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2166B1 -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 Google Patents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166B1
KR101582166B1 KR1020140068350A KR20140068350A KR101582166B1 KR 101582166 B1 KR101582166 B1 KR 101582166B1 KR 1020140068350 A KR1020140068350 A KR 1020140068350A KR 20140068350 A KR20140068350 A KR 20140068350A KR 101582166 B1 KR101582166 B1 KR 10158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hollow shaft
excavation
soft rock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073A (ko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Priority to KR102014006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1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1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2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에 관한 것으로, 지반굴착장치에 다단상으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굴착로드들 중 최하단측에 연결된 최하단측 굴착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굴착비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착로드들 중 최하단측에 형성된 최하단측 굴착로드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조인트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의 외주에는 스크류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굴착비트의 중공축에는 중공부를 밀폐하면서 외주로 돌출하도록 용접되는 ㅗ자형 격판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축의 외주로 돌출하는 상기 ㅗ자형 격판의 끝단 3곳과 상기 중공축의 중공부 내측에 형성되는 ㅗ자형 격판의 중심부분 1곳에는 각기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의 공압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압통로 각각의 하측에는 상기한 공압통로 각각에 연통하도록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가 상기 스크류를 관통하면서 스크류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 각각에는 소직경 에어해머가 하나씩 삽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는 연암지층을 직접 긁어주는 작동으로 굴착하는 복수의 비트가 일정감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 각각에 하나씩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 각각은 그 하단에 형성된 각 드릴비트들이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비트와 수평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작동하면서 연암지층을 타격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Excavating bit having air-hammer and screw for excavating ground composed by earth, sand, soft rock and boulder}
본 발명은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을 굴착하기 위하여 타격작동으로 연암이나 호박돌을 깨뜨리는 에어해머와 토사 및 깨어진 연암 등의 부스러기를 긁어주는 스크류가 혼합된 굴착비트를 이용하여 연약지층의 굴착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면서 연암지층을 대구경으로 굴착공사를 시공함에 있어 효율적으로 굴착공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굴착장치는 지상에 설치되는 크롤러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암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리더와, 상기 리더를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오거드라이브유닛와, 상기 오거드라이브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하측에 다단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굴착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반굴착장치를 이용하여 직경이 800∼1500mm 정도로 큰 대구경으로 지반을 굴착하기 위한 오거굴착장치로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하여 국내에 선등록된 특허 제10-0156296호 및 특허 제10-1186230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들은 지반굴착장치에 상,하 다단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굴착로드들 중 최하단에 설치되는 굴착로드는 복수의 소직경 해머드릴로 구성되는 멀티해머드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해머드릴은 대직경의 원형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소직경 해머드릴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멀티해머드릴은 복수의 소직경 해머드릴이 동시에 작동하면서 지반을 타격하는 작동으로 지반을 굴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층이 단단하거나 땅속에 크고 작은 경암이 혼재되어 있는 경암지층을 굴착할 경우에는 지반굴착작동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토사나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되어 있는 연암지층 또는 갯벌층으로 구성된 연약지층을 굴착할 때 복수의 소직경 해머드릴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대형 콤푸레샤를 사용해야만 상기 복수의 소직경 해머드릴을 작동시킬 수 있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연암지층을 굴착하는 굴착공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사나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을 굴착할 때에는 종래 기술에서 경암지층을 굴착할 때 사용하는 대용량의 대형 콤푸레샤보다 작은 용량의 중·소형 콤푸레샤를 사용하여 연암지층을 굴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연암지층을 굴착하는데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연암지층의 연암 및 호박돌을 깨뜨리면서 토사와 함께 깨어진 돌 부스러기를 효율적으로 굴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해머와 스크류가 혼합된 굴착비트를 제공하여 연암지층을 굴착하는데 소요되는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상에 고정 설치된 크롤러 크레인의 전방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 설치된 리더와, 상기 리더에 수직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안내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된 오거드라이브유닛과, 상기 오거드라이브유닛으로 감속된 회전력을 잔달받도록 오거드라이브유닛의 하측에 설치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하단에 돌출된 감속 출력축에 복수의 연결로드를 다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지반굴착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지반굴착장치에 다단상으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굴착로드들 중 최하단측에 연결된 최하단측 굴착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굴착비트에 있어서,
상기 굴착비트는,
상기 복수의 굴착로드들 중 최하단측에 형성된 최하단측 굴착로드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조인트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의 외주에는 스크류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굴착비트의 중공축에는 중공부를 밀폐하면서 외주로 돌출하도록 용접되는 ㅗ자형 격판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축의 외주로 돌출하는 상기 ㅗ자형 격판의 끝단 3곳과 상기 중공축의 중공부 내측에 형성되는 ㅗ자형 격판의 중심부분 1곳에는 각기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의 공압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압통로 각각의 하측에는 상기한 공압통로 각각에 연통하도록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가 상기 스크류를 관통하면서 스크류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 각각에는 소직경 에어해머가 하나씩 삽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는 연암지층을 직접 긁어주는 작동으로 굴착하는 복수의 비트가 일정감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 각각에 하나씩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 각각은 그 하단에 형성된 각 드릴비트들이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비트와 수평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작동하면서 연암지층을 타격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 각각에는 소직경 에어해머의 상단에 형성된 수조인트가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암조인트와, 상기 소직경 에어해머의 몸체가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의 하단에서 상,하 작동으로 지반을 타격하여 굴착하는 각 드릴비트들은 상기 소직경 원통체 각각의 하단에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ㅗ자형 격판의 상측에는 ㅗ자형 격판의 끝단 3곳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복수의 공압통로와, 상기 굴착비트의 중공축 외주 3곳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복수의 공압공급공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압공급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의 굴착공사시 굴착비트 자체에 장착된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들의 타격작동으로 연암지층을 타격하면서 회전하는 작동으로 굴착함과 동시에 굴착비츠 자체에 형성된 나선상의 스크류가 토사와 깨어진 연암 부스러기를 직접 긁어주면서 배출시키는 작동으로 굴착하게 되므로 연암지층의 굴착작업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굴착비트는 종래 기술에서 단단한 지층이나 암반을 굴착할 때 사용하게 되는 큰 용량의 대형 콤푸레샤보다 작은 용량의 중·소형의 콤푸레샤를 사용하여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를 작동시키게 되더라도 연암지층을 굴착할 수 있게 되므로 연암지층을 굴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오거굴착로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거굴착로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나타낸 오거굴착로드의 반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굴착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굴착비트(1)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는 크롤러 크레인(11)와, 상기 크롤러 크레인(1)의 전방에 수직상으로 높게 설치된 리더(12)와, 상기 리더(12)의 전방에 리더와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된 안내봉(13)과, 상기 리더(12)의 상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13)을 따라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오거드라이브유닛(14)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오거드라이브유닛(14)의 하측에 설치된 기어박스(15)로 구성되는 지반굴착장치(10)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박스(15)의 저부측으로 돌출된 감속출력축(16)에 착탈가능하게 다단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로드(17)의 최하단측 연결로드(17a) 하단에 상기 굴착비트(1)가 연결 조립되어 연암지층을 굴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굴착비트(1)는 최하단측 연결로드(17a)의 하단에 형성된 암조인트(도시 생략)에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되는 수조인트(2)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인트(2)의 하단에는 중공축(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축(3)에는 외주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스크류(4)와, 상기 중공축(3)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부(31)를 밀폐하면서 중공축(3)의 중간부위를 관통하여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ㅗ자형 격판(5)과, 상기 ㅗ자형 격판(5)의 각 끝단 3곳과 중심부분 1곳 각각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공압통로(5a,5b,5c,5d)와, 상기 복수의 공압통로(5a∼5d) 각각의 저부에는 스크류(4)를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가 상기 스크류(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조인트(2)의 중심에는 공압공급통로(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압공급통로(21)를 통해서는 외부에 설치된 콤푸레샤를 통해서 연결로드(17)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압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이 중공축(3)의 중공부(31)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ㅗ자형 격판(5)은 굴착비트(1)의 중공축(3)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용접에 의해 중공축(3)의 중공부(31)를 밀폐하면서 상기 중공축(3)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d) 각각은 ㅗ자형 격판(5)의 하측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4)를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d)들은 스크류(4)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스크류(4)와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들 중 ㅗ자형 격판(5)의 끝단 3곳에 형성되는 3개의 소직경 원통체(6a,6b,6c) 각각은 스크류(4)를 관통하여 용접에 의해 스크류(4)와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ㅗ자형 격판(5)의 중심부분 1곳의 공압통로(5d)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1개의 소직경 원통체(6d)은 ㅗ자형 격판(5)의 하측에 형성되는 중공축에 일부 진입된 상태에서 스크류(4)를 관통하여 용접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d) 각각에는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가 각각 하나씩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d) 각각의 상단에는 암조인트(61)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조인트(61) 각각에는 ㅗ자형 격판(5)의 끝단 3곳과 중심부분 1곳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공압통로(5a,5b,5c.5d) 각각의 하측에 연결되는 연결구멍(62)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 각각의 하단은 스크류(4)의 하단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채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에는 개구된 하단을 통해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가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 각각의 상단에는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암조인트(61)에 삽탈가능하게 연결 조립되는 수조인트(71)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d)의 각 상단에 하나씩 형성된 복수의 암조인트(61)와 상기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의 각 상단에 하나씩 형성된 복수의 수조인트(71)는 복수의 결합핀(72)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결합핀(72)은 복수의 암조인트(61)의 외측에서 각 암조인트(61)에 대칭상으로 형성된 양측 결합공(부호 생략)을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각 암조인트(61)에 삽입된 복수의 수조인트(71) 각 외주에 대칭상으로 형성된 양측 핀결합공(부호 생략)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암조인트(61)와 수조인트(71)를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ㅗ자형 격판(5)의 끝단 3곳에 형성된 공압통로(5a,5b,5c)와 상기 굴착비트(1)의 중공축(3) 외주 3곳에 형성된 공압공급공(32,33,34)들 각각은 공압공급파이프(8a,8b,8c)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ㅗ자형 격판(5)의 중심부분 1곳에 형성된 1개의 공압통로(5d)는 중공축(3)의 중공부(31)와 직접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공압공급파이프(8a,8b,8c)들은 ㅗ자형 격판(5)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압공급파이프(8a,8b,8c) 각각의 끝단에는 밀폐용 니플(부호 생략) 등에 의해 막혀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4)의 하단(41)에는 복수의 비트(42)가 하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 각각의 하단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드릴비트(73)들은 스크류(4)의 하단(41)에 고정 부착된 복수의 비트(42)들과 수평하는 위치에서 회전하면서 상,하로 작동하면서 연암지층을 타격하면서 굴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로 연암지층을 굴착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굴착비트(1)는 연암지층을 굴착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지반굴착장치(10)의 오거드라이브유닛(14)으로부터 감속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기어박스(15)의 저부측으로 돌출된 감속출력축(16)에 다단상으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연결로드(17)에 형성된 최하단측 연결로드(17a)의 하단에 수조인트(2)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17)와 같이 회전하면서 연암지층을 굴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굴착비트(1)는 연결로드(17)와 같이 회전하면서 연암지층을 굴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굴착비트(1)의 수조인트(2)에 형성된 공압공급통로(21)로 공급되는 공압은 중공축(3) 내부의 중공부(31)로 공급되며, 상기 중공부(31)로 공급된 공압은 중공축(3)의 외주 3곳에 형성되어 있는 공압공급공(32,33,34)을 통해 복수의 공압공급파이프(8a,8b,8c)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공압공급파이프(8a,8b,8c) 각각으로 공급된 공압은 ㅗ자형 격판(5)의 각 끝단에 형성된 공압통로(5a)을 통해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 각각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 소직경 에어해머(7)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중공부(31)와 직접 연통하는 상태로 형성된 1곳의 공압통로(5d)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은 연결통로(62)가 연결되어 있는 1개의 소직경 원통체(6d)에 장착되어 있는 1개의 소직경 에어해머(7)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d)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들은 공압통로(5a∼5d)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각 드릴비트(73)를 상,하로 작동시켜서 연암지층을 타격하면서 굴착하는 굴착작동을 진행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스크류(4)가 회전하면서 그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트(41)들이 연암지층을 직접 긁어주는 작동으로 굴착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굴착비트(1)에 장착된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 각각의 드릴비트(73)들은 연암 및 호박돌을 약한 타격력으로 깨뜨리면서 굴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는 단단한 지층이나 경암층이 분포되어 있는 지반을 굴착하게 될 때 연결로드(17)를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오거드라이브유닛(14)의 모터 및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 각각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콤푸레샤 등을 용량이 큰 대형의 모터와 대형의 콤푸레샤를 사용해야 한다고 가정할 경우를 기준하여 볼 때 본 발명의 굴착비트(1)는 연암지층을 굴착할 때 사용하는 것이므로 단단한 지층이나 암반층을 굴착할 때 사용되는 대형의 콤푸레샤보다 작은 용량의 중·소형의 콤푸레샤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굴착비트(1)의 스크류(4)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들은 연암지층에 혼재되어 있는 연암 및 호박돌을 깨뜨리면서 굴착작업을 진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굴착비트(1)를 사용하여 연암지층에 대구경의 굴착공을 굴착하는 굴착공사를 진행할 때에는 그 굴착공사에 사용되는 굴착장비 예를 들어,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를 작동시키기 위해 중·소형의 콤푸레샤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연암지층을 효율적으로 굴착할 수 있게 되므로 연암지층의 굴착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의 굴착비트(1)는 스크류(4)를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에 장착된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들이 스크큐(4)와 같이 회전하면서 연암지층을 타격하여 연암과 호박돌 등을 깨뜨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크류(4)가 회전하면서 토사와 깨어진 돌 부스러기를 긁어서 배출시키게 되므로 연암지층의 굴착작동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 : 굴착비트 10 : 지반굴착장치
11 : 크롤러 크레인 12 : 리더
13 : 안내봉 14 : 오거드라이브유닛
15 : 기어박스 16 : 감속출력축
17 : 연결로드 17a : 최하단측 연결로드
2 : 수조인트 21 : 공압통로
3 : 중공축 31 : 중공부
32,33,34 : 공압공급공 4 : 스크류날개
42 : 비트 5 : ㅗ자형 격판
5a,5b,5c,5d : 공압통로 6a,6b,6c,6d : 소직경 원통체
61 : 암조인트 62 : 연결구멍
7 : 소직경 에어해머 71 : 수조인트
72 : 결합핀 73 : 드릴비트
8a,8b,8c : 공압공급파이프

Claims (3)

  1. 지상에 고정 설치된 크롤러 크레인(11)의 전방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 설치된 리더(12)와, 상기 리더에 수직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안내봉(13)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된 오거드라이브유닛(14)과, 상기 오거드라이브유닛으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오거드라이브유닛의 하측에 설치된 기어박스(15)와, 상기 기어박스의 하단에 돌출된 감속 출력축(16)에 복수의 연결로드(17)를 다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지반굴착장치(10)로 구성되며, 상기 지반굴착장치에 다단상으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연결로드(17)들 중 최하단측에 연결된 최하단측 연결로드의 하단에 연결하기 위한 수조인트(2)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축(3)과 상기 중공축의 외주에 소직경 에어해머(7)가 삽탈가능하게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와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41)에 복수의 비트(42)가 돌출되어 있는 스크류날개(4)가 구성되어 있는 굴착비트에 있어서,
    상기 굴착비트는,
    상기 중공축(3)에는 중공부(31)를 밀폐하면서 외주로 돌출하도록 용접되는 ㅗ자형 격판(5)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축(3)의 외주로 돌출하는 상기 ㅗ자형 격판(5)의 끝단 3곳과 상기 중공축(3)의 중공부(31) 내측에 형성되는 ㅗ자형 격판(5)의 중심부분 1곳에는 각기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압통로(5a,5b,5c,5d) 중 1곳의 공압통로(5d)는 중공축(3) 내부에서 중공부(31)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끝단 3곳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압통로(5a,5b,5c) 각각은 상기 중공축(3)의 외주 3곳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복수의 공압공급공(32,33,34) 각각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공압공급파이프(8a,8b,8c)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압통로 각각의 하측에는 상기한 공압통로 각각에 연통하도록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6a,6b,6c,6d)가 상기 스크류날개(4)를 관통하면서 스크류날개에 각각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소직경 원통체 각각에 하나씩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소직경 에어해머(7) 각각은 그 하단에 형성된 각 드릴비트(73)들이 상기 스크류날개(4)의 하단(41)에 형성된 복수의 비트(42)와 수평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및 상,하로 작동하면서 연암지층을 타격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2. 삭제
  3. 삭제
KR1020140068350A 2014-06-05 2014-06-05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58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50A KR101582166B1 (ko) 2014-06-05 2014-06-05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50A KR101582166B1 (ko) 2014-06-05 2014-06-05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73A KR20150140073A (ko) 2015-12-15
KR101582166B1 true KR101582166B1 (ko) 2016-01-11

Family

ID=5502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2166B1 (ko) 2014-06-05 2014-06-05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51A (ko) 2021-06-07 2022-12-14 문재화 오거용 조인트, 그것을 이용한 길이 연장형 오거 및 기초공사의 파일구멍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452A (zh) * 2019-01-17 2019-05-17 广西新港湾工程有限公司 一种水下液压柱破碎礁石施工方法
KR102156347B1 (ko) * 2019-04-17 2020-09-15 이동준 지반굴착기용 에어해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014A (ja) * 2006-11-30 2008-07-10 Mlt Soil:Kk アースオーガヘッド及び掘削工法
JP2010281121A (ja) * 2009-06-05 2010-12-16 Kazunari Furuki 削孔用ハンマ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回転式削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65Y1 (ko) * 1993-04-22 1996-02-22 국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오가드릴머신의 조합식 천공해머
KR0156296B1 (ko) * 1995-04-18 1998-11-16 신영철 지반굴착기의 멀티해머오가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분진 지반굴착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014A (ja) * 2006-11-30 2008-07-10 Mlt Soil:Kk アースオーガヘッド及び掘削工法
JP2010281121A (ja) * 2009-06-05 2010-12-16 Kazunari Furuki 削孔用ハンマ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回転式削孔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51A (ko) 2021-06-07 2022-12-14 문재화 오거용 조인트, 그것을 이용한 길이 연장형 오거 및 기초공사의 파일구멍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73A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2130B2 (ja) トンネルボーリングマシン
JP6774132B1 (ja) 鋼管杭の施工方法
JP6886717B2 (ja) 鋼管杭の施工方法
KR101177724B1 (ko) 지반굴착장치를 이용한 암자갈층의 연직차수벽 구축공법
KR100864371B1 (ko) 수직수평갱 및 사갱 굴착장치와 굴착방법
US6409432B1 (en) Downhole hammer-type core barrel and method of using same
JP6429098B2 (ja)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KR101582166B1 (ko)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KR100769089B1 (ko) 다각도 암반천공장치
KR20120051142A (ko) 배토 기능을 가진 스크류날개와 교반날개 일체형 굴착롯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가 많은 암자갈층의 침출수차단 지하연속벽체시공 다축 지반굴착장치
US20080127528A1 (en) Earth auger head and excavation method
KR20140039409A (ko) 회전식 대구경 암반 천공장비
JP6875707B2 (ja) 掘削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掘削方法
JP3004903B2 (ja) 掘削装置
KR20190002020A (ko) 연암 굴착용 수평천공장치
KR101237749B1 (ko) 쉴드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장치의 헤드
CN105887841A (zh) 圆弧插口t形挡桩制造设备
JP5809790B2 (ja) ロックボルト形成方法および削孔装置
CN114075923A (zh) 液压潜孔锤咬合桩组合钻头
KR20130027763A (ko) 에어 순환용 해머비트 구조
JP4516494B2 (ja) 推進工法における障害物除去方法および掘進装置
KR20040036214A (ko) 자주식 지반 굴착기 및 그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방법
JP4714060B2 (ja) 掘削機および掘削システム
JP2008274712A (ja) 破砕削孔装置
JP4781195B2 (ja) 打込材の打設方法及び先行掘削用打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