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1565B1 -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565B1
KR101581565B1 KR1020140080241A KR20140080241A KR101581565B1 KR 101581565 B1 KR101581565 B1 KR 101581565B1 KR 1020140080241 A KR1020140080241 A KR 1020140080241A KR 20140080241 A KR20140080241 A KR 20140080241A KR 101581565 B1 KR101581565 B1 KR 10158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oisture
pipe
discharge pip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희
우기용
김수백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5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력에 의하여 분진을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emission control system)로 이송하는 이송관의 일측 하부에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서 상기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배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WATER DRAIN APPARATUS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공정은 석탄을 고온으로 건류하여 코크스를 제조하는 필수 공정이다. 코크스로에서 석탄을 가열하여 코크스를 제조한다. 코크스로에는 탄화실과 가열실이 교번으로 배치된다. 코크스로의 일측에는 코크스로를 따라 분진 덕트가 배치된다. 탄화실에서 코크스가 완전히 건류되면, 이동차가 코크스 건류가 완료된 탄화실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차에는 배출된 코크스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탄화실과 분진 덕트를 연결하는 후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차가 코크스 건류가 완료된 탄화실에 도달되면, 탄화실이 개방되고 코크스 배출 장치가 코크스를 밀어낸다. 배출된 코크스는 이동차의 적재부에 적재될 수 있다. 코크스 배출시 발생되는 분진은 분진 덕트의 흡입력에 의해 분진 덕트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진 덕트는 이동차의 후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차가 이동됨에 따라 후드가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개구부는 벨트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8328호(2006.04.05 등록공고, 집진기의 흄 덕트 분진 포집 및 자동 배출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흡입력에 의하여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로 분진을 이송시,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간에 따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에 수분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를 보호할 수 있는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력에 의하여 분진을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emission control system)로 이송하는 이송관의 일측 하부에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서 상기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억제하는 커버부, 중앙부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배출관 내부에 포집된 상기 수분과 상기 커버부의 무게와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웨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회전바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결합부에는, 상기 이송관을 타고 이동하는 상기 수분이 낙하하여 포집되도록 상기 이송관의 내부보다 낮게 형성된 포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집부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진을 포집하는 흄 덕트(fume duct), 상기 흄 덕트에서 포집된 분진을 정화하고 배출하는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emission control system),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흄 덕트에서 포집된 분진을 상기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으로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하부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서 상기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억제하는 커버부, 중앙부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배출관 내부에 포집된 상기 수분과 상기 커버부의 무게와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웨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회전바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흡입력에 의하여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로 분진을 이송시,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간에 따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에 수분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의 도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포집부 및 스토퍼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코크스는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석탄을 약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건류하여 만들어진다. 건류가 완료된 적열 코크스는 압출기에 의하여 코크스 오븐에서 소화차로 압출된다. 압출시 발생되는 분진은 흄 덕트를 통하여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로 이송되고, 이송된 분진은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배출장치는 분진이 이송관(200)을 통하여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이송시, 분진과 함께 이동하는 수분이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이송되지 않도록 이송관(200) 중간에 설치되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분배출장치는 수분배출관(400) 및 도어부(500)를 포함한다. 수분배출관(400)은 강력한 흡입력에 의하여 분진이 이송관(200)을 타고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이송시 이송관(200)의 일측 하부에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수분배출관(400)은 흡입력에 의하여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유도하여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이송관(200) 내에서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되던 수분이 이송관(200)의 하부로 연장된 수분배출관(400)을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도어부(500)는 수분배출관(400)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수분배출관(400)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게되면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에서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약해지고, 흡입력이 약해지게 되면, 분진이 정상적으로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이송될 수 없다. 따라서,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이송관(200) 내 작용시에 이송관(200)과 연통된 수분배출관(400)도 폐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부(500)는 이송관(200) 내 흡입력 작용시 이송관(200)과 연통된 수분배출관(400)의 배출구를 폐쇄하여 분진이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정상적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멈추게 되면, 수분배출관(400)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수분배출관(400)에 모인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도어부(500)는 수분배출관(400)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함으로써 수분의 외부배출을 조절함과 아울러, 이송관(200)의 흡입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돕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의 도어부(50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500)는 커버부(510), 회전바(520), 및 웨이트부(530)를 포함한다. 커버부(510)는 배출구의 개방영역을 커버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커버부(510)는 수분배출관(400)의 배출구 전 개방영역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형성되고, 배출구의 개방영역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520)는 일단이 커버부(510)와 결합된다. 또한 회전바(520)의 중앙부는 배출관의 일 단부와 결합된다. 이때 회전바(520)는 배출관의 단부에 힌지결합된다. 즉, 회전바(520)는 배출관과 결합된 부위를 중심축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다. 도 2에서처럼 회전바(5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바(520)의 단부에 결합된 커버부(510) 또한 회전바(520)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수분배출관(400)의 배출구의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하게 된다. 즉, 회전바(5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커버부(510)는 배출구를 폐쇄하게 되고, 커버부(510)가 배출구를 폐쇄시 수분배출관(400) 내부에는 수분이 모이게 되고,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의 흡입력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반대로, 회전바(5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커버부(510)도 이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커버부(510)가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분배출관(400)에 모인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웨이트부(530)는 회전바(520)의 타단에 결합하게 된다. 즉, 회전바(520)가 수분배출관(400)의 단부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웨이트부(530)는 커버부(510)의 반대 방향에 결합하게 된다. 웨이트부(530)는 수분배출관(400)에 포집된 수분 및 커버부(510)의 무게와 회전바(520)와 수분배출관(400)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회전바(5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웨이트부(530)의 무게에 따라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회전바(52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바(520)가 회전함에 따라 커버부(510)가 회동함으로써, 배출구의 개폐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이때, 웨이트부(530)는 회전바(520)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일정 무게를 지닌 웨이트부(530)라 할 지라도 회전바(52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지렛대의 힘 작용점이 달라지게 되어, 작은 무게라도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송관(200)에 흡입력 작용시 커버부(510)가 배출구를 폐쇄하여야 하므로, 웨이트부(530)의 무게 및 웨이트부(530)의 회전바(520) 상에서의 위치는 고려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200), 포집부(600) 및 스토퍼(7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200) 및 수분배출관(400)의 결합부에는 포집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포집부(600)는 이송관(200)을 타고 이동하는 수분이 낙하하여 포집될 수 있도록 이송관(200)의 내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이동하는 수분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낙하하도록 수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배출장치는 스토퍼(70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700)는 포집부(600)의 후단, 즉, 분진과 수분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포집부(600)의 후단에 결합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공중으로 이동하는 수분의 진행을 방해하여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분진은 A 방향 및 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관(200)의 하부를 타고 이송되던 수분은 D 방향을 따라서, 즉 포집부(600)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수분배출관(400)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공중으로 이동되던 수분은 C 방향과 같이, 스토퍼(700)에 부딪쳐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수분배출관(400)에 포집될 수 있다. 이때, 수분은 일반적으로 공기보다 무거워 공기보다 아래층에 형성될 수 있어 상술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흡입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수분은 이송관(200)의 하면을 타고 이동하거나, 이송관(200)의 하부 공중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송관(200)의 하면을 타고 이동하는 수분은 포집부(600)에 의하여 수분배출관(400)에 모아지게 되고, 이송관(200)의 하부 공중으로 이동되는 수분은 스토퍼(700)에 의하여 수분배출관(400)에 포집되게 된다. 이렇게 모아진 수분은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의 흡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수분과 커버부(510)의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배출구가 개방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분진을 포집하는 흄 덕트(100)와 흄 덕트(100)에서 포집된 분진을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과 흡입력을 이용하여 흄 덕트(100)에서 포집된 분진을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300)로 이송하는 이송관(200) 및 이송관(200)에 결합되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관(400)을 포함한다.
이때의 수분배출관(400)은 상술한 수불배출관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흄 덕트
200: 이송관
300: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
400: 수분배출관
500: 도어부
510: 커버부
520: 회전바
530: 웨이트부
600: 포집부
700: 스토퍼

Claims (8)

  1. 흡입력에 의하여 분진을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부(emission control system)로 이송하는 이송관의 일측 하부에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서 상기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억제하는 커버부;
    중앙부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배출관 내부에 포집된 상기 수분과 상기 커버부의 무게와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회전바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결합부에는
    상기 이송관을 타고 이동하는 상기 수분이 낙하하여 포집되도록 상기 이송관의 내부보다 낮게 형성된 포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수분배출장치.
  6. 분진을 포집하는 흄 덕트(fume duct);
    상기 흄 덕트에서 포집된 분진을 정화하고 배출하는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emission control system);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흄 덕트에서 포집된 분진을 상기 이미션 컨트롤 시스템으로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하부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 내에서 상기 분진과 함께 이송되는 수분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수분배출관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여 상기 수분의 외부 배출을 억제하는 커버부;
    중앙부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배출관 내부에 포집된 상기 수분과 상기 커버부의 무게와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회전바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1020140080241A 2014-06-27 2014-06-27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8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41A KR101581565B1 (ko) 2014-06-27 2014-06-27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41A KR101581565B1 (ko) 2014-06-27 2014-06-27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565B1 true KR101581565B1 (ko) 2015-12-30

Family

ID=5508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2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1565B1 (ko) 2014-06-27 2014-06-27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5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73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덕트의 이물질 배출장치
KR20060071467A (ko) * 2004-12-22 2006-06-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80070608A (ko) * 2008-06-17 2008-07-30 (주)코에어 연기 제거용 집진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기의 필터링방법
JP2014066242A (ja) * 2012-08-30 2014-04-17 Mgi Coutier 内燃機関の吸気管路中における空気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73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덕트의 이물질 배출장치
KR20060071467A (ko) * 2004-12-22 2006-06-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80070608A (ko) * 2008-06-17 2008-07-30 (주)코에어 연기 제거용 집진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기의 필터링방법
JP2014066242A (ja) * 2012-08-30 2014-04-17 Mgi Coutier 内燃機関の吸気管路中における空気濾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1360A1 (en) Silo dust collection
KR101581565B1 (ko) 수분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KR101532336B1 (ko)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KR102492856B1 (ko) 라이다센서용 크리너 장치
CN206013969U (zh) 渣库卸渣系统
JP4122885B2 (ja) コークス炉炉上クリーナ装置
CN105498407A (zh) 一种砂浆原料扬尘降水除尘装置
KR102177043B1 (ko) 석탄 건조기용 분진 배출 시스템
CN210675086U (zh) 高密闭制粒、干燥、混合一体机
CN208553459U (zh) 一种能冷却的袋式脉冲除尘器
KR10106487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1834955B1 (ko)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클리닝 장치
KR102133493B1 (ko) 가스캐비닛의 국소배기장치
CN109466946A (zh) 一种应用于装卸料过程的除尘系统
CZ20004571A3 (en) Cracking furnace with separation of dust from gaseous stream
CN205252781U (zh) 一种砂浆原料扬尘降水除尘装置
KR102164928B1 (ko) 중앙 집중식 집진시스템
JP2006077222A (ja) コークス炉集塵装置
FI128263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rakennusjätteen siirtämiseksi
CN204330401U (zh) 饲料原料抽样系统
JPS6056719A (ja) じゃりまたは砂等粒体の搬送装置
KR101121103B1 (ko) 승온재 자동 투입 장치
KR20150125097A (ko) 코크스 이송 장치
JP6848913B2 (ja) 軽量ごみ除去装置を有する金属融解設備
JP2005207631A (ja) 穀物乾燥機の張込ホ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