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8897B1 -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 Google Patents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897B1
KR101578897B1 KR1020140169821A KR20140169821A KR101578897B1 KR 101578897 B1 KR101578897 B1 KR 101578897B1 KR 1020140169821 A KR1020140169821 A KR 1020140169821A KR 20140169821 A KR20140169821 A KR 20140169821A KR 101578897 B1 KR101578897 B1 KR 10157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tamper
explosion
plu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형
오인숙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4016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기폭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노출된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탬퍼와, 상기 탬퍼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 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박막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폭발하되,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비행편과, 상기 비행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폭발하는 비행편을 상기 화약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배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비행편의 폭발지점의 하부에 비행편의 폭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므로, 비행편이 적은 에너지로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충분한 속도로 날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LOW ENERGY EXPLODING FOIL ASSEMBLY OF PRIMER DETONATOR}
본 발명은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비행편의 폭발지점의 하부에 비행편의 폭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므로, 비행편이 적은 에너지로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충분한 속도로 날아갈 수 있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기폭관은 전기 에너지를 점화원으로 하여 화약을 기폭시켜 탄두화약을 기폭시키는데 사용되는 화공품을 일컫는 명칭으로 주로 탄약 및 유도무기의 탄두 폭발계열의 최초 기폭화공품으로 사용된다.
이 중 박막조립체가 구비된 기폭관은 기존의 다른 전기식 기폭관보다 둔감한 화약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전기 등의 우발적 환경 요인에 안전하여 정렬형 기폭관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폭관이다.
박막조립체가 구비된 기폭관은 일반적으로 전기를 흐르게 하는 통로인 박막형태의 교선(Bridge)와 교선의 폭발력에 의해 고속의 파편을 형성하는 비행편(Flyer), 비행편이 기폭관 내부의 화약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탬퍼(Tamper) 비형편이 날아가는 통로가 되는 배럴(Barrel), 이러한 박막조립체를 지지하고 전기적 신호의 통로가 되는 핀이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Plug), 비행편이 날아가는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화약과 기폭관을 밀봉하기 위한 커버(Cover)로 구성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폭관을 제작하는 공정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의 상부에 탬퍼(2), 금속 박막(3), 비행편(4)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배럴(5)을 비행편(4) 위에 적층한 상태에서 플러그(1)와 배럴(5)을 납(6)을 이용하여 땜질하는데, 이러한 배럴(5)의 하면에는 통전을 위한 납이 도포된다.
또한, 상기 배럴(5)의 위에는 화약(6)이 보관되어 있는 화약통이 적층되고, 화약통의 외부와 플러그의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7)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폭관은 금속 박막에 고압의 전류가 인가되면,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비행편이 탬퍼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측으로 튀어오르는데, 비행편이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속도를 갖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고압의 전류를 플러그로 흘려보내야 한다.
상기 비행편은 금속 박막에 고압의 전류 인가시 폭발하면서 상측으로 터져나가는데, 탬퍼는 금속박막의 폭발력이 비행편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지체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탬퍼는 비행편에 의하여 충분히 밀도 및 강도가 높지 않아 비행편이 상승하기 위한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미국공개특허 US8281718호(발명의 명칭:EXPLOSIVE FOIL INITIATOR AND METHOD OF MAKING, 공개일자:2012년 10월 09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비행편의 폭발지점의 하부에 비행편의 폭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므로, 비행편이 적은 에너지로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충분한 속도로 날아갈 수 있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통부을 통해 플러그의 접속단자로 접근이 가능하므로 금속 박막과 접속단자의 납땜이 용이한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기폭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노출된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탬퍼와, 상기 탬퍼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 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박막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폭발하되,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비행편과, 상기 비행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폭발하는 비행편을 상기 화약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배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탬퍼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타공되는 지지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홀과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홀은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기폭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의 상면에 안착되되, 플러그의 상면에 노출된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탬퍼와, 상기 탬퍼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 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박막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폭발하는 비행편과, 상기 비행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폭발하는 비행편을 상기 화약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배럴과, 상기 비행편과 상기 금속 박막 및 상기 배럴에는 상기 배럴의 상측에서 상기 접속단자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홀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탬퍼의 중앙에는, 상기 폭발하는 비행편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탬퍼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타공되는 지지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홀과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홀은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비행편의 폭발지점의 하부에 비행편의 폭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므로, 비행편이 적은 에너지로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충분한 속도로 날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통부을 통해 플러그의 접속단자로 접근이 가능하므로 금속 박막과 접속단자의 납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폭관을 제작하는 공정순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가 내장된 기폭관이 부분 절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가 내장된 기폭관이 부분 절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기폭관 내부의 플러그(10)와 화약(13) 사이에 설치되어 플러그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박막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10)는 전류가 인가되는 부재로서, 도 2, 도 3,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1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결단자(11)는 플러그(10)의 하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단자(11)의 상단은 플러그(10)의 상면에 노출되며, 이렇게 상면에 노출되는 부분은 후술할 금속 박막(121)과 연결되는 접속단자(12)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12)는 전도율이 우수한 은이나 구리 등으로 제작될 있으며, 상기 화약(13)은 화약통(14)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며, 화약통(14)의 외부와 플러그(10)의 측부 외주면에는 커버(15)가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탬퍼(110), 비행편(120), 배럴(130)이 포함되며, 상기 비행편(120)의 하면에는 금속 박막(121)이 열압착된다.
또한, 상기 탬퍼(110), 비행편(120) 및 배럴(13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재질로 제작되며, 비행편(120)의 상면과 하면에는 탬퍼(110)와 배럴(130)을 열압착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탬퍼(110)는 플러그(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도체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탬퍼(110)의 중앙에 지지부재(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금속 박막(121)이 폭발하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200)는 밀도나 강성이 높은 재질, 예컨대, 고밀도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재질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탬퍼(110)는 금속 박막(121)에 인가되는 순간적인 고압 전류에 의한 비행편(120)의 폭파시, 비행편(120)이 화약으로 튀어 오르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지지부재(200)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비행편(120)이 튀어 오를 때 비행편(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여 비행편(120)이 안정적으로 튀어 올라 화약(13)을 기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200)는 후술할 배럴(130)의 가이드홀(131)과 거의 일치하거나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200)는 탬퍼(110)의 중앙에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탬퍼(110)의 중앙에는 지지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는 지지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111)은 탬퍼(110)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데, 이렇게 지지홀(111)에 끼워진 지지부재(200)의 하면은 플러그(10)의 상면에 의해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200)가 지지홀(111)에 끼워진 상태로 비행편(120)의 폭발을 지지하는 경우, 플러그(1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10)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홀(111)에 지지부재(200)가 끼워지는 경우, 비행편(120)의 폭발을 지지부재(200)만으로 지지하는 것보다 더 큰 폭발을 지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비행편의 폭발을 탬퍼로 지지하므로 비행편을 이용하여 화약을 기폭하려면 플러그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였으나, 본 발명은 탬퍼(110) 보다 고강성의 지지부재(200)가 비행편(120)의 폭발을 지지하므로 종래와 동일한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비행편(120)이 더 빠르고 강하게 화약을 기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 대비 저에너지로 종래와 동일하게 화약(13)을 기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탬퍼(110)에는 플러그(10)의 상면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단자(12)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112)이 형성되며, 이렇게 끼움홀(112)에 끼워지는 접속단자(12)는 비행편(120)의 하면에 구비된 금속 박막(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비행편(120)은 탬퍼(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비행편(120)의 하면에는 금속 박막(121)이 도금되며, 금속 박막(121)은 대체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부채꼴 호 형상을 갖는 부재의 중심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데, 상기 중심이 연결된 부분은 순간적인 고압 전류 인가시 폭발하게 되며, 연쇄적으로 비행편(120)도 동시에 폭발하여 파편이 튀어오르게 된다.
다시말하면, 비행편(120)의 하부에서 폭발하면서 발생되는 폭발력에 의해 비행편(120)은 상측, 즉, 화약(13)의 하면으로 튀어오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폭발하면서 상측으로 튀어오르는 비행편(120)은 비행편(120)의 상면에 열압착되는 배럴(130)의 가이드홀(131)을 통과하여 화약(13)의 하면으로 튀어올라 화약(13)을 기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약(13)은 별도의 화약통(14)의 내부에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약(13)이 내부에 보관된 화약통(14)은 배럴(130)의 상부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화약통(14)의 외부는 커버(15)에 의해 외부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커버(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약통(14)의 외부와 플러그(10)의 측부 외주면을 동시에 덮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는, 탬퍼(110), 비행편(120), 배럴(130) 및 연통부(140)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는 금속 박막(121)에 고압 전류가 인가되면, 금속 박막(121)이 폭발하고, 이와 연쇄적으로 비행편(120)이 폭발하여 비행편(120)이 배럴(130)의 가이드홀(131)을 통과하여 화약을 기폭하는 것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구조적인 차이점은, 탬퍼(110)에는 지지부재(200)가 없고, 비행편(120)과 배럴(130)에는 탬퍼(110)의 끼움홀(112)과 연통되는 연통공인 연통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연통부(140)에 의해 플러그(10)의 접속단자는 배럴(130)의 상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배럴(130)의 상부에서 금속 박막(121)과 접속단자(12)가 가결합된 상태에서 예컨대, 납땜을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해 주며, 납땜공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통부(140)는 비아홀(via hol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비아홀이란 다층 프린트기판 내에서 부품을 삽입하지 않은 채, 2층 또는 그 이상의 내부 도체 간의 접속에 이용되는 도금 쓰루 홀을 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연통부(140)에 의해 접속단자(12)와 금속 박막(121)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고압 전류의 손실이 적으므로 금속 박막(121)의 폭발에 필요한 고압 전류를 예측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류가 손실되는 것이 적어짐으로 인하여, 종래와 동일한 조건에서 종래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 박막(121)의 폭발을 정확하게 이루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탬퍼(110)의 중앙에 지지홀(111)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홀(111)에는 지지부재(2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홀(111)과 지지부재(20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지지홀(111) 및 지지부재(2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연통부(140)에 의해 고압 전류의 손실이 적고, 배럴(130)의 상측에서 접속단자(12)와 금속 박막(121)의 결합부위로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지지부재(200)는 금속 박막(121)과 비행편(120)의 폭발시, 비행편(12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편(12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 인하여 적은 에너지로도 종래와 동일한 비행편(120)의 속도를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비행편(120)은 금속 박막의 폭발에 의해 연쇄적으로 폭발하며, 화약의 하면을 향하여 매우 빠른 속도 예컨대, 3km/sec의 속도로 화약의 하부로 튀어 올라 화약을 기폭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200)가 설치되는 지지홀(111)과 상기 지지홀(111)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00) 및 금속 박막(121)에 의해 폭발하며, 화약(13)을 기폭하기 위하여 배럴(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1)은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플러그 11-연결단자
12-접속단자 13-화약
14-화약통 15-커버
110-탬퍼 111-지지홀
112-끼움홀
120-비행편 121-금속 박막
130-배럴 131-가이드홀
140-연통부
200-지지부재

Claims (7)

  1. 기폭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노출된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탬퍼와,
    상기 탬퍼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 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박막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폭발하되,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비행편과,
    상기 비행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폭발하는 비행편이 상기 화약의 하부에 접척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배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탬퍼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타공되는 지지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과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홀은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4. 기폭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화약을 기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의 상면에 안착되되, 플러그의 상면에 노출된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탬퍼와,
    상기 탬퍼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 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금속 박막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폭발하는 비행편과,
    상기 비행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폭발하는 비행편이 상기 화약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배럴과,
    상기 비행편과 상기 금속 박막 및 상기 배럴에는 상기 배럴의 상측에서 상기 접속단자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홀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탬퍼의 중앙에는,
    상기 폭발하는 비행편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탬퍼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타공되는 지지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과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홀은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KR1020140169821A 2014-12-01 2014-12-01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KR101578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21A KR101578897B1 (ko) 2014-12-01 2014-12-01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21A KR101578897B1 (ko) 2014-12-01 2014-12-01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897B1 true KR101578897B1 (ko) 2015-12-17

Family

ID=5508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821A KR101578897B1 (ko) 2014-12-01 2014-12-01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483A (zh) * 2015-10-23 2015-12-16 中北大学 分离式起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413A (en) 1990-09-24 1992-02-1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transport handling arming and firing of perforating guns using a bubble activated detonator
US20020023567A1 (en) 2000-07-13 2002-02-28 Tda Armements S.A.S. Secured high-power electro-pyrotechnic initiator
US6470802B1 (en) 2001-06-20 2002-10-29 Perkinelmer, Inc. Multilayer chip slapper
JP2007522428A (ja) 2004-02-11 2007-08-0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アクティエボラーグ 熱分散付き電気式点火起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413A (en) 1990-09-24 1992-02-1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transport handling arming and firing of perforating guns using a bubble activated detonator
US20020023567A1 (en) 2000-07-13 2002-02-28 Tda Armements S.A.S. Secured high-power electro-pyrotechnic initiator
US6470802B1 (en) 2001-06-20 2002-10-29 Perkinelmer, Inc. Multilayer chip slapper
JP2007522428A (ja) 2004-02-11 2007-08-0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アクティエボラーグ 熱分散付き電気式点火起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483A (zh) * 2015-10-23 2015-12-16 中北大学 分离式起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097B1 (en) Energetic material initiation device
US7866263B2 (en) Glass-metal feedthrough, a method of fabricating it, and an electro-pyrotechnic initiator including it
KR101921167B1 (ko) 소구경 탄환용 전기적 점화 캡
US9829289B1 (en) Disposable, miniature internal optical ignition source
US9909847B1 (en) Disposable, miniature internal optical ignition source
US8281718B2 (en) Explosive foil initiator and method of making
KR101578897B1 (ko) 기폭관의 저에너지 폭발형 박막조립체
US10345084B1 (en) Initiator assembly with exploding foil initiator and detonation detection switch
US10378482B2 (en) Ignition safety device for rocket motor
KR101622484B1 (ko) 일체형 박막조립체가 구비된 기폭관
KR101921171B1 (ko) 전기기계식 퍼커션 캡
US10415942B1 (en) Disposable, miniature internal optical ignition source
CN109297375B (zh) 一种电路板侧面输入输出电子激发导电料发火方法
CN215952339U (zh) 电击发声光引发装置
US3641936A (en) Composite shell with ceramic base
US10627200B1 (en) Disposable, miniature internal optical ignition source
KR101360108B1 (ko) 신관 시험 장치
US5208423A (en) Mechanical shielding for electric primer
KR101930501B1 (ko)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KR102581020B1 (ko) 열전지용 착화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열전지 시스템
US3109372A (en) Bridgeless electric detonator
CN205784893U (zh) 一种芯片式冲击片起爆器
CN201273797Y (zh) 防暴弹组件
KR102416247B1 (ko) 탄두용 이중 기폭 장치
CN221444966U (zh) 一种用于炮弹的全可燃无线能量接收投射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