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0743B1 -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743B1
KR101580743B1 KR1020140081488A KR20140081488A KR101580743B1 KR 101580743 B1 KR101580743 B1 KR 101580743B1 KR 1020140081488 A KR1020140081488 A KR 1020140081488A KR 20140081488 A KR20140081488 A KR 20140081488A KR 101580743 B1 KR101580743 B1 KR 10158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corner
frame
corner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길봉
Original Assignee
여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길봉 filed Critical 여길봉
Priority to KR102014008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7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특한 구성의 코너연결구를 이용하여 제2프레임부재의 폭 치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부재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재 손실이 없어 프레임자재 소모가 획기적으로 감축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 선단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후술하는 코너연결구 삽입이 가능한 한 쌍의 제1프레임부재, 양측 선단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선단을 커버하며 조립되어 직각 코너를 이루는 한 쌍의 제2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와 제2프레임부재의 직각조립을 유도하는 코너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ASSEMBLY SYSTEM OF DOOR FRAME}
본 발명은 독특한 구성의 코너연결구를 이용하여 제2프레임부재의 폭 치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부재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재 손실이 없어 프레임자재 소모가 획기적으로 감축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 가구, 싱크대의 수납장, 욕실장 등의 도어 프레임은 가공성, 경량화 등을 고려하여 대개 알루미늄을 비롯한 금속재 새시를 이용하여 조립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프레임은 코너 조립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됨은 물론 조립작업성, 자재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기존의 도어 프레임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조립방식은 특허등록 제10-0476568호(2005. 03. 04. 등록), 제10-1173239호(2012. 08. 06. 등록) 등에 개시되고 도 1의 a,b에 정면도 및 분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11)(112)의 양단이 대각선(110a)으로 절단되고 코너를 이루는 인접프레임과 상호 연합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대각선 맞춤방식이다.
상기 대각선 맞춤방식은 먼저 알루미늄새시 등으로 되는 프레임자재를 프레임의 규격에 따른 길이로 각각 절단한 다음 다시 양단을 예컨대 45°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프레임부재(111)(112)를 만든 다음 두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ㄱ'자 형 연결구(130)를 삽입하여 코너가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대각선 맞춤방식은 프레임부재의 선단이 대각선(110a)으로 되고 'ㄱ' 자형 연결구(130)를 사용함으로써 코너를 이루는 두 프레임부재의 정면상에서 보이는 폭(111x)(112y)이 동일 치수로 되어야 되고, 도어프레임을 이루는 전체 프레임부재가 상기 'ㄱ'자형 연결구(130)가 삽입될 수 있는 치수로 됨으로써 자재가 막대하게 낭비되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부재(111)(112) 양단이 대각선(110a)으로 재단됨으로써 대각선을 빗금으로 하는 삼각형 분량의 자재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부재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자재를 프레임의 규격에 따른 길이로 각각 절단하는 1차 절단작업에 이어 일단을 대각선으로 절단하는 2차 절단작업 및 타단을 대각선으로 절단하는 3차 절단작업으로 총 세 차례의 절단공정이 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프레임부재가 합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대각선으로 절단하는 작업에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으로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KR 10-0476568(2005.03.04) 등록특허 KR 10-1173239(2012.08.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특한 구성의 코너연결구를 이용하여 정면상에서 보이는 제2프레임부재의 폭 치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됨으로써 자재 손실이 전혀 없어 프레임자재 소모를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음으로 자재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의 선단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됨으로써 공수와 작업시간이 감축되며 불량률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너연결구의 몸체를 줄여 자재 및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도록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특한 구성의 코너연결구를 이용하여 대각선맞춤이 아닌 직각조립으로 도어프레임 코너 조립이 정확하고 견고하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은
양측 선단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후술하는 코너연결구 삽입이 가능한 한 쌍의 제1프레임부재;
양측 선단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선단을 커버하며 조립되어 직각 코너를 이루는 한 쌍의 제2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와 제2프레임부재의 직각조립을 유도하는 코너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부재는 직사각형관 일측에 도어패널이 지지되기 위한 슬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부재는 제1프레임부재의 선단을 커버하며 하방 양측에 연결구 삽입부(123)이 대향하여 형성되는 C형 채널형태로 되고, C형 채널의 중심면이 일측으로 연장되어 도어패널 지지를 위한 슬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연결구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삽입되는 몸체 상부에 제2프레임부재의 연결구 삽입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양측으로 수평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제2프레임부재의 진입 멈춤을 안내하기 위한 멈춤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는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을 탄력적으로 압착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는 몸체 하방에 제1프레임부재를 압착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고정되기 위한 록킹요입부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는 코너연결구의 하부를 감싸고 상기 록킹요입부에 결착되기 위한 양측의 결착부와 상기 양측의 결착부로부터 뻗어나와 선단이 제1프레임부재를 잡아주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는 상부에 제2프레임부재를 압착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판스프링체 일부가 절개 절곡되어 제2프레임부재에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는 모서리 보호캡이 구비되고, 상기 모서리 보호캡은 코너연결구와 별개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는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은 상기 코너연결구의 체결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는 별도 설치되는 경첩고정용 보강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방에 요입단 또는 걸고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에 의하면,
독특한 구성의 코너연결구로 인하여 정면상에서 보이는 제2프레임부재의 폭 치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됨으로써 자재 손실이 전혀 없어 프레임자재 소모를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자재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됨으로써 공수와 작업시간이 감축되며 불량률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연결구의 몸체를 줄여 자재 및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독특한 구성의 코너연결구로 인하여 대각선맞춤이 아닌 직각조립으로 도어프레임의 코너 조립이 정확하고 견고하며 간편하게 이루어져 조립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도어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코너연결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 b는 정면도
도 5는 도 3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코너연결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 발췌 종단면도로
a는 코너연결구에 요입단이 형성된 종단면도,
b는 코너연결구에 걸고리홀이 형성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선단(11a)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후술하는 코너연결구 삽입이 가능한 한 쌍의 제1프레임부재(11), 양측 선단(12a)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11)의 선단을 커버하며 조립되어 직각 코너를 이루는 한 쌍의 제2프레임부재(12)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11)와 제2프레임부재(12)의 직각조립을 유도하는 코너연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11)는 직사각형관(111) 일측에 도어패널이 지지되기 위한 슬리브(1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부재(12)는 제1프레임부재(11)의 선단을 커버하며 하방 양측에 연결구 삽입부(123)이 대향하여 형성되는 C형 채널형태로 되고, C형 채널(121)의 중심면(121a)이 일측으로 연장되어 도어패널 지지를 위한 슬리브(1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11)에 삽입되는 몸체(31) 상부에 제2프레임부재(12)의 연결구 삽입부(12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3)이 양측으로 수평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연결구의 몸체(31)는 제1프레임부재와의 밀착면(31a)이 수직형성되고, 가이드홈(33)은 상기 밀착면(31a)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부재(12)는 제1프레임부재를 커버하기 위하여 z방향 폭(12z)이 제1프레임부재의 z방향 폭(11z)과 동일하게 형성된다(도 3 참조).
그러나, 도어 정면상에서 보이는 제1프레임부재의 폭(12y)은 코너연결구의 가이드홈(33)에 끼워질 수만 있으면 가하므로 코너연결구의 몸체(31)가 삽입되는 제1프레임부재의 폭(11x)에 비하여 현저히 좁게 형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코너연결구(30)의 가이드홈(33)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제2프레임부재(12)의 진입 멈춤을 안내하기 위한 멈춤단(3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을 탄력적으로 압착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몸체 하방에 상기 탄성부재(40)로서 제1프레임부재(11)를 압착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41)가 결합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41)가 고정되기 위한 록킹요입부(35)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41)는 코너연결구(30)의 하부를 감싸고 상기 록킹요입부(35)에 결착되기 위한 양측의 결착부(411)와 상기 양측의 결착부(411)로부터 뻗어나와 선단이 제1프레임부재(11)를 잡아주는 록킹부(413)를 포함하여 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1)는 판스프링체를 포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코너연결구(30)와 상호 대응하여 통공 등으로 되는 요철결합부(415)(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1탄성부재(41)는 코너연결구(30)와 제1프레임부재(11)의 결합방향 이동만 가능하고, 역방향인 코너연결구(30)가 제1프레임부재(11)에서 이탈되는 방향의 이동을 차단하여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상부에 제2프레임부재(12)를 압착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42)가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42)는 판스프링체 일부가 절개 절곡되어 제2프레임부재(12)에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조(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30)와 제2탄성부재(42)는 결합을 위하여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부(34)(4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모서리 보호캡(38)이 구비되고, 상기 모서리 보호캡(38)은 코너연결구(30)와 별개로 형성되거나(도 3 참조)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과 체결수단(50)을 이용하여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37)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은 상기 코너연결구의 체결홀(37)에 상응하는 위치에 체결공(117)(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살빼기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가 여닫이식으로 될 경우, 경첩이 설치되는데 도어프레임의 슬림화에 따라 경첩고정의 지지력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별도 설치되는 경첩고정용 보강자(60)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방에 요입단(39) 또는 걸고리홀(3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단(39)은 코너연결구(30)에 상기 제1탄성부재(41)가 장착될 경우 제1탄성부재(41)와의 사이에 걸림공간을 마련하게 되어 프레임부재 내에 삽입설치되는 경첩고정용 보강자(60)를 걸어 위치시킬 수 있으며(도 9의 a 참조), 상기 걸고리홀(39a)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조립은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를 도어 규격에 따른 길이로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한 다음 바로 코너연결구(30)를 이용하여 코너조립이 이루어진다.
도어프레임의 코너조립은 코너연결구(30)에 제1탄성부재(41) 및 제2탄성부재(42)를 결착한 다음 가이드홈(33)에 제2프레임부재(12)를 끼워넣은 이후, 코너연결구의 몸체(31)에 제1프레임부재(11)를 끼워넣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몸체에 제1프레임부재(11)와의 밀착면(31a)이 수직형성되고, 가이드홈(33)은 상기 밀착면(31a)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프레임부재(11)와 제2프레임부재(22)가 정확히 직각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여기에,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3)이 적절한 위치에 멈춤단(331)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제2프레임부재의 연결구 삽입부(123) 선단이 직각조립에 적합한 위치까지만 진입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42)의 탄성돌조(421)가 제2프레임부재(12)를 가압 밀착하여 고정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코너연결구 몸체(31)에 장착되는 제1탄성부재(41)는 코너연결구의 록킹요입부(35) 및 제1탄성부재의 결착부(411)를 이용하는 탄력적 끼움 결합으로 간단하게 장착 조립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조립된 코너연결구(30)는 제1탄성부재의 록킹부(413)가 양측으로 삐죽이 돌출된 형태로 된다.
이와 같은 코너연결구(30)를 제1프레임부재(11)에 끼워 넣는 원터치 삽입에 의하여 도어프레임의 코너조립이 간단히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41)는 양측 록킹부(413)가 탄력적으로 가압되며 제1프레임부재(11)를 잡아주고, 제1프레임부재(11)가 역방향인 해체 이탈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양측 록킹부(413)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며 제1프레임부재(11)의 이동을 차단하여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록킹한다(도 5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탄성부재(41) 및 제2탄성부재(42)가 장착되는 코너연결구(30)는 도어 개폐작동 등에 의한 충격 발생시에도 프레임부재의 흔들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견고한 체결력을 지녀 조립 안정성이 우수하고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코너연결구(30)로 인하여 제2프레임부재의 정면상에서 보이는 폭(12y)의 크기가 코너연결구의 가이드홈(33)에 끼워질 수만 있으면 가하게 됨으로써 종래기술의 1/8 이하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됨으로써 자재 손실이 전혀 없어 프레임자재 소모 및 자재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의 선단이 대각선이 아닌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됨으로써 절단작업이 단 1단계 공정으로 마무리되어 공수와 시간이 감축되며, 불량률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코너연결구(30)의 몸체가 종래의 'ㄱ'자형에 비하여 절반 가까이 줄어들어 자재가 현저히 절감된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구(30)로 인하여 코너연결이 대각선맞춤이 아닌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코너조립이 정확하고 견고하며 간편하게 이루어져 조립성이 매우 양호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11: 제1프레임부재 11a: 선단 112: 슬리브
12: 제2프레임부재 12a: 선단 122: 슬리브
123: 연결구 삽입부 127: 체결공 30: 코너연결구
31: 몸체 31a: 제1프레임부재 밀착면
33: 가이드홈 35: 록킹요입부 38: 모서리 보호캡
39: 요입단 39a: 걸고리홀 40: 탄성부재
41: 제1탄성부재 413: 록킹부 42: 제2탄성부재
421: 탄성돌조 50: 체결수단 60: 경첩고정용 보강자

Claims (9)

  1. 삭제
  2. 양측 선단(11a)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후술하는 코너연결구 삽입이 가능한 한 쌍의 제1프레임부재(11);
    양측 선단(12a)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재단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11)의 선단을 커버하며 조립되어 직각 코너를 이루는 한 쌍의 제2프레임부재(12);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11)와 제2프레임부재(12)의 직각조립을 유도하는 코너연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11)는 직사각형관(111) 일측에 도어패널이 지지되기 위한 슬리브(1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부재(12)는 제1프레임부재(11)의 선단을 커버하며 하방 양측에 연결구 삽입부(123)이 대향하여 형성되는 C형 채널형태로 되고, C형 채널(121)의 중심면(121a)이 일측으로 연장되어 도어패널 지지를 위한 슬리브(1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11)에 삽입되는 몸체(31) 상부에 제2프레임부재(12)의 연결구 삽입부(12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3)이 양측으로 수평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3)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제2프레임부재(12)의 진입 멈춤을 안내하기 위한 멈춤단(3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을 탄력적으로 압착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몸체 하방에 제1프레임부재(11)를 압착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41)가 결합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41)가 고정되기 위한 록킹요입부(35)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41)는 코너연결구(30)의 하부를 감싸고 상기 록킹요입부(35)에 결착되기 위한 양측의 결착부(411)와 상기 양측의 결착부(411)로부터 뻗어나와 선단이 제1프레임부재(11)를 잡아주는 록킹부(413)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상부에 제2프레임부재(12)를 압착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42)가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42)는 판스프링체 일부가 절개 절곡되어 제2프레임부재(12)에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조(42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모서리 보호캡(38)이 구비되고,
    상기 모서리 보호캡(38)은 코너연결구(30)와 별개 또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과 체결수단(50)을 이용하여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37)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11) 및 제2프레임부재(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은 상기 코너연결구의 체결홀(37)에 상응하는 위치에 체결공(117)(12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구(30)는 별도 설치되는 경첩고정용 보강자(60)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방에 요입단(39) 또는 걸고리홀(39a)이 형성됨을 특징을 하는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KR1020140081488A 2014-06-30 2014-06-30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Active KR10158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488A KR101580743B1 (ko) 2014-06-30 2014-06-30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488A KR101580743B1 (ko) 2014-06-30 2014-06-30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743B1 true KR101580743B1 (ko) 2015-12-28

Family

ID=550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488A Active KR101580743B1 (ko) 2014-06-30 2014-06-30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57A1 (ko) * 2016-08-01 2018-02-08 정용일 여닫이식 경량도어의 프레임 결합장치
KR20230116546A (ko) 2022-01-28 2023-08-04 최영이 유리도어의 프레임 고정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68B1 (ko) 2004-06-02 2005-03-18 (주) 알루피아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20060096642A (ko) * 2005-03-02 2006-09-13 민은홍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KR20090000131U (ko) * 2008-12-03 2009-01-07 주식회사 알파시스템 금속도어 프레임의 코너체결구
KR101173239B1 (ko) 2010-01-29 2012-08-10 (주)대흥시스템 가구 프레임용 코너 결합구
KR200462898Y1 (ko) * 2010-03-22 2012-10-10 주식회사 비앤비 가구용 도어 프레임 연결구
KR101254471B1 (ko) * 2012-11-26 2013-04-12 여길봉 원터치 록킹 모서리 결합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68B1 (ko) 2004-06-02 2005-03-18 (주) 알루피아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20060096642A (ko) * 2005-03-02 2006-09-13 민은홍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KR20090000131U (ko) * 2008-12-03 2009-01-07 주식회사 알파시스템 금속도어 프레임의 코너체결구
KR101173239B1 (ko) 2010-01-29 2012-08-10 (주)대흥시스템 가구 프레임용 코너 결합구
KR200462898Y1 (ko) * 2010-03-22 2012-10-10 주식회사 비앤비 가구용 도어 프레임 연결구
KR101254471B1 (ko) * 2012-11-26 2013-04-12 여길봉 원터치 록킹 모서리 결합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57A1 (ko) * 2016-08-01 2018-02-08 정용일 여닫이식 경량도어의 프레임 결합장치
KR20230116546A (ko) 2022-01-28 2023-08-04 최영이 유리도어의 프레임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297B2 (en) Latched connector assembly
KR101769908B1 (ko)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CN106231858A (zh) 电气设备收纳用箱的框架构造
US20080302017A1 (en) Window Latch
KR20180009525A (ko) 압착제조 용이하며 장착시 본딩이 필요없는 슬라이드 도어용 방풍 및 방충용 모헤어 결합구조
KR200479832Y1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슬라이더
WO2020133910A1 (zh) 空调室内机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20100059648A (ko) 도어 프레임
KR20100099634A (ko) 프로젝트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암플레이트
KR101955970B1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JP4210246B2 (ja) 掲示用スタンド
KR102583642B1 (ko)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KR101136249B1 (ko) 원터치 조립식 피티오 전선용 금속재 케이스
KR102093486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JP7186567B2 (ja) 建具
KR0127436Y1 (ko) 창문용 정지장치
KR100683970B1 (ko) 삽입형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창틀
KR101923264B1 (ko) 창유리 지지부재
JP4615991B2 (ja) 建物用ドア
KR20170028076A (ko) 창틀쫄대 고정편
KR20230070151A (ko) 교체가능하도록 조립이 되는 측면프레임을 가지는 3연동 슬라이딩도어
CN219708829U (zh) 一种抗撞击型电梯门滑块及电梯门板
KR102689902B1 (ko) 창호용 레일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