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2982B1 -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982B1
KR101582982B1 KR1020130154849A KR20130154849A KR101582982B1 KR 101582982 B1 KR101582982 B1 KR 101582982B1 KR 1020130154849 A KR1020130154849 A KR 1020130154849A KR 20130154849 A KR20130154849 A KR 20130154849A KR 101582982 B1 KR101582982 B1 KR 10158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flavor
weight
present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781A (ko
Inventor
심재환
박지영
박재웅
임정훈
여명재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9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9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f the chewing gum b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껌 베이스, 증점제, 산미제, 감미제, 유화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껌 조성물에 있어서, 증점제는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로 이루어진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Gum composition maintaining flavor and taste}
본 발명은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껌 베이스, 증점제, 산미제, 감미제, 유화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껌 조성물에 있어서, 증점제는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로 이루어진 증점 다당류를 소정량 혼합함으로써 껌의 식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향미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껌 조성물이다.
최근에 껌은 맛과 저작감을 주는 단순 기호식품에서 시작되어 구취제거, 치아미백, 충치예방 등의 구강청정 기능을 가진 기능성 껌으로 발전하여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츄잉껌은 껌 베이스에 각종 첨가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소비자의 기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료, 산미제, 감미제 등의 첨가물을 사용하며, 이로 유발되는 향미는 장시간 저작에 의해 그 강도가 약해지고, 사라지게 된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껌에 대한 향미 지속성 유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여러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껌의 향미 지속성에는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껌 베이스의 물성에 따라 껌의 향미 지속성이 달라지는데, 껌 베이스의 원료 중 탄성중합체, 수지, 왁스 등의 함량에 따라 껌의 물성이 부드럽거나 딱딱해지며, 딱딱한 물성의 껌 일수록 향미의 지속성이 유지된다. 또한 껌의 강도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수지의 경우, 분자량이 각각 10,000 ~ 20,000, 30,000 ~ 45,000, 45,000 ~ 55,000, 55,000 ~ 80,000으로 다양하며, 수지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향미 지속성도 커진다. 하지만 이런 물성을 단단하게 하여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방법은 껌을 저작하는 동안 턱에 무리가 가거나 피로도가 증가하여 실제로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현재 향미 지속성 강화 껌 제품의 대부분은 원료 중 향에 대한 개선, 즉 향을 캡슐레이션(capsulation) 시키는 등의 향 제형을 변형하여 발현을 늦추는 방법, 스위트 인핸서를 이용하여 감미를 지속시키는 방법, 부스팅향을 이용하여 향을 강하게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제품들은 사용된 향기성분의 휘발도나 감미제의 역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향미를 지속적으로 느끼는 것에 한계가 있고, 감미가 강하면 제품이 추구하려는 향미의 특징이 약해지고 변형되기도 한다. 또한 캡슐레이션 된 특정향만 지속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다양한 향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부스팅향을 이용할 경우 일부 성분에 제한된 단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919653호는 코팅껌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표면에 감미료가 코팅되어 제조되는 코팅껌에 있어서 껌의 표면에 자일리톨 70 중량%, 물 28 중량%, 증점제인 아라비아검 2 중량%로 이루어진 자일리톨 시럽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껌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코팅을 통해 한가지 이상의 맛을 구현할 수 있으나, 향미 지속성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소비자에게 거부감이 없으면서도 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껌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 : 한국 등록특허 제10-919653호
이에 본 발명자는 소비자에게 식감적인 거부감이 없으면서도 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껌을 연구해 오던 중, 특정 분자량을 갖는 증점 다당류의 함량 및 조합으로 껌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향미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껌 베이스, 증점제, 감미제, 유화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로 이루어진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껌 조성물은 첨가 함량에 제한이 없는 안전한 일반식품 소재를 적용하여 장시간 저작 시에도 안전과 식감에 문제가 없으며, 향미를 지속성 있게 유지할 수 있는 껌을 제공할 수 있어 남녀 불문, 어른, 아이들에게 선호도 높은 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 10과 비교예 1의 껌에 대해 40분 동안 저작한 후 잔존하는 껌의 향미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비교예 1 ~ 12의 껌에 대해 40분 동안 저작한 후 잔존하는 껌의 향미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비교예 13 및 14와 실시예 6의 껌에 대해 40분 동안 저작한 후 잔존하는 껌의 향미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껌 베이스, 증점제, 감미제, 유화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이눌린;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로 이루어진 증점 다당류이다.
상기 증점 다당류는 포도당 당량(Dextrose Equivalent)에 따라 분자량, 점도, 감미도 등의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다당류는 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영향은 제품의 향미성분 발현(방출,release)에 관여한다.
다당류의 포도당 당량이 낮을수록 분자량이 크고 점도와 접착력이 높으며, 흡습성, 용해성 및 감미도는 낮아지며, 결국 조직을 단단하게 하여 물질전달(mass transfer)을 낮춘다. 이러한 작용은 향의 프로파일 변경보다는 물리적인 억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사슬(chain), 나선(helix), 환형(circle)등의 구조는 내부에 향이 포집되기가 용이하다. 하지만 이러한 우수한 구조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향미성분 포집 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있는데, 환형 포집형 구조인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나선 구조인 사이클릭 클러스터 덱스트린의 경우 10 당류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올리고당)로써 향미성분을 포집하기에 그 물리적인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반면 일반적인 고분자 다당류들은 고분자 사슬구조를 갖으며, 큰 분자량으로 구조적, 물리적 크기 면에서 충분히 향미성분을 포집 및 방출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점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난용성일수록 향료가 제품에서 휘발하여 후각 수용체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됨으로 인해 향미 지속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성 다당류들은 물리적 특성 외에도 치환된 작용기에 따라 열안정화, 산화안정화, 빛에 대한 안정화 특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향미 지속성 및 보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러한 고분자 다당류를 식품에 적용 시에 제품의 물성 및 식감에 크게 관여하기 때문에 적당한 소재의 선택과 함량 조절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락토 올리고당은 감미를 갖는 약 500 ~ 800의 저분자 다당류로 설탕보다는 감미도는 낮으나, 점도가 높으며 물엿에 가까운 보습성을 갖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배소덱스트린을 효소분해하고 정제한 것 중 난소화성 성분을 분획한 것을 의미하고, 분자량이 약 1,600 이고 감미도와 흡습성이 매우 낮은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중분자 증점 다당류인 이눌린은 약 5,000의 분자량으로 HPMC 보다 분자량이 작지만 동일한 고분자 사슬구조로 향미성분을 포집하는데 충분하며 껌에 적용 시에 우수한 식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분자 증점 다당류인 하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는 30,000 ~ 40,000 대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 사슬구조로, 향미성분을 포집하는데 충분한 구조와 크기를 통해 향미성분의 발현지연과 균일분산방출이 가능하며, 껌에 적용 시 저작에 무리가 가지 않는 물성을 나타내며 타액과 결합하여 수화되면 묽은 겔 상태 층을 형성하여 식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증점 다당류는 껌 전체 중량 대비 1 ~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 다당류가 1 중량% 미만인 경우 향미 지속성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껌의 물성에 크게 작용하여, 식감이 나빠지며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껌 베이스, 증점제, 감미제, 유화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저분자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20 ~ 60 중량%; 중분자 이눌린 20 ~ 60 중량%; 및 고분자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20 ~ 60 중량%;로 이루어진 증점 다당류를 포함하는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은 저분자, 중분자 그리고 고분자 증점 다당류들의 적절한 혼합에 의한 다양한 분자크기를 갖는 향미성분의 지속성 강화와 분자크기의 밸런스를 통한 껌 고유의 식감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저분자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향미성분 부스팅 및 저분자 영역대의 향미성분 포집에 문제가 있으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 저분자 증점 다당류의 비중 증가로 인한 중분자, 고분자 영역대의 향미성분 포집에 문제가 있다.
또한 중분자 이눌린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중분자 영역대의 향미성분 포집에 문제가 있으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 저분자, 고분자 영역대의 향미성분 포집에 문제가 있다.
또한 고분자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가 20 중량% 미만인 경우 고분자 영역대의 향미성분 포집에 문제가 있으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 저분자, 중분자 영역대 포집의 문제와 고분자 증점 다당류의 증가로 인한 물성 변화로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큰 다당류끼리의 조합이나 중량평균분자량이 낮은 다당류들끼리의 조합보다는 저분자부터 중분자, 고분자에 이르는 광역대의 향미성분 포집과 다양한 분자량을 갖는 치밀한 사슬구조에 의한 향미성분 담체로서의 기능과 껌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큰 다당류 2종과 중량평균분자량이 낮은 1종의 다당류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증점 다당류는 중량평균분자량(Mw)가 100 ~ 100,000 g/mol의 범위 내인 것을 사용한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g/mol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분자 크기가 더 큰 향미성분을 포집하는데 문제가 있고, 100,000 g/mol 초과인 경우 껌의 강도와 점도에 영향을 주어 껌을 씹기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의 증점 다당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껌 조성물은 껌 베이스, 산미제, 감미제, 유화제, 향료 뿐만 아니라 당업계에서 껌 제조시에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미제는 구연산, 구연산삼나트륨, 호박산, 호박산일나트륨, DL-주석산, L-주석산, DL-주석산나트륨, L-주석산나트륨, DL-사과산, DL-사과산나트륨, 아디핀산, 글루코노델타락톤, 글루콘산, 초산나트륨, 이산화탄소, 인산, 유산, 유산나트륨, 빙초산, 푸말산 및 푸말산일나트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미제는 단당류, 이당류, 당알코올류, 고감미도 감미료를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자일로스(xylose), 글루코오스, 소르보스(sorbose), 과당(fructose), 람노오스(rhamnose), 리보오스, 이성화당,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의 단당류; 이소트레할로스(isotrehalose), 수크로오스(sucrose), 트레할루로스(trehalulose), 네오트레할루로스(neotrehalulose), 파라티노스, 말토스, 멜리비오스(melibiose), 락츄로스(lactulose), 락토스 등의 이당류; 이소말티톨, 에리쓰리톨, 자일리톨, 글리세롤, 솔비톨, 파라티니트, 말티톨, 말토테트라이톨(maltotetraitol), 말토트리이톨(maltotriitol), 만니톨, 락티톨, 환원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자일로올리고당, 환원겐티오올리고당, 환원맥아당물엿, 환원물엿 등의 당알코올; α-글루코실트랜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아,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K), 알리테임(alitame), 감초추출물(글리틸리틴), 글리틸리틴산삼암모늄, 글리틸리틴산삼칼륨, 글리틸리틴산삼나트륨, 글리틸리틴산이암모늄, 글리틸리틴산이칼륨, 글리틸리틴산이나트륨, 커큐린(curculin),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싸이클라메이트, 수크랄로스(sucralose), 스테비아추출물, 스테비아가루, 둘친(dulzin),타우마틴(토마틴), 첨차(tenryo cha) 추출물, 나이제리아베리 추출물, 네오탐(neotame), 네오헤스페리딘디하이드로칼콘, 프락토실트랜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아, 브라질감초 추추물, 미라클후르츠 추출물, 나한과(羅漢果) 추출물, 효소처리감초, 효소분해감초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 기타 꿀, 과즙, 과즙 농축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는 레시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트리아세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향료는 페파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등의 민트계 향료; 애플, 바나나, 체리, 그레이프, 메론, 피치, 파인애플, 플럼(서양자두), 라즈베리, 딸기 등의 후르츠계 향료; 로즈마리, 타임, 유칼립투스, 윈터그린 등의 허브계 향료; 레몬, 라임, 오렌지, 그레이프후르츠, 만다린, 탄저린 오렌지(tangerine) 등의 시트러스계 향료; 올스파이스, 시나몬, 육두구 등의 스파이스계 향료; 커피, 코코아, 초콜렛, 바닐라 등의 빈즈계 향료; 월너트, 아몬드, 피너츠, 볼너트 등의 너트계 향료; 게, 새우, 어패류 등의 수산물계 향료, 기타 야채, 곡류, 해초류 등의 각종 향료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료는 단일원료[單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모넨, 리나롤, 이소티오시안산아릴, 멘톨류, 멘톤, 바니린, 에틸바니린, 계피산, 피페로날, d-보르네올, 말톨, 에틸말톨, 캠퍼(Camfer), 안트라닐산메틸, 신나믹알코올, N-메틸안트라닐산메틸, 메틸β-나프틸케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향료에는 상기 단일원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청량감을 부여하는 쿨링제(Cooling agent), 따뜻함을 부여하는 워밍제(Warming agent), 얼얼한 느낌을 부여하는 팅링제(Tingling agent), 감미를 부여하여 스위트 플래버(Sweet flavor)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각종 향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제는 탈크, 탄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한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껌베이스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 왁스류, 폴리부텐, 유화제, 충전제(탈크, 탄산칼슘 등), 에스테르검 등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한 베이스에는 감미료, 산미료, 향료, 기능성물질, 증점 다당류 등을 추가로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검은 껌 제조 시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천연검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통상의 천연검으로 식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치클, 젤루통, 소르바, 소르빈하, 천연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검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에스테르검은 껌 제조 시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에스테르검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통상의 에스테르검은 식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에스테르검, 수소가 첨가된 에스테르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검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이소부틸렌은 껌 제조 시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이소부틸렌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통상의 폴리이소부틸렌으로서는 식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부텐, 부틸러버, SBR (styrene-butadiene rubb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왁스는 껌 제조 시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왁스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통상의 왁스로서는 식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석유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비즈왁스, 정제 파라핀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껌 베이스의 조성에 대한 일례를 예시하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20 ~ 50 중량%, 폴리이소부틸렌 5 ~ 20 중량%, 왁스류 1 ~ 20 중량%, 유화제 0.5 ~ 10 중량%, 탈크 10 ~ 20 중량%, 탄산칼슘 10 ~ 20 중량%, 가소제 1 ~ 2 중량%, 에스테르검 20 ~ 45 중량%, 천연감미료 1 ~ 6 중량%, 향료 1 ~ 3 중량% 및 글리세린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껌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하기 실시예의 껌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 및 혼합량에 따라 증점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구분 증점 다당류 혼합물
제조예 프락토 올리고당1) 프락탄 식이섬유2) 사이클로덱스트린3) 사이클로클러스터덱스트린4)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5) 이눌린6) HPMC7) 총함량
(중량%)
1-1 - - - - 20 20 60 100
1-2 - - - - 20 60 20 100
1-3 - - - - 60 20 20 100
1-4 - - - - 33.4 33.3 33.3 100
1-5 33.4 - - - - 33.3 33.3 100
1-6 20 - - - - 20 60 100
1-7 20 - - - - 60 20 100
1-8 60 - - - - 20 20 100
1-9 25 - - - - 25 50 100
1-10 20 - - - - 45 35 100
1) 프락토 올리고당 : 삼양제닉스 사의 프락토 올리고당
2) 프락탄 식이섬유: Beneo 사의 Fructan (Dietary Fiber)
3) 사이클로덱스트린 : Cornproducts 사의 Cyclo-P
4) 사이클로클러스터덱스트린 : Ezaki Glico 사의 CCD (Cyclic Cluster Dextrin)
5)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 대상 사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6) 이눌린 : Beneo 사의 Inulin
7) HPMC : 삼성정밀화학 사의 HPMC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제조예 2
하기 비교예의 껌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나타난 성분 및 혼합량에 따라 증점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구분 증점 다당류 혼합물
제조예 프락토 올리고당1 ) 프락탄 식이섬유2 ) 사이클로덱스트린3 ) 사이클로클러스터덱스트린4 )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5 ) 이눌린6 ) HPMC7 ) 총함량
(중량%)
2-1 100 - - - - - - 100
2-2 - 100 - - - - - 100
2-3 - - 100 - - - - 100
2-4 - - - 100 - - - 100
2-5 - - - - 100 - - 100
2-6 - - - - - 100 - 100
2-7 - - - - - - 100 100
2-8 10 - - - - 60 30 100
2-9 80 - - - - 10 10 100
2-10 10 - - - - 80 10 100
2-11 10 - - - - 10 80 100
1) 프락토 올리고당 : 삼양제닉스 사의 프락토 올리고당
2) 프락탄 식이섬유: Beneo 사의 Fructan (Dietary Fiber)
3) 사이클로덱스트린 : Cornproducts 사의 Cyclo-P
4) 사이클로클러스터덱스트린 : Ezaki Glico 사의 CCD (Cyclic Cluster Dextrin)
5)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 대상 사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6) 이눌린 : Beneo 사의 Inulin
7) HPMC : 삼성정밀화학 사의 HPMC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제조예 3: 껌 시료 준비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 및 혼합량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껌 시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츄잉껌 시료 (중량%)



껌베이스1 ) 28.5
자일리톨2 ) 70
유화제3 ) 0.5
향료4 ) 1
100
비고 자일리톨 배합
1) 껌베이스: 롯데제과 의 cb잉껌베이스
2) 자일리톨: Danisco 사의 Xivia
3) 유화제 : Mitsubishi-Kagaku Foods Corporation사의 Sugar ester
4) 향료 : 롯데푸드, 지보단, 심라이즈
실시예 1 ~ 10: 판껌의 제조
제조예 3에서 준비한 껌 시료에 제조예 1에서 준비한 증점 다당류를 하기 표 4의 혼합 비율에 따라 배합하여 60℃의 껌 믹서에서 30분 동안 반죽 후, 롤러를 사용하여 0.3 mm 두께로 성형된 실시예 1 ~ 10의 판껌을 제조하였다.
구분 제조예 1
껌 시료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실시예 1 95 5 - - - - - - - - -
2 - 5 - - - - - - - -
3 - - 5 - - - - - - -
4 - - - 5 - - - - - -
5 - - - - 5 - - - - -
6 - - - - - 5 - - - -
7 - - - - - - 5 - - -
8 - - - - - - - 5 - -
9 - - - - - - - - 5 -
10 - - - - - - - - - 5
비교예 1 ~ 12: 판껌의 제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조예 2에서 준비한 증점 다당류를 하기 표 5의 혼합 비율에 따라 배합하여 비교예 1 ~ 12의 판껌을 제조하였다.
구분 껌시료 제조예 2
2-1 2-2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비교예 1 100 - - - - - - - - - - -
2 95 5 - - - - - - - - - -
3 - 5 - - - - - - - - -
4 - - 5 - - - - - - - -
5 - - - 5 - - - - - - -
6 - - - - 5 - - - - - -
7 - - - - - 5 - - - - -
8 - - - - - - 5 - - - -
9 - - - - - - - 5 - - -
10 - - - - - - - - 5 - -
11 - - - - - - - - - 5 -
12 - - - - - - - - - - 5
비교예 13 ~ 14: 판껌의 제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6의 혼합 비율에 따라 배합하여 비교예 13 ~ 14의 판껌을 제조하였다.
구분 껌시료 제조예
1-6
비교예 13 99.5 0.5
14 85 15
실험예 1: 실시예의 향미 지속성 효과 측정 1
향미 지속성 효과 분석은 껌 제작, 껌 저작, 향미성분 추출, 기기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1 ~ 10에서 제조한 판형 츄잉껌 1.5 g을 저작기계(AB Fia OdarslM사의 Chewing Apparatuses)넣고 37˚C 증류수에서 10 분 간격으로 증류수를 교체하여 총 40 분 동안 저작하였다. 저작 완료 된 껌을 회수하여 껌 안에 남은 있는 향미성분을 L/L extraction으로 추출한 후 GC/MS분석을 통해 향미성분 잔존량을 분석하였다. 40 분 동안 저작 된 껌의 향미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로 분석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증점 다당류 3종을 배합한 실시예 1 ~ 10의 츄잉껌과 증점 다당류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츄잉껌의 향미성분 잔존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1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10은 비교예 1과 대비하여 향미성분의 잔존량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저분자 증점 다당류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보다 프락토 올리고당을 사용하였을 때, 그 지속력이 우수하였다. 그 중 실시예 6이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나타냈다.
실험예 2: 비교예의 향미 지속성 효과 측정 2
비교예 1 ~ 14를 대상으로 실험예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미 지속성 효과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냈다.
도 2는 증점 다당류 1종을 단독으로 첨가하여 배합한 비교예 2 ~ 8의 츄잉껌과 증점 다당류 사용범위 외로 배합한 비교예 9 ~ 12를 증점 다당류를 첨가하지 않고 배합한 비교예 1과 향미성분 잔존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2에 결과를 통해 증점 다당류 1종을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사용범위를 벗어나서 배합한 츄잉껌이라도 비교예 1보다는 향미성분 잔존량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예 1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향미성분 잔존량이 낮기 때문에 향미성분 지속성 효과는 떨어지게 나타났다.
아울러, 도 3은 비교예 13 및 14와 실시예 6의 껌에 대해 40분 동안 저작한 후 잔존하는 껌의 향미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 껌의 향미성분 지속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검사 결과
1) 실험재료
실시예 1 ~ 10 및 비교예 1 ~ 14에서 제조한 껌을 준비한다.
2) 실험방법
서울에 거주하는 껌을 즐기는 20 ~ 25세 성인 남녀 30 명을 대상으로 껌의 향미와 식감에 대한 기본교육을 실시 후, 9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각 시료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검사 항목 수치는 패널의 점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껌의 향미와 식감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구분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 7.2
2 7.3
3 7.5
4 7.0
5 7.1
6 7.0
7 7.2
8 8.3
9 7.1
10 7.4
구분 관능검사 결과
비교예 1 7.0
2 8.5
3 8.2
4 6.6
5 6.9
6 6.5
7 7.0
8 6.3
9 7.1
10 7.0
11 7.2
12 6.1
13 7.2
14 4.8
상기 표 7 및 8의 관능검사 결과를 통해, 증점 다당류 3종을 배합한 츄잉껌과 증점 다당류를 첨가하지 않고 배합한 비교예 1를 비교 시, 향미의 지속성이 우수하더라도 관능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식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시한 사용범위 이상을 배합한 비교예 14의 경우, 껌 자체의 물성적인 변화로 인해 관능적인 면에서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껌 조성물은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이눌린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를 소정량 혼합함으로써 껌의 향미성분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하고 껌의 물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남녀 불문, 어른, 아이들에게 선호도 높은 껌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껌 베이스, 증점제, 산미제, 감미제, 유화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20 ~ 60 중량%;
    이눌린 20 ~ 60 중량%;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20 ~ 60 중량%;
    로 이루어진 증점 다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3. 삭제
KR1020130154849A 2013-12-12 2013-12-12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Active KR10158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49A KR101582982B1 (ko) 2013-12-12 2013-12-12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49A KR101582982B1 (ko) 2013-12-12 2013-12-12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781A KR20150068781A (ko) 2015-06-22
KR101582982B1 true KR101582982B1 (ko) 2016-01-06

Family

ID=5351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849A Active KR101582982B1 (ko) 2013-12-12 2013-12-12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9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559A (ko) * 2006-07-27 2006-12-26 굼링크 에이/에스 압착된 생분해성 츄잉 검
KR100919653B1 (ko) 2007-10-17 2009-09-30 롯데제과주식회사 코팅껌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781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2118A1 (en) Chewing gum products containing trigeminal stimula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NO764339L (ko)
RU2521120C2 (ru)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ощущения увлажнения в полости рта
EP2273893B1 (en) Chewing gum bulking agents
JP6578307B2 (ja) 菓子製品の新規組成物
KR20110061545A (ko) 분말상 츄잉 검 조성물, 이 조성물의 용도 및 그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DE69819737T3 (de) Geschmacksverstärkende n-ethyl-p-menthan-3-carboxamid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20120064219A1 (en) Extruded particles
KR101285368B1 (ko) 맛과 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츄잉껌 조성물
JP2964691B2 (ja) 徐放性の付与された口腔内組成物
KR101582982B1 (ko) 향미 지속성을 유지하는 껌 조성물
JP6277269B2 (ja) 改良された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調製方法
KR20150100705A (ko) 미분 점활제를 함유하는 식용물질
US20060159801A1 (en) Use of d-tagatose for improving aroma taste
JP6509528B2 (ja) ガムベ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JP6918606B2 (ja) 水溶性物質の徐放組成物
US10561157B2 (en) Rolling compound powders for applying on the surface of chewing gum core materials
WO2014057637A1 (ja) 空腹感を緩和する組成物
JP4579050B2 (ja) 甘味及び/又は香味の持続性に優れたチューインガム
ES2706405T3 (es) Compuestos en polvo mejorados para recubrir la superficie de materiales del núcleo de chicles
JP2017085943A (ja) 唾液分泌促進剤及び口腔用組成物
DE10307445A1 (de) Verwendung von D-Tagatose zur Geschmacksverstärkung von Aro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