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98B1 - socks - Google Patents
sock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0598B1 KR101580598B1 KR1020090051842A KR20090051842A KR101580598B1 KR 101580598 B1 KR101580598 B1 KR 101580598B1 KR 1020090051842 A KR1020090051842 A KR 1020090051842A KR 20090051842 A KR20090051842 A KR 20090051842A KR 101580598 B1 KR101580598 B1 KR 1015805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e
- heel
- foot
- connecting piece
- fo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10000000454 fifth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10000000453 second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0455 fourth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0431 third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3
- 210000000474 heel Anatomy 0.000 abstract 1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1 floc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을 때나 달릴 때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을 향상시켜서 운동기능을 높이는 양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ck which improves the exercise function by improving the strength and the quick acting force when walking or running.
상기 양말(1)은, 원통형상의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대략 고리 모양의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를 연결하는 제1 연결편(5)과, 끌림방지편(6)과, 발가락 피복부(7)를 다른 부분 보다도 긴박력이 강한 형태로 구성된 강긴박력부(2)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양말을 신을 때에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연결편(5)에 의해서 제1 발가락 지지부(3)로 지지된 발의 제1 발가락을 후방측으로부터 인장하고, 제1 발가락을 다른 4개의 발가락과 반대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게 하는 형태로 힘을 걸리게 한다. The sock 1 has a cylindrical first toe supporting portion 3, a substantially annular heel catching portion 4, a first connecting piece 4 for connecting the first toe supporting portion 3 and the heel catching portion 4, (5), a drag preventing piece (6), and a toe covering portion (7) made of a strong force portion (2) configured to have a stronger force than other portions. The first toe of the foot supported by the first toe support portion 3 is pulled from the rear side by the heel catching portion 4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5 when the sock is put on, The force is applied in the form of facing inward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oe.
양말, 강긴박력부, 발, 발가락, 뒷꿈치 Socks, strong parts, feet, toes, heels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말,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기능을 높이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k that improves motor performance.
종래에 운동기능을 높이는 형태로 된 양말이 여러 종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운동기능을 높이는 양말로서, 예를 들어 발뒤꿈치보다도 전방쪽이고 발톱 끝의 기부에 이른 족부(足部)에 발등으로부터 발바닥까지의 둘레 방향의 전둘레에 걸쳐 신축소재에 의한 체결 대응부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1)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흙을 밟지않는 아치 등의 형성을 독려하고, 즉 흙을 밟지 않는 등의 기능을 유지하여서 피로가 적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Several types of socks have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for enhancing motor skills. As a sock for enhancing this type of exercise function, for example, a foot corresponding to the base of the toe tip of the forefoot ahead of the heel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oot from the foot to the foot (Patent Document 1)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proposed that the formation of an arch or the like that does not step on the soil is encouraged, that is, the function of not pressing the soil is maintained, so that a comfortable state with less fatigue can be maintained .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6970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6970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 대해서는 흙을 밟지 않는 등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주행이나 보행 시에 제1 발가락에 힘을 넣기 쉽게 함으로써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등을 발휘하기 쉽게 하여 운동 기능을 높게 얻을 수는 없었다However, as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unction of not stepping on the soil, and it is easy to put the force on the first toe when driving or walk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xert the force and the quick- I could not get it high.
본 발명은 주행이나 보행시에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등을 발휘하기 쉽게 하여 운동 기능을 높게 얻을 수 있는 양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ck which is easy to exert a force or a quick-acting force and can obtain a high exercise function while standing or walking.
본 발명은 상기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써, 다음의 특징을 가지는 양말을 제공하는 일에 따라 상기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원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발의 제1 발가락을 넣는 제1 발가락 유입부와, 발의 제5 발가락을 넣는 제5 발가락 유입부와, 발의 뒷꿈치를 수용하는 뒷꿈치 수용부와, 발등을 덮는 등피복부와, 발바닥면을 덮는 발바닥 피복부를 구비하는 양말에 있어서, 강긴박력부와, 상기 강긴박력부보다도 긴박력이 약한 약긴박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강긴박력부는 적어도 상기 제1 발가락을 지지하여 얻는 형태로 상기 제1 발가락 유입부에 배설(配設)된 제1 발가락 지지부와, 상기 뒷꿈치에 걸리게(係止)하여 얻는 형태로 상기 뒷꿈치 수용부에 배설된 뒷꿈치 걸림부와, 상기 제1 발가락 지지부와 뒷꿈치 걸림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편과, 상기 발의 제5 발가락을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5 발가락 유입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설된 제5 발가락피복부와, 상기 제5 발가락피복부와 상기 뒷꿈치 걸림부를 연결한 제2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약긴박력부는 상기 등피복부중 상기 제1 연결편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 상기 발바닥 피복부중 상기 제1 연결편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의 적어도 한 쪽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이다. 여기서, 「긴박력부」는 당겨서 펴지는 재료가 줄어들 때의 축소력을 말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has solved the above problem by providing a sock having the following feature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toe inlet portion for inserting a first toe of a foot, a fifth toe inlet portion for inserting a fifth toe of the foot, a hee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heel of the foot, And a foot covering portion covering the sole surface. The sock includes a strong force portion and a weak force portion having a weaker force than the rubber force portion. The rubber force portion has a shape obtained by supporting at least the first toe A first toe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toe inlet portion, a heel catching portion provided on the heel receiving portion in a shape obtained by being engaged with the heel, A fifth toe covering portion formed on the fifth toe inflow portion in such a shape as to surround the fifth toe of the foot and disposed on all or a part of the fifth toe inflow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fifth toe covering portion and the heel catching portion, wherein the weak force applying portion has a portion adjacent to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of the isofia abdomin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at least one region adjacent to a part of the sock. Here, the " long force portion " refers to a contracting force when the material to be stretched is reduced.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양말로서, 뒷꿈치 걸림부는 상기 발 뒷꿈치의 정부(頂部)을 제외하는 부분이고 상기 정부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긴박력부는 상기 뒷꿈치 걸림부에서 에워싸여진 부분이고, 상기 뒷꿈치의 정부을 덮는 뒷꿈치 정부 피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eel catching portion is a portion excluding the top portion of the heel and surrounds the crotch portion, and the weakened force portion is a portion surrounded by the heel catching portion And a heel portion covering portion covering the heel portion.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강긴박력부는 발의 둘레 빙향으로 제1 연결편의 질질 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끌림방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끌림방지편은 상기 등피복부와 발바닥피복부의 적어도 한 쪽을 전방부와 후방부를 구획하는 형태로 배설된 상기 제1 연결편에 연결되고, 상기 약긴박력부는 상기 구획된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wherein the strong force part includes a drag prevention piece for preventing dragging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in a circumferential bending direction of the foot, At least one of the sole covering portions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arranged to partitio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the weakened force portion includes the divided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제1 연결편은 띠 모양(帶狀)으로 형성되어 발의 내측단을 덮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강긴박력부는 발의 둘레 방향으로 제1 연결편의 질질 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띠 모양의 끌림방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끌림방지편은 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연결편의 폭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것과 함께 그의 중간부가 상기 등피복부 및 발바닥피복부를 각각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획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약긴박력부는 상기 구획된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iece is formed in a band shape to cover the inner end of the foot, Shaped pull-out piece for preventing dragging, wherein both ends of the drag-preventing pie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in the middle thereof, And the cover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weakened force portion includes the divided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약긴박력부는 상기 등피복부중 상기 제2 연결편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 상기 발바닥 피복부중 상기 제2 연결편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의 적어도 한 쪽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weakened force part has a portion adjacent to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of the isopapid abdomen and a portion adjacent to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nd at least one of the two regions.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에 따른 양말로서, 상기 양말은 발의 제2 발가락, 제3 발가락 및 제4 발가락 각각을 넣는 제2 발가락 유입부, 제3 발가락 유입부 및 제4 발가락 유입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강긴박력부는 상기 발의 제2 발가락을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2 발가락 유입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설된 제2 발가락피복부와, 상기 발의 제3 발가락을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3 발가락 유입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설된 제3 발가락피복부와, 상기 발의 제4 발가락을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4 발가락 유입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설된 제4 발가락피복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k includes a second toe inlet, a third toe inlet and a fourth toe inlet, each of which has a second toe, a third toe and a fourth toe, A second toe covering portion formed on the entirety or a part of the second toe inflow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toe of the foot, and a second toe cover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third toe of the foot, At least one of a third toe covering portion disposed on all or a portion of the three toe inlet portion and a fourth toe covering portion formed on the whole or a part of the fourth toe inlet portion in a shape to surround the fourth toe of the foot .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강긴박력부와, 상기 강긴박력부보다도 긴박력이 약한 약긴박력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강긴박력부는 적어도 제1 발가락을 지지하여 얻는 형태로 상기 제1 발가락 유입부에 배설된 제1 발가락 지지부와, 상기 뒷꿈치에 걸리게(係止)하여 얻는 형태로 상기 뒷꿈치 수용부에 배설된 뒷꿈치 걸림부와, 상기 제1 발가락 지지부와 뒷꿈치 걸림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편과, 상기 발의 제5 발가락을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5 발가락 유입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설된 제5 발가락피복부와, 상기 제5 발가락피복부와 상기 뒷꿈치 걸림부를 연결한 제2 연결편을 포함한다. 또한, 약긴박력부는 등피복부중 제1 연결편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 발바닥 피복부중 제1 연결편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의 적어도 한 쪽부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enghtening force part and a weak force part having a weaker force than the strong force part. Therefore, the strong and strong portion includes a first toe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toe inlet portion in a form obtained by supporting at least the first toe, and a second toe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heel receiving portion in a form obtained by being engaged with the heel, A fifth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first toe supporting part and the heel catching part, a fifth toe covering part formed on the fifth toe inflow part in a shape to surround the fifth toe of the foot,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fifth toe covering portion and the heel catching portion. In addition, the weak impuls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ortion between a portion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of the isopapid abdomen and a portion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out of the plantar covering portion.
상기와 같이 하는 일에 따라, 발에 신을 때에, 제1 발가락 지지부에서 지지된 제1 발가락을 뒷꿈치 걸림부와 제1 연결편에 의하여 후방측으로부터 인장하여 다른 4개의 발가락과 반대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힘을 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보행과 주행할 때에, 발의 제1 발가락에 힘을 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 발가락이 다른 4개의 발가락 방향의 외측을 향하고 있는 형태로 사람의 제1 발가락에 힘을 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행과 주행할 때에, 제5 발가락 피복부로 피복된 제5 발가락에 제1 발가락과는 반대방향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형태로 힘을 걸리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보행과 주행할 때에, 발의 제1 발가락에 내측을 향하는 형태의 힘을 걸리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보다 한층 제1 발가락에 힘을 걸리게 할 수 있게 하는 것과 함께, 작은 발가락이 내측으로 굽은 상태(內反小趾)를 교정하는 일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toe supported by the first toe support portion is pulled from the rear side by the heel catch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ther four toes .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force to the first toe of the foot when walking and running.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force to a first toe of a person in such a form that the first toe is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four toe directions.
Further, when walking and running, it is possible to force the fifth toe covered with the fifth toe covering portion in a shape directed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o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take a form of forc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toe of the foot when walking and runn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ce the first to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rrect the inward curved state of the small toe.
따라서, 보행과 주행할 때에 발에 보다 큰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등을 발휘하기 쉽게 하여 발의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굽은 상태(外反母趾)를 교정하는 일도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tion function of the foot by making it easier to exert the force, the quick-acting force,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calibrate the state of the toe to the second toe (exoskeleton).
또한, 이 때, 뒷꿈치 걸림부를 뒷꿈치에 결리게할 수 있어, 걸을 때나 달릴 때에 발바닥의 근육이 신축하는 등의 경우에서도 항상 제1 발가락 지지부를 뒷꿈치로부터 인장하는 힘을 가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강긴박력부의 기능이 저하하는 형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Also, at this time, the heel catch can be brought to the heel so that the first toe support can always be held in a state of applying a tensile force from the heel even when the muscles of the sole are stretched or shrunk when walking or runn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unction of the strong force portion from being deteriorated.
청구항 2에 따르면, 뒷꿈치 걸림부는 발 뒷꿈치의 정부(頂部)을 제외하는 부 분이고 상기 정부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약긴박력부는 상기 뒷꿈치 걸림부에서 에워싸여진 부분이고, 뒷꿈치의 정부을 덮는 뒷꿈치 정부 피복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상기와 같이 하는 일에 따라, 뒷꿈치 걸림부의 내측에 발의 뒷꿈치 하면의 정부가 억지로 들어가게 하는 상태로 되게 할 수 있어 뒷꿈치 걸림부를 발의 뒷꿈치 후면에 확실하게 걸리게 하는 상태로 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work, the inner surface of the heel receiving portion can be forc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el of the foot, so that the heel receiving portion can be reliably hel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el of the foot.
청구항 3 및 4에 따르면, 강긴박력부는 발의 둘레 방향으로 제1 연결편의 질질 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끌림방지편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상기와 같이 하는 일에 따라, 보행과 주행 시에 제1 연결편이 발의 둘레 방향으로 질질 끌려 이동하는 형태의 일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1 발가락 지지부를 항상 다른 4개의 발가락과는 반대방향의 내측을 향하게 하는 형태로 힘을 걸리게 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ng piece from being dragged and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oot during walking and running, so that the first toe support portion is always hel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ther four toe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in a form of facing the in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6에 따르면, 강긴박력부는 제2 발가락피복부와, 제3 발가락피복부와, 제4 발가락피복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이에 따라, 발의 제1 발가락에 더하여, 제2 발가락 내지 제4 발가락의 적어도 하나를 꽉 조르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보행과 주행할 때에 힘을 주는 것을 쉽게 하는 감각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일이 가능하고, 보다 한층,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등을 발휘하기 쉽게 할 수 있어 발의 운동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일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in addition to the first toe of the foot, it is possible to tight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to fourth to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 feeling that it is easy to give power when walking and running, and moreover, it is possible to easily exert the force and the quick-acting force, and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expect.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고의 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따른 양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양말을 신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s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ck in a state of being worn.
상기 실시형태의 양말(1)은 일반적인 양말과 동일한 모양으로 후방측에 발 유입부(11)를 구비하고, 상기 발유입부(11)로부터 발(100, 도 3에 도시)을 넣어서 신는 일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로 된다. 또한, 상기 양말(1)은 발등을 덮는 등피복부와, 발바닥면을 덮는 발바닥 피복부와, 발목부를 덮는 발목 피복부를 구비하는 일과 함께, 발의 뒷꿈치에 있어서 뒷꿈치 정부(頂部)(뒷꿈치 하면), 뒷꿈치 측면 및 뒷꿈치 후면을 수용하는 뒷꿈치 수용부(19)를 구비하고 있다.The sock 1 of the above embodiment has a
또한, 양말(1)은 발의 제1 발가락(엄지발가락 또는 발의 친지(親指))을 넣는 제1 발가락 유입부(13)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발의 제2 발가락 내지 제5 발가락 각각을 넣는 4개의 발가락 유입부(14)를 구비한다.The sock 1 also has a
상세히는, 발가락 유입부(14)는 제2 발가락을 넣는 제2 발가락 유입부(15)와, 제3 발가락을 넣는 제3 발가락 유입부(16)와, 제4 발가락을 넣는 제4 발가락 유입부(17)와, 제5 발가락(새끼발가락 또는 발의 소지(小指))을 넣는 제5 발가락 유입부(18)의 4개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양말(1)은, 강긴박력부(2)와, 상기 강긴박력부(2) 이외의 다른 부분에 배설되고 강긴박력부(2) 보다 긴박력이 약한 약긴박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강긴박력부(2)는,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를 연결하는 제1 연결편(5)과, 끌림방지편(6)과, 발가락 피복부(7) 등으로 구성된다. The sock 1 of the above embodiment has a
상기 실시형태에 제1 발가락 지지부(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가락 유입부(13)에 있어서 선단을 제외한 거의 전체에, 전 둘레에 걸쳐 배설되어 제1 발가락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거의 전체를 덮어서 피복된 제1 발가락을 제1 발가락 지지부(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형태로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toe-supporting
상기 실시형태에서 뒷꿈치 걸림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꿈치 수용부(19)에 배설되어 있고, 뒷꿈치 수용부(19)에 있어서 뒷꿈치의 정부를 제외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정부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진 각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뒷꿈치 걸림부(4)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형태인 발(100)의 뒷꿈치(120)에 있어서 좌우의 뒷꿈치 측면(121)로부터 뒷꿈치 후면(122) 및 뒷꿈치 정 부(123)(뒷꿈치 하면)의 전부(前部)를 덮는 일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2, the heel catching
여기서, 상기 뒷꿈치 걸림부(4)로부터 제1 발가락 지지부(3)까지의 길이(L1) (도 2에 도시)는 발의 뒷꿈치 후면(122)에서 제1 발가락의 기단부의 부분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양말(1)을 신고서 뒷꿈치 걸림부(4)를 뒷꿈치 후면(122)에 걸리게 할 때에, 뒷꿈치 걸림부(4) 및 후술한 제1 연결편(5)이 늘어난 상태로 되고, 뒷꿈치 걸림부(4) 및 후술한 제1 연결편(5)에 의해서 제1 발가락 지지부(3)로 지지된 제1 발가락이 후방측으로부터 인장된 상태로 된다.Here, the length L1 (shown in Fig. 2) from the
또한, 뒷꿈치 수용부(19)에 있어서 뒷꿈치 걸림부(4)의 내측(내주측(內周側)), 즉, 뒷꿈치 걸림부에서 에워싸여진 부분에는 상기 전부(前部)를 제외한 뒷꿈치 정부(123)를 덮는 뒷꿈치정부 피복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뒷꿈치정부 피복부(41)는 약긴박력부(상기의 다른 부분)의 일부를 구성하고, 뒷꿈치 걸림부(4)보다도 긴박력이 약하게 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연결편(5)은 띠 모양(帶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연결편(5)의 폭은 발의 내측단의 상부, 측부 및 하부를 덮는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편(5)의 폭은 상기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발의 내측단의 상부와 측부와 하부의 어느 하나 또는 두개를 덮는 정도의 폭도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상기 실시형태에서 발가락 피복부(7)는 발가락 유입부(14)의 제2 발가락 유입부(15) 내지 제5 발가락 유입부(18) 각각에 있어서 선단(先端)을 제외한 거의 전 체에, 상기의 전 둘레에 걸쳐 배설되어 제2 발가락 내지 제5 발가락 각각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발가락 피복부(7a), 제3 발가락 피복부(7b) 및 제4 발가락 피복부(7c) 및 제5 발가락 피복부(7d)의 네 개의 원통형상체로 구성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발가락 피복부(7a) 내지 제5 발가락 피복부(7d)는 인접한 것 사이가 기단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2 발가락 피복부(7a)와 제1 발가락 지지부(3)가 기단부에서 연결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끌림방지편(6)은 상기 제1 연결편(5)이 발의 둘레 방향으로 빗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끌림방지편(6)은 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제1 연결편의 대개 전후 중앙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길이방향의 타단부는 제1 연결편(5)의 거의 전후 중앙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The
또한, 끌림방지편(6)의 중앙부는 등피복부와 발바닥 피복부 각각의 전후 중앙부에, 그것의 각각을 가로지르(橫切)는 형태로 배설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끌림방지편(6)의 중앙부는 제1 연결편(5)의 길이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연결편(5)으로부터 발등 및 외측단, 또한 상기 외측단으로부터 발바닥을 통해서 제1 연결편(5)까지 연장되고, 발을 폭방향으로 주회(周回)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등피복부와 발바닥 피복부의 각각은 끌림방지편(6)에 의해서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의 등피복부와 발바닥 피복부의 각각은 끌림방지편(6)이 배설된 전후의 중앙부와, 끌림방지편(6)에 의해서 구획된 전방부 및 후방부로부터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기 실시형태에서 약긴박력부는, 상술된 끌림방지편(6)에 의해서 구획된 등피복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 발바닥 피복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 발가락정부 피복부(41), 족수(足首)피복부, 및 제1 발가락 유입부(13) 내지 제5 발가락 유입부(18) 각각의 선단부를 포함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agile portion include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isoptoedic abdominal region divided by the above-described
그리고, 등피복부의 전방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긴박력부(2)의 제1 발가락 지지부(3), 제1 연결편(5), 끌림방지편(6), 및 발가락 피복부(7) 각각과 인접하고, 등피복부의 후방부는 제1 연결편(5) 및 끌림방지편(6) 각각과 인접하여 있다.1 and 2, the front portion of the sole abdominal portion has a first
또한, 발바닥 피복부의 전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바닥 지지부(3), 제1 연결편(5), 끌림방지편(6), 및 발가락 피복부(7) 각각과 인접하고, 발바닥 피복부의 후방부는 제1 연결편(5), 끌림방지편(6), 및 뒷꿈치 걸림부(4) 각각과 인접한다.The front portion of the sole covering portion is adjacent to each of the first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강긴박력부(2)를 구성한 상기 제1 발바닥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발가락 피복부(7), 및 제1 연결편(5)은, 7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에 30 데니어의 나일론을 커버링(covering)한 4개의 실(SCY PU70d/NY30d)을 이용하여 천축편(天竺編)(평편(平編))의 편조직으로 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또한, 강긴박력부(2)를 구성한 끌림방지편(6)은 표사(表絲)로서 폴리에스테르와 솜(綿)을 혼방(混紡)한 32번의 단계(32/1 T/C)를 이용하고, 또는 리사(裏絲)로서 2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에 70 데니어의 나일론을 커버링한 실(SCY PU20d/NY70d)을 이용하여서 리브편(고무편)의 편조직으로 되어 있다.The
한편, 상기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발가락 피복부(7), 제1 연결편(5), 및 끌림방지편(6) 이외의 다른 부분, 즉 약긴박력부는 끌림방지편(6)과 동일한 표사 및 리사를 이용하여 천축편(天竺編)(평편(平編))의 편조직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ortion other than the first
이러한 형태로서, 상기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발가락 피복부(7), 및 제1 연결편(5)을, 상기 약긴박력부(상기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사용하는 실 및 뜨는 방법(編み方)을 변화시키는 일에 따라 그 약긴박력부보다 긴박력이 강한 것으로 형성되게 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또한, 끌림방지부(6)를, 상기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발가락 피복부(7), 및 제1 연결편(5)에 대하여, 사용하는 실 또는 뜨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일에 따라, 그의 부분보다 긴박력이 약한 것으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끌림방지부(6)를, 상기 약긴박력부에 대하여, 뜨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일에 따라, 상기 약긴박력부보다 긴박력이 강한 것으로 형성되게 한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hread or a method of using the
이상의 형태로 구성되는 일에 따라, 상기 양말(1)을 발에 신으면,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연결편(5)이 늘어난 상태에서 뒷꿈치 걸림부(4)가 뒷꿈치 후면(122)에 걸리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발가락 지지부(3)로 지지된 제1 발가락을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연결편(5)에 의해서 후방측으로부터 인장된 상태로 될 수 있고, 다른 4개의 발가락과는 반대방향의 내측(도 1의 X방향)을 향하는 형태로 힘을 가할 수 있게 하고, 제1 발가락을 내측을 향한 상태로 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sock 1 is put on the foot, the
또한, 이 때,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연결편(5)을, 상기 약긴박력부보다도 긴박력이 강한 것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발가락이 내측을 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the first
이에 따라, 걸을 때나 달릴 때에, 발의 제1 발가락에 힘을 용이하게 주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행이나 주행 시에 발에는 보다 큰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 등을 가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여 발의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일을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1 발가락이 다른 4개의 발가락 방향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형태인 사람의 제1 발가락을 내측을 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제1 발가락에 힘을 줄 수 있게 한다.This makes it easier to apply force to the first toe of the foot when walking or run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a force or a quick-acting force to the foot for a greater standing during walking or running, thereby improving the motion function of the foot. Particularly, the first toe of the person having the first toe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four toes can be made to be inwardly directed, and the first toe can be applied.
또한, 이 때, 뒷꿈치 걸림부(4)를 뒷꿈치 후면에 걸리게 하기 위해서, 걸을 때나 달릴 때 때에 발바닥의 근육을 신축하는 등으로 하는 경우에서도 항상 제1 발가락 지지부(3)를 뒷꿈치 후면으로부터 인장된 힘을 걸리게 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engage the
또한, 뒷꿈치 걸림부(4)는 대략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의 내주측에 뒷꿈치 걸림부(4)보다 긴박력이 약한 형태로 구성된 뒷꿈치정부 피복부(4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뒷꿈치 걸림부(4)의 내주측에 발의 뒷꿈치 하면이 용이하게 유입되는 상태가 가능하고, 뒷꿈치 걸림부(4)를 뒷꿈치 후면에 확실하게 걸리게 할 수 있게 한다.Since the
또한, 끌림방지편(6)에 의해서, 걸을 때나 달릴 때 때에, 제1 연결편(5)이 발의 원주방향으로 끌려 이동하는 형태로 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발가락 지지부(3)를 항상 다른 4개의 발가락과는 반대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형태로 힘을 걸리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ng
더욱이, 발가락 피복부(7)에 의해서, 발의 제1 발가락 내지 제5 발가락 각각을 꽉 조르는 일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발가락 내지 제5 발가락 각각의 부분을 꽉 조르는 일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을 때나 달릴 때에 각각의 발가락에 대하여 힘을 걸리게 하여서 버티어 서는 힘이나 순발력 등을 발휘하기에 용이한 감각을 가지는 일이 가능하고, 발의 운동기능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일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Moreover, it is possible to tightly fasten the first to fifth toes of the foot by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뒷꿈치 걸림부(4)는 뒷꿈치의 정부를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대략 고리 모양(아주 동그란 링 형상을 포함)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뒷꿈치 걸림부(4)를, 뒷꿈치 수용부(19)에 있어서 거의 전 영역에서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의 뒷꿈치의 정부, 뒷꿈치 측면 및 뒷꿈치 후면을 덮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도, 뒷꿈치 걸림부(4)를 발의 뒷꿈치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또는 뒷꿈치 걸림부(4)는 각형상의 것도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뒷꿈치 걸림부(4)를, 뒷꿈치의 정부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진 고리 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체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 일부가 걸리지 않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와 제 1 연결편(5)에 의해서, 발의 제1 발가락만을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5 발가락을 외측으로 향하게 하는 형태로 제5 발가락에 힘을 걸리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first toe of the foot is directed inward by the first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발가락 피복부(7d)과 뒷꿈치 걸림부(4)를 연결하는 제2 연결편(8)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연결편(8)과 등피복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와 인접시키는 것과 함께, 제2 연결편(8)과 발바닥 피복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와 인접시킨다. 상기 형태로 구성시키는 일에 따라, 발에 신을 때, 제5 발가락 피복부(7d)로 피복된 제5 발가락을, 뒷꿈치 걸림부(4)와 제2 연결편(8)에서 후방측으로부터 인장되어서 외측방향(도 6의 Y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형태로 힘을 걸리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second connecting
그 결과, 걸을 때나 달릴 때에, 발의 제1 발가락에 내측을 향하는 형태로 작용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보다 한층, 제1 발가락에 힘을 걸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작은 발가락이 내측으로 굽은 상태(內反小趾)를 교정하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work in the form of being directed toward the first toe of the foot when walking or runn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rce the first toe furth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rrect a state in which the small toe is curved inward (inboard small to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발가락 피복부(7)는 제2 발가락 피복부(7a) 내지 제5 발가락 피복부(7d)의 4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발가락 피복부(7)를 제2 발가락 피복부(7a) 내지 제5 발가락 피복부(7d)의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발가락 피복부(7)를, 전체 설치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가락 피복부(7) 전체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양말(1)의 발가락 유입부(14)를 제2 발가락 유입부(15) 내지 제5 발가락 유입부(18)를 가진 형상의 것으로 되지 않고, 제2 발가락 내지 제5 발가락을 동시에 유입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발가락 지지부(3)를 제1 발가락 유입부(13)의 일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발가락 지지부(3)를 제1 발가락 유입부(13)의 전체에 설치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가락 피복부(7a) 내지 제5 발가락 피복부(7d)에 있어서도, 제2 발가락 유입부(15) 내지 제5 발가락 유입부(18) 각각의 일부에 설치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2 발가락 피복부(7a) 내지 제5 발가락 피복부(7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2 발가락 유입부(15) 내지 제5 발가락 유입부(18) 각각의 전체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발가락 피복부(7)를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원통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지만, 원주방향으로 일부가 연결되지 않은 원통형상의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긴박력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등피복부 및 발바닥 피복부 각각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약긴박력부로 하고, 그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제1 연결편(5)에 인접시키고 있지만, 약긴박력부는 등피복부 중 제1 연결편(5)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 발바닥 피복부 중 제1 연결편(5)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의 적어도 한쪽의 부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 며,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each of the sole abdominal portion and the sole covering port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weak impulse portion are made weak and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thereof are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예를 들어 등피복부와 발바닥부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전방부와 후방부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1 연결편(5)에 인접시킨다, 또는, 등피복부와 발바닥 피복부와의 적어도 한쪽의 전체를 약긴박력부로 하고, 그의 약긴박력부를 제1 연결편(5)에 인접시킨다.One or both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또한, 제1 연결편(5)에 더하여 제2 연결편(8)을 설치하는 경우, 동일한 형태에서, 약긴박력부는 등피복부 중 제2 연결편(8)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 발바닥 피복부 중 제2 연결편(8)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위와의 적어도 한쪽의 부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second connecting
또한, 발가락 피복부(7)를 2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것도 바람직하지만, 연결되지 않고 별개로 독립하여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When two or mor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끌림방지편(6)을 1개만 설치하였지만, 그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5)의 거의 전후방 중앙에 양단을 연결시킨 제1 끌림방지편(61)과, 뒷꿈치 걸림부(4)에 양단을 연결시킨 제2 끌림방지편(62)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one
상기로 하는 일에 따라, 제1 끌림방지편(61)이 주로 제1 연결편(5)의 발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끌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2 끌림방지편(62)이 제1 연결편(5)의 발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끌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뒷꿈치 걸림부(4)의 발의 뒷꿈치에 대하여 끌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work, the first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끌림방지편(6)을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및 제1 연결편(5)보다 긴박력이 약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끌림방지편(6)을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및 제1 연결편(5)과 동일한 긴박력으로 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단지, 끌림방지편(6)의 긴박력을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및 제1 연결편(5)과 동일하게 하고서, 신을 때에, 제1 발가락 지지부(3)로 지지된 제1 발가락에 걸리고 뒷꿈치 걸림부(4) 및 제1 연결편(5)에 따라 인장력이, 상기 긴박력이 약한 경우와 비교하여 적게 되는 우려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에, 끌림방지편(6)을 제1 발가락 지지부(3), 뒷꿈치 걸림부(4) 및 제1 연결편(5)보다 긴박력이 약한 것으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ng force of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와 발가락 피복부(7)와 제1 연결편(5)을, 동일한 크기의 긴박력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그런 것들의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다른 것과 긴박력 크기의 차이로 설치한 것도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또한, 강긴박력부(2) 이외의 다른 부분에 있는 약긴박력부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형태 전부를 동일한 긴박력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다른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편조직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정한 변경이 가능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ll of the shapes of the above embodiments are formed with the same long force even in the case of the weakly impressed portions in the portions other than the strong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강긴박력부(2) 및 다른 부분에 있는 약긴박력부를, 각부의 전체를 동일한 편조직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정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강긴박력부(2) 또는 다른 부분에 있는 약긴박력부를, 소정의 실을 이용하여 소정의 편(編)으로 형성하는 일과 함께, 그 도중에 다른 실 또는 다른 뜨는 방법을, 또는 다른 실 및 다른 뜨는 방법을 혼재시키는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강긴박력부(2)를 상기 실(SCY PU70d/NY30d)을 이용하여 천축편으로 하고, 그 도중에, 상기 다른 부분을 구성한 상기 단사(單絲)(32/1 T/C)와 상기 실(SCY PU20d/NY70d)을 이용하여 리브편으로 한 부분을 배설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그의 다른 실 또는 다른 뜨는 방법을 혼재시킨 범위는 강긴박력부(2)의 긴박력이 상기 다른 부분보다도 강하게 되는 범위라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또는, 상기 강긴박력부(2)를 상기 다른 부분에 있는 약긴박력부에 대하여, 사용하는 실과 뜨는 방법 중 하나 또는 양방을 변화시키는 일에 따라, 상기 다른 부분에 있는 약긴박력부보다 긴박력의 강한 것으로 형성하는 일이 가능하고,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Alternatively, depending on a change in one or both of the yarn used and the method of levying the
또는, 예를 들어 동일한 실 및 뜨는 방법에 따라서 거의 전체에 동일한 긴박력의 양말 본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그의 양말 본체보다도 긴박력이 강한 합성수지등으로 구성된 시트형상 물건 또는 포지(布地)를, 프린트, 접착, 봉착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서 부착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양말본체의 일부에 프린트하는 일에 따라, 해당되는 일부에 긴박력의 강한 부분을 형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ame thread and method of flotation, a sock body of substantially the same overall length is formed. Therefor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heet-like article or the cloth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having a stronger force than the sock body thereof is attached by means of printing, adhesion, sealing or other attaching means.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synthetic resin is formed on a part of the sock main body so as to form a strong part having long force.
또한,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연결편(5)의 긴박력의 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말(1)을 신을 때에 제1 발가락 지지부(3)와 뒷꿈치 걸림부(4)와 제1 연결편(5)의 인장력에 의해서 제1 발가락이 내측을 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긴박력을 가지는 것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The value of the long force of the first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말을 발의 발목까지를 덮는 형상의 것으로부터 구성하고 있지만, 이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발의 무릎까지를 덮는 것, 타이즈, 스타킹, 팬티스타킹 등에서도 양호하며,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ock is configured to cover the ankle of the foot. However, the sock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For example, the sock may cover the knee of the foot, tights, stockings, pantyhose, Appropriate change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양말을 보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s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양말의 저면도이다.2 is a bottom view of the sock.
도 3은 상기 양말을 신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cks are put on.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양말을 보인 저면도이다.4 is a bottom view showing a s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는 상기 다른 실시형태의 양말을 신은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ck of the above-described other embodiment in a stretched state.
도 6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양말을 보인 저면도이다.6 is a bottom view showing a sock of another embodiment.
도 7은 다른 또 하나의 실시형태의 양말을 보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sock of another embodiment.
도 8은 상기 다른 또 하나의 실시형태의 양말을 신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ck of another still another embodiment is wor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양말 2: 강긴박력부1: sock 2: strong force part
3: 제1 발가락 지지부 4: 뒷꿈치 걸림부3: first toe support part 4: heel catching part
5: 제1 연결편 6: 끌림방지편5: first connecting piece 6:
Claims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56404 | 2008-06-16 | ||
JP2008156404A JP5199743B2 (en) | 2008-06-16 | 2008-06-16 | sock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0816A KR20090130816A (en) | 2009-12-24 |
KR101580598B1 true KR101580598B1 (en) | 2015-12-28 |
Family
ID=4154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1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0598B1 (en) | 2008-06-16 | 2009-06-11 | sock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199743B2 (en) |
KR (1) | KR101580598B1 (en) |
CN (1) | CN101627838B (en) |
TW (1) | TWI46394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13301A (en) * | 2012-04-04 | 2013-10-17 | Toscom:Kk | Sock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CN102715702B (en) * | 2012-06-17 | 2015-02-04 | 无锡市优耐特石化装备有限公司 | Sole protective cover device |
JP6449036B2 (en) * | 2015-02-02 | 2019-01-09 | 岡本株式会社 | Leg wear |
JP6305960B2 (en) * | 2015-04-28 | 2018-04-04 | 学校法人山野学苑 | socks |
JP6377580B2 (en) * | 2015-07-27 | 2018-08-22 | 美津濃株式会社 | socks |
KR102180657B1 (en) | 2016-10-07 | 2020-11-19 | 남소현 | Tights |
TWI657811B (en) * | 2018-03-02 | 2019-05-01 | 許文華 | Lower limb orthosis |
RU197002U1 (en) * | 2020-01-31 | 2020-03-24 | Мария Сергеевна Михайлова | Sock with anti-hallus corset sewn into 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3525U (en) | 2001-07-19 | 2002-02-08 | 賢明 薛 | Sock structure |
JP2006348406A (en) | 2005-06-14 | 2006-12-28 | Wacoal Corp | Foot conditioning wear |
JP3137194U (en) * | 2007-09-04 | 2007-11-15 | 五生 安川 | Socks and support devices that support the arch of the foot |
JP2008121177A (en) | 2006-10-20 | 2008-05-29 | Kazuo Hasegawa | Sock and support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0822Y2 (en) * | 1989-12-18 | 1992-03-17 | ||
JP2006225802A (en) * | 2005-02-18 | 2006-08-31 | Sayuri Ono | Calf tightening tool and leg garment |
DE202006001379U1 (en) * | 2006-01-27 | 2006-06-22 | X-Technology Swiss Gmbh | sock |
-
2008
- 2008-06-16 JP JP2008156404A patent/JP5199743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06-03 TW TW098118332A patent/TWI463949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6-11 KR KR1020090051842A patent/KR1015805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15 CN CN200910203676XA patent/CN101627838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3525U (en) | 2001-07-19 | 2002-02-08 | 賢明 薛 | Sock structure |
JP2006348406A (en) | 2005-06-14 | 2006-12-28 | Wacoal Corp | Foot conditioning wear |
JP2008121177A (en) | 2006-10-20 | 2008-05-29 | Kazuo Hasegawa | Sock and supporter |
JP3137194U (en) * | 2007-09-04 | 2007-11-15 | 五生 安川 | Socks and support devices that support the arch of the fo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627838B (en) | 2013-06-12 |
JP5199743B2 (en) | 2013-05-15 |
CN101627838A (en) | 2010-01-20 |
TW201012402A (en) | 2010-04-01 |
KR20090130816A (en) | 2009-12-24 |
HK1136473A1 (en) | 2010-07-02 |
JP2009299236A (en) | 2009-12-24 |
TWI463949B (en) | 2014-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0598B1 (en) | socks | |
CN108813750B (en) | Leg garment ornament | |
EP0705543B1 (en) | Lower leg protection garment | |
US9526651B2 (en) | Lower leg supporter | |
EP3053472A1 (en) | Shoes | |
JP5031311B2 (en) | Footwear and socks | |
WO2011090191A1 (en) | Foot wear | |
CN110352018B (en) | Knitted sock with target compression area and method for lifting and stretching metatarsal aponeurosis | |
US12054858B2 (en) | Knit sock with targeted compression zone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tretching the plantar fascia | |
AU2011329538A1 (en) | Knit sock with targeted compression zone | |
EP2636779B1 (en) | Sock | |
JP5411083B2 (en) | Leg wear | |
CA2985562A1 (en) | Wearing article and footwear | |
JP5704860B2 (en) | socks | |
JP5881805B2 (en) | socks | |
JP5220807B2 (en) | socks | |
JP5936025B2 (en) | Support socks | |
HK1136473B (en) | Socks | |
KR20230167294A (en) | Socks | |
JP2002266104A (en) | Stock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JPH08209402A (en) | Sock and its production | |
KR200486657Y1 (en) | No sewing socks on the floor | |
JP3042180U (en) | Socks | |
JP2022125482A (en) | Hallux valgus correction sock | |
HK1256919B (en) | Leg covering i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