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0134B1 - 자외선 차단 마스크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134B1
KR101580134B1 KR1020140080857A KR20140080857A KR101580134B1 KR 101580134 B1 KR101580134 B1 KR 101580134B1 KR 1020140080857 A KR1020140080857 A KR 1020140080857A KR 20140080857 A KR20140080857 A KR 20140080857A KR 101580134 B1 KR101580134 B1 KR 101580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face
ear
ultraviolet
wo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순
Original Assignee
전종순
(주)신원산업공구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순, (주)신원산업공구마트 filed Critical 전종순
Priority to KR102014008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1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골프 등 운동 및 야외 활동시에 자외선이 얼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자외선 차단을 위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볼을 덮는 직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면체(10)와, 상기 면체(10)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턱을 감싸는 연결부(20)와, 상기 면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30)로 구성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면체(10)의 상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안면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밀착부(11)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턱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변화를 막기 위해 탄성밴드(2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면체(10)의 하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턱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2밀착부(1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 윤곽에 맞게 단부 형상을 조절하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조절부(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마스크{ MASK FOR INTERCEPTING ULTRAVIOLET RAYS }
본 발명은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골프 등 운동 및 야외 활동시에 자외선이 얼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등산, 낚시, 스키, 해수욕, 야유회, 테니스 등 각종 야외 레저 활동(행사), 운전이나 야외 작업 등을 하게 되면 얼굴이 햇빛에 노출되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행하여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조치로는 모자의 착용이나 자외선 차단제의 적용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얼굴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지만, 효과 지속 시간이 수 시간 정도에 불과하므로 수시로 적용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고, 적용하였을 때의 끈적거림과 사용 후 세안을 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모자는 얼굴에 그늘을 형성함으로써 어느 정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긴 하지만, 모자 그늘이 착용자의 얼굴 전체를 가리기엔 불충분하여 자외선 차단이 충분하지 아니하며, 특히 모자는 모자 창의 그늘로부터 벗어나기 쉬운 턱이나 볼 부분에 대해서는 자외선 차단이 미미하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 코와 입을 비롯하여 눈 아래의 얼굴 전면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전통적인 마스크의 기능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안면 마스크가 운동용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이런 안면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리기 때문에 운동 등의 야외 활동시 시야를 방해하고, 겨울철 입김에 의해 선글라스 및 안경 등에 김 서림이 발생한다.
또한, 여성의 경우 입이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이 묻어나 매번 사용 후 세척해야하고, 입을 가리기 때문에 대화 및 음료섭취, 식사 시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코와 입이 노출되어 선글라스 안경 등의 입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여 편하게 숨을 쉬도록 하고, 입으로 말하거나 음식물을 자유로이 먹을 수 있으며, 땀과 노폐물을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부재를 구성하여 마스크가 땀과 노폐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입에 움직임에 따른 마스크의 위치 이동 등을 방지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자외선 차단을 위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볼을 덮는 직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면체(10)와, 상기 면체(10)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턱을 감싸는 연결부(20)와, 상기 면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30)로 구성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면체(10)의 상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안면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밀착부(11)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턱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변화를 막기 위해 탄성밴드(2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면체(10)의 하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턱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2밀착부(1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 윤곽에 맞게 단부 형상을 조절하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조절부(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면체(10)에는, 통풍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구(16)와 피부와 접촉되는 일측면으로 땀흡수를 위한 땀흡수부재(18)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30)는 상기 면체(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귀고정수단(31)과 상기 귀고정수단(3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귀고정수단(3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끈(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면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착용자의 얼굴크기에 맞게 상기 결속끈(32)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결속끈(32)의 일측이 귄취되는 권취부(41)와 권취된 결속끈(3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46)이 형성된 고정편(45)으로 이루어진 고정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골프 등의 운동 및 야외할동시 코 부터 입까지 개방되어 있어 숨쉬기에 용이하고, 상대방과의 대화에서도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운 날씨로 인하여 땀을 많이 흘려 수분 부족으로 물을 많이 마시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벗을 필요가 없이 착용한 상태에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흔들리거나 벗겨질 염려가 없고, 얼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 마스크 상측부가 접혀지거나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며,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가 편하다.
그리고, 여름에는 노폐물 및 땀을 흡수할 수 있어 마스크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에는 착용자의 입김으로 인한 안경 또는 선글라스에 김 서림을 방지하며, 양볼에 착용 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는 얼굴의 특정부분을 가려 보온의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착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
도 5는 본 발명 중 고정구에 대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착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착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이고, 도 5는 본 발명 중 고정구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착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바람직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을 위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볼을 덮는 직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면체(10)와, 상기 면체(10)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턱을 감싸는 연결부(20)와, 상기 면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면체(10)의 상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안면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밀착부(11)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턱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변화를 막기 위해 탄성밴드(2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11)는 착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광대뼈의 형상에 맞게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면체(10)의 상측단이 상호 겹쳐져 재봉되고, 재봉된 상측단의 길이는 2 내지 4cm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겹쳐지는 상측단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밀착부(1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정해진다.
즉, 상기 밀착부(1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면체의 상측단이 착용자의 광대뼈에 긴밀히 밀착되어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25)는 착용자의 의사소통시 턱관절에 움직임에 의해 상기 연결부(20)가 착용자의 턱에 위치하지 않고, 입 주변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탄성밴드(25)는 착용자의 턱관절에 움직임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해 턱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면체(10)의 하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턱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2밀착부(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밀착부(12)는 착용자의 턱 형상에 맞게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면체(10)의 하측단이 상호 겹쳐져 재봉되고, 재봉된 상측단의 길이는 2 내지 4cm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겹쳐지는 하측단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밀착부(12)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정해진다.
즉, 상기 제2밀착부(1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면체의 하측단이 착용자의 턱에 긴밀히 밀착되어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에는 착용자의 안면 윤곽에 맞게 상기 상, 하측단부 형상을 조절하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조절부(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15)는 각기 다른 착용자의 광대뼈 형상 및 턱 윤곽에 맞게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부 형상을 조절하기 위하여 연질의 금속재를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 내부에 삽입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조절부(15)는 보관 및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부 전체에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 하측단부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2 내지 4cm 정도로 형성된 연질의 금속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면체(10)에는, 통풍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구(16)와 피부와 접촉되는 일측면으로 땀흡수를 위한 땀흡수부재(18)가 결합되어 운동 및 야외활동시 발생되는 땀을 억제하고, 발생되는 땀을 흡수시켜 착용시 답답하거나 땀으로 인한 불쾌함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통풍구는 상기 면체(10)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땀흡수부재(18)는 상기 면체(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호 접촉되는 일측에 벨크로테이프을 결합하여 상호 착탈 및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귀걸이부(30)는 상기 면체(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귀고정수단(31)과 상기 귀고정수단(3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귀고정수단(3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끈(32)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귀걸이부(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다리와 같은 ㄱ자 형상의 귀고정수단(31)이 귀와 근접한 상기 면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안착되고, 상기 귀고정수단(31)의 타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등으로 이루어진 결속끈(32)을 결합하여 착용자의 과한 움직임으로 인한 마스크의 벗겨짐 또는 귀고정수단(31)의 이탈을 방지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면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결속끈(32)의 길이 조절을 위한 고정구(40)를 결합하여 상기 결속끈(3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얼굴크기에 맞게 착용 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끈(32)의 길이를 상기 고정구(40)에 의해 작게 줄이면 상기 귀고정수단(31)과 상기 결속끈(32)이 이루는 귀걸이부(30)의 크기가 작아져 얼굴이 작은 여성 및 청소년 등이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결속끈(32)의 길이를 길게 늘리면 상기 귀고정수단(31)과 상기 결속끈(32)이 이루는 귀걸이부(30)의 크기가 커져 얼굴이 큰 성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손끈()의 일측이 귄춰되는 권취부(41)와 권취된 결속끈(3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46)이 형성된 고정편(4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귀고정수단(31)의 타측에 결합된 결속끈(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결속끈(32)의 일측이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41)와 상기 권취된 결속끈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속끈(32)이 삽입되는 일측은 넓고,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의 고정홈(46)을 형성한 고정편(4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을 위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볼을 덮는 직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면체(10)와, 상기 면체(10)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턱을 감싸는 연결부(20)와, 상기 면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30)로 구성되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면체(1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안면과턱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밀착부(11) 및 제2밀착부(12)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턱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변화를 막기 위해 탄성밴드(25)가 포함되어 상기 밀착부(11)는 착용자의 광대뼈와 밀착이 되고, 제2밀착부(12)는 턱관절과 밀착이 되며, 상기 탄성밴드(25)는 턱 아래와 밀착되어 착용된다.
이렇게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된 자외선 차단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과 긴밀히 밀착되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의사소통 등에 의한 움직임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에는 착용자의 안면 윤곽에 맞게 상기 상, 하측단부 형상을 조절하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조절부(15)가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부(15)는 각기 다른 착용자의 광대뼈 형상 및 턱 윤곽에 맞게 연질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맞게 구부러져 사용된다.
즉,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맞게 구부러지는 연질의 금속재를 사용하여 고개를 숙이거나 운동 등의 움직임에도 자외선 차단 마스크가 차용자의 안면에서 들뜨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면체(10)에는, 통풍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구(16)가 형성되어 오랜 착용에도 땀 발생을 줄이고, 운동 등으로 발생된 땀은 상기 면체(10)와 벨크로테이프를 사용해 결합되는 땀흡수부재(18)로 흡수하여 답답하거나 땀으로 인한 불쾌함을 방지하며, 여성 사용자 경우 메이크업이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묻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시 고정하는 귀걸이부(30)의 편리함과 안착력 증대를 위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다리와 같은 ㄱ자 형상의 귀고정수단(31)과 상기 귀고정수단(31)의 타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등으로 이루어진 결속끈(32)을 결합하여 착용자의 운동 등의 움직임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면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결속끈(32)의 길이 조절하는 고정구(40)를 결합하여 착용자가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 후 착용자의 안면과 귀의 거리에 알맞게 결속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권취부에 상기 결속끈(32)을 권취 시키고, 권취된 상기 결속끈(32)의 일측을 역삼각형의 고정홈(46)이 형성된 고정편(45)에 끼움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외선 차단마스크는 골프 등의 운동 및 야외할동시 코 부터 입까지 개방되어 있어 숨쉬기에 용이하고, 상대방과의 대화에서도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운 날씨로 인하여 땀을 많이 흘려 수분 부족으로 물을 많이 마시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벗을 필요가 없이 착용한 상태에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흔들리거나 벗겨질 염려가 없고, 얼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 마스크 상측부가 접혀지거나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며,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가 편하다.
그리고, 여름에는 노폐물 및 땀을 흡수할 수 있어 마스크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에는 착용자의 입김으로 인한 안경 또는 선글라스에 김 서림을 방지하며, 양볼에 착용 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는 얼굴의 특정부분을 가려 보온의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면체 11 : 밀착부
12 : 제2밀착부 15 : 조절부
16 : 통풍구 18 : 땀흡수부재
20 : 연결부 25 : 탄성밴드
30 : 귀걸이부 31 : 귀고정수단
32 : 결속끈 40 : 고정구
41 : 권취부 45 : 고정편
46 : 고정홈

Claims (6)

  1. 자외선 차단을 위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볼을 덮는 직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면체(10)와, 상기 면체(10)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턱을 감싸는 연결부(20)와, 상기 면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30)로 구성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면체(10)의 상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안면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밀착부(11)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턱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변화를 막기 위해 탄성밴드(2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면체(10)에는, 통풍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구(16)와 피부와 접촉되는 일측면으로 땀흡수를 위한 땀흡수부재(1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체(10)의 하측단에서 중앙으로 재봉되어 착용시 턱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2밀착부(1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체(10)의 상, 하측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 윤곽에 맞게 단부 형상을 조절하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조절부(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30)는 상기 면체(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귀고정수단(31)과 상기 귀고정수단(3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귀고정수단(3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끈(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면체(10)의 일측 외주면에 착용자의 얼굴크기에 맞게 상기 결속끈(32)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결속끈(32)의 일측이 귄취되는 권취부(41)와 권취된 결속끈(3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46)이 형성된 고정편(45)으로 이루어진 고정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0140080857A 2014-06-30 2014-06-30 자외선 차단 마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101580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57A KR101580134B1 (ko) 2014-06-30 2014-06-30 자외선 차단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57A KR101580134B1 (ko) 2014-06-30 2014-06-30 자외선 차단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134B1 true KR101580134B1 (ko) 2015-12-28

Family

ID=5508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8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0134B1 (ko) 2014-06-30 2014-06-30 자외선 차단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681A (ko) 2019-08-19 2021-03-02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착용감 향상 구조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220059144A (ko) 2020-11-02 2022-05-10 홍성호 골프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34Y1 (ko) * 2005-01-26 2005-04-14 문만근 굴곡 밀착구조를 갖는 마스크
KR200437319Y1 (ko) * 2007-06-30 2007-11-28 이금선 입과 코가 노출되는 햇볕가리개
KR20090000524U (ko) * 2007-07-13 2009-01-16 김미화 햇빛 가리개용 커버
KR20130018391A (ko) * 2011-08-13 2013-02-21 황명수 밀착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용 볼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34Y1 (ko) * 2005-01-26 2005-04-14 문만근 굴곡 밀착구조를 갖는 마스크
KR200437319Y1 (ko) * 2007-06-30 2007-11-28 이금선 입과 코가 노출되는 햇볕가리개
KR20090000524U (ko) * 2007-07-13 2009-01-16 김미화 햇빛 가리개용 커버
KR20130018391A (ko) * 2011-08-13 2013-02-21 황명수 밀착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용 볼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681A (ko) 2019-08-19 2021-03-02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착용감 향상 구조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220059144A (ko) 2020-11-02 2022-05-10 홍성호 골프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420A (en) Protective head gear for wrestlers
US8387163B2 (en) Flexible face mask apparatus
US5107543A (en) Goggle engaging face mask device and method
US4189141A (en) Mask for exercising facial muscles
US20140196200A1 (en) Flexible full coverage face mask
US20140196187A1 (en) Flexible medium coverage face mask
US8209778B2 (en) Headgear
US20140109281A1 (en) Swimming Cap
US8769719B2 (en) Swim cap, particularly for users having long hair
KR20000056994A (ko) 2색 양면 호환 스파링 헤드기어
KR101297466B1 (ko)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KR101011224B1 (ko) 스포츠웨어 및 아웃도어 의류
JP3010049U (ja) クッキング用マスク
KR101580134B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20090005536U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KR100801178B1 (ko) 안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모자
US20160219963A1 (en) Protective Hood
CN223094868U (zh) 一种防下滑的帽檐及防晒面罩
KR20100007950U (ko) 마스크
KR101643625B1 (ko) 밀착 조절형 다기능두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