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2511B1 -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 Google Patents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11B1
KR101582511B1 KR1020130149195A KR20130149195A KR101582511B1 KR 101582511 B1 KR101582511 B1 KR 101582511B1 KR 1020130149195 A KR1020130149195 A KR 1020130149195A KR 20130149195 A KR20130149195 A KR 20130149195A KR 101582511 B1 KR101582511 B1 KR 10158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oelace
hole
shoe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4447A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3014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11B1/en
Publication of KR2015006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의 상부를 감싸는 갑피, 상기 갑피와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설포를 포함하는 신발로서, 갑피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끈 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끈 홀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하고, 갑피의 내측에 형성되어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말단 스토퍼를 포함하는 신발 및 그 신발끈의 결속방법을 제공한다.A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which surrounds an upper part of a foot, and a sul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to protect the foot, wherein a plurality of str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oe comprising a hole and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including a distal stopper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and fixing the shoelace, and a method of binding the shoelace.

Description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ING [0002]

본 발명은 신발 및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끈의 결속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binding method used in shoes and shoes.

운동화, 캐주얼화, 신사숙녀화 등의 신발 중에는 갑피에 복수개의 끈 구멍이 형성되어 신발끈을 이용하여 신발 착용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끈 구멍에 신발끈을 끼운 후 소정의 장력을 가하여 신발의 착용 상태를 공고히 한 후 매듭 등을 지어 신발끈을 결속시킴으로써 신발 착용을 수행하게 된다.In shoes such as shoes, casual shoes, and ladies' shoes, a plurality of str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o that shoes are worn using shoelaces. In this case, generally, a user inserts a shoelace into a string hole, applies a predetermined tension to the shoe so as to secure the wearing state of the shoe, and attaches a shoelace by tying a knot or the like to perform shoe wearing.

신발의 착용을 빠르고 편하게 하기 위해 여러 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등록특허공보 0445965호에는 신발목의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을 제공하여 신발을 간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 및 결속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make the wearing of the shoes quick and easy. Patent Document 0445965 discloses a shoe and binding method in which a pair of pairs of shoes are provided at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a shoe neck,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정적이고 빠른 결속과 해제가 가능한 신발 및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끈의 결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binding a shoelace, which is used in a shoe and a shoe capable of stable and quick binding and relea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의 상부를 감싸는 갑피, 상기 갑피와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설포를 포함하는 신발로서, 갑피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끈 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끈 홀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하고, 갑피의 내측에 형성되어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말단 스토퍼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e including an upp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a foot, and a sulphon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to protect the foot, wherein a plurality of str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shoe comprising a first hole having a diameter and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 distal stopp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and fixing the shoelace.

여기서, 신발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신발끈의 일측에 제1영역, 타측에 제2영역,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제1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제3영역은 제1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질 수 있다.The shoelace comprises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region on one side of the shoelace, a second region on the other side, and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have a first elastic limit strain and the third region may have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less than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여기서, 갑피에 형성된 복수의 끈 홀 중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통과하는 끈 홀에는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이 형성되고, 신발끈의 제3영역이 통과하는 끈 홀에는 제1직경을 갖는 제1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is formed in the cord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are passed among the plurality of cord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the cord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region of the shoelace string passes A first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may be formed.

여기서, 말단 스토퍼는 신발끈의 제1영역 단부와 제2영역 단부 각각을 고정시키도록 갑피의 내측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end stopper may be provided at a pair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s of the upper so as to fix the end of the first region and the end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여기서, 신발은 갑피에 형성된 복수의 끈 홀 중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통과하는 끈 홀의 제2홀에 중간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oe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stopper in a second hole of a string hole through which a first region of the shoelace and a second region of the plurality of string hole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pass.

여기서, 중간 스토퍼는 제2홀의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intermediate stopper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second hole.

여기서, 신발은 갑피상에 신발 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인장시켜 고정시키는 신발끈 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oe may further include a shoelace retain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shoelace on the upper.

여기서, 신발끈 걸이는 갑피상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판, 베이스 판 일측에 형성된 신발끈 삽입부, 베이스판의 타측에 절곡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oelace retainer may include a base plat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a shoelace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retaining piece bent at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여기서, 신발은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설치되는 인장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oe may include a pull handle provid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여기서,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탄성섬유일 수 있다.Here, the material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may be an elastic fiber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갑피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들이 형성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 쪽의 제1영역과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제3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끈 홀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하고,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끈 홀 중 최하부의 끈 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발끈을 최하부의 끈 홀에 끼운 후, 신발끈을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까지 끼우는 단계,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에 통과시키는 단계,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끈 홀에 끼운 후, 갑피의 내측에 쌍으로 형성되는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스토퍼에 신발끈의 제1영역 단부와 제2영역 단부 각각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 결속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binding a shoelace string to a shoe having a plurality of string holes form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in an upper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have a first elastic limit strain and the third region comprises a third elastic limit strain having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less than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Wherein the plurality of cord holes include a first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region is located between cord holes at the lowermost one of the cord holes A step of fitting the shoelace into a cord hole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hoelace, then inserting the shoelace into an X-shaped first hol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hoe up to a first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Pass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rough a second hole having shoes And fixing the first region end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end portion of the shoelace string to the stopper which fixes the pair of shoelace string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ortion after inserting into the string hole in the upper direction do.

여기서, 신발은 갑피의 상부에 신발끈 걸이를 더 포함하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탄성적으로 인장시킨 후, 갑피 상에 형성된 신발끈 걸이에 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hoe may further include a shoelace strap hook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elastically stretch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n hooking the shoelace strap formed on the shoela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끈의 안정적이고 빠른 결속과 해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table and quick binding and release of the shoelace is possible.

또한 신발끈의 별도 결속, 해제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신발을 자유롭게 신고 벗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oe can be freely taken off and removed even if the shoelace is not separately bound and released.

또한 신발끈의 말단을 매듭 처리하지 않더라도 신발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신발끈이 느슨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Further, even if the end of the shoelace is not knotted, the shoelace is not loosen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ho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말단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이 결속중에 있는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5는 중간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이 체결된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포함된 신발끈 걸이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체결이 완성된 신발의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a shoelace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shoe with a shoelace attach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ermediate stopper.
6 is a front view of a shoe with a shoelace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retainer included in a sho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of a shoe with a shoelace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발의 상부를 감싸는 갑피(110), 갑피(110)와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설포(120)를 포함하는 신발(100)로서, 갑피(110)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끈 홀(111)이 형성되고, 복수의 끈 홀(111)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111a)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1b)을 포함하고, 갑피(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말단 스토퍼(20)를 포함한다.1,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member 110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a foot, and a sulphone 120 connected to an upper member 110 to protect the foot, (110) has a plurality of cord holes (11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cord holes (111) have a first hole (111a)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hole And an end stopper 20 which includes a hole 111b and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110 to fix the shoelace string.

갑피(110)는 신발의 전체적인 구조와 디자인을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발을 보호하고자 신발의 상부를 둘러싸며 위치한다.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끈 홀(111)에 신발끈을 착용하여 착용한 발과 신발을 밀착시킨다. 이러한 끈 홀(111)의 직경은 서로 다르다. 최하부 끈 홀(111)로부터 3번째까지의 끈홀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111a)이 형성되고, 4번째의 끈 홀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1b)이 형성된다. 제1홀(111a)의 제1직경은 제2홀(111b)의 제2직경보다 크다. 여기서 제1직경이란 신발끈(11)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의미한다. 다만 신발에 따라 제1홀과 제2홀이 형성되는 끈 홀(111)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4번째 끈 홀에 제2홀이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갑피에 형성되는 끈 홀의 특징에 따른 신발결속방법에 대해서는 신발끈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upper part 110 is a part for determin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design of the shoe, and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shoe to protect the foot. A shoelace is worn on a plurality of string holes (11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hoes worn by the sho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iameter of the cord holes 111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hird string hole from the lowermost string hole 111 is formed with a first hole 111a having a first diameter and the fourth string hole is formed with a second hole 111b having a second diameter. The first diameter of the first hole 111a i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of the second hole 111b. Here, the first diameter means a diameter that allows the shoelace 11 to pass through. However, the string hole 111 in whic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re formed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ho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hole is formed in the fourth string hole for the sake of explanation . The shoe bind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ing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will be described below together with the shoelace string.

설포(120)는 갑피(110)에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ulpo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110 to protect the foot.

중창(130)은 갑피(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EVA소재, 파일론 파일라이트 소재 등으로 제조된다.The midsole 13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110 to mitigate impact applied to the feet and is generally made of EVA material or pylon pile light material.

밑창(140)은 중창(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과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제조된다.The sole 14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iddle 130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slippage as a direct contact portion with the ground, and is generally made of a relatively durable material.

말단 스토퍼(20)는 갑피(110)에 형성되는 끈 홀(111)에 신발 끈이 끼워지고나서 남는 신발 끈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갑피(110)의 내측에 한쌍이 배치된다. The end stopper 2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art 110 so as to fix the end portion of the remaining shoelace string after the shoelace string is inserted into the strap hole 111 formed in the upper part 110.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말단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스토퍼(20)는 갑피(110)의 내측에 신발끈(10)이 끼워질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원형 금속고리 또는 고무재질의 고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말단 스토퍼(20)는 갑피(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발착용시 발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end stopper 2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shoe strap 10 can be inserted, and may be a circular metal ring or a rubber material ring, It is not. Particularly, the end stopper 20 can be designed to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part 110 to avoid contact with the foot when wearing shoes.

말단 스토퍼(20)는 신발 끈(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서 고정된 신발 끈(1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The end stopper 20 includes all the structure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fixing the shoelace 10 and prevents the shoelace 10 fixed by the external force from detach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10)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들로 이루어진다. The shoela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 도면이다.3 is a view of a shoelace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은 제1영역(11)과, 제2영역(12), 제3영역(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hoel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region 11, a second region 12, and a third region 13.

제1영역(11)은 소정의 길이로 신발끈(10)의 일측 쪽에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끈 구멍에 쉽게 끼워지도록 플라스틱 캡(11a)이 장착된다. 제1영역(11)의 길이는,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The first region 1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hoelace 1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astic cap 11a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first region 11 so as to easily fit into the string hole.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oe on which the shoelace 10 is installed and the number of string holes.

제2영역(12)은 소정의 길이로 신발끈(10)의 타측 쪽에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끈 구멍에 쉽게 끼워지도록 플라스틱 캡(12a)이 장착된다. 제2영역(12)의 길이는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The second region 1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oelace 1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plastic cap 12a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second region 12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2 is appropriate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hoe on which the shoelace 10 is installed and the number of string holes.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률이 큰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그러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 변형이 큰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변형이 큰 탄성 소재의 예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소재, 탄성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제조 시 해당 탄성 소재만으로 형성하거나 다른 소재와 섞어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탄성 소재가 섬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비교적 굵은 섬유 형상으로 구성하여 탄성 회복률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have a large strain within the elastic limit. In order to have such a property, the deformation is formed to include a large elastic material.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may be formed of the elastic material alone or may be formed of another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When the elastic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fi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to a relatively thick fiber to improve the elastic recovery rate.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ELS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양 영역이 동일한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한계변형률」이란 탄성한계(탄성한도) 내의 변형률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변형률을 의미한다.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are formed to have a first elastic limit strain ELS1 so that both regions have the same elastic limit strain. Here, the " elastic limit strain rate " means a strain having the largest value of the strain rate within the elastic limit (elastic limit).

한편, 제3영역(13)은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연결하며, 신발끈(10)의 가운데 부분을 형성한다. 제3영역(13)의 길이도, 신발끈(10)이 설치되는 신발의 크기 및 끈 구멍의 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The third region 13 connects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to form a middle portion of the shoelace 10. The length of the third region 13 is also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oe on which the shoelace 10 is installed and the number of string holes.

제3영역(13)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률이 비교적 작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The third region 13 has a relatively small strain within the elastic limit.

제3영역(13)이 그러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 일반 섬유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섬유(면, 아마, 코이어 등), 변형이 작은 합성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영역(13)을 제조 시 해당 소재만으로 형성하거나 다른 소재와 섞어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third region 13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general fiber to have such a property. For example, the third region 13 may include cellulose fibers (cotton, flax, coir, etc.) And the third region 13 may be formed of only the corresponding material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may be formed by mixing with other materials.

제3영역(13)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ELS1)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영역(13)은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보다 탄성 변형 성능이 떨어지므로 제2 탄성한계변형률(ELS1)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ELS1)보다 작게 된다.The third region 13 is formed to have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ELS1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in elastic deformation performance The second elastic limiting strain (ELS1) becomes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limiting strain (ELS1).

제1영역(11)과 제3영역(13)의 연결은 접착제, 연결 금속구, 연결 클립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1영역(11)과 제3영역(13)이 각각 섬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의 단부의 섬유들을 서로 꼬아 연결할 수도 있다. The first area 11 and the third area 13 may be connected by using an adhesive, a connecting metal sphere, a connecting clip, or the first area 11 and the third area 13 may have a fiber shape The fibers at the ends of both regions may be twisted to each other.

마찬가지로, 제2영역(12)과 제3영역(13)의 연결은 접착제, 연결 금속구, 연결 클립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2영역(12)과 제3영역(13)이 각각 섬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양 영역의 단부의 섬유들을 서로 꼬아 연결할 수도 있다. Similar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region 12 and the third region 13 may be achieved by using an adhesive, a connecting metal sphere, a connecting clip,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second region 12 and the third region 13 may be connected by a fiber The fibers at the ends of both regions may be twist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에는 신발끈(10)을 구성하는,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10)은,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의 겉표면을 감싸는 외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11, the second region 12, and the third region 13 constituting the shoelace 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That is, the shoela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ell enclos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1, the second region 12, and the third region 13.

이상과 같은 구성의 신발끈(10)은,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의 탄성은 동일하고, 제3영역(13)의 탄성은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의 탄성과 다른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발끈(10)을 신발에 결속시 유연하고 확실한 결속이 가능하게 한다.The elasticity of the third region 13 is the same as the elasticity of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Since the shoe strap 10 has elasticity different from the elasticity of the shoe strap 12, the shoe strap 10 can be flexibly and firmly fastened to the shoe.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의 3개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10)이 포함하는 영역들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은 4개, 5개, 6개 등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hoela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three regions of the first region 11, the second region 12, and the third region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number of regions included in the shoela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hoe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ur, five, six, etc. region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앞서 예고한 바와 같이 신발의 갑피에 형성되어 있는 끈 홀(제1홀(111a), 제2홀(111b))과 서로 다른 탄성한계변형률을 갖도록 제작된 제1영역(11), 제2영역(12), 제3영역(13)을 갖는 신발끈(10)과의 결합 내지는 결속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onstitution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First hole 111a and second hole 111b)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e, and a first region 11 formed to have a different elastic limit strain from that of the second hole 11b, The shoe strap 10 having the first region 12 and the third region 13 will be described.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끈이 결속중에 있는 신발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a shoe with a shoelace attach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0)의 제3영역(13)을 최하부 끈 홀(11)의 중앙에 대칭이 되도록 끼운다. 신발끈(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플라스틱 캡(11a, 12a)을 잡고 끈 홀의 상부로 X자 형상으로 결속을 시작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third region 13 of the shoelace 10 is sandwich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center of the lowermost cord hole 11. The plastic caps 11a and 12a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hoelace 10 are held and the upper ends of the strap holes are joined in an X-shape.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에서 3번째 끈 홀(제1홀)까지 끼워진 신발 끈은 신발 끈의 제3영역(13)의 말단에 도달하게 된다. 최하부에서 4번째 끈 홀(제2홀)부터는 신발 끈(10)의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이 끼워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발 끈(10)의 제3영역(13)은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이 갖는 제1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탄성한계변형률을 갖게 되고, 거의 늘어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4, the shoelace fitting from the lowermost portion to the third string hole (first hole) reaches the end of the third region 13 of the shoelace.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of the shoelace 10 are sandwiched from the fourth string hole (second hole) at the lowermost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region 13 of the shoelace 10 has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of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Do not.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은 직경이 작은 제2홀(111b)을 통과하고,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이 탄성섬유재질로 이루어진 특성상 제2홀(111b)을 통과한 신발끈은 외력에도 불구하고 인장이 될 뿐, 신발끈이 이탈하거나 느슨해지지 않는다. 결국 제1홀(111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홀(111b)을 통과한 탄성섬유재질의 끈을 통해 신발끈(10)과 갑피(110)는 견고하게 결속된다.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pass through the second hole 111b having a smaller diameter and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are formed of the elastic fiber material, The shoelace string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hoelace 111b becomes a tensile force despite the external force, and the shoelace string does not separate or become loose. The shoelace 10 and the upper 110 are tightly coupled through the elastic fiber material string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hole 111b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hole 111a.

또한 보다 견고하게 신발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제2홀(111b)에 중간 스토퍼(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intermediate stopper 30 in the second hole 111b in order to prevent the shoelace from escaping more firmly.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스토퍼의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an intermediate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중간 스토퍼(30)는 앞서 설명한 말단 스토퍼(20)와 달리 제2홀(111b)에 형성된다. 중간 스토퍼(30)는 중간 스토퍼 본체(31)와 잠금 스위치(32)를 포함한다. 중간 스토퍼 본체(31)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관통홀이 뚫여 있다. 잠금 스위치(32)는 외부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중간 스토퍼 본체(31)와 잠금 스위치 (32)간에 포함되어 있는 탄성부재(스프링)에 의해서 잠금 스위치(32)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잠금 스위치(32)에는 중간 스토퍼 본체(31)와 같은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 스위치(32)에 중간 스토퍼 본체(31)쪽으로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잠금 스위치(3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과 중간 스토퍼 본체(3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이 일치하여 완전한 원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통해 신발끈(10)의 제1영역(11) 또는 제2영역(12)을 통과시킨다. 신발끈(10)이 관통홀을 통과하면 잠금 스위치(32)에 가해진 인력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잠금 스위치(32)는 중간 스토퍼 본체(31)의 역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서 척력을 받고, 신발끈(10)이 관통된 상태로 관통홀이 메워진다. 잠금 스위치(32)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중간 스토퍼 본체(31)와 일치하는 관통홀은 제2홀(111b)과 일치한다.The intermediate stopper 30 is formed in the second hole 111b unlike the end stopper 20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stopper (30) includes an intermediate stopper body (31) and a lock switch (32). The intermediate stopper main body 31 may have various shapes, and through holes are drilled. The lock switch 32 is protruded to the outside by an elastic member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stopper body 31 and the lock switch 32 unless an external attraction force is applied. The lock switch 3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intermediate stopper body 31.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ck switch 32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termediate stopper body 31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attraction force acts on the lock switch 32 toward the intermediate stopper main body 31, And the first region 11 or the second region 12 of the shoelace 10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the shoelace 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attraction force applied to the lock switch 32 is released. Then, the lock switch 32 receives a repulsive force by the elastic memb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termediate stopper main body 31, and the through hole is filled with the shoelace 10 penetrated. The through hole coinciding with the intermediate stopper body 31 by the attraction force acting on the lock switch 32 coincides with the second hole 111b.

이처럼 제2홀에 중간 스토퍼(30)를 설치함으로서 외력에 의한 신발끈(10)의 이탈을 재차 방지할 수 있다. 중간 스토퍼(30)는 또한 말단 스토퍼(20)와 마찬가지로 제2홀(111b)의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By disposing the intermediate stopper 30 in the second ho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elace 10 from being separated again by the external force. The intermediate stopper 30 may also b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the end stopper 20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hole 111b.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이 체결된 신발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shoe with a shoelace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은 최하부에서 5번째 끈 홀, 6번째 끈 홀을 통과하여 제1탄성한계변형률을 갖는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X자 형태로 신발에 결속된다. 최하부에서 5번째 끈 홀과 6번째 끈 홀은 제1홀일 수도 있으며, 제2홀 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갑피(110)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끈 홀(111)은 제2홀(111b)일 수 있다. 최상부에 형성되는 끈 홀(111)이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1b)임으로서 보다 확실하게 신발끈을 갑피(110)에 결속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hoelace strap passes through the fifth string hole and the sixth string hole at the lowermost portion, so that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having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are bound to the shoe in the X shape . The fifth string hole and the sixth string hole at the lowermost portion may be the first hole or the second hole. Preferably, the cord hole 111 formed at the top of the upper 110 may be the second hole 111b. The strap hole 111 formed at the uppermost portion is the second hole 111b having the second diameter, so that the shoelace string can be more reliably bound to the upper portion 110.

결국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을 벗고 신을 때 신발끈의 유격에 큰 변화가 없이 발의 볼을 잡아줄 수 있는 부분인 최하부 끈 홀과 그 부근의 끈 홀에는 탄성이 거의 없고 직경이 큰 신발끈(10)의 제3영역(13)이 결속된다. 신발끈(10)의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은 그 상부의 끈 홀(111)을 통과하고 제2홀(111b)이 제1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의 탄성섬유 신발끈 영역을 갑피에 결속시킨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shoe is taken off, the lowest string hole, which is a portion that can hold the ball of the foot without a great change in the shoelace play, and the adjacent string hole have almost no elasticity, And the third region 13 of the substrate 10 is bound.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of the shoelace 10 pass through the string hole 111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hole 111b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e, 11) and the second region (12) to the upp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The shoe having the shoelace attach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신발끈 걸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대해서 살펴본다. Hereinafter, a shoe including a shoelace hook,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포함된 신발끈 걸이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retainer included in a sho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갑피(110)에는 상부 양측에 좌우 쌍을 이루며 신발끈 걸이(150)가 결합된다. In the upper part 110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hoes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and the shoelace strap 150 is engaged.

신발끈 걸이(150)는 신발끈(10)을 신발 착용자의 신체적인 특성 및 고리부(S1, S2)의 여유길이에 따라 각기 충분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상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판(151), 상기 베이스판(151) 일측에 형성된 신발끈 삽입부(152), 상기 베이스판(151)의 타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걸림편(153)으로 구성된다. The shoelace strap hook 150 is for firmly fixing the shoelace strap 10 in a state of sufficient tens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oe wearer and the allowable length of the hooks S1 and S2, A shoe strap inserting portion 152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plate 151 and a latching piece 153 integrally bent at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51, ).

신발끈 걸이(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 삽입부(152)를 신발 갑피(110)의 상부 끈구멍(111), 바람직하게는 최상부 끈구멍에 위치시킨 후, 신발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신발의 갑피(110)에 결합된다.The shoelace strap hook 15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trap hole 111 of the shoe upper 110, preferably the uppermost strap hole, of the shoe strap insertion portion 152, Is coupled to the upper (110) of the shoe parallel to the plane.

신발끈 걸이(150)는 신발의 갑피(110)에 접합하여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The shoelace strap hook 150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110 of the sho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신발끈(10)에는 인장 손잡이(170)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shoe strap 10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ull handle 170.

인장 손잡이(170)는 사용자가 신발끈(10)을 측방향으로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끈(10)의 부분 중 제1영역(11)의 중간 부분 및 제2영역(12)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된다.The pulling handle 170 is for allowing the user to easily pull the shoelace 1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es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region 11 and a second region 12 of the portion of the shoelace 10, Respectively.

인장 손잡이(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끈을 감싸며 끼워지는 고리부(171)와 상기 고리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7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8, the pulling handle 170 includes a hook 171 to which the shoelace 10 can be freely moved, and a handle 172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ok.

인장 손잡이(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0)에 각각 연결된 손잡이부(172)를 측방향을 향해 잡아당겨 신발끈(10)을 신발의 갑피(110)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신발끈 걸이(150)에 걸어 고정한다.The pulling knob 170 pulls the grip portion 172 connected to the shoelace 10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shoelace 10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upper 110 as shown in Fig. And hooked on the formed shoelace strap hook 150 to be fixed.

인장 손잡이(170)의 고리부(171)와 손잡이부(172)는 변형이 작은 소재, 금속, 플라스틱, 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ook 171 and the handle 172 of the pulling knob 17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mall deformation, metal, plastic, cloth, or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구를 포함하는 신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Hereinabove, a shoe including a string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하 도8, 도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for binding a shoe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체결이 완성된 신발의 정면도이다.FIG. 9 is a front view of a shoe in which a shoelace is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을 결속하는 방법은 일측 쪽의 제1영역(11)과 타측 쪽의 제2영역(12)과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13)을 포함하고,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제3영역(13)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10)을 준비한다. A shoe stra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11 on one side and a second region 12 on the other side and a third region 12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13), wherein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have a first elastic limit strain and the third region (13) has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less than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The shoelace 10 is prepared.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역(13)의 적어도 일부가 끈 구명들 중 하부의 끈 홀(1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발끈(10)을 최하부의 끈 홀(111)에 끼운다.The shoestring 1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cord hole 111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region 13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cord holes 111 among the cord casings as shown in Fig.

이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끈 홀(111)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111a)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1b)을 포함하고, 제3영역(13)의 적어도 일부가 끈 홀(111) 중 최하부의 끈 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발끈(10)을 최하부의 끈 홀(10)에 끼운 후, 신발끈(10)을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1b) 바로 전까지 끼운다.9, the plurality of cord holes 111 include a first hole 111a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hole 111b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The shoelace 10 is inserted into the lowest string hole 10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13 is positioned between the cord holes at the lowermost one of the string holes 111, And is inserted in the X-shape until immediately before the second hole 111b having the second diameter.

여기서 신발끈의 제3영역(13)은 제2홀(111b)을 통과하지 못하고, 최하부의 끈 홀부터 제1직경을 갖는 제1홀(111a)까지 끼워지고 이후 신발끈의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1b)에 통과시킨다.Here, the third region 13 of the shoelace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hole 111b, but is inserted from the lowermost string hole to the first hole 111a having the first diameter, and then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are passed through the second hole 111b having the second diameter.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을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끈 홀에 끼운 후, 갑피의 내측에 쌍으로 형성되어 신발끈(10)을 고정시키는 스토퍼(20)에 신발끈(10)의 제1영역(11) 단부와 제2영역(12) 단부 각각을 고정시켜 신발을 결속시킨다.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are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hoe and then the pair of stoppers 2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o fix the shoelace string 10 are attached to the shoelace 10 The ends of the first region 11 and the ends of the second region 12 are fixed to bind the shoe.

나아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신발끈 걸이(150)가 형성된 신발의 경우에는 제1영역(11) 및 제2영역(12)을 탄성적으로 인장 시킨 후, 갑피(110) 상에 형성된 신발끈 걸이(150)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서 신발의 결속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9, in the case of a shoe having the shoelace fitting 150 formed thereon as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are elastically stretched, The shoe strap can be fastened to the shoe strap hanger 150 formed on the upper 110 to make the shoe tight.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embodiments.

10 신발끈 11 제1영역
12 제2영역 13 제3영역
20 말단 스토퍼 30 중간 스토퍼
31 중간 스토퍼 본체 32 잠금 스위치
100 신발 111 끈 홀
110 갑피 120 설포
130 중창 140 밑창
150 신발끈 걸이 170 인장 손잡이
10 shoelace 11 first region
12 second area 13 third area
20 stopper 30 intermediate stopper
31 Intermediate stopper body 32 Lock switch
100 shoes 111 string hole
110 upper 120 sulphones
130 midsole 140 outsole
150 Shoelace hook 170 Tension handle

Claims (12)

발의 상부를 감싸는 갑피, 상기 갑피와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설포를 포함하는 신발로서,
상기 갑피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끈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끈 홀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의 내측에 형성되어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말단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발끈의 일측에 제1영역, 타측에 제2영역,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며,
상기 갑피에 형성된 복수의 끈 홀 중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통과하는 끈 홀에는 상기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의 제3영역이 통과하는 끈 홀에는 상기 제1직경을 갖는 제1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 footwear comprising an upper which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foot, and a sul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to protect the foot,
A plurality of str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cord holes include a first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n end stopp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to fix the shoelace,
Wherein the shoelace comprises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region on one side of the shoelace, a second region on the other side, and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have a first elastic limit strain and the third region has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less than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A second hole having the second diameter is formed in a cord hole through which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are passed among a plurality of cord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the first hole having the first diameter is formed in the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스토퍼는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 단부와 제2영역 단부 각각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갑피의 내측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end stopper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s of the upper so as to fix the first region end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end portion of the shoelace strap,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에 형성된 복수의 끈 홀 중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통과하는 상기 끈 홀의 상기 제2홀에 중간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stopper in the second hole of the string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string of the plurality of string ho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pas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스토퍼는 상기 제2홀의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intermediate stopper is symmetrically installed at an opposite position of the second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상에 상기 신발 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인장시켜 고정시키는 신발끈 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oelace retainer for tensioning and securing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shoelace on the upp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걸이는 갑피상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 판 일측에 형성된 신발끈 삽입부,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에 절곡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hoelace retainer includes a base plate fixed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 shoelace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retaining piece bent at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설치되는 인장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ull handle mounted 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탄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material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is elastic fiber having elasticity.
갑피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끈 구멍들이 형성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 쪽의 제1영역과 타측 쪽의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제1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1 탄성한계변형률보다 작은 제2 탄성한계변형률을 가지는 신발끈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끈 홀은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과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끈 홀 중 최하부의 끈 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발끈을 상기 최하부의 끈 홀에 끼운 후, 상기 신발끈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X자형으로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까지 끼우는 단계;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신발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끈 홀에 끼운 후, 상기 갑피의 내측에 쌍으로 형성되는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스토퍼에 상기 신발끈의 상기 제1영역 단부와 상기 제2영역 단부 각각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의 결속방법.
A method for binding a shoelace string to a shoe in which a plurality of string holes are formed in an upper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have a first elastic limit strain Preparing a shoe strap having a second elastic limit strain less than the first elastic limit strain;
Wherein the plurality of cord holes include a first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region is disposed between cord holes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cord holes And inserting the shoelace strap up to a first hole having a first diameter in an X-shape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shoe;
Pass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shoelace into a second hole having a second diameter;
And a stopper for fixing a pair of shoe strap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strap after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inserted into the strap hol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hoe, And securing each of the second region end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상부에 신발끈 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탄성적으로 인장시킨 후, 갑피 상에 형성된 신발끈 걸이에 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끈의 결속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hoelace hook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nd elastically stretch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n hooking the shoe strap hook on the upper part.







KR1020130149195A 2013-12-03 2013-12-03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Active KR101582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95A KR101582511B1 (en) 2013-12-03 2013-12-03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95A KR101582511B1 (en) 2013-12-03 2013-12-03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47A KR20150064447A (en) 2015-06-11
KR101582511B1 true KR101582511B1 (en) 2016-01-11

Family

ID=5350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195A Active KR101582511B1 (en) 2013-12-03 2013-12-03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1023A1 (en) * 2020-08-03 2022-02-03 Travis Anderson Shoestring with gripping reg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06Y1 (en) * 2003-09-24 2003-12-11 정영균 Sports shoes of easy untying
JP2004076217A (en) * 2002-08-20 2004-03-11 Mizuno Corp String forming hardly loosenable kn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24B1 (en) * 2005-09-01 2007-07-02 조윤수 How to form a shoelace unit that binds at once
KR20100115821A (en) * 2009-04-21 2010-10-29 임주환 Pocket for remainder of shoel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17A (en) * 2002-08-20 2004-03-11 Mizuno Corp String forming hardly loosenable knot
KR200335606Y1 (en) * 2003-09-24 2003-12-11 정영균 Sports shoes of easy unt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47A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745B1 (en) Fastening apparatus for shoelace
CN108471840B (en) Tensile strand containment system for footwear
RU2391884C1 (en) Shoes cord fastening device
US8826571B2 (en) Shoe assembly for strength training and fitness exercise
KR100552073B1 (en)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ES2690536T3 (en) Shoe retention systems
US8397357B1 (en) Shoelace retaining apparatus
US8677578B2 (en) Device to secure shoelace knot
US10010138B1 (en) Shoe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s
BR102014022044A2 (en) shoe lashing structure
KR101582511B1 (en)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KR102543189B1 (en) Instep protector
KR101844135B1 (en)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KR200473618Y1 (en) Easy tie device of shoestrings
US20150040360A1 (en)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ITTV20130205A1 (en) SKI BOOT
KR101664879B1 (en) Hooks for shoelaces,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ying the shoelaces by using the same
KR101508981B1 (en) A shoestring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KR20150016744A (en)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CN201733985U (en) Shoelace lac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releasing shoelaces
WO2008156347A1 (en) Method of tying string and footwear employing the same
US20140352176A1 (en) Shoe cushion and shock absorbing shoe comprising same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CN101884455B (en) Device for penetrating and tying shoelace and capable of rapidly releasing shoe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