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9070B1 -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 Google Patents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070B1
KR101579070B1 KR1020140103924A KR20140103924A KR101579070B1 KR 101579070 B1 KR101579070 B1 KR 101579070B1 KR 1020140103924 A KR1020140103924 A KR 1020140103924A KR 20140103924 A KR20140103924 A KR 20140103924A KR 101579070 B1 KR101579070 B1 KR 10157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se station
bearer
sipto
core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지승환
이현석
정웅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4010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070B1/ko
Priority to US14/600,479 priority patent/US935123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0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2Route determination based on requested QoS
    • H04L45/306Route determination based on the nature of the carried application
    • H04L45/3065Route determination based on the nature of the carried application for real 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의 로컬 네트워크로의 오프로드를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부하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시킨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펨토 기지국과 인터넷에 연결된 SDN 스위치 및 SDN 스위치와 분리된 채 SDN 스위치를 제어하는 SDN 제어기로 이루어진 SDN에서 이동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에 대해 수행하되, SDN 제어기가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베어러 정보를 전달받는 (a) 단계; SDN 제어기가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베어러 정보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를 체크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SIPTO(Selective IP Traffic Offload)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비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SIPTO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c) 단계; SIPTO 수행 여부에 대한 결정 내용을 펨토 기지국과 SDN 스위치에 통지하는 (d) 단계; 이후 펨토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베어러 ID를 체크하여 SIPTO 결정 내용을 확인한 후에 상기 확인된 결정 내용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베어러 또는 외부 서버에 연결된 베어러를 선택하여 SDN 스위치로 전달하는 (e) 단계 및 SDN 스위치가 펨토 기지국이 SIPTO를 수행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가 아닌 외부망으로 직접 전달하는 (f)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method for offloading wireless data of core network using femto cell}
본 발명은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의 로컬 네트워크로의 오프로드를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부하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시킨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이라 불리는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은 이른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현재의 인터넷이 갖는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혁신할 수 있도록 대두된 새로운 구조의 네트워크 혹은 패러다임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OS, 하드웨어 추상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및 하드웨어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러한 SDN은 네트워크 제어 기능(control plane)이 데이터 전달 기능(data plane)을 갖는 물리적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말하는데, 이와 같이 분리된 SDN의 제어 기능은 필연적으로 네트워크 스위치(하드웨어) 상의 데이터 경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만 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 혹은 통신 메커니즘 중의 하나가 바로 제어 기능을 갖는 머신과 네트워크 스*위치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인 OpenFlow 기술이다.
SDN에 따르면, 제어기(Controller)로 불리기도 하는 제어 기능이 스위치나 라우터가 아닌 별도의 머신 상에서 구현되는데, 이러한 머신은 PC가 될 수도 있고 성능 좋은 서버가 될 수도 있다.
한편,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eNB(evolved NodeB) 및 home eNB(home evolved NodeB, HeNB)라는 기지국을 정의하고 있다. 이중 eNB는 일반적인 매크로 셀(macro cell)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이며, HeNB는 펨토 셀(Femto cell)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이다. 즉, 3GPP에서는 기존 매크로 기지국과 별도로 특정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는 펨토 기지국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펨토 기지국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옥내에 설치된 브로드밴드 망을 통해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으로서, 사용자 혹은 사업자에 의해서 커버리지 증대, 용량(capacity) 증대 혹은 기타 차별화된 서비스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는 최소 수 미터에서 최대 매크로 서비스 커버리지 정도까지 고려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 3GPP LTE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한다.
도 1은 종래 SIPTO(Selective IP Traffic Offload)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는 종래 SIPTO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번호 10은 이동통신 단말을 나타내고, 20 및 80은 각각 펨토 셀과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30은 로컬 네트워크에 속한 공유기를 나타내고, 40, 50 및 60은 각각 인터넷 서비스 제공망(Internet Service Provider),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EPC(Evolved Core Network) 및 PDN(Public Data Network 또는 Packet Data Network)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70 및 90은 각각 로컬 네트워크의 공유기(30) 및 PDN(60)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단말기와 외부 서버를 나타낸다.
한편, 3GPP에서는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LIPA와 SIPTO라는 두 가지 기술의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는바, LIPA(Local IP Access)는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고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는 트래픽의 목적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트래픽을 오프로드 시키는 기술이다.
즉, SIPTO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이 펨토 기지국(20) 또는 매크로 기지국(80)을 통해 특정 트래픽을 전송할 때, 코어 네트워크(50)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50)를 경유(점선)하던 트래픽을 인터넷(60)으로 우회(일점쇄선)시켜 전송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SIPTO 기술에 따르면, 단순히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만을 체크하여 트래픽의 오프로드 여부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이 펨토 셀 영역을 벋어나서 매크로 셀 영역에 진입하면 베어러(bearer; 후술함)가 재설정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베어러 재설정 과정에 따라 불가피하게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는데, 데이터 트래픽이 VoIP(Voice over IP) 음성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real-time)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러한 지연에 의해 통화가 단절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10-2012-0113664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 10-2014-0005304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 10-2013-0018297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로컬 인터넷 프로토콜 오프로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의 로컬 네트워크로의 오프로드를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부하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시킨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은, 이동통신망의 펨토 기지국과 인터넷에 연결된 SDN 스위치 및 SDN 스위치와 분리된 채 SDN 스위치를 제어하는 SDN 제어기로 이루어진 SDN에서 이동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에 대해 수행하되, SDN 제어기가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베어러 정보를 전달받는 (a) 단계; SDN 제어기가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베어러 정보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를 체크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SIPTO(Selective IP Traffic Offload)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비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SIPTO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c) 단계; SIPTO 수행 여부에 대한 결정 내용을 펨토 기지국과 SDN 스위치에 통지하는 (d) 단계; 이후 펨토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베어러 ID를 체크하여 SIPTO 결정 내용을 확인한 후에 상기 확인된 결정 내용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베어러 또는 외부 서버에 연결된 베어러를 선택하여 SDN 스위치로 전달하는 (e) 단계 및 SDN 스위치가 펨토 기지국이 SIPTO를 수행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가 아닌 외부망으로 직접 전달하는 (f)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는 베어러 정보에 포함된 QoS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베어러 정보에는 베어러 ID, QoS 파라미터, 출발지 IP 주소 및 목적지 IP 주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SIPTO 결졍 내용 통지 메시지에는 SIPTO 결정 내용과 베어러 ID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 따르면,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무선 데이터의 로컬 네트워크로의 오프로드를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에 따라 결정, 즉 비실시간성 무선 데이터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오프로드를 허용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부하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SIPTO(Selective IP Traffic Offload)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종래 SIPTO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서 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바, SDN 적용 네트워크에서의 오프로딩 방법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참조번호 10은 이동통신 단말을 나타내고, 20 및 80은 각각 펨토 셀과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0, 50 및 60은 각각 인터넷 서비스 제공망(Internet Service Provider),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EPC(Evolved Core Network) 및 PDN(Public Data Network 또는 Packet Data Network)을 나타낸다.
한편, SDN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제어 기능(control plane)을 수행하는 SDN 제어기(200)가 데이터 전달 기능(data plane)을 담당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인 SDN 스위치(100)와 분리되어 있는바, SDN 스위치(100)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펨토 기지국(20)과도 연결되어 있다. 참조번호 70 및 90은 각각 SDN 스위치(100) 및 PDN(60)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단말기와 외부 서버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펨토 기지국(20)은 SDN 스위치(100) 및 SDN 제어기(2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오프로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10)과 코어 네트워크(50) 사이에 설정되는 베어러(Bearer)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SIPTO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VoIP 음성 데이터와 같이 실시간 처리 특성을 갖는 데이터(이하 '실시간성 데이터'라 한다)는 SIPTO를 허용함이 없이 반드시 코어 네트워크(50)를 경유(도 3의 점선 참조)하도록 하고 실시간 처리를 요하지 않는 일반 패킷 데이터만을 오프로드의 대상(도 3의 일점쇄선 참조)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이동통신 단말(10)이 펨토 셀 영역에서 벋어나서 매크로 셀 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실시간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베어러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통화 지연이나 단절과 같은 중대한 불편을 초래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일반 패킷 데이터와 같은 비실시간성 데이터 트래픽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10)이 펨토 셀 영역에 있는 동안에는 SIPTO에 의해 인터넷(40)으로 우회하여 전송되다가 이동통신 단말(10)이 펨토 셀 영역을 벋어나서 매크로 셀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불가피하게 베어러를 재설정하게 된다. 그 결과로 불가피하게 데이터의 지연이 발생하지만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주는 불편함이 상대적으로 미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먼저, EPS(Evolved Packet System)는 PDN 내에서 게이트웨이로부터 이동통신 단말로 IP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해 EPS 베어러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EPS 베어러는 게이트웨이와 사용자 단말간의 QoS를 기반으로 한 IP 패킷 플로우(packet flow)이다. 다수의 베어러는, 서로 다른 QoS를 지원하거나 서로 다른 PDN에 연결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VoIP 등)에 관련된 사용자는 동시에 FTP(File Transfer Protocol) 다운로드를 수행하거나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VoIP 베어러는 음성통화를 위해 필요한 QoS를 제공하고, 웹 브라우징이나 FTP 세션을 위해서는 "best_effort" 베어러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할당된 베어러의 QoS 파라미터를 체크하면 당해 베어러가 실시간성 데이터를 위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동통신 단말(10)이 펨토 기지국(HeNB)(2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CN; 50)에 어태치(attach)하기 위해서는 먼저,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바, 이와 같이 하여 RRC 연결 설정에 성공(단계 S10)하면, 이동통신 단말(10)과 펨토 기지국(20) 사이에 기본적인 제어 채널이 설정된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10)과 펨토 기지국(20) 사이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베어러, 도 4에서는 비실시간성 베어러가 추가로 설정(단계 S12)된다.
이후, 베어러의 설정을 감지한 펨토 기지국(20)은 그 내용을 베어러 설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SDN 제어기(200)에 전송(단계 S14)하는바, 이때 베어러 ID, QoS 정보(parameter), 출발지(source) IP 주소 및 목적지(destination) IP 주소와 같이, 어떤 베어러가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베어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SDN 제어기(200)는 이러한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QoS 파라미터에 의해 현재 설정된 베어러가 비실시간성 데이터용임을 감지하고 SIPTO를 수행하기로 결정(단계 S16)하고 그 결정 내용을 펨토 기지국(20) 및 SDN 스위치(100)에 통지 (단계 S18, S20)하는바, 이러한 통지 메시지에는 SIPTO 수행 결정 사실(SIPTO_ON)과 베어러 정보, 예를 들어 베어러 ID가 포함될 수 있다.
SDN 제어기(200)는 또한 SDN 스위치(100)에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목적지 포트 ID, SRC_NAT_control=ON, NAT용 출발지 IP 주소, NAT용 출발지 포트 등을 포함한 설정 메시지를 SDN 스위치(100)에 전송(단계 S22)한다. 다음으로, SDN 스위치(100)는 해당 조건에 맞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동작을 수행한 후 목적지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설정 응답 메시지를 SDN 제어기(200)에 전송(단계 S24)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 데이터 오프로드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비실시간성 데이터 패킷이 펨토 기지국(20)으로 전송(단계 S26)되면, 펨토 기지국(20)은 이 데이터의 베어러 ID를 체크(단계 S28)한다. 그리고 이 베어러에 대해서는 이미 앞선 단계 S20에서 SIPTO를 수행하도록 결정되었기 때문에 펨토 기지국(20)은 이 데이터 패킷을 코어 네트워크(50)로 전송하는 대신에 SDN 스위치(100)로 전송(단계 S30)한다.
다음으로, SDN 스위치(100)는 이 데이터 패킷의 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를 설정된 값과 비교(단계 S32)하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데, 만족하는 경우에는 NAT 설정에 따라 출발지 IP 주소를 NAT용 출발지 IP 주소로 변경하고 그 결과를 이전에 지정된 목적지 포트로 전송(단계 S34)한다.
반대로 이 베어러에 대해 PDN(60)으로부터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수신(단계 S36)되면, SDN 스위치(100)는 이 데이터의 목적지 IP 주소와 목적지 포트 번호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데, 만족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NAT 동작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10)의 IP 주소와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복원(단계 S38)한다. 이렇게 NAT 동작이 수행된 데이터 패킷은 이후 펨토 기지국(20)을 거쳐서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단계 S40 및 S42)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에서 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인바, 단계 S50 내지 S56은 도 4의 단계 S10 내지 S14와 동일하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의 데이터가 실시간성 데이터, 예를 들어 VoIP 음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인터넷(40)으로의 오프로드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10)이 펨토 셀 영역을 벋어나서 매크로 셀 영역에 진입하면 베어러를 재설정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통화 단절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 인터넷(40)으로의 오프로드 없이 항상 코어 네트워크(50)를 경유하도록 결정, 즉 SIPTO를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단계 S56)하고 그 결정 내용을 펨토 기지국(20) 및 SDN 스위치(100)에 통지 (단계 S58, S59)하는바, 이러한 통지 메시지에는 SIPTO 불수행 결정 사실(SIPTO_OFF)과 베어러 정보, 예를 들어 베어러 ID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의 실시간성 데이터가 펨토 기지국(20)으로 전송(단계 S60)되면, 펨토 기지국(20)은 이 데이터 패킷의 베어러 ID를 체크(단계 S62)한다. 이러한 베어러 체크 결과, 당해 베어러에 대해서는 앞서 SIPTO 불수행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 패킷을 코어 네트워크(50)에 연결된 베어러를 사용하여 SDN 스위치(100)로 전달(단계 S64)한다.
한편, SDN 스위치(100)는 펨토 기지국(20)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에 그 베어러가 코어 네트워크(50)에 연결된 베어러인지를 체크(단계 S65)하는데, 코어 네트워크(50)에 연결된 베어러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코어 네트워크(50)에 전달하고, 코어 네트워크(50)에서는 이 데이터 패킷을 PDN(60)으로 전송(단계 S66)한다. 반면에 단계 S65에서의 체크 결과, 코어 네트워크(50)에 연결된 베어러가 아니라 외부 서버(70)에 연결된 베어러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PDN(60)을 경유하여 직접 외부 서버(70)에 전달(단계 S67)한다.
이와 반대로 PDN(6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을 목적지로 하는 실시간성 데이터 패킷은 코어 네트워크(50)와 펨토 기지국(20)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단계 S68, S69, S70 및 S72)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이동통신 단말(Mobile Station), 20: 펨토 기지국,
30: 공유기, 40: 인터넷(ISP),
50: 코어 네트워크(CN), 60: PDN(Packet Data Network),
70: 외부 서버, 80: 매크로 기지국,
90: 로컬 단말기, 100: SDN 스위치,
200: SDN 제어기

Claims (4)

  1. 이동통신망의 펨토 기지국과 인터넷에 연결된 SDN 스위치 및 SDN 스위치와 분리된 채 SDN 스위치를 제어하는 SDN 제어기로 이루어진 SDN에서 수행하되,
    SDN 제어기가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베어러 정보를 전달받는 (a) 단계;
    SDN 제어기가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베어러 정보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를 체크하는 (b) 단계;
    SDN 제어기가, 상기 (b)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가 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 SIPTO(Selective IP Traffic Offload)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비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SIPTO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c) 단계;
    SDN 제어기가 SIPTO 수행 여부에 대한 결정 내용을 펨토 기지국과 SDN 스위치에 통지하는 (d) 단계;
    상기 (d) 단계 이후 펨토 기지국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베어러 ID를 체크하여 SIPTO 결정 내용을 확인한 후에 상기 확인된 결정 내용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베어러 또는 외부 서버에 연결된 베어러를 선택하여 SDN 스위치로 전달하는 (e) 단계 및
    SDN 스위치가 펨토 기지국이 SIPTO를 수행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가 아닌 외부망으로 직접 전달하는 (f)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의 실시간성 여부는 베어러 정보에 포함된 QoS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베어러 정보에는 베어러 ID, QoS 파라미터, 출발지 IP 주소 및 목적지 IP 주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SIPTO 결정 내용 통지 메시지에는 SIPTO 결정 내용과 베어러 ID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KR1020140103924A 2014-08-11 2014-08-11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Active KR10157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24A KR101579070B1 (ko) 2014-08-11 2014-08-11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US14/600,479 US9351238B2 (en) 2014-08-11 2015-01-20 Method of offloading wireless data in core network using femto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24A KR101579070B1 (ko) 2014-08-11 2014-08-11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070B1 true KR101579070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924A Active KR101579070B1 (ko) 2014-08-11 2014-08-11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1238B2 (ko)
KR (1) KR101579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20B1 (ko) 2016-02-19 2017-02-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펨토셀을 이용한 와이파이 오프로딩 시스템에서 대상 단말기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4MU01113A (ko) * 2014-03-28 2015-10-02 Tech Mahindra Lt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509A (ko) * 2011-02-11 2012-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KR20120113664A (ko) 2011-04-05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20130018297A (ko) 2010-04-13 2013-02-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로컬 인터넷 프로토콜 오프로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01244A (ko) * 2011-01-21 2014-01-06 블랙베리 리미티드 (로컬) 오프로딩에 이용되는 접속에 대한 접속 컨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세스
KR20140005304A (ko) 2011-04-2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9861B2 (en) * 2010-09-17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EP2922345B1 (en) * 2012-11-16 2020-02-26 Nec Corporation Network system, method, device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297A (ko) 2010-04-13 2013-02-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로컬 인터넷 프로토콜 오프로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01244A (ko) * 2011-01-21 2014-01-06 블랙베리 리미티드 (로컬) 오프로딩에 이용되는 접속에 대한 접속 컨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프로세스
KR20120092509A (ko) * 2011-02-11 2012-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KR20120113664A (ko) 2011-04-05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20140005304A (ko) 2011-04-2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ying SDN/OpenFlow in Virtualized LTE to support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In: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oud Computing and Services Science, CLOSER 2014, 3-5 April 2014 *
Taleb, Tarik, Yassine Hadjadj-Aoul, and Konstantinos Samdanis. "Efficient solutions for enhancing data traffic management in 3GPP networks." (20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20B1 (ko) 2016-02-19 2017-02-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펨토셀을 이용한 와이파이 오프로딩 시스템에서 대상 단말기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4590A1 (en) 2016-02-11
US9351238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99709B (zh) 监测和报告服务性能
US986078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ccess network device, and application server
CN113225782B (zh) 用于会话管理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24922B2 (en) Application mobility mechanism for edge computing
RU2717562C1 (ru) Мобильность в 5g с передачей обслуживания или повторным выбором соты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изменения обслуживающей зоны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возможностей плоск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EP3461071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network element
CN102202418B (zh) 业务建立的方法、业务提供的方法、设备及系统
US10624145B2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20120281685A1 (en) Handling multip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alls via a single bearer
US8837395B2 (en) Method and entity for conveying data units
WO2013155916A1 (zh) 应用于wlan的分流信息的获取方法及系统
WO2010015189A1 (zh) 移动网络高速接入公网的节点、方法及系统
WO201603071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US9860792B2 (en) Network device for supporting gateway chan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5123948A1 (zh) 保证业务数据连续性的方法、控制器及网关
US20160337915A1 (en) Switching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6097751A (zh) 利用smf重新选择来重新锚定
KR20240004972A (ko) 노드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한 제1 노드, 제2 노드, 및 그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EP3610672A1 (en) Handover with no or limited mme involvement
KR101579070B1 (ko) 펨토셀을 이용한 코어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의 오프로딩 방법
JP7637068B2 (ja) Ue
CN113438665B (zh) 一种会话路径优化方法及装置
KR20160120052A (ko) 세그먼트 라우팅을 이용한 아이피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9587709A (zh) 本地数据网的发现、配置方法、终端、核心网设备及基站
JP2024533856A (ja) 無線ルーティング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