks in a straight shape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tick.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등산용 스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not limited thereby. Is limit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촉 은폐부
11: 촉 고정몸체 11a: 외측나선부
12: 몸체 체결부 12a: 나선홈
12b: 나선부 12c: 체결돌부
13: 스윙촉캡 13a: 내측나선부
13b: 촉 관통홀 13c: 캡 하부커버
13d: 커버 고정홈부 13e: 커버 고정돌부
14: 로크너트
2: 장갑 탈착부 2a,2b: 벨크로테이프A,B
3,4: 스틱 고정밴드A,B 3a,4a: 돌출부A,B
3b: 삽입홈부 4b: 삽입돌부
3c,4c: 자석A,B 5: 스틱 고정부
5a: 시트 5b: 벽체 고정자석
5c: 스틱 고정자석
6: 스틱 연결부
61,62: 제1,2 샤프트 61a,62b: 샤프트 체결돌부A,B
63: 커플링 63a: 구획벽
63b,63c: 제1,2 나선홈
1:
11: a needle fixing body 11a: an outer spiral part
12: Body fastening portion 12a: Spiral groove
12b: Spiral part 12c: Fastening part
13: swing cap 13a: inner spiral portion
13b: Pass through hole 13c: Cap bottom cover
13d: cover fixing groove portion 13e: cover fixing projection
14: Lock nut
2: glove detachment unit 2a, 2b: Velcro tape A, B
3,4: stick fixing band A, B 3a, 4a: protruding portion A, B
3b: insertion groove portion 4b: insertion projection portion
3c and 4c: magnets A and B 5:
5a: Sheet 5b: Wall-fixing magnet
5c: Stick fixed magnet
6:
61, 62: first and second shafts 61a, 62b: shaft fastening projections A, B
63: coupling 63a: partition wall
63b, 63c: first and second helical grooves

Claims (4)

샤프트(112)의 상단부에 그립(111)이 형성되고, 샤프트(112)의 내부에 중간지지봉(114) 및 말단지지봉(115)가 다단으로 구비되어 샤프트(112) 안에 넣고 빼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절된 길이는 샤프트(112)와 중간지지봉(114)의 사이와 중간지지봉(114)와 말단지지봉(115)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113)를 조여 고정하거나 풀어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말단지지봉(115)의 하단부에 촉(116)이 구비되며, 촉(116) 위의 말단지지봉(115) 상에 바스켓(117)이 탈부착 가능하게 나선 결합된 등산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리브(113) 외측면 및 그립(111)과 샤프트(112)에 야광띠(10)를 부착하고, 상기 촉(116)은 촉은폐부(1)에 의해 노출되거나 은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촉 은폐부(1)는 말단지지봉(115)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스켓(117)이 체결되는 바스켓 체결구(115a)가 측면에 형성된 몸체 체결부(12), 1개 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촉(116)을 갖는 촉 고정몸체(11)를 몸체 체결부(12)의 하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 체결부(12)의 하측 중앙부에 나선홈(12a)을 형성하고 상기 촉 고정몸체(11)의 상측에 상기 나선홈(12a)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에 나선부(12b)를 갖는 체결돌부(12c)를 일체로 형성하며, 촉 고정몸체(11)의 측면에 형성된 외측나선부(11a)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측에 복수개의 촉 관통홀(13b)을 갖는 캡 하부커버(13c)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측면에 내측나선부(13a)가 형성되는 스윙촉캡(13)과, 상기 촉 고정몸체(11)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크너트(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등산용 스틱.
A grip 11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112 and an intermediate support rod 114 and a distal end support rod 115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shaft 112 to be inserted into the shaft 112, And the adjusted length is configured to be fixed or loosened by tightening the sleeve 113 provided between the shaft 112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rod 114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rod 114 and the distal support rod 115 And a tack 11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tal support rod 115 and a basket 11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tal support rod 115 on the tether 116,
A glue strip (1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sleeve (113) and the grip (111) and the shaft (112), and the t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nt can be exposed or concealed by the closure And;
The needle concealment unit 1 includes a body fastening unit 12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istal end support rod 115 and having a basket fastening hole 115a for fastening the basket 117 to one side, The spiral fixing body 11 having the tangs 116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astening portion 12 and the spiral groove 12a is formed i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fastening portion 12, A fastening protrusion 12c having a spiral portion 12b on the outer sid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groove 12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stener holding body 11, A cap lower cover 13c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3b at the lower side so as to be spirally engaged with the outer spiral portion 11a and having an inner spiral portion 13a formed at the side thereof, (13), and a lock nut (14)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ick fixing body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그립(111)과 겨울용 보온장갑(110)의 바닥에 각각 벨크로테이프A(2a)와 벨크로테이프B(2b)를 부착하여 상기 벨크로테이프A(2a)와 벨크로테이프B(2b)에 의해서 서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장갑 탈착부(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lcro tape A 2a and the Velcro tape B 2b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grip 111 of the stick and the winter protective glove 110 and the velcro tape A 2a and the Velcro tape B 2b Wherein the glove detachable portion (2)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attachabl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100)에 고리 또는 링 형태로 장착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착탈되는 스틱 고정밴드A(3) 및 스틱 고정밴드B(4)를 구비한 것과;
상기 스틱 고정밴드A(3) 및 스틱 고정밴드B(4)의 일측에 각각 돌출부A(3a) 및 돌출부B(4a)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A(3a)는 선단부에 삽입홈부(3b)가 형성되어 삽입홈부(3b)의 내측에 자석A(3c)가 구비되며, 돌출부B(4a)는 상기 삽입홈부(3b)에 삽입되는 삽입돌부(4b)가 형성되어 삽입돌부(4b)의 내측에 자석B(4c)가 구비된 것과;
상기 스틱(100)의 그립(111)에 스틱 고정자석(5c)을 구비하고, 뒷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5a)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5a)의 접착으로 벽체에 구비되는 벽체 고정자석(5b)에 의해 스틱(100)을 벽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스틱 고정부(5)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ick fixing band A (3) and a stick fixing band B (4) which are mounted on the stick (100) in a ring or ring form and detached and removed from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 protruding portion A 3a and a protruding portion B 4a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ick fixing band A 3 and the stick fixing band B 4 respectively and the protruding portion A 3a has an insertion groove portion 3b And the protruding portion B 4a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4b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3b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4b on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4b A magnet B (4c) is provided;
And a stick fixing magnet 5c provided on a grip 111 of the stick 100. The stick fixing magnet 5c is provided on a sheet 5a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thereof, (5) so that the stick (10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all by the bolt (5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111)의 하단부 샤프트(112)를 2분할하여 제1 샤프트(61)와 제2 샤프트(62)로 분리 구성하여 커플링(63)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것과;
상기 커플링(63)의 내측을 구획벽(63a)을 중심으로 상하로 제1 나선홈(63b) 및 제2 나선홈(63c)을 형성하고, 제1 샤프트(61) 및 제2 샤프트(62)에는 각각 제1 나선홈(63b) 및 제2 나선홈(63c)에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돌부A(61a) 및 샤프트 체결돌부B(62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end shaft 112 of the grip 111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a first shaft 61 and a second shaft 62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63;
A first spiral groove 63b and a second spiral groove 63c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63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rtition wall 63a and the first shaft 61 and the second shaft 62 Is formed with a shaft fastening protrusion A (61a) and a shaft fastening protrusion B (62b) which are fastened to the first spiral groove (63b) and the second helical groove (63c), respectively.







KR1020140048941A 2014-04-23 2014-04-23 A hiking stick Active KR101583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941A KR101583278B1 (en) 2014-04-23 2014-04-23 A hiking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941A KR101583278B1 (en) 2014-04-23 2014-04-23 A hiking 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37A KR20150122537A (en) 2015-11-02
KR101583278B1 true KR101583278B1 (en) 2016-01-11

Family

ID=5459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941A Active KR101583278B1 (en) 2014-04-23 2014-04-23 A hiking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2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42B1 (en) 2015-11-17 2017-02-02 안덕준 Hiking stick having self-camera monopad function
CN106422217A (en) * 2016-11-08 2017-02-22 昆明理工大学 Portable alpenstock
CN106512340B (en) * 2017-01-13 2017-11-03 张家浩 A kind of extrusion type climbing lever
KR101857219B1 (en) * 2017-12-22 2018-05-11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Gips fixing pipe
KR200499086Y1 (en) * 2024-02-08 2025-04-28 유한회사 삼영종합상사 Earthing sti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810A (en) 2002-04-30 2003-11-11 Akio Koizumi Stick for cold district
KR100910816B1 (en) 2009-05-15 2009-08-04 오성듀랄루민(주) Tip protector for hiking stick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7725D0 (en) * 1989-08-03 1989-09-20 Dow Corning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organosilicon compounds
KR100953888B1 (en) * 2008-09-16 2010-04-21 김상순 c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810A (en) 2002-04-30 2003-11-11 Akio Koizumi Stick for cold district
KR100910816B1 (en) 2009-05-15 2009-08-04 오성듀랄루민(주) Tip protector for hiking sti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37A (en)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278B1 (en) A hiking stick
US8356362B1 (en) Arm accessory device for holding remote controls
US4213205A (en) Ski mitten
US20190183094A1 (en) Leash Carrier Utility Band
US20160088980A1 (en) Tissue Dispenser for Enabling Tissue Dispension for Persons with Restricted Hand Movement
US20130185842A1 (en) Infant Hand and Forearm Mittens
CN215189744U (en) Adjustable and wearable device
US4815997A (en) Set of ice prods
EP3089613B1 (en) Portable securing device
KR200469150Y1 (en) A hand strap detachable from a stick grip
CA1064067A (en) Ice-prod self-rescuing set to assist person falling through ice
JP2022175417A (en) Shoulder strap connector and backpack attached with the same
JP3129047U (en) Cane grip cover
CN215135461U (en) Portable emotion releasing device for psychological treatment
JP2005220507A (en) Band-like protective tool to protect hand
JPS5912919Y2 (en) Glove attachment device
JP2016059374A (en) Lead with life-line of dog
KR102494516B1 (en) Multifunctional Gloves
JP3116038U (en) Holder for rod-shaped body
JP3165613U (en) Cold protection muff for bicycle front child seat
JPH0594085U (en) Bicycle mounting rain shield
JP3141296U (en) gloves
JP3010902U (en) Walking stick
CA2468538A1 (en) Glove-to-sleeve attachment
GB2488157A (en) Mittens attachable to slee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