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940B1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2940B1 KR101582940B1 KR1020140177765A KR20140177765A KR101582940B1 KR 101582940 B1 KR101582940 B1 KR 101582940B1 KR 1020140177765 A KR1020140177765 A KR 1020140177765A KR 20140177765 A KR20140177765 A KR 20140177765A KR 101582940 B1 KR101582940 B1 KR 101582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detection sensor
- touch detection
- signal
- touch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에 의하면, 재매핑(RE-MAP)의 기술을 활용하여 하나의 터치 검출 장치를 상이한 배열의 터치검출 센서에 대하여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에 의하면, 다른 배치를 갖는 터치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별도의 터치 검출 장치를 생산하지 않고 동일한 터치 검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 터치스크린패널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이 표시장치 위에 설치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터치커패시턴스를 검출하는 등가 회로도
도 5는 터치스크린패널에서 공통 전압(Vcom)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
도 6은 두 개의 인접한 터치검출 센서에서 동시에 터치신호를 검출할 때 터치신호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의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센서신호선 사이의 기생정전용량에 의한 간섭을 해결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신호선의 폭이 넓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 사용에 관한 실시예
도 11은 터치검출센서의 매트릭스 형태 (7 X 4)를 도시한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재매핑(RE-MAP) 프로세스 실시예를 도시
10b : 난센싱패드(Non Sensing Pad) 12 : 충전수단
14 : 터치검출부 또는 레벨시프트 검출부 22 : 센서신호선
22a : 센싱패드 센서신호선 22b : 난센싱패드 센서신호선
25 : 손가락 28 : 메모리부
30 : Touch Drive IC (TDI) 31 : 멀티플렉서(Mux)
33 : 타이밍 제어부 35 : 신호처리부
40 : CPU 42 : 교번전압생성부
46 : 통신부 47 : 전원부
50 : 터치스크린패널 57 : 접착부재
58 : 에어갭 또는 접촉부재 200 : 표시장치
205 : TFT기판 210 : 액정층
215 : 칼라필터 220 : 공통전극
230 : 실런트
Claims (41)
-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터치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touch pad)에서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 터치 신호 검출 장치에 있어서,
각 컬럼의 복수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 발생된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터치 신호를 수신 및 저장하는 메모리부로서, 상기 메모리부의 저장 어레이(array)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배열과 상이한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터치 신호를 검출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배열과 매칭되도록 재매핑(re-map)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각 컬럼의 복수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 발생된 터치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터치 신호선을 통해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멀티플렉서(multiplexer); 및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에 수신된 상기 터치 신호 중 일부의 터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에 따라 그룹으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의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핀의 개수가 상기 입력핀에 연결되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각 컬럼에서의 상기 터치 신호선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 검출장치에서 상기 멀티플렉서의 전체 입력핀의 개수가 상기 터치패드의 전체 터치 신호선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매핑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컬럼의 좌표를 기준으로 재배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는 입력과 출력의 구성이 동일하고, 동일한 입력의 개수 및 동일한 출력의 개수 및 동일한 선택신호의 개수 그리고 임의의 선택신호에 대해 선택된 입력신호의 순번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는 입력과 출력의 구성이 동일하되, 입력의 개수가 다른 멀티플렉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신호선은 각 컬럼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위치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은 상기 각 컬럼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로우(row) 번호가 증가할 수록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신호선의 입력 핀의 번호가 증가하거나 상기 각 컬럼의 상기 터치패드의 로우(row) 번호가 감소할 수록 상기 각각의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신호선의 입력 핀의 번호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는 동일한 컬럼에 속하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와 연결된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거나 다른 컬럼에 속하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와 연결된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상기 선택신호가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에 공통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상기 멀티플렉서의 입력들 중 하나의 출력만을 내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의 출력에 대응하는 터치검출 센서는 센싱 패드(sensing pad)로서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센싱 패드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검출 센서는 난센싱 패드(non-sensing pad)로서 영전위 또는 그라운드 전위 또는 DC전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난센싱 패드의 전위는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른 컬럼 또는 다른 로우에 위치한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위치를 변경시켜 터치검출 해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검출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경우, 여러 개의 로우에서 터치검출 센서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 검출장치는
상기 터치패드 내에 존재하는 기생정전용량(Cp), 구동정전용량(Cdrv) 및 상기 터치검출 센서와 터치입력도구 사이에서 형성되는 터치정전용량(Ct)을 충전시키는 충전 수단;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 교번 전압을 인가하는 교번 전압 인가부;및
터치 미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과 터치 발생시의 상기 터치패드에서의 전압 변동분을 비교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레벨 시프트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충전 완료후 상기 충전 수단을 턴 오프하여 상기 기생정전용량(Cp), 구동정전용량(Cdrv) 및 터치정전용량(Ct)을 플로팅(floating)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교번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시프트 검출부의 입력단은 터치 여부 판단시 하이 임피던스(Hi-Z)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은 상기 터치 미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 및 상기 터치 미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은 인가된 상기 교번 전압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연동되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 검출장치. -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터치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touch pad)에서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부에 의해 각 컬럼의 복수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 발생된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터치 신호를 수신 및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터치 검출부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터치 신호 중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터치 신호를 검출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검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배열과 매칭되도록 재매핑(re-map)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 의해 각 컬럼의 복수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 발생된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신호 생성기에 의해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에 수신된 터치 신호 중 일부의 터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신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에 따라 그룹으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의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핀의 개수가 상기 입력핀에 연결되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각 컬럼에서의 상기 터치 신호선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삭제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재매핑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컬럼의 좌표를 기준으로 재배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출력의 구성이 동일하여, 입력받는 터치 신호의 개수 대비 선택된 터치 신호의 개수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는 입력과 출력의 구성이 동일하되, 입력의 개수가 다른 멀티플렉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신호선은 각 컬럼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위치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은 상기 각 컬럼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로우(row) 번호가 증가할 수록 상기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신호선의 입력 핀의 번호가 증가하거나 상기 각 컬럼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의 로우(row) 번호가 감소할 수록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신호선의 입력 핀의 번호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멀티플렉서는 동일한 컬럼에 속하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와 연결된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거나 다른 컬럼에 속하는 상기 터치검출 센서와 연결된 터치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멀티플렉서 각각에 공통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상기 멀티플렉서의 입력들 중 하나의 출력만을 내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의 출력에 대응하는 터치검출 센서는 센싱 패드(sensing pad)로서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해 터치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센싱 패드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검출 센서는 난센싱 패드(non-sensing pad)로서 영전위 또는 그라운드 전위 또는 DC전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난센싱 패드의 전위는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 검출 단계는
충전 수단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내에 존재하는 기생정전용량(Cp), 구동정전용량(Cdrv) 및 도전체의 출현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정전용량(Ct)을 충전시키는 충전 단계;
교번 전압 인가부에 의해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 교번 전압을 인가하는 교번 전압 인가 단계;및
레벨 시프트 검출부에 의해 터치 미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과 터치 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을 비교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레벨 시프트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7항에 있어서,
충전 완료후 상기 충전 수단을 턴 오프하여 상기 기생정전용량(Cp), 구동정전용량(Cdrv) 및 터치정전용량(Ct)을 플로팅(floating)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교번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시프트 검출부의 입력단은 터치 여부 판단시 하이 임피던스(Hi-Z)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은 상기 터치 미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 및 상기 터치 미발생시의 상기 터치검출 센서에서의 전압 변동은 인가된 상기 교번 전압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연동되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신호 검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7765A KR101582940B1 (ko) | 2014-12-10 | 2014-12-10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PCT/KR2015/012870 WO2016093525A1 (ko) | 2014-12-10 | 2015-11-27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US14/961,593 US9772733B2 (en) | 2014-12-10 | 2015-12-07 | Touch signal detection apparatus and touch signal dete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7765A KR101582940B1 (ko) | 2014-12-10 | 2014-12-10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2940B1 true KR101582940B1 (ko) | 2016-01-07 |
Family
ID=5516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7765A Active KR101582940B1 (ko) | 2014-12-10 | 2014-12-10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772733B2 (ko) |
KR (1) | KR101582940B1 (ko) |
WO (1) | WO201609352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2865A (ko) * | 2016-02-04 | 2017-08-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감지 장치, 터치 감지 방법, 터치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CN114779956A (zh) * | 2016-07-29 | 2022-07-22 | 苹果公司 | 具有多电源域芯片配置的触摸传感器面板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97057B (zh) * | 2018-09-26 | 2023-07-18 |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 具有集成校准机制的方法和传感器系统 |
CN110672948B (zh) * | 2019-09-29 | 2021-04-20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触控面板检测设备和系统 |
CN112987959B (zh) * | 2019-12-18 | 2024-01-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触控面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
EP4123427A4 (en) * | 2020-03-20 | 2023-02-01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KR102480273B1 (ko) * | 2020-12-03 | 2022-12-23 | 주식회사 지2터치 | 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전압이 인가되는 터치 스크린 |
KR102409864B1 (ko) * | 2021-02-13 | 2022-06-16 | 이성호 | 하나의 디코더를 사용하여 복수의 스위치그룹에서 복수의 신호선을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 |
CN113282193B (zh) * | 2021-05-27 | 2023-07-21 | 昆山龙雨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柔性线路板和电容式触摸屏的检测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62090A1 (en) * | 2010-12-22 | 2012-06-28 | Shih Chang Chang | Relay driving of displays |
KR20120109309A (ko) | 2011-03-23 | 2012-10-08 | 소니 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
WO2013183926A1 (ko) * | 2012-06-04 | 2013-12-12 |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 기생 정전용량 제어 기능을 갖는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KR20140029147A (ko) * | 2012-08-31 | 2014-03-10 | 크루셜텍 (주) |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KR20140121658A (ko) * | 2013-04-08 | 2014-10-16 | 이성호 |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및 검출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89084B2 (en) * | 2005-02-22 | 2007-10-30 | John Michael Lesniak | Computer display apparatus |
JP4610416B2 (ja) * | 2005-06-10 | 2011-01-12 |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
US8552989B2 (en) * | 2006-06-09 | 2013-10-08 | Apple Inc. | Integrated display and touch screen |
US8576193B2 (en) * | 2008-04-25 | 2013-11-05 | Apple Inc. | Brick layout and stackup for a touch screen |
US8599167B2 (en) * | 2010-04-22 | 2013-12-03 |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ynamic range of a touchscreen controller |
KR101085086B1 (ko) * | 2010-09-29 | 2011-11-18 | 이성호 | 레벨시프트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KR101165456B1 (ko) * | 2011-03-07 | 2012-07-12 | 이성호 |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WO2013048195A2 (ko) | 2011-09-29 | 2013-04-04 | Lee Sung Ho | 드라이빙 백 현상을 이용한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KR101453026B1 (ko) * | 2012-06-04 | 2014-11-03 |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 |
KR101410414B1 (ko) * | 2012-06-04 | 2014-06-20 | 크루셜텍 (주) | 모션 감지 기능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
-
2014
- 2014-12-10 KR KR1020140177765A patent/KR101582940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1-27 WO PCT/KR2015/012870 patent/WO201609352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07 US US14/961,593 patent/US977273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62090A1 (en) * | 2010-12-22 | 2012-06-28 | Shih Chang Chang | Relay driving of displays |
KR20120109309A (ko) | 2011-03-23 | 2012-10-08 | 소니 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
WO2013183926A1 (ko) * | 2012-06-04 | 2013-12-12 |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 기생 정전용량 제어 기능을 갖는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KR20140029147A (ko) * | 2012-08-31 | 2014-03-10 | 크루셜텍 (주) |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KR20140121658A (ko) * | 2013-04-08 | 2014-10-16 | 이성호 |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및 검출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발명의 제목 : 드라이빙 백 현상을 이용한 터치 검출수단, 검출 방법 및 터치스크린 패널과 그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내장한 표시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2865A (ko) * | 2016-02-04 | 2017-08-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감지 장치, 터치 감지 방법, 터치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KR102552462B1 (ko) * | 2016-02-04 | 2023-07-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터치 감지 장치, 터치 감지 방법, 터치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CN114779956A (zh) * | 2016-07-29 | 2022-07-22 | 苹果公司 | 具有多电源域芯片配置的触摸传感器面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772733B2 (en) | 2017-09-26 |
WO2016093525A1 (ko) | 2016-06-16 |
US20160170529A1 (en) | 201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2940B1 (ko)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
US9740359B2 (en) | Voltage difference-based capacitive touch detection device, capacitive touch detection method and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built-in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 |
KR101619302B1 (ko)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
KR101602842B1 (ko) | 정전식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
KR101963317B1 (ko) |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및 검출방법 | |
CN108958560B (zh) | 带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 |
KR101566939B1 (ko) | 정전식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
US20130162595A1 (en) | Capacitive touch detecting device and method using level shif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US10386973B2 (en) | Display device having a guard layer configur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signals between a touch screen and a signal l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085089B1 (ko) | 레벨시프트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
JP7189996B2 (ja) | 検出装置 | |
KR101399009B1 (ko) |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장치,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
KR101856513B1 (ko) |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
KR101374312B1 (ko) |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
KR101858825B1 (ko)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760062B1 (ko)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
KR20160150630A (ko)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
KR20160070727A (ko)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
KR20180069280A (ko) | 멀티 포인트 터치 스크린 패널 | |
KR20160070729A (ko) | 터치 신호 검출 장치 및 터치 신호 검출 방법 | |
KR101909103B1 (ko) |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
KR101374311B1 (ko) |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 |
KR20180038703A (ko) | 멀티 포인트 터치 스크린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